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614A - 일체형 다기능 창호 - Google Patents

일체형 다기능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614A
KR20080113614A KR1020070062316A KR20070062316A KR20080113614A KR 20080113614 A KR20080113614 A KR 20080113614A KR 1020070062316 A KR1020070062316 A KR 1020070062316A KR 20070062316 A KR20070062316 A KR 20070062316A KR 20080113614 A KR20080113614 A KR 2008011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ecurity
insect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07006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3614A/ko
Publication of KR2008011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다기능 창호에 관한 것으로, 전면 내측 둘레에 형성된 방범창장착홈과, 중앙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그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방충망수납부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과, 상기 상부공간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부창결합홈과, 상기 하부공간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어안착홈으로 이루어지는 창짝프레임; 상기 창짝프레임의 방범창장착홈에 설치되는 방범창; 상기 창짝프레임의 방충망수납부에 설치되는 방충수단; 상기 창짝프레임의 상부창결합홈에 설치되는 상부창; 상기 창짝프레임의 도어안착홈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부창, 도어, 방범창, 방충수단이 하나의 창짝프레임에 설치되므로 통풍기능, 채광기능, 방충기능, 방범기능을 위해 문틀에 다수의 창짝들을 설치하였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되고, 철제의 무게중심바 및 자석에 의해 방충망의 하단과 창짝프레임의 바닥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방충망을 방충수단의 권취드럼에 권취시킨 후 커버를 닫으면 방충수단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므로 방충수단의 내부 부품들이 외부의 먼지나 비바람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창짝프레임, 보조프레임, 방범창, 상부창, 도어, 방충수단

Description

일체형 다기능 창호{One body type multi-function window}
도 1은 종래 일체형 다기능 창호를 보인 개략적 평단면도
도 2는 종래 일체형 다기능 창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창짝프레임 및 도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전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00 : 창짝프레임 31 : 방범창장착홈
32 : 체결홈 33,110 : 보조프레임
34 : 고정부 35,101,111 : 방충망수납부
36 : 상부공간 37 : 하부공간
38 : 상부창결합홈 39 : 도어안착홈
40 : 마감프레임 50 : 방범창
60,90 : 방충수단 61,91 : 케이스
62,92 : 중심축 63,93 : 권취드럼
64,94 : 탄성부재 65,95 : 방충망
66,96 : 무게중심바 70 : 상부창
71 : 상부창프레임 72 : 상부유리창
80 : 도어 81 : 손잡이
82,123 : 힌지 97 : 자석
112 : 착탈홈 120 : 커버
121 : 착탈돌기 122 : 손잡이
본 발명은 다기능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체형 창짝프레임에 창문과 방충수단과 방범창을 설치할 수 있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형태의 건물에는 실내의 채광과 환기 및 조망을 목적으로 하는 창호가 설치되어 있고, 주거를 전용으로 하는 건물에는 외부의 침입을 방지시키기 위해 창호 외부에 방범창을 더 설치하기도 하며, 이러한 창호에 방충망을 더 설치하여서 창호를 개방하였을 때 통풍은 어느 정도 허용하면서 벌레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건물이 위치하고 있는 주거환경 및 지역에 따라 해충의 발생빈도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기온이 높은 계절, 특히 야간에 실내의 통풍을 위해 창문을 열 경우에는 방충망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모기나 벌레 등 해충으로부터 결코 자유 스럽지 못하였으므로, 방충망의 설치가 필수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범, 방충 기능을 갖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명칭: 미닫이 방범창, 실용신안등록 제20-384573호)를 개발하였다. 이는, 벽체에 설치된 창틀(1)과, 외부창짝프레임(3) 및 이에 설치되는 외부유리창(4), 제1방범창(5)으로 이루어지며 창틀(1)에 설치되는 외부미닫이창짝(2)과, 내부창짝프레임(7) 및 이에 설치되는 내부유리창(8)으로 이루어지며 창틀(1)에 설치되는 내부미닫이창짝(6)과, 여닫이창짝프레임(10) 및 이에 설치되는 방충망(12), 제2방범창(11)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미닫이창짝(2)에 힌지(13)로 결합되어서 이에 대해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여닫이창짝(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방범 기능과 채광 기능을 갖는 외부미닫이창짝(2)에 방범 기능과 방충 기능을 갖는 여닫이창짝(9)이 개폐되도록 설치되므로, 필요할 때 여닫이창짝(9)을 열어서 제2방범창(11)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상시 탈출이나 이삿짐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외부미닫이창짝(2)과 여닫이창짝(9)을 닫은 상태에서 내부미닫이창짝(6)을 열면, 제1방범창(5) 및 제2방범창(11)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므로 이들에 의해 방범 기능이 확실하게 유지되면서 여닫이창짝(9)의 방충망(12)에 의해 해충의 침입 방지, 소량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방충망(12)이 여닫이창짝(9)에 고정된 형태이므로 방범 기능이 유지된 상태에서 원할한 채광 및 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방범 기능이 유지되려면 제1방범창(5) 및 제2방범창(11)은 닫힌 상태이어야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할한 채광 및 원할한 환기가 이루어지려면 방충망(12)을 걷어내거나 열어야 하는데, 종래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방충망(12)이 여닫이창짝(9)에 고정된 형태이므로 다량의 채광 및 신속한 환기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체형 다기능 창호(특허출원 제2007-13190호)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제1방범창(14)이 설치된 외부미닫이창짝(16)과, 내부창짝프레임(17) 및 내부유리창(18)으로 이루어진 내부미닫이창짝(19)과, 외부미닫이창짝(16)에 대해 여닫을 수 있도록 외부창짝프레임(15)에 힌지(20)로 결합되고 제2방범창(21)이 설치되며 방충망(22)이 권취된 방충수단(23)이 설치된 여닫이창짝(2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제1방범창(14) 및 제2방범창(21)에 의해 방범 기능이 유지되도록 외부미닫이창짝(16) 및 여닫이창짝(24)을 닫은 상태에서 여닫이창짝(24) 내의 방충망(22)을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방범 기능을 수행하면서 채광 기능 및 통풍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통풍기능 및 채광기능과 방충기능과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개의 창짝들이 필요하다. 즉, 통풍기능 및 채광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내부미닫이창짝(19)이 구비되고, 방범기능 및 방충기능을 위해 여닫이창짝(24)이 구비되며, 채광기능 및 방범기능을 위해 외부미닫이창짝(16)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통풍기능 및 채광기능과 방충기능과 방범기능을 위해 3개의 창짝들이 제작되어야 하며, 이들을 각각 설치하거나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해야 하므로 부품수 및 조립 공수가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창짝에 의해 통풍기능 및 채광기능과 방충기능과 방범기능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일체형 다기능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전면 내측 둘레에 형성된 방범창장착홈과, 중앙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그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방충망수납부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과, 상기 상부공간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부창결합홈과, 상기 하부공간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어안착홈으로 이루어지는 창짝프레임; 상기 창짝프레임의 방범창장착홈에 설치되는 방범창; 상기 창짝프레임의 방충망수납부에 설치되는 방충수단; 상기 창짝프레임의 상부창결합홈에 설치되는 상부창; 상기 창짝프레임의 도어안착홈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의 다른 특징은, 상기 창짝프레임의 방범창장착홈의 전방측 둘레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범창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방범창의 둘레를 지지하고 그 둘레를 마감처리하도록 상기 체결홈에 마감프레임이 결합된다.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프레임의 고정부는, 그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상부창 및 도어의 대응 부위가 결합되도록 각각 상부창결합홈 및 하부 도어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방충망수납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가 하측으로 개방된다.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방충망수납부에는, 하측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일단은 상기 방충망수납부의 하단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타단에는 상기 방충망수납부의 하단 타측에 형성된 착탈홈에 착탈되도록 착탈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의 외면에는 이를 개폐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창짝프레임의 방범창장착홈에 방범창이 설치되고, 상부창결합홈에 상부창이 설치되며 도어안착홈에 개폐가능하도록 도어가 결합되고 보조프레임의 방충망수납부에 방충수단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채광기능를 갖는 상부창과 채광 및 통풍기능을 갖는 도어와 방범창과 방충수단이 하나의 창짝프레임에 설치되므로 통풍기능, 채광기능, 방충기능, 방범기능을 위해 문틀에 다수의 창짝들을 설치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다기능 창호의 전체 부품수, 제조 공수 및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또한, 창짝프레임의 전방측 둘레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홈에 마감프레임이 결합된다. 따라서 창짝프레임의 방범창장착홈에 방범창을 설치하고 창짝프레임의 체결홈에 마감프레임을 끼우면 마감프레임에 의해 방범창의 둘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처리된다. 그러므로 체결홈에 결합된 마감프레임에 의해 방범창이 창짝프레임에 견고히 결합되고, 방범창의 둘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창호의 전체 미감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기능 창호는, 무게중심바가 철제로 이루어지고, 이 무게중심바가 부착되도록 창짝프레임의 하부에는 자석이 매입되어 있다. 따라서 무게중심바를 하측으로 당겨서 방충망을 펼친 후 무게중심바를 자석에 부착시키면 방충망의 펼쳐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무게중심바가 자석에 의해 창짝프레임의 하부 바닥에 밀착되므로 무게중심바와 창짝프레임의 바닥면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해충의 침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프레임의 방충망수납부의 하부에는 그 내부를 개폐하도록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방충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방충망을 방충수단의 권취드럼에 권취시킨 후 커버를 닫으면 방충수단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그러므로 방충수단의 내부 부품들이 외부의 먼지나 비바람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창 짝프레임 및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배면도로써,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창짝프레임(30)과, 이 창짝프레임(30)에 각각 설치되는 방범창(50), 방충수단(60), 상부창(70), 도어(80)로 이루어진다.
창짝프레임(30)은, 그 전면 내측 둘레에 방범창장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범창장착홈(31)에는 방범창(50)의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방범창(50)은 창짝프레임(30)의 내부공간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범창(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범창장착홈(31)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개폐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방범창(50)의 일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방범창장착홈(31)에 힌지를 연결하여서 방범창(50)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창짝프레임(30)의 중앙 부분에는 보조프레임(33)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프레임(33)에 의해 창짝프레임(30)의 내부공간이 상부공간(36)과 하부공간(37)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보조프레임(33)은 고정부(34)와, 이 고정부(34)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방충망수납부(35)로 이루어진다.
창짝프레임(30)의 상단부 저면과 보조프레임(33)의 고정부(34) 상면을 포함한 상부공간(36) 둘레에는 상부창(70)이 결합되도록 상부창결합홈(38)이 형성되어 있고, 창짝프레임(30)의 하단부 상면과 보조프레임(33)의 고정부(34) 저면을 포함한 하부공간(37) 둘레에는 도어(80)가 결합되도록 도어안착홈(3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창짝프레임(30)의 방범창장착홈(31)의 전방측 둘레에는 체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홈(32)에는 방범창장착홈(31)에 장착된 방범창(50)의 둘레를 지지하고 그 둘레를 마감처리하도록 마감프레임(40)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창짝프레임(30)의 방범창장착홈(31)에 방범창(50)을 설치하고 창짝프레임(30)의 체결홈(32)에 마감프레임(40)을 끼우면 마감프레임(40)에 의해 방범창(50)의 둘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처리된다. 그러므로 체결홈(32)에 결합된 마감프레임(40)에 의해 방범창(50)이 창짝프레임(30)에 견고히 결합되고, 방범창(50)의 둘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창호의 전체 미감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방충수단(60)은, 보조프레임(33)의 방충망수납부(35)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수단(60)은, 방충망수납부(35)에 수납되는 케이스(61)와, 이 케이스(61)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심축(62)과, 이 중심축(62)의 둘레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방충망(65)의 승강과 함께 회전되면서 방충망(65)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권취드럼(63)과, 중심축(62)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중심축(62)에 고정되며 타단이 권취드럼(63)에 고정된 탄성부재(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부재(64)는, 방충망(65)의 일단을 잡고 이를 하측으로 당길 시 권취드럼(63)이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고, 펼쳐진 방충망(65)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탄성변형된 탄성부재(64)가 복원되면서 권취드럼(63)이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방충망(65)을 말게 된다.
한편, 방충망(65)의 하단에는 방충망(65)이 팽팽하게 지지되도록 무게중심바(6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방충망(65)이 무게중심바(66)에 의해 팽팽하게 지지되므로 외풍에도 쉽게 날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펼쳐진 방충망(65)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무게중심바(66)는 펼쳐진 방충망(65)이 곧바로 권취드럼(63)에 말리는 것을 방지시킨다. 즉, 탄성부재(64)에 의해 방충망(65)이 상측으로 당겨지는 힘과 무게중심바(66)에 의해 방충망이 하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같거나 유사하면 펼쳐진 상태의 방충망(65)이 권취드럼(63)에 곧바로 말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충수단(60)은, 무게중심바(66)를 하측으로 당긴 후 놓으면 방충망(65)이 펼쳐지면서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무게중심바(66)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탄성부재(64)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드럼(63)이 회전되면서 이에 방충망(65)이 권취된다. 그러므로 방충망(65)의 하단을 당기거나 들어 올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방충망(65)을 자유롭게 펼치거나 권취시킬 수 있다.
펼쳐진 방충망(65)을 지지하거나 다시 권취하는 방법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무게중심바(66)를 충분히 들어 올릴 수 있는 비교적 큰 복원력의 탄성부재(64)를 사용하고, 하측으로 당겨진 무게중심바(66)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그 대응 양측에는 다수의 홈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게중심바(66)를 그 하측으로 잡아 당겨서 방충망(65)을 원하는 만큼 펼친 다음에 무게중심바(66)의 양단을 대응 홈들에 끼워서 펼쳐진 방충 망(95)이 그대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게중심바(66)를 적절한 만큼 잡아 당긴 후 놓으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무게중심바(66)를 그 하측으로 당겼다가 놓으면 권취드럼(63)에 권취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부창(70)은, 창짝프레임(30)의 상부공간(36) 둘레에 형성된 상부창결합홈(38)에 결합되는 상부창프레임(71)과, 이 상부창프레임(71)에 결합되는 상부유리창(7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창(70)은 창짝프레임(30)의 상부공간(36)에 고정되어서 채광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80)는, 창짝프레임의 하부공간(37) 내에 개폐되도록 힌지(82)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80)는, 창짝프레임(30)의 하부공간(37)에 터닝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틸팅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최근에 창호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81)를 조작하여서 터닝 및 틸팅을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80)는 방범창(50) 내측의 하부공간(37) 내에 개폐되도록 설치되어서 채광기능 및 통풍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프레임(30)이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이 창짝프레임(30)에는 전 방 내측 둘레에 방범창장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창짝프레임(30)의 중앙에 구비된 보조프레임(33)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상부공간(36) 및 하부공간(37)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보조프레임(33)에는 방충망수납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공간(36)의 둘레에는 상부창결합홈(3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공간(37)의 둘레에는 도어안착홈(3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체형 창짝프레임(30)의 방범창장착홈(31)에 방범창(50)이 설치되고, 상부창결합홈(38)에는 상부창(70)이 설치되며 도어안착홈(39)에는 도어(80)가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프레임의 방충망수납부에는 방충수단(60)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기능 창호는 하나의 창짝에 의해 여러 기능들이 수행된다. 즉, 창짝프레임(30) 내의 방범창(50)에 의해 방범기능이 수행되고, 창짝프레임(30) 내의 상부창(70)에 의해 채광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80)에 의해 채광기능 및 통풍기능이 수행되고 방충수단(60)에 의해 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기능의 부품들이 하나의 창짝프레임(30)에 설치되므로 통풍기능, 채광기능, 방충기능, 방범기능을 위해 문틀에 다수의 창짝들을 설치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다기능 창호의 전체 부품수, 제조 공수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창짝프레임(30)의 전방측 둘레에 체결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홈(32)에 마감프레임(40)이 결합된다. 따라서 창짝프레임(30)의 방범창장착홈(31)에 방범창(50)을 설치하고 창짝프레임(30)의 체결홈(32)에 마감프레임(40)을 끼우면 마감프레임(40)에 의해 방범창(50)의 둘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처리된다.
그러므로 체결홈(32)에 결합된 마감프레임(40)에 의해 방범창(50)이 창짝프레임(30)에 견고히 결합되고, 방범창(50)의 둘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창호의 전체 미감이 그만큼 향상된다.
도 6은 방충수단(9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이는, 방충망수납부(101)에 수납되는 케이스(91)와, 케이스(91)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심축(92)과, 중심축(92)의 둘레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93)과, 중심축(92)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중심축(92)에 고정되며 타단이 권취드럼(93)에 고정되어서 회전된 권취드럼(93)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94)와, 권취드럼(93)에 감겨지며 권취드럼(93)의 회전시 그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는 방충망(95)과, 방충망(95)의 하단에 연결되는 철제의 무게중심바(96)가 구비된다.
여기서 무게중심바(96)의 하부, 즉 창짝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방충망(95)이 펼쳐질 시 무게중심바(96)가 부착되도록 자석(97)이 매입되어 있다. 자석(97)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창짝프레임(100)의 하단부 내에 매입될 수도 있으며, 자석(97) 전체가 창짝프레임(100)의 하단부 내에 매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다기능 창호는, 무게중심바(96)가 철제로 이루어지고, 이 무게중심바(96)가 부착되도록 창짝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자석(97)이 매입되므로 무게중심바(96)를 하측으로 당겨서 방충망(95)을 펼친 후 무게중심바(96)를 자석(97)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석(97) 및 이에 부착되는 무게중심바(96)에 의해 방충망(95)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자석(97)이 창짝프레임(100)의 하단부 내에 매입되어 있으므로 무게중심바(96)가 자석(97)에 부착되면 방충망(95)의 폭에 맞게 길게 형성된 무게중심바(96)가 창짝프레임(100)의 하부 바닥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무게중심바(96)와 창짝프레임(100)의 바닥면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해충의 침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보조프레임(1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보조프레임(110)의 방충망수납부(111)에는 그 하측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1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커버(120)의 일단은 방충망수납부(111)의 하단 일측에 힌지(123)로 결합되어 있고, 커버(120)의 타단에는 방충망수납부(111)의 하단 타측에 형성된 착탈홈(112)에 착탈되도록 착탈돌기(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20)의 외면에는 이를 개폐하도록 손잡이(1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충망(95)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방충수단(90)의 권취드럼(93)에 권취시킨 후 커버(120)를 닫는바, 커버(120)의 손잡이(122)를 잡고 상측으로 밀면 커버(120)가 힌지(123)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며, 커버(120)의 착탈돌 기(121)가 방충망수납부(111)의 착탈홈(112)에 삽입된다. 커버(120)의 손잡이(122)를 잡고 그 하측으로 당기면 커버(120)의 착탈돌기(121)가 착탈홈(11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힌지(123)를 중심으로 그 하측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방충망수납부(111)를 닫으면 방충수단(9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며, 이에 따라 방충수단(90)의 내부 부품들이 외부의 먼지나 비바람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채광기능을 갖는 상부창과 채광 및 통풍기능을 갖는 도어와 방범창과 방충수단이 하나의 창짝프레임에 설치되므로 통풍기능, 채광기능, 방충기능, 방범기능을 위해 문틀에 다수의 창짝들을 설치하였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되고, 무게중심바를 하측으로 당겨서 방충망을 펼친 후 무게중심바를 자석에 부착시키면 무게중심바가 자석에 의해 창짝프레임의 하부 바닥에 밀착되므로 무게중심바와 창짝프레임의 바닥면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해충의 침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방충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방충망을 방충수단의 권취드럼에 권취시킨 후 커버를 닫으면 방충수단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므로 방충수단의 내부 부품들이 외부의 먼지나 비바람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Claims (5)

  1. 전면 내측 둘레에 형성된 방범창장착홈(31)과, 중앙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그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36) 및 하부공간(37)으로 구획하며 고정부(34) 및 상기 고정부(34)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방충망수납부(35)(101)(111)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33)(110)과, 상기 상부공간(36)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부창결합홈(38)과, 상기 하부공간(37)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어안착홈(39)으로 이루어지는 창짝프레임(30)(100);
    상기 창짝프레임(30)(100)의 방범창장착홈(31)에 설치되는 방범창(50);
    상기 창짝프레임(30)(100)의 방충망수납부(35)(101)(111)에 설치되는 방충수단(60)(90);
    상기 창짝프레임(30)(100)의 상부창결합홈(38)에 설치되는 상부창(70);
    상기 창짝프레임(30)(100)의 도어안착홈(39)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도어(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프레임(30)의 방범창장착홈(31)의 전방측 둘레에 체결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범창장착홈(31)에 장착된 상기 방범창(50)의 둘레를 지지하고 그 둘레를 마감처리하도록 상기 체결홈(32)에 마감프레임(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33)의 고정부(34)는, 그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상부창(70) 및 도어(80)의 대응 부위가 결합되도록 각각 상부창결합홈(38) 및 하부 도어안착홈(39)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3)의 방충망수납부(35)는, 상기 고정부(34)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가 하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수단(90)은,
    상기 방충망수납부(101)에 수납되는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심축(92)과, 상기 중심축(92)의 둘레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93)과, 상기 중심축(92)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중심축(92)에 고정되며 타단이 권취드럼(93)에 고정되어서 회전된 상기 권취드럼(93)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94)와, 상기 권취드럼(93)에 감겨지며 상기 권취드럼(93)의 회전시 그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는 방충망(95)과, 상기 방충망(95)의 하단에 연결되는 철제의 무게중심바(96)와, 상기 방충망(95)이 펼쳐질 시 상기 무게중심바(96)가 붙도록 상기 창짝프레임(100)의 하단에 매입되는 자석(9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수납부(111)에는,
    하측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120)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120)의 일단은 상기 방충망수납부(111)의 하단 일측에 힌지(123)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120)의 타단에는 상기 방충망수납부(111)의 하단 타측에 형성된 착탈홈(112)에 착탈되도록 착탈돌기(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20)의 외면에는 이를 개폐하도록 손잡이(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1020070062316A 2007-06-25 2007-06-25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080113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16A KR20080113614A (ko) 2007-06-25 2007-06-25 일체형 다기능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16A KR20080113614A (ko) 2007-06-25 2007-06-25 일체형 다기능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14A true KR20080113614A (ko) 2008-12-31

Family

ID=4037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16A KR20080113614A (ko) 2007-06-25 2007-06-25 일체형 다기능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3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947B1 (en) Hidden window screen for sash window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100514382B1 (ko)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US7788864B2 (en) Window with screening arrangement
US6843023B2 (en) Dual casement window structure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JP4411246B2 (ja)
KR20080113614A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JP4073937B2 (ja) 窓枠における網戸の取付装置
KR200251259Y1 (ko) 방충 및 방범용 보조도어 조립체
JP2018199929A (ja) 突出し窓
KR20110074051A (ko) 기밀형의 길이조절 가능한 방범겸용 방충문
JPH11166379A (ja) 日除け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用シャッター
KR100925815B1 (ko) 방충망이 설치된 자유개폐형 미닫이 창호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200397159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102457522B1 (ko)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구조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H10299349A (ja) シャッター付きサッシ装置
KR200296940Y1 (ko) 롤 스크린 방충망의 부착구조
JPS5819268Y2 (ja) 全開口内障子付金属製窓
JP2000096957A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100433347B1 (ko) 권취형 방충망의 차단망 양측부위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08

Effective date: 2010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