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754A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754A
KR20090000754A KR1020070031356A KR20070031356A KR20090000754A KR 20090000754 A KR20090000754 A KR 20090000754A KR 1020070031356 A KR1020070031356 A KR 1020070031356A KR 20070031356 A KR20070031356 A KR 20070031356A KR 20090000754 A KR20090000754 A KR 2009000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oll
payment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진
이정환
민동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754A/ko
Publication of KR2009000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패턴 정보와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국 위치정보를 토대로 톨게이트 진입 시점 및 진출 시점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진입 톨게이트 및 진출 톨게이트를 종단점으로 하는 도로 구간의 통행요금을 파악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결제 정보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행요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완료하고, 상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상기 진출 톨게이트와 상기 이동단말기로 알려, 사용자가 진출 톨게이트에서 별도의 요금 정산과정 없이 통과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하는 방법 및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톨게이트에서의 정체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31356
톨게이트, 정산소, 서비스 서버, 핸드오프, 기지국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Method and service server for collecting tollgat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에 설치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테이블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금 결제를 위한 이동단말기 및 차량의 매칭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 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이동단말기와 매칭된 정보를 갖는 차량이 유료도로 톨게이트를 통과시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통행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료도로 통행요금 지불방법으로는 유료도로 진출입시 톨게이트(Tollgate, TG)에서 현금 또는 선불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TG 정산소에서 현금을 직접 수납하고 거스름 돈을 되돌려 주거나, 선불카드를 직접 차감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그로 인해 유료도로 정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이패스(Hihg pass)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이 있다.
하이패스는 주행중인 차량 안에서 무선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행료를 지불하는 전자요금 결제 시스템으로서, 카드를 삽입한 차량 탑재기(On Board Unit, OBU)를 장착한 차량이 정산소에 진입하면 정산소 안테나와 차량 탑재기(OBU)간에 무선 또는 적외선 통신으로 정보를 교환하여 차량 탑재기(OBU)에 삽입한 카드에서 통행료를 결제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하이패스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은 차량에 차량 탑재기(OBU)를 반드시 장착하여야 하고, 본인이 하이패스 등록을 한 차량 이외엔 적용을 받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 탑재기(OBU)에 삽입할 카드를 정해진 장소에서 충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하는 방법 및 서비스 서버를 제공하여, TG에서의 정체 시간을 단축시키고, 편리한 통행요금 결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은,
a)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패턴 정보--상기 이동단말기가 도로 주변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해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인 핸드오프를 하는 정보임--와 진입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국 식별정보를 토대로 진입 톨게이트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패턴 정보와 상기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국 식별정보를 토대로 진출 톨게이트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의 진입 톨게이트 및 진출 톨게이트를 종단점으로 하는 도로 구간의 통행요금을 파악하는 단계; d) 사용자의 상기 통행요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상기 진출 톨게이트와 상기 이동단말기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서비스 등록과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회원관리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정보와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감지하는 경로 감지부; 상기 경로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 정보에 따른 통행요금을 산출하는 요금 처리부; 상기 이동단말기로 산출된 통행요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안내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결제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 서버와 연계하여 통행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처리부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가 진출하는 진출 톨게이트로 통행요금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결제완료 통지부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당 사업자가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정보와 차량정보를 매칭하여 등 록하고, 상기 사용자가 유료도로 이용시 징수되는 통행요금을 휴대폰 요금에 부가하여 결제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유료도로를 이용시 부과되는 요금은 차량의 등급--여기서 차량의 등급은 유료도로 요금제에 따른 차량의 구분을 의미함--, 이동구간, 시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정산된다. 이러한 정보는 유료도로 진입 TG를 통과할 때 지급되는 유료도로통행카드에 저장되고, 진출하는 TG에 유료도로통행카드를 제출하여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정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유료도로 통행요금을 결제하기 위해서는 유료도로통행카드에 저장되는 위와 같은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요금의 결제 수단인 이동단말기와 차량의 식별정보가 매칭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 식별정보에 자신이 이용하는 차량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특정 이동단말기 식별정보와 매칭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매칭정보"라 명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시스템은 이동통신사 서비스 서버(100), 결제 서버(200), 이동성 제공부(300), 진입 TG(TG1) 및 진출 TG(TG2)를 포함한다.
진입 TG(TG1)와 진출TG(TG2)는 유료도로의 종단점에 위치한 톨게이트로서, 진입 TG(TG1)는 유료도로의 진입 지점에 위치한 톨게이트이고, 진출 TG(TG2)는 유 도도로의 진출 지점에 위치한 톨게이트이다. 일반적으로 유료도로의 요금 정산은 진출 TG(TG2)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입 TG(TG1) 및 진출 TG(TG2)는 차량이 TG에 진입시 센싱을 통하여 차량의 요금에 따른 등급을 분류하고, 카메라로 촬영한 번호판을 판독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입 TG(TG1) 및 진출 TG(TG2)는 해당 톨게이트를 의미하여 기술하거나, 또는 해당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정산 단말로 기술한다.
이동단말기(10)는 유료도로를 통행중인 차량에 탑제된 이동단말기 이다. 또한, GPS 모듈이 탑제되어 주행중인 도로상에서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을 수도 있다.
이동성 제공부(300)는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성 제공부(300)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일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10)가입자에 대한 이동성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인증 및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특히, 유료도로 또는 유료도로와 연결되는 도로구간에서의 핸드오프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이동성 제공부(300)로부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정보를 제공받고, 이동단말기가 수행한 핸드오프 패턴 정보를 토대로 이동단말기의 TG 진입시점(P1)과 진출시점(P2)을 파악하여 차량에 부과된 통행요금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패턴 정보는 시간에 따른 이동단말기(10)의 기지국 이동정보를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료도로를 진입 및 진출하는 이동단말기(10)는 해당 유료도로 및 유료도로와 연결된 무료도로주변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한 순차적인 핸드오프를 하게 되고, 진행방향에 따라 일정한 핸드오프 패턴을 갖게 된다. 그리고, 소정 구간을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탑제된 이동단말기라면 동일한 패턴정보를 갖게 된다.
다음, 상기 산출된 통행요금을 결제 서버(200)와 연계하여 결제하며, 결제 완료를 이동단말기(10)와 진출 TG(TG2)에 전송하여 차량이 진출 TG(TG2)에서 아무런 액션 없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결제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에 부과된 통행요금에 대한 결제를 서비스 서버(100)와 연계하여 수행한다. 이때, 결제 서버(200)는 이동통신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 서버일 수 있으며, 발생한 통행요금을 이동단말기의 통화 요금으로 과금시킨다. 따라서, 결제 서버(200)에서 결제된 통행요금은 후불로 결제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회원 관리부(110), 경로 감지부(120), 요금 처리부(130), 결제 처리부(140), 결제완료 통지부(150)데이터 베이스부(160)를 포함한다.
회원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서비스 등록 및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등록은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 사용자 이동단말기(10)의 식별정보, 이동단말기(10)의 식별정보에 매칭시킬 사용자의 차량(A)의 식별정보 (예; 차량번호) 등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이를 회원 DB(161)에 등록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비스 해제는 회원 DB로부터 서비스 등록시 저장한 각종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다. 또한, 회원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회원 DB(161)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경로 감지부(120)는 핸드오프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즉, 이동성 제공부(300)로부터 제공 받은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 정보에 따른 핸드오프 패턴이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료도로주변에 설치된 기지국임--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분석하고, 상기 이동단말기(10)의 유료도로 TG 진입시점(P1)과 진출시점(P2)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종래에 유료도로상을 서비스 하는 기지국의 식별정보와 지리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지리정보 DB(162)에 저장된다. 또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동단말기(10)의 진입시점 및 진출시점을 감지했을 때 GPS를 이용하여 TG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요금 처리부(130)는 상기 경로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유료도로 TG 진입 및 진출정보와 해당 이동단말기의 회원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테이블을 생성하고, 사용자 테이블에 업데이트된 결과에 따른 요금을 산출한다. 이때, 사용자 테이블의 업데이트는 핸드오프시 이루어지거나 톨게이트 구간을 지날 때마다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테이블은 이동단말기(10)의 식별정보, 상기 이동단말기(10)의 식별정보에 매칭된 차량정보, 정산 구간에 대한정보 즉, 진입 TG(TG1) 및 진출 TG(TG2) 식별정보 등을 구성하여 테이블 DB(163)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테이블에 대한 설명은 이후에 도 5a 및 5b를 통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결제 처리부(140)는 이동단말기(10)로 통행요금 결제 서비스 요청에 따른 안내 및 부과되는 요금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단말기(10)로부터 결제요청을 수신하면 결제 서버(200)와 연계하여 요금 처리부(130)에 의해 산출된 통행요금에 대한 결제 동작을 수행한다.
결제 완료 통지부(150)는 결제 처리부(140)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완료사실을 이동단말기(10)와 유료도로 진출 TG(TG2)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단말기(10)에게 알리는 경우 SMS 메시지로 결제 완료를 알리고, 유료도로 진출 TG(TG2)에 알리는 경우에 e-mail이나 메시지로 결제 완료를 알린다.
데이터 베이스(160)는 회원 DB(161), 지리정보 DB(162), 통행요금 DB(163), 결제 이력 DB(164) 및 TG 통신 DB(165)를 포함한다.
회원 DB(161)는 서비스 등록시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지리정보 DB(162)는 도로 및 TG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와 매칭된 기지국 식별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고, 통행요금 DB(163)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결제 이력 DB(164)는 통행요금을 결제한 사용자에 대한 요금 결제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TG 통신 DB(165)는 각 TG로 결제 완료 통지를 위한 각 TG별 e-mail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 만약 각 TG가 하나의 중앙 센터에서 관리되고 중앙센터가 인터넷 상에 존재하면 TG통신 DB(15)에 저장되는 정보는 각 TG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 첨부된 도 3을 참조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를 통한 차량의 운 행경로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에 설치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첨부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료도로를 주행중인 사용자의 차량(A)이 유료도로의 진입 TG(TG1)를 통과하여 유료도로를 주행한 다음, 유료도로 진출 TG(TG2)를 통과하였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정보와 매칭된 정보를 갖는 차량(A)으로 주행하고 있으며, 유료도로 주변에는 셀 영역으로 이동통신망을 연결하는 기지국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각각 기지국 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갖는다.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들과의 핸드오프 정보는 이동성 제공부(300)가 갖으며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기지국의 식별정보 및 지리정보를 통하여 핸드오프에 따른 이동단말기(10)의 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유로 도로의 TG지점에 설치된 기지국(310,320)으로 향하는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 패턴정보를 기초로 TG 진입시점 및 진출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료도로 진입 TG(TG1)지점에 설치된 기지국을 제1 기지국(310)이라 하고, 차량(A)이 주행한 방향으로 제1-1 기지국(310-1), 제1-2 기지국(310-2), 제1-3 기지국(310-3)...제1-n 기지국(310-n)이라 한다. 그리고, 유료도로 진출 TG(TG2)지점에 설치된 기지국을 제2 기지국(320)이라고 하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10)는 차량(A)의 이동 경로에 따라 제1 기지국(310)
Figure 112007024928747-PAT00001
제1-1 기지국(310-1)
Figure 112007024928747-PAT00002
제1-2 기지국(310-2)
Figure 112007024928747-PAT00003
제1-3 기지국(310-3)
Figure 112007024928747-PAT00004
제2 기지국(320) 순으로 순차적인 핸드오프를 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이동단말기(10)의 진입 TG(TG1)에 설치된 제1 기지국(310)으로 핸드오프시 진입시점을 감지하고, 진출 TG(TG2)에 설치된 제2 기지국(320)으로 핸드오프시 진출시점을 감지한다.
다음,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0)가 진입 TG 시점에 이르면(S401), 서비스 서버(100)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 정보에 기초하여 TG 진입 시점을 감지한다(S402). 이동단말기(10)가 무료도로에서 유료도로로 진입하는 경로에서의 핸드오프 정보를 이동성 제공부(3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 패턴정보로 TG 진입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에 매칭된 정보를 갖는 등록된 차량(A)이 상기 진입 TG에 진입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진입 TG(TG1)로 차량정보 조회를 한다(S403). 이동단말기(10)가 진입 TG(TG1)에 진입시 진입 TG(TG1)은 차량(A)의 번호판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진입한 차량의 정보를 갖게 된다. 또한, 차량의 크기, 무게 등을 센싱처리한 정보도 갖는다. 서비스 서버(100)이러한 정보를 조회 함으로서 상기 이동단말기(10)와 매칭된 정보를 갖는 차량인지 확인한다.
다음, 서비스 서버(100)는 진입 TG(TG1)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하여(S404), 상기 이동단말기(10)에 등록된 차량(A)인지 판단한다(S405). 상기 차량정보에는 차량번호, 차량등급, 진입한 TG-ID 및 TG 진입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0)는 이러한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이동단말기(10)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테이블을 생성한다(S406).
이때, 생성되는 사용자 테이블은 하나의 실시예로 도 5a 및 도5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테이블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테이블(50)은 사용자의 이동단말기(10)정보 및 차량정보를 기록한 부분(51), 차량(A)의 유료도로 주행정보를 기록한 부분(52) 및 사용자가 결제해야 할 통행요금을 기록한 부분(53)으로 구성된다. 도 5a는 차량(A)이 판교 TG로 유료도로를 진입하여 현재 오산을 지나는 중이고, 도 5b는 차량(A)이 대전 TG 진입시점에 있을 때이다. 이러한 사용자 테이블(50)은 이동단말기(10)로 결제정보를 안내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로 결제 서비스 안내를 전송한다(S407). 결제 서비스 안내는 SMS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사용자가 운전 중일 것을 고려하여 보이스 멘트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10)가 TG 진출 시점에 진입하면(S408), 서비스 서버(100)는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를 통한 TG 진출 시점을 감지한다(S409). 서비스 서버(10)에서 유료도로를 주행하는 이동단말기(10)의 핸드오프 패턴은 크게 두 가지 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유료도로의 계속적인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된 기지국과 순차적으로 핸드오프 하는 패턴이고, 둘 째는 유료도로의 진행방향을 이탈하여 진출 TG로 전환되는 핸드오프 패턴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기(10)가 유료도로상에서 진행방향을 이탈하여 진출 TG(TG2)지점에 설치된 기지국 및 그 방향으로 핸드오프 하게 되면, 서비스 서버(100)에서 진출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의 진입 TG(TG1) 및 진출 TG(TG2)의 구간에 해당하는 결제정보를 계산하여 사용자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고, 이를 토대로 결제 정보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S410). 이동단말기(10)는 상기 사용자 테이블정보를 토대로 정산요금을 출력한다(S411).
다음, 서비스 서버(100)는 이동단말기(1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S412), 결제 서버(200)로 결제 요청을 하고(S413), 결제 서버(200)로부터 결제완료 수신한다(S414). 그리고 이동단말기(10)에게 결제 완료를 알림과 동시에(S415), 진출 TG(TG2)로 차량(A)의 통행요금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e-mail 또는 메시지를 통하여 알린다(S416).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매칭정보를 등록하는 단계가 선행되고, 실제 유료도로 이용시 서비스 서버(100)를 통한 사용자의 매칭정보의 확인과 사용자에 의한 결제가 이루어져 신뢰성 있는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진출 TG에서 직원과의 결제 단계가 생략되고, 결제가 신뢰성 있게 이루어짐으로 TG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별도의 게이트를 구성하여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정보와 매칭된 차량정보등록의 등록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금 결제를 위한 이동단말기 및 차량의 매칭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등록할 차량 및 이동단말기의 정보를 해당 사업자에게 제공 함으로서 등록신청을 한다(S610). 상기 제공되는 차량 정보는 차량번호, 차종, 색상, 유료도로 요금제에 따른 차량의 등급(예;소형,중형,대형) 등의 정보이고, 이동단말기의 정보는 이동전화번호(Mobile Directory Number, MDN), 이동국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등이 될수있다. 이때, 하나의 이동단말기로 다수의 차량의 등록이 가능하고, 역으로 다수의 이동단말기로 하나의 차량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등록신청을 하는 구체적인 예로서, 차량의 소유자가 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이동단말기의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방법(S611), 당 사업자의 부가정보 가입시 등록하는 방법(S612), 사용자가 휴대폰 인증을 통하여 즉시 등록하는 방법(S613)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사업자로 차량 및 이동단말기의 매칭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가능하다.
등록된 매칭정보는 이동통신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며(S620), 이동 통신사 서버는 상기 매칭정보를 유료도로의 TG 및 상기 TG를 관장하는 센터, 그리고, 해당 이동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630,S64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결제 함으로서 유료도로 톨게이트 진입 및 진출시 차량이 정체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톨게이트에 상주하는 직원과의 결제단계 및 유료도로통행카드가 불필요하므로 유료도로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이동단말기로 다수의 차량을 결제할 수 있고, 하나의 차량에 다수의 이동단말기가 등록하여 요금결제 서비스를 받는 장점과, 종래의 유료도로 운영 환경에서 물리적인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유료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패턴 정보--상기 이동단말기가 도로 주변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해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인 핸드오프를 하는 정보임--와 진입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국 식별정보를 토대로 진입 톨게이트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 패턴 정보와 진출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국 식별정보를 토대로 진출 톨게이트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진입 톨게이트 및 진출 톨게이트를 종단점으로 하는 도로 구간의 통행요금을 파악하는 단계;
    d) 사용자의 상기 통행요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상기 진출 톨게이트와 상기 이동단말기로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매칭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차량의 매칭정보--유료도로 요금결제 서비스 등록 신청시 매칭된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차량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매칭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면 요금 정산을 위한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 차량의 식별정보, 진입 톨게이트의 식별정보 및 상기 톨게이트 진입시간을 갖는 사용자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진출 톨게이트의 식별정보를 사용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행요금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정보는,
    하나의 이동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된 복수의 차량별 식별정보 이거나, 복수의 이동단말의 식별정보에 매칭된 하나의 차량의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진출 톨게이트 이전의 일정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동통신 요금에 상기 통행요금이 부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다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9.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서비스 등록과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회원관리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핸드오프정보와 톨게이트 지점의 기지 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감지하는 경로 감지부;
    상기 경로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 정보에 따른 통행요금을 산출하는 요금 처리부;
    상기 이동단말기로 산출된 통행요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안내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결제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 서버와 연계하여 통행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처리부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가 진출하는 진출 톨게이트로 통행요금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결제완료 통지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처리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회원정보와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사용자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KR1020070031356A 2007-03-30 2007-03-3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R20090000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356A KR20090000754A (ko) 2007-03-30 2007-03-3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356A KR20090000754A (ko) 2007-03-30 2007-03-3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754A true KR20090000754A (ko) 2009-01-08

Family

ID=4048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356A KR20090000754A (ko) 2007-03-30 2007-03-3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7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509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09049754B4 (de) 2009-10-17 2023-07-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finanziellen Transaktion, Transaktionseinheit und System zum Durchführen einer finanziellen Transaktion
CN117576795A (zh) * 2024-01-17 2024-02-20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手机信令数据与停车场管理数据的停车欠费催缴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9754B4 (de) 2009-10-17 2023-07-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finanziellen Transaktion, Transaktionseinheit und System zum Durchführen einer finanziellen Transaktion
KR20180073509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576795A (zh) * 2024-01-17 2024-02-20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手机信令数据与停车场管理数据的停车欠费催缴方法
CN117576795B (zh) * 2024-01-17 2024-04-19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手机信令数据与停车场管理数据的停车欠费催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9304B2 (ja) 交通ルート用電子通行料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10379025B (zh) 基于智能网联汽车的电子收费方法、系统和车联网服务平台
US9996831B2 (en) Mobile wireless payment and access
US8065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oll collection based on vehicle load
KR20010024706A (ko) 차량에 대한 통행료 자동 징수 방법
KR102131441B1 (ko)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98864A1 (en)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on of a Public Module Interface of a Data Exchange System Using NFC Technology
WO2016148349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CN111063046A (zh) 一种基于车辆特征识别的不停车收费通行方法及系统
KR101680298B1 (ko) 노상 주차장에서의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0754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CN110853403A (zh) 一种道路停车管理方法和系统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02000601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로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053869A (ja) 通行料金支払方法及び通行料金支払プログラム
KR100820133B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후불제 징수시스템
KR10090613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서비스 방법
KR1015403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1791B1 (ko) 통행료 결제를 위한 차량과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정보 정합시스템
JP4468098B2 (ja) 課金システム、駐車料金算出装置、移動機、車載機及びプログラム
KR10249372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통행 요금 결제 시스템
KR100393801B1 (ko) 부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행요금 정산 방법 및 장치
JP2002074435A (ja) サーバ及び料金徴収システム
KR20030000461A (ko)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스마트카드 잔액부족 통보방법
KR101244585B1 (ko) Gps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로 통행요금 정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