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582A - 급유구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급유구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582A
KR20080114582A KR1020080060120A KR20080060120A KR20080114582A KR 20080114582 A KR20080114582 A KR 20080114582A KR 1020080060120 A KR1020080060120 A KR 1020080060120A KR 20080060120 A KR20080060120 A KR 20080060120A KR 20080114582 A KR20080114582 A KR 2008011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closing
inner cover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다키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11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급유작업에 있어서, 덮개 개폐조작을 최대한 간략화하고, 또한 급유구를 보다 확실히 폐색해서 누출의 우려를 없앤다.
(해결수단) 차체측의 오목부(b)를 개폐하는 회동식의 외측 덮개(2)와, 오목부(b) 내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연료탱크와 통하는 급유구(11)와, 상기 급유구에 대해서 급유노즐(e)의 삽입을 내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허용하고, 또한 급유노즐(e)을 빼내면 탄지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는 내측 덮개(3)를 구비한 급유구용 개폐장치(1)에 있어서, 외측 덮개(2)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내측 덮개(3)를 회동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함과 아울러, 외측 덮개(2)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걸림을 해제해서 내측 덮개(3)의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수단(5)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급유구용 개폐장치{OPENING-CLOSING DEVICE FOR OIL FEEDING PORT}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연료탱크에 연료유를 넣는 급유구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특허문헌 1에 개시한 급유구를 개폐하는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연료탱크의 급유구를 폐색하는 캡(필러 캡이라고 불리는 나사맞춤식 캡, 111)을 개량한 것으로, 천정부(115)에 급유노즐(119)을 삽입 가능한 구멍(121)을 형성한 것, 천정부(115)의 하면측에 상기 구멍(121)을 폐색하는 밸브타입 내측 덮개(123)를 힌지부(125)를 통해서 내측으로 요동가능하게 형성한 것, 내측 덮개(123)를 천정부(115)의 하면으로 압압하는 스프링부재(127)를 형성한 것, 또 천정부(115)의 상면측에 구멍(121)을 폐색하는 외측 덮개(131)를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급유구(113)는 본 발명을 적용한 도 11에 예시되는 것과 같이 차량 패널에 형성되어 리드(lid, 본원 발명 외측 덮개에 상당)에 의해 개폐되는 오목부 내의 저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작업에서는 우선, 리드용 로크를 원격조작 등에 의해 로크 해제한다. 그러면, 리드는 압상(押上)기구에 의해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개방방향으로 약간 회동되므로, 오목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이용해서 개방 조작한다. 이어서, 외측 덮개(131)를 외측으로 개방한 뒤, 급유노즐(119)로 내측 덮개(123)를 내측으로 압압해서 개방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급유를 한다. 급유 종료 후에는, 급유노즐(119)을 빼내면 내측 덮개(123)가 스프링부재(127)의 탄지력에 의해 천정부(115)의 하면으로 압압되어 폐색상태가 된다. 외측 덮개(131)를 폐색한 후, 상기한 도시하지 않은 덮개를 폐색조작하게 된다. 이상의 이점으로서는 급유구(113)에서 캡(111)을 분리하는 일 없이 급유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급유작업이 간단하게 되며, 급유 후에 캡(111)을 덜 조이거나 조이는 것을 잊는 일이 없어지고, 외측 덮개(131)의 존재에 의해 연료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8-216705호 공보
이상의 종래 구조에서는 캡(111)의 착탈(着脫)조작이 없어지지만, 캡(111)이 외측 덮개(131)를 가지고 있으면, 이 외측 덮개를 개폐조작해야 하고, 또한 캡(111)에 대한 외측 덮개(131)의 로크수단도 필수가 되고, 이 로크수단에 의해 개폐조작이 더욱 번잡해진다. 또, 내측 덮개(123)는 폐색상태를 탄지력에 의해 유지 되어 있을 뿐이므로, 충격 등의 외부 하중을 받으면 요동하기 쉽다. 따라서 외측 덮개(131)는, 생략하는 것이 임의라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 생략하면 누출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불가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급유작업에 있어서, 덮개 개폐조작을 최대한 간략화함과 아울러, 급유구를 보다 확실히 폐색해서 누출의 우려를 없애고, 이것에 의해 편의성, 안전성,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내측 덮개를 폐색상태에서 걸어 고정하는 구성에서 파악한 것으로, 형태예로 특정하면, 차체측의 오목부(b)를 개폐하는 회동식의 외측 덮개(2)와, 상기 오목부 내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탱크와 통하는 급유구(11)와, 상기 급유구에 대해서 급유노즐(e)의 삽입을 내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허용하고, 또한 상기 급유노즐을 빼내면 탄지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는 내측 덮개(3)를 구비한 급유구용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덮개(2)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내측 덮개(3)를 회동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외측 덮개(2)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걸림을 해제해서 상기 내측 덮개(3)의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수단(5)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내측 덮개의 밀봉도(密封度)를 향상시키는 구성에서 파악한 것으로, 형태예로 특정하면, 차체측의 오목부(b)를 개폐하는 회동식의 외측 덮개(2)와, 상기 오목부 내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탱크와 통하는 급유구(11)와, 상기 급유구에 대해서 급유노즐(e)의 삽입을 내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허용하고, 또한 상기 급유노즐을 빼내면 탄지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는 내측 덮개(3)를 구비한 급유구용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를 구획하고 있는 프레임부재(10)와, 상기 내측 덮개(3)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사이에 개재된 밀봉용 개스킷(39)과, 상기 외측 덮개(2)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내측 덮개(3)를 상기 개스킷(39)에 압접(壓接)된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외측 덮개(2)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내측 덮개(3)의 유지를 해방하는 압접유지수단(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각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는 차체 표면 내지는 차체 패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급유구를 배치하는 개소이다. 급유구는 연료탱크에 대해서 급유관 등을 통해서 연이어 통하는 개소로, 통상적으로는 프레임부재 등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외측 덮개는 회동시켜서 개폐하는 타입의 덮개면 좋다. 또 로크수단(5)과 압접유지수단(6)은 작용과 함께 프레임부재 및 개스킷을 필수로 하고 있는지 아닌 지에서 다르지만, 내측 덮개(3)를 폐색상태에서 걸어 고정 또는 압접유지하거나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때, 걸림 해제 또는 압접유지를 해방하는 점에서 유사하다. 즉, 청구항 1의 로크수단(5)에서는 단순하게 걸림/걸림 해제(예를 들면, 청구항 5의 유도홈(18)과 돌기(33)의 걸림/걸림 해제)되는 관계이면 좋은 것에 대해서, 청구항 2의 압접유지수단(6)에서는 걸림/걸림 해제됨과 아울러, 내측 덮개(3)가(예를 들면, 유 도홈(18)을 따라서 전후로 유도되는 돌기(33)를 통해서) 개스킷에 압접되거나 압접이 해방되는 관계이다.
이상의 각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가) 청구항 1의 상기 로크수단(5)은, 링형상을 이루며 상기 급유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 덮개(3)를 링형상의 구멍에서 노출시키는 회전체(16)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16)와 상기 내측 덮개(3)가 상기 외측 덮개(2)의 개폐에 연동해서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성이다(청구항 3).
(나) 청구항 2의 상기 압접유지수단(6)은, 링형상을 이루며 상기 급유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 덮개(3)를 링형상의 구멍에서 노출시키는 회전체(16)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16)와 상기 내측 덮개(3)가 상기 외측 덮개(2)의 개폐에 연동해서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성이다(청구항 4).
(다) 상기 내측 덮개(3) 및 상기 회전체(16)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33)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덮개를 상기 회전체(16)의 후단(後端)측에서 전단(前端)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홈(18)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16)가 상기 외측 덮개(2)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33)에 대해서 상기 유도홈(18)이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성이다(청구항 5, 청구항 6).
(라) 상기 내측 덮개(3)는,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폐색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지지체(35)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이간 가능(소정 거리만 이간 가능한 것) 하게 형성되어 있는 덮개체(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청구항 7).
(마) 상기 회전체(16)와 상기 외측 덮개(2)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16)를 상기 외측 덮개(2)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시키는 회전기구(4)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8, 청구항 9).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급유작업순서로서, 외측 덮개를 개방상태로 한 후, 급유노즐로 내측 덮개를 내측으로 압압해서 이 급유노즐을 급유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급유를 한다. 급유 종료 후에는, 급유노즐을 급유구에서 뽑아낸 후, 외측 덮개를 개방에서 폐색상태로 전환하면, 내측 덮개가 이것에 연동해서 회동 불가능하게 걸림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서는 내측 덮개가 급유구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방상태가 되는 소위 밸브타입을 채용하면서, 로크수단에 의해 외측 덮개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내측 덮개의 걸림을 해제하기 때문에 밸브타입의 이점인 급유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외측 덮개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내측 덮개를 회동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나사맞춤식 캡과 같이 충격 등을 받아도 누출을 일으킬 우려를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내측 덮개가 압접유지수단에 의해 외측 덮개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개스킷에 압접되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변위 후의 상태로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서는 내측 덮개가 급유구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방상태가 되는 소위 밸브타입을 채용하면서, 압접유지수단에 의해 내측 덮개가 폐 색상태로 개스킷에 압접되고, 또한 이 압접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내측 덮개의 밀봉성이 향상되어 누출을 일으킬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 로크수단 또는 상기 압접유지수단이 회전체를 가지고, 이 회전체와 상기 내측 덮개가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게 하고, 형태예와 같이 간명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청구항 5,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회전체가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돌기에 대해서 유도홈이 걸림/걸림 해제되도록 해서 로크수단이나 압접유지수단을 실시하기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내측 덮개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탄지된 지지체 및 이 지지체에 대해서 이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덮개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유구측의 밀봉면(내측 덮개가 폐색상태에서 맞닿는 개스킷 등)에 내측 덮개가 최적의 자세로 맞닿을 수 있도록, 즉 밀봉면에 대해서 내측 덮개의 모든 둘레가 균일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밀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형태예와 같이 로크수단이나 압접유지수단의 실시에도 적합하게 된다.
청구항 8 및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청구항 4의 회전체가 회전기구를 통해서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체의 회동을 이용한 청구항 3, 청구항 4의 내측 덮개에 대한 걸림/걸림 해제, 청구항 5, 청구항 6의 돌기에 대한 유도홈의 걸림/걸림 해제를 간이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급유구용 개폐장치의 구조를 명확히 한 후, 급유작업과 함께 그 이점에 대해서 언급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일부를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있다.
(장치구조) 대상이 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1)는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측의 오목부(b)를 개폐하는 회동식의 외측 덮개(2)와, 오목부(b) 내에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연료탱크와 통하는 급유구를 구획하고 있는 프레임부재(10)와, 프레임부재(10)에 대해서 급유건(e)의 노즐(이하, 급유노즐(e)이라고 한다)의 삽입을 내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허용하고, 또한 급유노즐(e)을 빼내면 탄지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는 밸브타입 내측 덮개(3)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고안점은, 내측 덮개(3)가 덮개체(30)를 지지체(35)에 이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는 것, 프레임부재(10)의 전단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체(16)와, 회전체(16)를 외측 덮개(2)의 개폐와 연동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기구(4)와, 외측 덮개(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해서 내측 덮개(3)를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해제하는 로크수단(5), 또는 외측 덮개(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해서 내측 덮개(3)를 밀봉용 개스킷(39)에 압접(壓接)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이 유지 를 해방하는 압접유지수단(6)과, 회전기구(4) 등을 볼 수 없게 덮고 있는 커버(7,8)를 가지고 있는 구성에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오목부(b)는 도 11과 같이 자동차 등의 차체 패널(a)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 덮개(2)에 의해 개폐된다. 오목부(b)에는 도 2에 나타낸 프레임부재(10)를 장착하는 연결부재(15)가 저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 외에, 도시를 생략했지만, 외측 덮개(2)(의 걸림 돌조(21))를 걸림/걸림 해제하는 로크수단의 대응부와, 상기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했을 때 외측 덮개(2)를 개방방향으로 약간 밀어내는 압출(壓出)기구(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106584호 참조)의 대응부가 종래와 같이 내측면 등에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된다. 또 오목부(b)에는 도 2에 나타낸 커버(7)의 부(副) 프레임(7b)과, 커버(8)의 가로편(8b)의 일부를 오목부 내에서 차체 패널(a)의 이면측으로 빠져 나가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창이나 슬릿 등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덮개(2)는 내면에 접합된 힌지편(20) 및 회동 단부측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조(21) 등을 가지고 있다. 힌지편(20)은 기단(基端)측이 구부러져 있고, 또 추축용 샤프트(23)를 회동 불가능하게 삽입하는 축 구멍(20a)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외측 덮개(2)는 커버(7)에 대해서 회전기구(4)와 함께 지지된 상태로 차체측에 설치된다.
이것에 대해서, 내측 덮개(3)는 도 2와 도 3과 같이 덮개체(30) 및 지지체(35)로 이루어지고, 덮개체(30)가 지지체(35)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 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이다. 덮개체(30)는 대략 모자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선단 부(31)가 프레임부재(10)의 중심구멍(11)에 여유를 두고 삽입되는 지름이며, 선단 주위에 형성되어 좌우에 돌출되어 있는 1쌍의 돌기(33)와, 기단 주위에 돌출된 밀봉용 플랜지부(32)를 가지고 있다. 또 이면측의 공동(空洞)은 도 9와 같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심 축부(34a)와, 이 중심 축부(34a)의 기부(基部)측을 에워싸도록 돌출 형성된 통부(34b)와, 공동부 내주에 형성된 복수의 걸어 맞춤용 단차부(段差部, 34c)를 가지고 있다. 지지체(35)는 도 2와 도 4와 같이 원판부(36) 및 이 원판부의 이면측에 일체화 된 보강부(37)로 구성되고, 원판부(36)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의 통형상 끼워 맞춤축(36a) 및 그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빠짐 방지편(36b, 선단에 돌조를 가진 빠짐 방지편), 원판부(36) 및 보강부(37)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1쌍의 부착부(37a) 등을 가지고 있다. 각 부착부(37a)의 외측면에는 축부(37b)가 동 축선상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30)는 지지체(35)에 대해서, 끼워 맞춤축(36a)의 통 내에 중심 축부(34a)를 삽입해서, 끼워 맞춤축(36a)의 선단(先端)측을 끼워 맞춤축(36a)과 통부(34b)의 사이에 끼워 맞추고, 각 빠짐 방지편(36b)을 각 단차부(34c)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이간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프레임부재(10)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내측 덮개(3)나 개스킷(39)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프레임부재(10)의 앞에 도시하고 있다.
이 때, 프레임부재(10)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급유구를 구획하고 있는 원형의 중심구멍(11)과, 전단면에 있어서 중심구멍(11)의 주위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체(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유지편부(12)와, 전단면의 하측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13)와, 상하 단면 및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부착편부(14a∼14c) 등을 가지고 있다. 받침부(13)에는 제 1 래크(2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받침면(13a)과, 받침면(13a) 보다 1단 낮은 위치에서 제 2 래크(2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받침면(13b)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재(10)의 후측에는 도 9와 같이 내측 덮개용 유지부(14d) 및 개스킷용 맞닿음부(14e) 등이 형성되어 있고, 링형상의 개스킷(39)이 맞닿음부(14e)에 맞닿도록 조립된 후, 내측 덮개(3, 양 부착부(37a)의 축부(37b))가 유지부(14d)에 대해서 회동 내지는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내측 덮개(3)에는 도 3에 나타낸 탄지부재(38)가 양측의 부착부(37a)의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이 내측 덮개(3)측에 걸어 고정되고, 타단이 탄지력을 발현시킨 상태에서 유지부(14d)측에 걸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폐색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상의 프레임부재(10)는 연결부재(15)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연료탱크 또는 그 급유탱크측 급유관에 접속된다. 상기 연결부재(15)는 직사각형 통이고, 프레임부재(10)를 고정하는 부착부(15a)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재(10)는 내측 덮개(3) 및 개스킷(39)을 프레임 내에 조립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5)에 대해서 부착편부(14c)가 부착부(15a)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 일체화 된다. 그 후, 프레임부재(10)의 전단면에는 회전체(16)가 유지편부(12)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체(16)는 도 3과 같이 대략 링형상을 이루고, 내주(17)에 형성된 1쌍의 유도홈(18)과, 외주(의 대략 둘레의 절반)에 형성된 연속하는 기어부(19)와, 후단측 주위에 돌출 형성되어 유지편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랜지 부(16a)를 가지고 있다. 유도홈(18)은 홈형상이 나사홈형이고, 내주(17)에 있어서, 홈 입구가 후단면과 통하고, 또한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후단면측에서 전단면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그리고 유도홈(18)은 내측 덮개측 돌기(33)에 걸림/걸림 해제됨과 아울러, 돌기(33)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회전체(1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내측 덮개측 덮개체(30)가 돌기(33)를 통해서 회전체의 전단면측으로 강제적으로 변위되도록 유도한다. 이것에 의해 이 구조에서는 덮개체(30)가 지지체(35)에 대해서 이간되는 방향, 즉 플랜지부(32)에 의해 개스킷(39)이 압압되어 덮개체(30)와 프레임부재(10)의 맞닿음부(14e) 사이의 밀봉 정도를 강하게 하는 방향으로 압접유지된다. 또 이 압접유지는 회전체(16)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해방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 덮개(3)가 급유노즐(e)에 의해 압압되면, 돌기(33)가 유도홈(18)에서 걸림 해제됨과 아울러, 급유노즐(e)이 내측 덮개(3)를 개방상태로 하면서 급유구(중심구멍(11))에 삽입된다.
환언하면, 상기한 로크수단(5)은 내측 덮개측 돌기(33)와 회전체측의 유도홈(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한 압접유지수단(6)은 로크수단(5)과 프레임부재(10)(의 맞닿음부(14e)) 및 개스킷(3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회전체(16)는 외측 덮개(2) 즉 외측 덮개 추축용 샤프트(23)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기구(4)에 의해 외측 덮개(2)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된다.
이때, 회전기구(4)는 회전체(16)를 외측 덮개(2)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면 좋다. 이 예에서는 회전체(16)의 기어부(19)와, 기어부(19)에 맞물리는 제 1 래크(25)와, 제 1 래크(25)와 작동 연결되는 제 2 래크(27)와, 외측 덮개(2)의 개폐시의 회동운동을 이용해서 제 2 래크(27)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어(28,29)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 1 래크(25)는 도 2 ∼ 도 7과 같이 상면에 있어서 좌측 단부에서 약간 떨어진 개소에서 우측 단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25a) 및 후측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한 가이드부(25b)와, 좌측 하면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면이 뒤집어진 凹자 형상의 릴리프홈(26)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래크(27)는 후면에 있어서 좌측 단부에서부터 우측 단부에서 약간 못 미친 개소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27a)와, 상면에 있어서 우측 단부에서 약간 못 미친 개소에 세워져 형성된 볼록부(27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2 래크부(27)는 프레임부재 측 받침부(13) 중, 1단 낮은 받침면(13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후, 제 1 래크(25)는 제 2 래크측 볼록부(27b)를 릴리프홈(26)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1단 높은 받침면(13a)과, 받침면(13b) 상에 배치된 제 2 래크(27)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서는 제 2 래크(27)가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면, 타임래그를 두고, 볼록부(27b)가 릴리프홈(26) 내의 우측 단면에 맞닿은 후, 제 1 래크(25)를 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제 2 래크(27)가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면, 타임래그를 두고, 볼록부(27b)가 릴리프홈(26) 내의 좌측 단면에 맞닿은 후, 제 1 래크(25)를 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 기어(28)에는 하측 기어부(28a)와 상측 기어부(2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커버(7)의 부(副) 프레임(7b)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부 프레임측 축 구멍(7i)으로부터 중심의 축 구멍(28c)에 장착되는 샤프트(24)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것에 대해서, 기어(29)는 부채형의 외주에 기어부(29a)를 형성하고 있고, 외측 덮개측 힌지편(20)의 기단측과 함께 상기 부 프레임(7b)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부 프레임측 축 구멍(7h)로부터 축 구멍(29b) 및 힌지편측 축 구멍(20a)에 장착되는 샤프트(23)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하측 기어부(28a)가 기어(29)에 의해 회동되면, 상측 기어부(28b)가 기어부(27a)와의 맞물림을 통해서 제 2 래크(27)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커버(7,8)는 회전기구(4) 및 회전체(16)의 주위부 및 외측 덮개(2)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 등을 덮는 것이다. 이 중에서, 커버(7)는 도 2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b) 내에 배치되는 본(本) 프레임(7a)과, 본 프레임(7a)의 편측(片側)면에 형성되어 오목부(b)의 외측, 즉 오목부 내에서 차체 패널(a)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부 프레임(7b)으로 이루어진다. 본 프레임(7a)에는 차체측에 대한 부착부(7c,7d) 외에, 양 측면에 개구되어 커버(8)의 가로편(8b) 등이 끼워져 통과되는 창(7e,7e), 힌지편(20)을 부 프레임(7b)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창(7f), 상기한 외측 덮개용 로크수단 및 압상(押上)기구의 대응부를 본 프레임 내로 노출시키는 창(도시생략) 등이 형성되어 있다. 부 프레임(7b)은 상하면 및 전면이 폐색되고, 후면이 판재(9)로 폐색되고, 내측면이 창(7e,7f)에 의해 개구되고, 외측면이 하측에 형성된 작은 창(7g)(도 6을 참조)에 의해 개구되어 있다. 또 부 프레임(7b)의 상하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샤프트(23,24)를 끼워 통과시키는 축 구멍(7h,7i)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8)는 세로편(8a) 및 가로편(8b)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뒤집어진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세로편(8a)은 주로 회전체(16)의 주위를 덮는 부분이고, 회전체(16)의 중심 구멍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구멍(8c)을 가지고 있다. 가로편(8b)은 주로 제 1 래크(25) 및 제 2 래크(27)를 덮는 부분이다. 그리고 커버(8)는 커버(7)에 대해서, 가로편(8b)의 양측이 각 창(7e)을 통해서 부 프레임(7b)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져 통과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걸어 맞춤수단이나 고정구 등에 의해 본 프레임(7a)측에 부착되어 일체화 된다. 또한 커버(7,8)의 형상 및 오목부(b)에 대한 부착구조 등은 차체측 오목부(b), 외측 덮개(2), 회전기구(4), 회전체(16) 등에 따라 임의로 설계되는 것이다.
(급유작업 및 이점) 이어서, 이상의 급유구용 개폐장치(1)가 도 11과 같이 자동차에 채용된 경우의 급유작업에 대해서 요부 작동과 함께 설명한다.
(1) 급유작업에서는 외측 덮개(2)가 도 6과 같이 폐색상태에서 로크되어 있으므로, 우선, 외측 덮개(2)의 로크를 원격조작 등으로 로크 해제한다. 그러면, 외측 덮개(2)가 압상기구에 의해 샤프트(23)를 지지점으로 해서 개방방향으로 약간 회동되므로, 오목부(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이용해서 개방 조작한다. 이들은 종래와 같다. 단, 외측 덮개(2)가 압상기구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동되어도 회전체(16)는 아직 회동되지 않는다. 이것은 후술하는 외측 덮개(2)의 회동, 기어(29)의 회동, 기어(28)의 회동, 제 2 래크(27)의 우측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 슬라이드에 의해 제 2 래크(27)가, 제 2 래크(27)의 볼록부(27b)가 제 1 래크측 릴리프홈(26) 내의 좌측 단면에서 우측 단면에 맞닿을 때까지 단독으로 슬라이드하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이 구조에서는 외측 덮개(2)의 개폐 작동에 연동해서 회전체(16)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기구(4)의 존재에 의해 상기 압상기구가 예기치 않은 부하를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2) 다음으로, 외측 덮개(2)가 샤프트(23)를 지지점으로 해서 개방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그러면, 도 6과 도 7에 있어서, 기어(29)가 샤프트(23)를 통해서 외측 덮개(2)와 같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기어(28)가 기어(29)와 하측 기어부(28a)의 맞물림을 통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 2 래크(27)가 상측 기어부(28b)와 기어부(27a)의 맞물림을 통해서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제 1 래크(25)가 볼록부(27b)와 릴리프홈(26) 내의 우측 단면과의 걸어 맞춤을 유지해서 제 2 래크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러면, 회전체(16)는 기어부(25a)와 기어부(19)의 맞물림을 통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내측 덮개측 돌기(33)에 대한 유도홈(18)의 걸어 맞춤 홈 위치가 변경된다. 이 예에서는 회전체(16)가 약 180° 회동되면, 돌기(33)가 유도홈(18)의 후단측 홈부분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걸림 해제에 의해 도 11의 확대도와 같이 내측 덮개(3)를 급유노즐(e)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압하면, 축부(37b)를 지지점으로 한 요동에 의해, 상기 탄지부재(38)의 탄지에 저항해서 개방상태가 되어 상기 급유노즐(e)의 삽입을 허용한다. 급유자는 이 상태에서 급유를 한다.
(3) 급유 종료 후에 급유노즐(e)을 빼내면, 내측 덮개(3)가 탄지부재(38)의 탄지력에 의해 도 9의 일점쇄선의 위치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어 동 도면의 실선 위치로 전환된다. 내측 덮개(3)는 도 9의 실선 위치에 있어서, 돌기(33)가 도 3(b) 와 같이 유도홈(18)의 입구, 즉 유도홈(18) 중 회전체(16)의 가장 후단측의 홈부분(이 홈부분은 후단까지 연속되어 있다)에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이 상태에서 외측 덮개(2)를 개방방향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7과 도 8에 있어서, 기어(29)가 샤프트(23)를 통해서 외측 덮개(2)와 같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기어(28)가 기어(29)와 하측 기어부(28a)와의 맞물림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 2 래크(27)가 상측 기어부(28b)와 기어부(27a)의 맞물림을 통해서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볼록부(27b)가 릴리프홈(26) 내의 좌측 단면에 걸어 맞춰진 후, 제 1 래크(25)가 볼록부(27b)와 릴리프홈(26) 내의 좌측 단면의 걸어 맞춤을 유지해서 제 2 래크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러면, 회전체(16)는 기어부(25a)와 기어부(19)의 맞물림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내측 덮개측 돌기(33)와 유도홈(18)이 끼워 맞춤력이 증대되면서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내측 덮개(3)가 로크수단(5)에 의해 로크되는 구성이어도, 로크수단(5)이 외측 덮개(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해서 걸림 고정되거나 걸림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성이 뛰어나다.
(4) 외측 덮개(2)의 폐색상태에 있어서, 내측 덮개(3)는 돌기(33)가 유도홈(18)(의 회전체 내주의 전단측 홈부분)에 걸림 고정되고, 도 8과 도 10과 같이 덮개체(30)가 지지체(35)에서 가장 멀어짐과 아울러, 플랜지부(32)가 개스킷(39)을 최대로 압압해서 압접유지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10)(의 맞닿음부(14e))와의 사이를 확실히 밀봉하고 있다. 이 걸림 고정 및 압접유지는 외측 덮개(2)가 폐색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추돌 사고 등에 의해 과대한 충격이 차체에 가해지거나, 외측 덮개(2)가 추돌에 의해 변형되어도, 급유구가 내측 덮개(3)에 의해 확실히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누출이 없고 품질 및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기술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세부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형태예에서는 내측 덮개(3)에 돌기(33)를 형성함과 아울러, 회전체(16)의 내측 주위에 유도홈(18)을 형성했지만, 이것 대신에 회전체(16)측에 돌기(33)를 형성하는 한편, 내측 덮개(3)측에 이 돌기(33)에 대응해서 유도홈(18)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형태예에서는 회전기구(4)를 회전체(16)의 기어부(19)와, 제 1 래크(25)와, 제 2 래크(27)와, 기어(28,29)로 구성했지만, 이것 대신에 회전기구(4)로서 외측 덮개(2)와 회전체(16)를 와이어를 통해서 작동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형태의 급유구용 개폐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상기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
도 3(a)는 상기 개폐장치의 회전체와 내측 덮개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b)는 회전체를 2분할한 단면도
도 4는 상기 개폐장치의 요부의 대략 중간부를 단면으로 한 모식 구성도
도 5는 상기 개폐장치의 요부를 외측 덮개의 개방상태에서 일부를 파단해서 나타내는 모식 정면도
도 6은 상기 개폐장치의 요부를 외측 덮개의 폐색상태로 나타내는 모식 정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단면으로 하고 커버 등을 생략한 모식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C선을 따라 단면으로 하고 커버 등을 생략한 모식 단면도
도 9는 도 5의 B-B선을 따라 단면으로 한 모식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D-D선을 따라 단면으로 한 모식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급유구용 개폐장치를 적용한 자동차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특허문헌 1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유구용 개폐장치 2 - 외측 덮개
20 - 힌지편 21 - 걸림 돌조
20a - 축 구멍 3 - 내측 덮개
30 - 덮개체 33 - 돌기
35 - 지지체 4 - 회전기구
25 - 제 1 래크 27 - 제 2 래크
28,29 - 기어 5 - 로크수단
6 - 압접유지수단 7,8 - 커버
10 - 프레임부재(급유구용 구획부재) 11 - 중심구멍(급유구)
12 - 유지편부 13 - 받침부
15 - 연결부재(급유관에 대한 연결부재) 16 - 회전체
16a - 플랜지부 17 - 내주
18 - 유도홈 19 - 기어부
23,24 - 샤프트 38 - 탄지부재
39 - 개스킷 a - 차체 패널
b - 오목부 e - 급유건(급유노즐)

Claims (9)

  1. 차체측의 오목부를 개폐하는 회동식의 외측 덮개와, 상기 오목부 내에 형성되어 연료탱크와 통하는 급유구와, 상기 급유구에 대해서 급유노즐의 삽입을 내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허용하고, 또한 상기 급유노즐을 빼내면 탄지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는 내측 덮개를 구비한 급유구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덮개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내측 덮개를 회동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외측 덮개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걸림을 해제해서 상기 내측 덮개의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2. 차체측의 오목부를 개폐하는 회동식의 외측 덮개와, 상기 오목부 내에 형성되어 연료탱크와 통하는 급유구와, 상기 급유구에 대해서 급유노즐의 삽입을 내측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허용하고, 또한 상기 급유노즐을 빼내면 탄지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되는 내측 덮개를 구비한 급유구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를 구획하고 있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내측 덮개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밀봉용 개스킷과, 상기 외측 덮개의 폐색동작에 연동해서 상 기 내측 덮개를 상기 개스킷에 압접된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외측 덮개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내측 덮개의 유지를 해방하는 압접유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3. 청구항 1의 상기 로크수단은, 링형상을 이루며 상기 급유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 덮개를 링형상의 구멍에서 노출시키는 회전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와 상기 내측 덮개가 상기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4. 청구항 2의 상기 압접유지수단은, 링형상을 이루며 상기 급유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 덮개를 링형상의 구멍에서 노출시키는 회전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와 상기 내측 덮개가 상기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 및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덮개를 상기 회전체의 후단측에서 전단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홈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에 대해서 상기 유도홈이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 및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덮개를 상기 회전체의 후단측에서 전단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홈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에 대해서 상기 유도홈이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는,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폐색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이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덮개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외측 덮개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가지고 있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외측 덮개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외측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가지고 있는 급유구용 개폐장치.
KR1020080060120A 2007-06-25 2008-06-25 급유구용 개폐장치 KR20080114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6400A JP2009001231A (ja) 2007-06-25 2007-06-25 給油口用の開閉装置
JPJP-P-2007-00166400 2007-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82A true KR20080114582A (ko) 2008-12-31

Family

ID=4018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120A KR20080114582A (ko) 2007-06-25 2008-06-25 급유구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01231A (ko)
KR (1) KR20080114582A (ko)
WO (1) WO2009001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1443A (zh) * 2011-11-23 2012-05-02 芜湖瑞创叉车有限公司 一种加油口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8824A (zh) * 2015-06-23 2015-09-16 滁州达世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加油小门盖板
JP2019130956A (ja) * 2018-01-29 2019-08-08 豊田合成株式会社 リッド装置
JP7143562B2 (ja) * 2019-02-14 2022-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蓋開閉構造
WO2020203801A1 (ja) * 2019-03-29 2020-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2022152814A (ja) * 2021-03-29 2022-10-12 株式会社ユーシン 車両用リッド装置
CN113942388A (zh) * 2021-10-14 2022-01-18 广东皓耘科技有限公司 车辆的油箱盖自动开闭机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7818B1 (fr) * 2001-07-25 2003-10-24 Inergy Automotive Systems Man Systeme d'obturation pour tubulure de remplissage de reservoir a carburant et procede pour ouvrir cette tubulure
KR20070020175A (ko) * 2003-09-12 2007-02-20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연료 탱크 주입관용 클로저
JP4838664B2 (ja) * 2006-08-11 2011-12-14 株式会社アステア 給油口の閉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1443A (zh) * 2011-11-23 2012-05-02 芜湖瑞创叉车有限公司 一种加油口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1231A (ja) 2009-01-08
WO2009001863A1 (ja)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582A (ko) 급유구용 개폐장치
WO2017038833A1 (ja) 車両のリッド装置
US9102230B2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108969B2 (en) Checker-equipped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US9027979B2 (en) Rotary damper an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WO2015114155A1 (de)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befüllungs- oder anschlussöffnung an einem fahrzeug
EP2038137B1 (en) A fuel intake assembly for filling a vehicle tank with diesel fuel
JP6682364B2 (ja) ハウジングユニット及び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20220009306A1 (en) Air Outlet, Heater or Air Conditioning Unit With Such an Air Outlet, Recreational Vehicle With an Air Outlet, Heater and/or Air Conditioning Unit and Methods for Attaching, Operating and Converting an Air Outlet
JP637943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01725299A (zh) 车辆用限止器式车门铰链装置
US11162283B2 (en) Vehicle lid lock device
CN103201444A (zh) 车辆用锁定装置
CN110891817B (zh) 车辆的盖装置
US20190093399A1 (en) Actuator for fuel lid
US10724279B2 (en) Pivo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easy-to-install and safer pivot bearing
KR102633962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자동 개폐 장치
US20210070165A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lid of a vehicle
ES2226997T3 (es) Disposicion de cierre para un deposito de carburante de un vehiculo automovil.
JP6629101B2 (ja) ハウジングユニット及び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20090139606A1 (en) Contoured door with seal
JP6709827B2 (ja) 車両のリッド装置
JP7003779B2 (ja) 車両用給油部構造
US20010047673A1 (en) Locking device
JP7084260B2 (ja)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