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714A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714A
KR20080114714A KR1020087021609A KR20087021609A KR20080114714A KR 20080114714 A KR20080114714 A KR 20080114714A KR 1020087021609 A KR1020087021609 A KR 1020087021609A KR 20087021609 A KR20087021609 A KR 20087021609A KR 20080114714 A KR20080114714 A KR 2008011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ct
elevator
press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2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4714A/ko
Publication of KR2008011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에는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접촉체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은 레일 지지부와, 레일 지지부에 고정되어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의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는 미소(微小)한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에는 프레싱 부재를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여 가이드부의 재료를 소성(塑性)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매끄럽게 된 압연면(壓延面)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접촉체의 마모 등의 문제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GUIDE RAIL FOR ELEVATOR, AND RAIL SURFACE PROCESS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가공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 녹 방지 기름(rust preventive oil)이 도포되는 일이 있다. 종래, 가이드 레일의 표면으로부터 녹 방지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서, 가이드 레일보다 낮은 경도(硬度)의 녹 방지 기름 제거부재를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시키면서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이동하는 녹 방지 기름 제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가이드 레일의 표면은, 예를 들면 평삭가공(平削加工 : planing)이나 밀링가공 등과 같은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특허 제324310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가이드 레일의 표면가공이 예를 들면 평삭가공이나 밀링가공 등과 같은 절삭가공으로 되고 있으므로, 평삭가공에 의한 경우에는 공구가 특정방향의 부하만을 받는 것에 의해, 물고기의 비늘과 같은 미소(微小)하고 예리한 복수의 볼록부가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 형성되고, 밀링가공에 의한 경우에도 공구가 회전하면서 절삭하는 것에 의해, 공구의 가공 흔적에 의한 미소하고 예리한 복수의 볼록부가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 형성되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 형성된 예리한 볼록부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가 마모하기 쉬워지거나,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나 슬라이딩 음(音 : sound)이 증대해 버린다. 또,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진동도 증대해 버린다.
또,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연마하여 경면(鏡面)으로 마무리할 수 있지만, 연마가공을 위한 시간과 수고에 의해서 제조 코스트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의 표면이 경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부재와의 사이에서 울음소리(squeaking sound)가 발생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이드 레일의 표면형상에 의한 문제점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은 승강체에 설치된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의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는 미소한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에는 프레싱 부재를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여 가이드부의 재료를 소성(塑性)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매끄럽게 된 압연면(壓延面)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는 승강체에 설치된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로서, 매끄러운 어뷰트먼트 면(abutment surface)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싱 부재(pressing member)와, 가이드부의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 어뷰트먼트 면을 눌러 닿게 하기 위한 가압장치를 가지는 표면가공체를 구비하고, 가압장치에 의해 어뷰트먼트 면을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는 것에 의해, 접촉면에 형성된 예리한 첨상부(尖狀部 : sharp pointed portion)의 일부의 재료를 어뷰트먼트 면에 따른 형상으로 소성변형시켜 첨상부를 매끄러운 압연면이 형성된 미소한 볼록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마무리 롤러를 눌러 닿게 된 후의 접촉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승강체)(2) 및 균형추(승강체)(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쉬브(drive sheave)(4)를 가지는 권상기(卷上機 : winch)(구동장치)(5)와, 디플렉션 휠(deflection wheel)(6)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쉬브(4)는 권상기(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쉬브(4) 및 디플렉션 휠(6)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다는 메인로프(7)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구동쉬브(4)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과, 균형추(3)를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 사이에 배치되고,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부재(접촉체)가 설치되고, 균형추(3)에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9)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부재(접촉체)가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은 상하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판 모양의 레일 지지부(10)와, 레일 지지부(10)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슬라이딩 부재에 접촉하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1)를 가지고 있다. 또,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은 상하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판 모양의 레일 지지부(12)와, 레일 지지부(12)에 고정되어 균형추(3)의 슬라이딩 부재에 접촉하면서 균형추(3)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3)를 가지고 있다.
각 가이드부(11)는 각 레일 지지부(10)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 측으로 돌출해 있다. 또, 각 가이드부(13)는 각 레일 지지부(12)로부터 균형추(3) 측으로 돌출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수평 방향에 대한 단면형상은 레일 지지부(10, 12) 및 가이드부(11, 13)에 의해, 각각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 및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은 평삭가공이나 밀링가공 등의 절삭가공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각 가이드부(11, 13)의 슬라이딩 부재에 대한 접촉면은 레일표면 가공장치에 의해서 표면 마무리 가공을 한 마무리 가공면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레일표면 가공장치(21)는 피가공물을 싣기 위한 테이블(22)과, 테이블(22)의 위쪽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의 표면의 가공을 행하기 위한 표면가공체(23)와, 표면가공체(23)를 테이블(22)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4)를 가지고 있다. 테이블(22)에는 피가공물을 테이블(22)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용 클로(claw)(25)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이 피가공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블(22) 위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이 표면가공체(2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은 가이드부(11)를 표면가공체(23) 측(위쪽)으로 향하여 배치된다.
표면가공체(23)는 강제(鋼製)의 마무리 롤러(프레싱 부재)(2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가이드부(11)에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기 위한 가압장치(27)와, 가압장치(27)가 설치되어 표면가공체(23)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또한 테이블(22)에 평행한 방향(가공 폭 방향)에 대한 마무리 롤러(26)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장치(28)를 가지고 있다. 표면가공체(23)는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으로 눌러 닿게 하는 것에 의해, 접촉면(11a)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마무리 롤러(26)의 외주부에는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으로 눌러 닿게 되는 매끄러운 어뷰트먼트 면(26a)이 형성되어 있다. 어뷰트먼트 면(26a)은 마무리 롤러(26)의 둘레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어뷰트먼트 면(26a)의 폭 치수는 가이드부(11)의 폭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마무리 롤러(26)의 둘레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에서의 어뷰트먼트 면(26a)의 단면형상이 반원으로 되어 있다. 마무리 롤러(26)는 이동장치(24)에 의한 표면가공체(23)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눌러 닿게 되면서 가이드부(11)에 따라서 전동(轉動)된다. 마무리 롤러(26)의 재료로서는 가이드 레일(8)의 표면형상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재료이면 좋고, 강재 외, 예를 들면 세라믹 등으로 하여도 좋다.
가압장치(27)에는 가이드부(11)에 대한 마무리 롤러(26)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위치조정장치(28)는 가공 폭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이송나사(29)와, 이송나사(29)를 돌리는 모터(30)를 가지고 있다. 마무리 롤러(26)는 모터(30)로 이송나사(29)를 돌리는 것에 의해, 테이블(22)에 대해서 가공 폭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4는 도 3의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된 후의 접촉면(11a)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는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되기 전의 접촉면(11a)의 단면형상이 파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에 있어서,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되기 전의 접촉면(11a)에는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예리한 첨상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된 후의 접촉면(11a), 즉 마무리 가공면에는 첨상부(31)의 일부(꼭대기부)가 어뷰트먼트 면(26a)에 따른 형상으로 눌러 부수어진 복수의 볼록부(32)와, 각 볼록부(3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볼록부(32)에는 마무리 롤러(26)가 어뷰트먼트 면(26a)을 접촉면(11a)에 눌러 닿게 하여 첨상부(31)의 예리한 부분(일부)의 재료를 소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매끄럽게 된 압연면(3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1)에 대한 마무리 롤러(26)의 가압력은 가압장치(27)의 조정 스프링의 조정에 의해, 각 첨상부(31)의 일부만을 소성변형시키는 정도의 힘으로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각 첨상부(31)를 소성변형시켜 각 볼록부(32)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볼록부(32) 사이를 오목부로서 남길 수 있다.
각 볼록부(32)의 압연면(34)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슬라이딩 부재가 접촉한다. 또, 각 오목부(33) 내에는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부(11)에 대해서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유지된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재료는 SS400(인장강도가 400 N/㎟의 강재)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레일표면 가공장치(21)에 의해서 표면 마무리 가공을 하기 전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표면 거칠기는 평삭가공에 의해 20 ~ 30㎛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마무리 롤러(26)의 외경이 25㎜, 어뷰트먼트 면(26a)의 단면 반경이 4㎜, 가압장치(27)에 의한 가압력이 약 50㎏, 표면가공체(23)의 이동 속도가 100m/min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레일표면 가공장치(21)에 의해 가이드부(11)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제로 행한 결 과, 가이드부(11)의 표면 거칠기를 반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볼록부(32) 및 오목부(33)의 표면적의 비율을 서로 대충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부(13)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가이드부(11)와 마찬가지로, 레일표면 가공장치(21)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하고 있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평삭가공 등의 절삭가공에 의해 성형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을 테이블(22) 위에 고정하고, 마무리 롤러(26)가 어뷰트먼트 면(26a)을 가이드부(11)에 눌러 닿게 한다. 이 후, 표면가공체(23)를 이동장치(24)에 의해 이동시키고,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단부까지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에 따라서 전동시킨다. 이 때, 접촉면(11a)에 형성되어 있는 첨상부(31)의 일부의 재료가 소성변형되어 매끄러운 압연면(34)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첨상부(31)가 볼록부(32)로 이루어진다.
이 후, 이송나사(29)를 돌려 마무리 롤러(26)의 위치를 가공 폭 방향으로 뒤로 물리고, 표면가공체(23)를 재차 이동시켜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로 눌러 닿게 하면서 전동시킨다.
상기의 순서를 반복하여,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의 전체에 대해서,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면서 전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접촉면(11a)에 형성된 모든 첨상부(31)의 일부가 소성변형되어 압연면(34)이 형성된 볼록부(32)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이드부(11)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과 같은 순서에 의해, 표면 마무리 가공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로는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미소한 오목부(33) 및 볼록부(32)가 형성되고,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여 가이드부(11)의 재료를 소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매끄럽게 된 압연면(34)이 볼록부(3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록부(32)에 의한 슬라이딩 부재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부(11)와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나 슬라이딩 음의 증대의 방지나, 엘리베이터 칸(2)의 진동의 증대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촉면(26a)이 경면인 경우에 비해,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부(11)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부(11)와의 사이의 울음소리의 발생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의 표면형상에 의한 문제점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오목부(33)에 윤활유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부(11)에 대해서 원활히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에 눌러 닿게 하는 것만으로, 가이드부(11)에 대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균형추 가이드 레일(9)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21)로는 매끄러운 어뷰트먼트 면(26a)이 형성된 마무리 롤러(26)와, 마무리 롤러(26)가 어뷰트먼트 면(26a)을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눌러 닿게 하기 위한 가압장치(27)를 가지는 표면가 공체(23)에 의해, 가이드부(11)의 표면이 가공되므로,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에 눌러 닿게 하는 것만으로, 매끄러운 압연면(34)을 접촉면(11a)에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부(11)에 대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부(13)에 대한 표면 마무리 가공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마무리 롤러(26)가 가이드부(11, 13)에 눌러 닿게 되어 있으므로, 마무리 롤러(26)를 전동시키면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할 수 있어 가이드부(11, 13)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오목부(33)는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홈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홈은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예를 들면 평삭가공 등에 의해 가이드부(11, 13)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부(11, 13)과의 사이로의 윤활유의 공급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어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부(11, 13)에 대한 원활한 이동을 보다 확실히 실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의 예에서는 어뷰트먼트 면(26a)의 폭 치수가 가이드부(11, 13)의 폭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지만, 어뷰트먼트 면(26a) 및 가이드부(11, 13)의 각각의 폭 치수를 동일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마무리 롤러(26)가 어뷰트먼트 면(26a) 의 폭 치수는 가이드부(11)의 폭 치수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어뷰트먼트 면(26a)은 마무리 롤러(26)의 둘레방향에 따른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무리 롤러(26)의 어뷰트먼트 면(26a)의 폭 치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부(13)의 폭 치수와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이, 마무리 롤러(26)의 어뷰트먼트 면(26a)의 폭 치수가 가이드부(11, 13)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마무리 롤러(26)를 가공 폭 방향으로 뒤로 물리면서 가이드부(11, 13) 위를 몇 번이나 전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가이드부(11, 13)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마무리 롤러(26)의 어뷰트먼트 면(26a)에는 마무리 롤러(26)의 둘레방향에 따라서 연장하는 복수의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부(41)는 마무리 롤러(26)의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돌기부(41)는 마무리 롤러(26)의 외주부로부터 마무리 롤러(26)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각 돌기부(41) 및 어뷰트먼트 면(26a)의 각각의 표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마무리 롤러(26)의 둘레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에서의 각 돌기부(41)의 단면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11)에 대한 각 마무리 롤러(26)의 가압력은 가압장치(27)의 조정 스프링의 조정에 의해, 가이드부(11)의 재료가 어뷰트먼트 면(26a)의 형상에 따라서 소성변형되는 정도의 힘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는 어뷰 트먼트 면(26a)이 눌러 닿게 되는 것에 의해, 표면 마무리 가공이 행해진다.
표면 마무리 가공을 한 후의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는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여 가이드부(11)의 재료를 소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미소한 홈(오목부)(42) 및 볼록부(43)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 홈(42)은 각 돌기부(41)에 따른 내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볼록부(43)는 각 돌기부(41) 사이의 어뷰트먼트 면(26a)의 부분에 따른 표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각 홈(42)의 내면 및 각 볼록부(43)의 표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부(13)도 가이드부(11)와 같은 표면 마무리 가공을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에서는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에 눌러 닿게 하여 가이드부(11)의 재료를 소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미소한 홈(42) 및 볼록부(43)가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록부(43)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고,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의 마모의 억제 등을 도모할 수 있어 가이드부(11)의 표면형상에 의한 문제점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홈(42)에 윤활유를 유지시킬 수도 있으므로,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부(11)에 대해서 원활히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제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홈(42)이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부재와 가이드부(11)와의 사이로의 윤활 유의 공급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어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부(11)에 대한 원활한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에서는 돌기부(41)를 형성한 어뷰트먼트 면(26a)이 형성된 마무리 롤러(26)와,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어뷰트먼트 면(26a)을 눌러 닿게 하기 위한 가압장치(27)를 가지는 표면가공체(23)에 의해, 가이드부(11)의 표면이 가공되므로, 표면 마무리 가공 전의 접촉면(11a)에 홈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돌기부(41)에 의해 가이드부(11)의 재료를 소성변형시킬 수 있어 홈(42) 및 볼록부(43)를 보다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또,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에 눌러 닿게 하는 것만으로, 홈(42) 및 볼록부(43)를 접촉면(11a)에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11)에 대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부(13)에 대한 표면 마무리 가공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레일표면 가공장치(51)는 엘리베이터 칸(2)에 탑재되는 가공 유니트(52)를 가지고 있다. 가공 유니트(5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2)에 부착된다. 또, 가공 유니트(5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에 대해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면서, 엘리베이터 칸(2)과 함께 이동된다. 즉, 레일표면 가공장치(51)는 승강로(1) 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에 대해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엘리베이터 칸 실(53)과, 엘리베이터 칸 실(53)을 둘러싸고, 엘리베이터 칸 실(53)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54)을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부재(55)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5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공 유니트(52)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54)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가공 유니트(52)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54)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56)과, 지지 프레임(56)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가이드부(11)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표면가공체(57)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11)의 양측부 및 꼭대기부에는 슬라이딩 부재(55)가 접촉하는 접촉면(1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6)은 각 접촉면(11a)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가이드부(11)를 둘러싸고 있다.
각 표면가공체(57)는 지지 프레임(56)과 가이드부(1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표면가공체(57)는 수평 방향으로 대해서, 가이드부(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각 표면가공체(57)는 강제의 마무리 롤러(프레싱 부재)(2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가이드부(11)에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는 가압장치(27)와, 가이드부(11)에 대한 각 마무리 롤러(26)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장치(28)를 가지고 있다. 각 표면가공체(57)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표면가공체(23)의 구성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위치조정장치(28)의 이송나사(29)는 각 접촉면(11a)에 따라 수평으로 배 치되어 있다. 각 마무리 롤러(26)는 모터(30)로 이송나사(29)를 돌리는 것에 의해, 이송나사(29)에 따라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부(11)에 대한 각 마무리 롤러(26)의 위치가 조정된다.
가이드부(11)의 각 측부 및 꼭대기부에 형성된 각 접촉면(11a)의 각각에는 각 표면가공체(57)의 마무리 롤러(26)를 개별적으로 눌러 닿게 되어 있다. 또, 각 마무리 롤러(26)는 엘리베이터 칸(2)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방향으로 각 접촉면(11a)에 눌러 닿게 되면서(접촉하면서) 전동된다. 즉, 각 표면가공체(57)는 가이드부(11)의 각 접촉면(11a)에 대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개별적으로 실시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가공 유니트(52)를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한다. 이 때, 가이드부(11)의 각 접촉면(11a)에 각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한다. 이 후, 각 마무리 롤러(26)를 가이드부(11) 위에서 전동시키면서, 승강로(1)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킨다.
이 후, 이송나사(29)를 돌려, 각 마무리 롤러(26)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뒤로 물린 후, 승강로(1)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재차 이동시킨다.
상기의 순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의 전체에 대해서, 각 마무리 롤러(26)를 눌러 닿게 하면서 전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가이드부(11)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부(13)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균형추(3)에 가공 유니트(52)를 장착하여, 균형추(3)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13)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51)에서는 각 표면가공체(57)가 엘리베이터 칸(2)에 설치되고, 각 표면가공체(57)의 마무리 롤러(26)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접촉하면서 전동되므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이 승강로(1) 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가이드부(11)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55) 및 윤활유에 의한 연마작용(polishing action)에 의해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의 경면화가 일어나, 엘리베이터 칸(2)이 이동될 때 슬라이딩 부재(55)와 가이드부(11)와의 사이에 울음소리가 발생하게 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한 채로 가이드부(11)의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을 교환하지 않고 울음소리의 발생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9)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8)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복수의 표면가공체(57)가 가이드부(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각 표면가공체(57)의 마무리 롤러(26)가 가이드부(11)의 접촉면(11a)에 각각 눌러 닿게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부(1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면(11a)에 대해서, 표면 마무리 가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 마무리 가공의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가공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승강체에 설치된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는 미소(微小)한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에는 프레싱 부재를 상기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재료를 소성(塑性)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매끄럽게 된 압연면(壓延面)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과 소매치기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2. 승강체에 설치된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는 프레싱 부재를 상기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재료를 소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미소한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4. 승강체에 설치된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로서,
    매끄러운 어뷰트먼트 면(abutment surface)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싱 부재(pressing member)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 상기 어뷰트먼트 면을 눌러 닿게 하기 위한 가압장치를 가지는 표면가공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어뷰트먼트 면을 상기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형성된 예리한 첨상부(尖狀部 : sharp pointed portion)의 일부의 재료를 상기 어뷰트먼트 면에 따른 형상으로 소성변형시켜, 상기 첨상부를 매끄러운 압연면이 형성된 미소한 볼록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5. 승강체에 설치된 접촉체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로서,
    돌기부가 형성된 어뷰트먼트 면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싱 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체에 대한 접촉면에 상기 어뷰트먼트 면을 눌러 닿게 하기 위한 가압장치를 가지는 표면가공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어뷰트먼트 면을 상기 접촉면에 눌러 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의 재료를 상기 어뷰트먼트 면에 따른 형상으로 소성변형시켜, 상기 접촉면에 미소한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 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부재는 상기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전동(轉動)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면가공체는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승강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KR1020087021609A 2008-09-03 2006-08-22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KR20080114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1609A KR20080114714A (ko) 2008-09-03 2006-08-22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1609A KR20080114714A (ko) 2008-09-03 2006-08-22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714A true KR20080114714A (ko) 2008-12-31

Family

ID=4037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609A KR20080114714A (ko) 2008-09-03 2006-08-22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4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652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及びエレベータのレール表面加工装置
EP2316613B1 (en) A method of making a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jacket with at least one rough exterior surface
CN202292197U (zh) 一种加工长轴工件的新型铣床夹具
KR20060043461A (ko) 형재 가공장치 및 형재 가공방법
US11819898B2 (en) Incremental sheet forming system with resilient tooling
US11471924B2 (en) Tools, machin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planar workpieces
KR102257434B1 (ko) 유성롤러스크류용 스크류 랩핑장치
KR20080114714A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레일표면 가공장치
KR100819470B1 (ko) 웜 기어치 버니싱장치
CN111867959B (zh) 电梯的导轨加工装置和导轨加工方法
CN110831880B (zh) 电梯的导轨加工方法、导轨加工装置及更新方法
CN111601766B (zh) 电梯的导轨加工装置
CN110997541B (zh) 电梯的导轨加工装置
TWI310329B (ko)
JP6735346B2 (ja) スライド走行装置および同装置を搭載した工作機械
KR101759278B1 (ko) 가공장치
CN218050678U (zh) 内齿轮衍磨装置
RU2685362C1 (ru) Направляющие фигурной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а в плоскости режущей нити
CN113953845A (zh) 一种滑鞍装置
KR20230098980A (ko) 금속 절삭 가공 장치
CN115703136A (zh) 冲压装置及差厚金属板的制造方法
WO2018109882A1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ガイド装置
CN202070983U (zh) 木质工件的自动加工设备
JPWO2020070893A1 (ja) 加工工具およびバニシング加工装置
JP2016204114A (ja) 移動手摺内側異物除去装置および移動手摺内側異物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7

Effective date: 2012010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3

Effective date: 2012053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19

Effective date: 201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