KR20090000943U -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 Google Patents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943U
KR20090000943U KR2020070012360U KR20070012360U KR20090000943U KR 20090000943 U KR20090000943 U KR 20090000943U KR 2020070012360 U KR2020070012360 U KR 2020070012360U KR 20070012360 U KR20070012360 U KR 20070012360U KR 20090000943 U KR20090000943 U KR 20090000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system
coupled
hinge shaf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367Y1 (ko
Inventor
김용석
김동백
김봉진
Original Assignee
김용석
김봉진
김동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김봉진, 김동백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20070012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6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05D15/4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with sliding guides fixed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arms fixed on the wing pivoting about an axis outsid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7Tilting or swing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 턴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동개폐 또는 틸트(tilt)가 가능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에서 설치장소나 건물의 구조, 사용자의 요구 또는 취향에 따라 창문틀의 열림각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 턴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의 하측에 리미트로드 및 고정바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측에 결합 설치된 습동블럭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된 제1리미트레버로 되어 회동개폐와 틸트 가능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창문틀 하단에 설치되는 공지의 턴첵에 있어서, 제1리미트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는 힌지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에 고정된 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제2리미트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시공시 설치장소, 건물 구조, 사용자의 요구나 취향에 적합하게 창문틀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여 시공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외력이나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창문틀이 완전개방이 방지되므로 건축물의 고층화에 따른 낙하방지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제거됨은 물론, 창틀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창문틀의 개방 범위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P2020070012360
회동식 창호 시스템, 회동, 틸트, 핸들

Description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 턴첵{Turn Check Having Opening Angle Limitation and Adjustment Function fo Turning Type Window System}
본 고안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 턴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동개폐 또는 틸트(tilt)가 가능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에서 개방시 열림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턴첵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회동식 창호 시스템(Turn and Tilt 방식)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창문의 윗부분이 반 개폐상태로 열릴 수 있는 틸트기능과 창문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기능이 구비되어 상기 기능들을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회동식 창호 시스템(100)은 핸들(104)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창문틀(103)이 창틀(101)에 회동축(126)과 틸트축(127) 및 틸트힌지(128)로 결 합 설치되었다.
아울러 창문틀(103)에는 핸들(104)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기어(105)와, 구동기어(105)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랙기어(107)가 형성된 수직로드(106)가 상, 하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로드(106)에 한 쌍의 연결체(108)가 설치되는데, 상기 한 쌍의 연결체(108) 사이에 코너스프링(109)이 체결되었다.
또한, 창문틀(103)의 상측에는 연결체(108)에 연결되는 수평로드(129)와, 상기 수평로드(129)에 연결되는 회동레버(124)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레버(124)는 일측이 회동축(126)에 결합되었다.
아울러 상기 창문틀(103)의 하측에는 창문틀(103)의 수평방향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턴첵(110)이 설치되었는데, 상기 턴첵(110)은 창문틀(103)에 설치되는 고정바(115)와, 고정바(115)에 힌지축(117)으로 결합되며 일측에 제1경사단(114)을 갖는 리미트로드(113)와, 상기 리미트로드(113)의 제1경사단(114)이 내부에 수용 슬라이드 되며, 상기 제1경사단(114)과 맞물림 또는 해제되는 제2경사단(11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11)과, 리미트레버(118)의 일측과 힌지축(120)으로 결합되며 가이드레일(111)에 수용되는 습동블럭(119)과, 창틀(101)에 고정 설치되고, 리미트레버(118)와 힌지축(123)으로 결합되는 브라켓(122)과, 가이드레일(111)에 고정 설치되어 습동블럭(119)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21)와, 고정바(115)와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어 리미트로드(113)의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16)로 되었다.
아울러 창틀(101)에 복수개의 캠홀더(102)가 설치되고, 창틀(103)에는 핸 들(104)의 조작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며 캠홀더(102)에 수용 또는 이탈되는 캠(125)이 복수개 설치되었다.
이러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100)은 핸들(104)의 제어에 의하여 창문틀(103)을 틸트 개폐하거나 또는 회동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핸들(104)을 잠김 위치에서 틸트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05)가 작동되며 수직로드(106)를 이동시키고, 상기 수직로드(106)로부터 차례로 각각 연결된 부품들이 작동되며 캠홀더(102)에 수용 고정된 캠(125)을 이탈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창문틀(103)을 틸트 개방하거나 또는 회동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회동식 창호 시스템(100)은 설치장소나 건물의 구조, 사용자의 요구 또는 취향에 따라 창문틀(103)의 열림각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기능이 없고, 단지 턴첵(110)에 의해 창문틀(103)이 열린상태에서 고정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불편함이 있다.
즉, 핸들(104)의 제어에 의해 리미트로드(113)가 슬라이드되며 상기 제1경사단(114)과 제2경사단(112)이 맞물려 압박을 받거나 이격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격된 상태에서는 창문틀(103)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고, 맞물려 압박되는 상태에서는 습동블럭(119)이 압박을 받아 고정되기 때문에 리미트레버(118)도 고정되어 창문틀(103)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습동블럭(119)의 고정으로 창문틀(103)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습동블럭(119)을 고정하는 힘보다 강한 힘으로 창문틀(103)을 개폐할 경우, 상기 창문틀(103)이 더 개방되거나 닫히게 되는 것이어서, 창문틀(103)의 개방위치를 제한 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장소나 건물의 구조, 사용자의 요구 또는 취향에 따라 창문틀의 열림각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안전사고 등의 발생 우려를 제거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 턴첵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의 하측에 리미트로드 및 고정바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측에 결합 설치된 습동블럭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된 제1리미트레버로 되어 회동개폐와 틸트 가능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창문틀 하단에 설치되는 공지의 턴첵에 있어서, 제1리미트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는 힌지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에 고정된 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제2리미트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창의 열림시 최대 전개 각도를 설치장소나 사용자의 요구, 취향에 따라 필요한 정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에서 창문틀의 개방 범위를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 상기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시공시 설치장소, 건물 구조, 사용자의 요구나 취향에 적합하게 창문틀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여 시공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외력이나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창문틀이 완전개방이 방지되므로 안전사고 등의 우려가 제거됨은 물론, 창틀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창문틀의 개방 범위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턴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10)의 창문틀(13)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창문틀(13)은 창틀(11)에 회동축(41) 및 틸트축(42), 틸트힌지(43)로 결합시키고, 상기 창문틀(13)의 핸들(14)과 연동되는 구동기어(15)가 형성된 수직로드(16)를 핸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하며, 창문틀(13)의 코너에 위치되는 코너스프링(19)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체(18)를 수직로드(16)에 연결한다.
아울러 창문틀(13)의 상측에는 수평로드(44)의 일측은 연결체(18)에 결합시키고, 타측은 회동레버(39)에 결합시키며, 상기 회동레버(39)는 창틀(11)에 설치된 회동축(41)에 연결한다.
또한, 창문틀(13)의 하측에는 턴첵(20)을 설치하는데, 상기 턴첵(20)은 창문틀(13)에 설치되는 고정바(25)와, 고정바(25)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복수개의 제2경사단(2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과 고정바(25) 사이에 위치되며 일측에 복수개의 제1경사단(24)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21)에 수용 슬라이드되고 단부가 연결체(18)에 연결된 리미트로드(23)와, 고정바(25)와 리미트로드(23)를 결합시키는 힌지축(27)과, 고정바(25)와 가이드레일(21)을 결합시키며 리미트로드(23)의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6)가 구비된다.
아울러 장공(29)이 형성되고 일측이 가이드레일(21)에 수용된 습동블럭(30)과 힌지축(31)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창틀(11)에 설치된 브라켓(33)에 힌지축(32)으로 결합되는 제1리미트레버(28)와, 상기 장공(29)에 삽입 슬라이드 되는 힌지축(35)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은 창틀(11)에 고정된 브라켓(37)에 힌지축(36)으로 결합되는 제2리미트로드(34)와, 가이드레일(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습동블럭(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38)가 구비된다.
또한, 창틀(11)의 하측에는 창문틀(13)과 결합을 위한 틸트축(42)과 틸트히지(43)가 설치되며, 상기 창틀(11)에 복수개의 캠홀더(12)를 설치하고, 창문틀(13)에 핸들(14)의 작동으로 위치가 가변되며 상기 캠홀더(12)에 수용 고정 또는 이탈되는 복수개의 캠(4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창문틀(13)의 회동 개폐시 최대 전개 각도를 설치장소나 건물의 구조, 사용자의 요구, 취향에 따라 필요한 정도로 제한되도록 설 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최대 전개 각도는 제1리미트레버(28)와 제2리미트레버(34)의 설치 위치에 의하여 설정된다.
즉, 상기 제1리미트레버(28)와 제2리미트레버(34)의 일측을 연결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브라켓(33,37)의 설치위치가 서로 근접되거나 또는 이격됨으로써 창문틀(13)의 전개각도가 설정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33,37)의 위치가 이격될수록 전개각도가 적어지며, 서로 근접될수록 전개각도가 커지는 것이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창문틀(13)은 핸들(14)을 열림 또는 틸트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동기어(15)가 작동되고, 이에 의하여 수직로드(16)와 이에 차례로 연결된 각 부품들이 작동되어 캠홀더(12) 내에 수용 고정된 캠(40)이 상기 캠홀더(12)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그 결과 창문틀(13)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개폐되거나 또는 틸트축(42)을 중심으로 창문틀(13)의 상측이 반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14)을 열림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과정에 의해 캠(40)이 캠홀더(12)에서 이탈되고 창문틀(13)은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개방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창문틀(13)의 개방 정도는 브라켓(33,37)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리미트레버(28)와 제2리미트레버(34)의 회동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것이다.
즉, 제2리미트레버(34)는 제1리미트레버(28)에 형성된 장공(29)의 범위 내에서 그 회동범위가 결정되고, 이러한 제2리미트레버(34)에 의하여 제1리미트레버(28)의 회동범위도 결정된다.
그러므로 첨부한 도면 도 5에서와 같이 브라켓(33,37)이 서로 이격된 경우에는 제1리미트레버(29)의 회동 반경(r)이 작아 창문틀(13)의 개폐폭(d)도 작아지게 되어 창문틀(13)이 조금 열리게 되는 반면, 첨부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브라켓(33,37)이 서로 근접된 경우에는 제1리비트레버(28)의 회동 반경(r)이 도 5와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창문틀(13)의 개폐폭(d)도 커지게 되므로 창문틀(13)이 도 5에서보다는 조금 더 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동식 창호 시스템(10)의 시공시 설치장소, 건물 구조, 사용자의 요구나 취향에 적합하게 창문틀(13)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창문틀(13)이 닫혀있고 핸들(14)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21)의 제2경사단(22)과 리미트로드(23)의 제1경사단(24)이 서로 밀착되며 밀착압력을 습동블럭(30)에 가하여 상기 습동블럭(30)이 완전 고정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4)을 열림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와 같은 각 부품들의 작용에 의하여 리미트로드(23)도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1경사단(24)과 제2경사단(22)이 서로 이격되고, 따라서 밀착압력이 습동블럭(30)에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창문틀(13)을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창문틀(13)이 개방된 상태에서 핸들(14)을 다시 잠금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15)와 수직로드(16) 등 각 부품들이 상기와는 반대로 작동하여 제1경사단(24)과 제2경사단(22)이 다시 밀착되어 압력을 습동블럭(30)에 가해져 창문틀(13)이 개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창 문틀(13)의 개방위치를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제1리미트레버(28)와 제2리미트레버(34)에 의하여 개방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므로, 강한 바람이나 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더 이상 개방되지 않는 것이어서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턴첵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턴첵을 도시한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턴첵에 의하여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가 제한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회동식 창호 시스템 11: 창틀 12: 캠홀더
13: 창문틀 14: 핸들 15: 구동기어
16: 수직로드 17: 랙기어 18: 연결체
19: 코너스프링 20: 턴첵 21: 가이드레일
22: 제2경사단 23: 리미트로드 24: 제1경사단
25: 고정바 26,38: 스토퍼 27,31,32,35,36: 힌지축
28: 제1리미트레버 29: 장공 30: 습동블럭
33,37: 브라켓 34: 제2리미트레버 39: 회동레버
40: 캠 41: 회동축 42: 틸트축
43: 틸트힌지

Claims (1)

  1. 가이드레일(21)의 하측에 리미트로드(23) 및 고정바(25)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1)의 하측에 결합 설치된 습동블럭(30)에 일측이 힌지축(31)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11)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33)에 힌지축(32)으로 결합된 제1리미트레버(28)로 되어 회동개폐와 틸트 가능한 회동식 창호 시스템(10)의 창문틀(13) 하단에 설치되는 공지의 턴첵에 있어서,
    제1리미트레버(28)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29)과, 상기 장공(29)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힌지축(35)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11)에 고정된 브라켓(37)에 힌지축(36)으로 결합되는 제2리미트레버(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 턴첵.
KR20070012360U 2007-07-25 2007-07-25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KR200445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2360U KR200445367Y1 (ko) 2007-07-25 2007-07-25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2360U KR200445367Y1 (ko) 2007-07-25 2007-07-25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943U true KR20090000943U (ko) 2009-02-02
KR200445367Y1 KR200445367Y1 (ko) 2009-07-22

Family

ID=4129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2360U KR200445367Y1 (ko) 2007-07-25 2007-07-25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2B1 (ko) * 2009-05-19 2011-09-15 신경철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CN106050026A (zh) * 2016-05-26 2016-10-26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斜拉杆组件及设有该组件的内平开下悬窗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14Y1 (ko) 2013-09-25 2015-04-14 유성분체기계 주식회사 창문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19B2 (ja) * 1991-12-04 1996-02-14 株式会社中西エンジニアリング 内倒れ式上下動窓
AU743781B2 (en) 1997-07-08 2002-02-07 Assa Abloy Financial Services Ab Improvements in window stays
KR100597936B1 (ko) * 2004-02-19 2006-07-13 서윤현 중하중 창문개폐용 연결암
KR200433623Y1 (ko) * 2006-09-28 2006-12-11 김용석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2B1 (ko) * 2009-05-19 2011-09-15 신경철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CN106050026A (zh) * 2016-05-26 2016-10-26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斜拉杆组件及设有该组件的内平开下悬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367Y1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509B2 (e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1622417B (zh) 包括锁定装置的竖铰链式窗
KR200445367Y1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제한 및 조정기능을 갖는턴첵
EP1733111A2 (de) Fenster oder tür mit elektromechanischer verriegelung
TW200415295A (en) Stay
JP4394368B2 (ja) 車両用開放屋根構造体及びその閉鎖部材を動かす方法
JPH08507840A (ja) ガラス枠装置
KR200433623Y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EP1669531B1 (de) Drehfenster
CN115478743A (zh) 一种平出式车门把手
KR20160029943A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JP2001047865A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WO2009149708A1 (en)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JP5385644B2 (ja) 上げ下げ窓
RU2230866C2 (ru) Деталь прибора, ограничивающая открывание
KR102440718B1 (ko) 접이식 캐빈 장치
KR20090000942U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오조작 방지구조
KR100439243B1 (ko) 창문의 개폐장치
CN219241629U (zh) 一种平出式车门把手
EP3093419A1 (en) Security device for a window
JPH0539178Y2 (ko)
EP1106767A2 (en) Friction hinge for openable closure member
EP0942137B1 (en) Hinge assembly for a reversible window or door
RU2779393C2 (ru) Выдвижн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как минимум, параллельно-отставляемой и горизонтально перемещаемой в этом положении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RU2773046C1 (ru) Выдвижн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воротно-откидных створок окон или двер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