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133A -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133A
KR20090000133A KR1020070002543A KR20070002543A KR20090000133A KR 20090000133 A KR20090000133 A KR 20090000133A KR 1020070002543 A KR1020070002543 A KR 1020070002543A KR 20070002543 A KR20070002543 A KR 20070002543A KR 20090000133 A KR20090000133 A KR 2009000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m
advertisement content
advertisement
drm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미정
전민선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0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133A/ko
Priority to US11/971,202 priority patent/US20080167921A1/en
Priority to JP2008001775A priority patent/JP2008181512A/ja
Publication of KR2009000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광고 컨텐츠에 DRM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벨 소리와 함께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된 DRM 코드를 통해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DRM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도 제공된다.
벨 소리 무료 제공, 광고 시스템, DRM, 트래킹, 컨텐츠 과금

Description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dvertising method using bell sound free offering service and advertising system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cording the advertising metho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DRM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DRM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DRM 정보 획득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컨텐츠 과금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벨소리를 무료로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DRM 코드를 통해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6의 DRM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벨 소리 제공 서버 200: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DRM 서버
410: DRM 코드 삽입부 420: DRM 코드
422: DRM 정보 생성 모듈 424: DRM 정보 전송 모듈
430: DRM 정보 획득부 432: DRM 정보 수신부
434: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 436: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
440: 컨텐츠 과금부 442: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
444: 광고 비용 산출부 446: 광고 비용 청구부
500: 이동통신망 600: 광고주
본 발명은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료 컨텐츠인 벨 소리를 광고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무료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전화 착신 시 광고 컨텐츠를 벨 소리와 함께 재생하면서 DRM 트래킹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산출하여 광고 컨텐 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시장이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광고를 하고자 하는 각종 분야의 사업체(이하, "광고주"라 한다)로부터 문자, 음성,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다양한 광고 서비스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광고 서비스는 대부분 불특정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불특정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통한 광고 서비스의 경우, 광고 컨텐츠를 수신 받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광고성 컨텐츠를 수신하기를 원치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광고 방법으로는 광고주의 의도와는 달리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이미지(인상)를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광고성 컨텐츠를 수신하더라도 삭제 또는 중도에 통화를 종료시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견지에서는 광고를 위해 투자한 비용에 비해 그 효율성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보는 대가로 유료 컨텐츠인 벨 소리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 되는 횟수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료 컨텐츠인 벨 소리를 광고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무료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전화 착신 시 광고 컨텐츠를 벨 소리와 함께 재생하면서 DRM 트래킹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산출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광고 컨텐츠에 DRM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벨 소리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벨 소리와 함께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된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DRM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DRM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되어 상기 광고 컨텐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RM 코드는 IRCBot 웜을 포함하는 광고 태그일 수 있다.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DRM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DRM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DRM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DRM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일정 재생 횟수 단위로 나누어 청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 전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벨 소리 제공 서버 및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DR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DRM 서버는, 광고 컨텐츠에 DRM 코드를 삽입하는 DRM 코드 삽입부; 상기 벨 소리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벨 소리와 함께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된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DRM 정보 획득부;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컨텐츠 과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 획득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DRM 정보를 수신하는 DRM 정보 수신부;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업데이트하는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정보 획득부는 DRM 정보를 저장하는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 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DRM 정보를 생성하는 DRM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DRM 정보를 전송하는 DRM 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DRM 정보 수신부는 상기 DRM 정보 전송 모듈로부터 상기 DRM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되어 상기 광고 컨텐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과금부는, 상기 DRM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추출하는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하는 광고 비용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광고 비용 청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비용 청구부는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일정 재생 횟수 단위로 나누어 청구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DRM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DRM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DRM 정보 획득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컨텐츠 과금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 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벨 소리 제공 서버(100),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DRM 서버(400)를 포함한다.
벨 소리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벨 소리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contents)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이동통신망(5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벨 소리를 무료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벨 소리 제공 서버(100) 및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동되는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가입할 수 있다. 상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가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또는 모바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연동 서버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벨 소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벨 소리를 벨 소리 제공 서버(1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벨 소리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벨 소리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무료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5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고정된 지점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500)은 이동하며 사용되는 전기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업무를 취급하는 무선국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전파를 중계하는 기지 국(BS), 복수개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사이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 단위 또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게이트웨이(gateway) 등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이동통신망(5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벨 소리 제공 서버(100) 및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동되는 서버를 통해 상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아무 때나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화 착신 시, 즉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화가 오는 경우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벨 소리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선호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연동 서버를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연동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벨 소리 제공 서버(100) 및 광고 컨텐츠 제공 서 버(200)로부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 받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벨 소리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벨 소리를 이동통신망(500)을 통하여 무료로 다운로드 받고, 전화 착신 시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를 이동통신망(500)을 통하여 제공 받아 상기 광고 컨텐츠를 벨 소리와 함께 재생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화 착신 시 벨 소리와 광고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데, 이때 벨 소리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 장치인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화 착신 시,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 받아 시청하는 대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벨 소리를 벨 소리 제공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0)로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휴대 전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RM 서버(400)는 광고 컨텐츠에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코드를 삽입하고, 삽입된 DRM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 횟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재생 횟수에 근거하여 광고주(600)에게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DRM은 'Digital Right Management의 약자로서 디지털 컨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DRM은 컨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 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 대행 등 컨텐츠의 생성에서 유통 및 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적법한 사용자만 컨텐츠를 사용하고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보안 기술, 지불 및 결제 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DRM은 음악 공유 서비스로 유명한 냅스터가 20001년 MP3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채택한 것이 시초이며, 온라인 컨텐츠가 유료화되면서 중요한 기술로 떠올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는 미래 10대 핵심정보기술로 선정한 바 있다.
이하에서 DRM은 위에서 설명한 Digital Right Management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DRM 서버(400)는 상기와 같은 DRM을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에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 츠가 재생되는 횟수를 산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광고주(600)에 광고 비용을 청구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DRM 서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DRM 서버(400)는 DRM 코드 삽입부(410), DRM 정보 획득부(430), 및 컨텐츠 과금부(440)를 포함한다.
DRM 코드 삽입부(410)는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에 바이러스 특성을 가지는 DRM 코드(420)를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이러스 특성은 컴퓨터 바이러스 특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컴퓨터 바이러스 특성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컴퓨터 바이러스를 정상적인 프로그램보다 먼저 처리한다. 우선, 상기 프로그램의 뒤에 삽입되어 프로그램의 처음 명령어를 컴퓨터 바이러스로 점프하게 바꾸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감염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먼저 컴퓨터 바이러스가 실행되어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 후 원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다른 점은 감지할 수 없거나 또는 단말기의속도가 약간 느려졌다고 느낄 뿐이다. 결국, 사용자가 컴퓨터 바이러스의 존재를 깨닫게 될 때는 이미 파괴적인 루틴이 실행되고 난 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2) 메모리 영역에 바이러스 코드를 숨겨둔다. 버퍼 영역이나 스택 영역과 같이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검사해서 그곳에 컴퓨터 바이러스의 코드를 위치시킨다. 이때, 전체 프로그램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영역이 적은 프로그램도 감염시키기 위하여 디스크 드라이버에 은폐 파일을 생성시킨 후 프로그램 내에는 이 파일을 가리키는 루틴만 집어넣을 수도 있다.
(3) 정상적인 프로그램 사이에 숨어 작동한다. 또한, 컴퓨터 바이러스는 트로이의 목마 프로그램처럼 컴퓨터 바이러스 확산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다른 프로그램의 내부에 숨어 있을 수 있다.이러한 다른 프로그램은 주로 게임, 유용한 유틸리티, 유명한 상업용 프로그램의 새 버전 또는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아주 매력적인 가짜 뉴스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DRM 코드(420)는 상기와 같은 바이러스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DRM 코드(420)는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 되는 경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되어 광고 컨텐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수행된다. 또한, DRM 코드(420)는 IRCBot 웜을 포함하는 광고 태그일 수 있다.
DRM 코드(4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RM 정보 생성 모듈(422) 및 DRM 정보 전송 모듈(424)을 포함한다.
DRM 정보 생성 모듈(422)은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된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 되는 경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DRM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DRM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및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포함한다.
즉, DRM 정보 생성 모듈(422)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 받은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기(300)에서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 횟수 등을 포함하는 DRM 정보를 생성한다.
DRM 정보 전송 모듈(424)은 상기 DRM 정보 생성 모듈(422)에 의해 생성된 DRM 정보를 DRM 정보 획득부(430),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DRM 정보 수신부(도 4의 '432' 참조)로 전송한다.
DRM 정보 획득부(4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RM 정보 수신부(432),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434), 및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를 포함한다.
DRM 정보 수신부(432)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는 경우, 도 3의 DRM 정보 전송 모듈(424)로부터 DRM 정보를 수신한다.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434)는 DRM 정보 수신부(432)에서 수신한 DRM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된 횟수를 업데이트한다. 즉,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434)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될 때마다 재생 횟수를 한 번씩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기(300)에서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업데이트한다.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는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434)에 의해 업데이트 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저장한다. 이때,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로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는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 사용자 단말기(300) 별로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면, A라는 사람이 사용하는 단말기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0)라 하 고, B라는 사람이 사용하는 단말기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라고 하자. 이때,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잇는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라 가정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는 1111111,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는 2222222라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화가 3번 착신됨에 따라 a라는 광고 컨텐츠가 벨 소리와 함께 3번 재생되었고,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화가 5번 착신됨에 따라 b라는 광고 컨텐츠가 벨 소리와 함께 5번 재생되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로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다음과 같은 테이블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 고유번호 광고 컨텐츠 재생 횟수
1111111 3
2222222 5
본 실시예에서,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는 DRM 정보 획득부(430)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로 존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컨텐츠 과금부(4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442), 광고 비용 산출부(444), 및 광고 비용 청구부(446)를 포함한다.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442)는 도 4의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로부터 DRM 정보를 가져와 상기 DRM 정보에서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추출한다.
광고 비용 산출부(444)는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442)에서 추출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총합하고, 상기 총합된 광 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에 따라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한다.
광고 비용 청구부(446)는 광고 비용 산출부(444)에 의해 산출된 광고 비용을 광고주(600)에 청구한다. 이때, 광고 비용 청구부(446)는 광고 비용 산출부(444)에 의해 산출된 광고 비용을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일정 재생 횟수 단위로 나누어 광고주(600)에 청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벨소리를 무료로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DRM 코드를 통해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6의 DRM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로 벨 소리를 무료로 제공한다(S100).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한다(S101).
이때,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는 벨 소리 제공 서버(100) 및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동되며, 사용자가 벨 소리 및 광고 컨 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또는 모바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300)뿐만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고정 통신 단말기로도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한다(S102).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정보, 예를 들면 전화 번호, 고유번호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인증을 수행하고, 서비스 가입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되면,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LCD(액정) 화면 또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화면 포함)를 통해 제공한다(S103).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된 상기 화면을 통해 벨 소리 및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S104), 벨 소리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벨 소리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무료로 제공해준다(S105).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화가 착신된 경우(S110),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S120),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제공된 광고 컨텐 츠를 벨 소리 제공 서버(100)에서 무료로 제공 받은 벨 소리와 함께 재생한다(S130).
이때, DRM 서버(400)의 DRM 코드 삽입부(41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에 바이러스 특성을 가지는 DRM 코드(420)를 삽입한다(S140). 여기서, DRM 코드(420)는 바이러스 특성을 가지므로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는 광고 컨텐츠에 삽입되어 광고 컨텐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RM 코드(420)는 IRCBot 웜을 포함하는 광고 태그일 수 있다.
DRM 코드(420)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는 경우, DRM 정보 생성 모듈(422)을 통하여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DRM 정보를 생성하고, DRM 정보 전송 모듈(424)을 통하여 상기 생성된 DRM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DRM 서버(400)의 DRM 정보 획득부(430)는 광고 컨텐츠에 삽입된 DRM 코드(420)를 통해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한다(S150).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RM 코드(42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는 경우, DRM 정보 수신부(432)는 DRM 정보 전송 모듈(424)에서 전송한 DRM 정보를 수신하고(S151),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434)는 DRM 정보 수신부(432)에서 수신한 DRM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 횟수를 업데이트한다(S152). 이후, 상기 업데이트 된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에 저장한다(S153). 이때,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로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컨텐츠 과금부(440)는 DRM 정보 획득부(430)에 의해 획득된 DRM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S160).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442)는 DRM 정보 획득부(430)의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436)에 저장된 DRM 정보를 가져와 상기 DRM 정보에서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추출한다(S161). 그러면, 광고 비용 산출부(444)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별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총합하고, 상기 총합된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에 따라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한다(S162). 이후, 광고 비용 청구부(446)는 광고 비용 산출부(444)에 의해 산출된 광고 비용을 광고주(600)에 청구한다(S163).
이때, 광고 비용 청구부(446)는 광고 비용 산출부(444)에 의해 산출된 광고 비용을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일정 재생 횟수 단위로 나누어 광고주(600)에게 청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은 유료 컨텐츠인 벨 소리를 광고 컨텐츠와 묶어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벨 소리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고, 광고주는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 광고를 노출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잇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화 착신 시 DRM의 트래킹(tracking)을 이용 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의 광고 컨텐츠 재생 횟수에 따라 광고 비용을 광고주(600)에 과금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은 DRM 기술 도입 비용, DRM으로 인한 사용성 저하 및 트래킹에 대한 유저 반감 등을 분석하여 득보다 실이 많은 경우, 광고 컨텐츠에 DRM 코드를 삽입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은 사용자 단말기(300)로 광고 컨텐츠가 다운로드 된 횟수 또는 전화 착신(수신) 횟수에 기초하여 광고주(600)에게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 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존재한다.
첫째, 유료 컨텐츠인 벨 소리를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대가로 사용자 단말기에 무료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벨 소리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고, 광고주는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 광고를 노출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잇다.
둘째, 사용자 단말기에 전화 착신 시 광고 컨텐츠를 벨 소리와 함께 재생하면서 DRM 트래킹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산출 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단말기 화면을 광고 인벤토리로 활용함으로써 인벤토리를 확장하여 광고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광고 컨텐츠에 DRM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벨 소리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벨 소리와 함께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된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DRM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DRM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되어 상기 광고 컨텐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수행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는 IRCBot 웜을 포함하는 광고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DRM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DRM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DRM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DRM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일정 재생 횟수 단위로 나누어 청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 전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벨 소리 제공 서버 및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DRM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DRM 서버는,
    광고 컨텐츠에 DRM 코드를 삽입하는 DRM 코드 삽입부;
    상기 벨 소리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벨 소리와 함께 상기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된 상기 DRM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획득하는 DRM 정보 획득부;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컨텐츠 과금부
    를 포함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 획득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DRM 정보를 수신하는 DRM 정보 수신부; 및
    상기 DRM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업데이트하는 재생 횟수 업데이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 획득부는 DRM 정보를 저장하는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고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재생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 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 텐츠와 연관된 상기 DRM 정보를 생성하는 DRM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DRM 정보를 전송하는 DRM 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DRM 정보 수신부는 상기 DRM 정보 전송 모듈로부터 상기 DRM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RM 코드는, 상기 광고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삽입되어 상기 광고 컨텐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과금부는,
    상기 DRM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를 추출하는 컨텐츠 재생 횟수 추출부;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하는 광고 비용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광고 비용 청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비용 청구부는 상기 산출된 광고 비용을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일정 재생 횟수 단위로 나누어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1020070002543A 2007-01-09 2007-01-09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90000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43A KR20090000133A (ko) 2007-01-09 2007-01-09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971,202 US20080167921A1 (en) 2007-01-09 2008-01-08 Advertisement method using ring tone providing service and advertisement system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cording advertisement method program
JP2008001775A JP2008181512A (ja) 2007-01-09 2008-01-09 着信音無料提供サービスを用いた広告方法及び広告システム、この広告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43A KR20090000133A (ko) 2007-01-09 2007-01-09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33A true KR20090000133A (ko) 2009-01-07

Family

ID=3959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43A KR20090000133A (ko) 2007-01-09 2007-01-09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67921A1 (ko)
JP (1) JP2008181512A (ko)
KR (1) KR200900001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280A2 (ko) * 2010-04-05 2011-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rm을 이용한 광고 컨텐트 갱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8209A4 (en) * 2005-04-29 2009-12-02 Hingi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SIONING CONTENT DATA
US20080104246A1 (en) * 2006-10-31 2008-05-01 Hing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content data
WO2011016041A1 (en) * 2009-08-05 2011-02-10 H.E. Catalyst Ltd. Recognition and identication of ringback tones
US20110173055A1 (en) * 2010-01-08 2011-07-14 Saugatuck Media Llc System and methods for advertising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106763B2 (en) * 2010-06-04 2015-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vertising ringtone coverage
US8542097B2 (en) 2011-04-13 2013-09-24 Jingl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lerts, and/or comments to participan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10599817B2 (en) 2016-03-08 2020-03-24 Adobe Inc. Portion-level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digital content
US10346594B2 (en) 2016-03-24 2019-07-09 Adobe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leveraging motion or environmental traits
US20170278206A1 (en) * 2016-03-24 2017-09-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Updates
US10460082B2 (en) 2016-04-04 2019-10-29 Adobe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gressive control and background processing
TWI676951B (zh) * 2018-08-15 2019-11-1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運用答鈴回饋之主動行銷音樂之系統與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0970B1 (en) * 1999-07-09 2003-07-08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networked telephone system having advertisement with bonus free phone call service
JP2001237970A (ja) * 2000-02-23 2001-08-31 Nec Corp 着信音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着信音データ配信方法
US6889054B2 (en) * 2001-03-29 2005-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e based advertising on a mobile phone
JP2004221938A (ja) * 2003-01-15 2004-08-05 Toppan Printing Co Ltd 視聴用のコンテンツ、その視聴履歴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34378A (ja) * 2004-10-04 2007-12-27 Sharp Corp 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広告提供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広告提供システム、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広告提供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761270B1 (ko) * 2004-1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컨텐츠가 첨부된 디지털저작권관리 컨텐츠 처리 방법및 장치
KR100857850B1 (ko) * 2006-05-26 2008-09-10 엔에이치엔(주) 바이러스 특성을 이용하여 drm 및 트래킹을 수행하는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US7684790B2 (en) * 2006-06-08 2010-03-23 Cartmell Brian R Advertising techniqu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280A2 (ko) * 2010-04-05 2011-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rm을 이용한 광고 컨텐트 갱신 방법
WO2011126280A3 (ko) * 2010-04-05 201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rm을 이용한 광고 컨텐트 갱신 방법
CN102822842A (zh) * 2010-04-05 2012-12-12 Lg电子株式会社 使用drm更新广告内容的方法
US9443242B2 (en) 2010-04-05 2016-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pdat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DRM
CN102822842B (zh) * 2010-04-05 2016-11-16 Lg电子株式会社 使用drm更新广告内容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67921A1 (en) 2008-07-10
JP2008181512A (ja)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0133A (ko) 벨 소리 무료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시스템, 그리고 상기 광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547982B2 (en) Promotion operable recognition system
US20080195546A1 (en) Multilevel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US867100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US20080104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content data
KR20100135968A (ko) 데이터 수집 및 타겟팅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2008512737A (ja) 放送ソースを補償するための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082488A1 (en) Providing a radio station at a user device using previously obtained drm locked content
Wong et al. Mobile entertainment: Review and redefine
US8126987B2 (en) Mediation of content-related services
US20070179897A1 (en) Conditional stream access
CN102427555A (zh) 一种数字节目的发布、播放方法及其装置和系统
US8032113B2 (en) Value added transaction gateway for video clips
KR100779661B1 (ko) 컨텐츠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78890A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広告再生方法
KR200600546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07491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ダウンロード端末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Rao Wireless and mobile impacts on news and entertainment
India et al. 5. Wireless in the Local Loop
KR100806285B1 (ko) 클러스터 파일을 이용하여 디씨에프 파일을 재생하는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780003B1 (ko) 컨텐츠 편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129057A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KR101360399B1 (ko) 음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010089031A (ko) 광고가 포함된 무료 압축음악 파일 및 멀티미디어 파일을이용한 인터넷 광고방법
Liu et al. Cell phone SMS news in Chinese newspaper groups: A case study of Yunnan Daily Press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