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084A -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084A
KR20080113084A KR1020087026065A KR20087026065A KR20080113084A KR 20080113084 A KR20080113084 A KR 20080113084A KR 1020087026065 A KR1020087026065 A KR 1020087026065A KR 20087026065 A KR20087026065 A KR 20087026065A KR 20080113084 A KR20080113084 A KR 2008011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late
pixel structure
light modulator
spatial light
integer mult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랭크 슈어만
레온 바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11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16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using Fourier trans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11B7/1367Stepped phase pl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202D object
    • G03H2210/222D SLM object wherein the object beam is formed of the light modulated by the S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3Phase mas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5/00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 G03H2225/55Having optical element registered to each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공간 광 변조기(SLM)(18)와 위상판(50)을 구비하고, 공간 광 변조기는 제 1 픽셀 구조를 갖고, 위상판은 제 2 픽셀 구조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픽셀 구조가 서로 정렬되고, 제 2 픽셀 구조의 피치는 제 1 픽셀 구조의 피치의 정수 배수이고, 정수 배수가 정확하게 1보다 큰 데이터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래픽 저장매체, 위상판, 공간 광 변조기, 픽셀 구조, 정수 배수

Description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SETUP FOR STORING DATA IN A HOLOGRAPHIC STORAGE MEDIUM AND PHASE PLATE}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에서는, 디지털 정보('0'들과 '1'들)를 포함하는 2차원 공간 광 변조기(SLM) 패턴이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조사된다. 가장 일반적인 배치는, SLM과 제 1 렌즈 사이의 거리가 이 렌즈의 1 초점 거리 f1이고, 이 렌즈와 매체 사이의 거리가 f1이며, 매체에서 제 2 렌즈까지의 거리가 이 제 2 렌즈의 1 초점 거리 f2이고, 마지막으로 이 제 2 렌즈에서 검출기 어레이까지의 거리가 마찬가지로 f2인 4f 푸리에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f1=f2이다.
이와 같은 장치의 예를 도 4에 나타낸다. 레이저에서 발생된 빛이 편광 빔 스플리터(26)를 사용하여 반사형 공간 광 변조기(18)(R-SLM, 예를 들어 LCoS 소자) 를 향해 진행한다. R-SLM에 의해 발생된 2차원 데이터 페이지가 촬상 렌즈(22)를 향해 다시 반사되고, 이 촬상 렌즈는 빛을 홀로그래픽 매체(110)에 초점을 맞춘다. 이 빛은 매체 내부에서 참조 빔(미도시)과 간섭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굴절률 변조를 발생한다. 판독중에, 매체(110)는 참조 빔으로 조사하여, 회절에 의해, 원본 데이터 페이지 파면의 재구성을 일으킨다. 회절된 빛은 렌즈(24)를 사용하여 검출기 어레이(20)(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어레이)에 상을 형성한다. 이때, SLM으로부터 제 1 렌즈(22)까지의 거리는 이 렌즈(22)의 초점 거리와 일치하고, 이것은 렌즈(22)에서 매체(110)까지의 거리, 매체(110)에서 제 2 렌즈(24)까지의 거리와, 제 2 렌즈(24)에서 검출기 어레이(20)까지의 거리와 같아, 소위 4f 배치를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매체는 대략 S=(Kλ/NA)2인 스폿 크기 S를 갖고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이때 K2은 SLM에 있는 픽셀의 수이고, λ는 빛의 파장이며, NA=sinΘ는 사용된 렌즈의 개구율이다. 그러나, 이 초점을 통과하는 강도 분포는 균일하지 않으며, λ/NA의 피크 폭을 갖고 큰 피크를 형성하며 강도는 K4에 비례한다. 사실상, 강도 분포는 SLM에 맺힌 상의 푸리에 변환이며, 비제로 DC 푸리에 성분으로부터 피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피크는 피크들 중에서 어떤 것이 '1'이고 어떤 것이 '0'인지에 대한 정보를 갖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구나, 이와 같은 피크의 강도(∼K4)는 주변 강도(∼K2)보다 큰 크기를 가지므로, 매체를 태우고, 및/또는 굴절률 변조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안는 비선형성을 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가장 일반적인 해결책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홀로그래픽 기록층을 초점을 정확히 맞추지 않고 초점을 벗어나게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물체가 편심으로 놓이므로, 광학계는 비대칭이 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이에 따라 도입되는 추가적인 파면수차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완전한 대칭 설계에서는, 코마수차와 왜곡이 완전히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칭 설계가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또 다른 종래의 방법은, SLM(18) 근처에 랜덤 위상판(random phase plate: RPP)(150)을 사용하는 것이다(참조: 예를 들면, H.J. Coufal et al, Holographic Data Storage, Springer Verlag(Berlin, 2000), pp 259-269). SLM의 각 픽셀에 대해 위상판에 의해 0 내지 2π의 랜덤한 위상이 도입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온(on)' 픽셀의 가간섭성(coherent) 가산으로부터 날카로운 피크의 강도가 발생한다. 이들 픽셀 각각에 랜덤한 위상이 주어지면, 가간섭성의 가산이 가산되어 제로값이 됨으로써 피크가 사라진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랜덤 위상판의 문제점은, 위상판이 없을 때에 비해 위상판을 사용할 때 저장밀도가 상당히 작아진다는 것이다. 초점이 맞았을 때의 저장 면적 S는 SLM-RPP 조합으로부터 회절된 빛의 각도 분포 θdiff와 제 1 렌즈의 초점거리 f에 의해 결정되는데, 즉 S=∼(θdiff*f)2이다. SLM만의 경우에는, θdiff=∼(λ/dSLM)이며, 이때 dSLM은 SLM의 픽셀 크기이다. SLM과 랜덤 위상판의 조합의 경우에는, θdiff=∼(λ/dSLM)+(λ/dRPP)로서, 이때 dRPP는 랜덤 위상판의 '픽셀' 크기이다. 빛이 SLM과 위상판 모두로부터 회절된다. 명백하게, dRPP=dSLM일 때, 관련된 저장 면적이 위상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당히 커져, 이것이 더 작은 저장밀도를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파면수차를 도입하지 안고서, 그리고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의 저장밀도를 상당히 줄이지 않으면서, 바람직하지 않은 DC 푸리에 성분을 없애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량예와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공간 광 변조기(SLM)와 위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제 1 픽셀 구조를 갖고, 상기 위상판은 제 2 픽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 구조가 서로 정렬되고, 상기 제 2 픽셀 구조의 피치는 상기 제 1 픽셀 구조의 피치의 정수 배수이고, 상기 정수 배수가 정확하게 1보다 크다. "피치"라는 용어는 픽셀 영역들 내부에서 동일한 상대 위치를 갖는 픽셀 구조들의 인접하는 픽셀 영역들에 있는 2개의 지점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다. 따라서, 위상판의 픽셀 크기는 공간 광 변조기의 픽셀 크기에 비해 상당히 더 크다. 그러나, 공간 광 변조기의 각 픽셀에 대해, 위상이 균일해야 하는데, 즉 공간 광 변조기의 인접하는 픽셀들 사이의 접속점(junction)과 다른 위치에서는 위상 전이가 허용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픽셀들의 2개의 부분에서 발생된 빛이 검출기에서 간섭하여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픽셀에 대해 검출기 어레이에서 검출된 강도가 높아야 하였음에 불구하고 낮은 값을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픽셀 구조의 정렬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위상 전이가 SLM 픽셀 구조의 가장자리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수 배수는 32보다 작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수 배수는 2 내지 16의 값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정수 배수는 8이다.
정수 배수의 선택은 특정한 요구사항에 의존한다. 정수 배수에 대해 큰 값을 선택하는 것은 검출기 어레이의 강도 스펙트럼에서 피크의 유리한 분리를 발생하지만, 정수 배수의 작은 값은 DC 푸리에 성분의 더 양호한 감소를 일으킨다. 따라서, 공간 필터 특성을 고려하면, 정수 배수의 최적값은 강도 스펙트럼에서의 피크 분리와 DC 푸리에 성분의 바람직한 축소에 관한 상쇄 효과의 평가 결과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판의 픽셀 구조는 제 1 디지털 값을 표시하는 제 1 세트의 픽셀과 제 2 디지털 값을 표시하는 제 2 세트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에 있는 픽셀들의 수가 기본적으로 상기 제 2 세트에 있는 픽셀들의 수와 동일하다. 이에 따르면, 단지 2가지 위상, 0 및 π를 갖는 이진 위상판이 제안된다. 이것은 0 내지 2π 사이의 임의의 값을 갖는 "연속적인" 위상판과 대조적이다. 이와 같은 이진 위상판은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위상판을 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마스터는 몇 개의 공정단계들, 즉 기판 상에의 포토레지스트의 스핀코팅, 적절한 패턴을 사용한 구조의 조사와, 이진 구조의 에칭으로 용이하게 제조된다. 이와 같은 위상판을 균형있게 제조함으로써, 즉 이 위상판에 0 위상 및 π 위상의 다소의 동등한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위상의 가간섭성 가산이 합쳐져 제로값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판의 픽셀 구조는 의사랜덤(quasi-random)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위상판은 종래기술에서 제안된 것과 같은 랜덤 위상판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판의 픽셀 구조는 정렬된 구조이다. 랜덤 위상판과 달리, 정렬된 위상판은 일종의 규칙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위산판은 위상이 0 내지 π 사이에서 교번하는 위상 격자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정렬된 구조의 경우에, DC 푸리에 성분이 격자의 서로 다른 회절 차수로 회절된다. 이것은, 빛이 다수의 별개의 회절 차수로 회절되지 않고, 상당한 각도 범위에 걸쳐 희미해지는 랜덤 위상판과 다르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상판은 공간 광 변조기에서 분리된 위상판으로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상판이 상기 공간 광 변조기와 일체화된다. 공간 광 변조기와 일체화된 위상 마스크의 경우에는, 픽셀 구조의 매우 정확한 배치가 일체화 구조에 근거하여 가능하며 이에 근거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체화 구성을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위상판이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공간 광 변조기(SLM)와 위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제 1 픽셀 구조를 갖고, 상기 위상판은 제 2 픽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 구조가 서로 정렬되고, 상기 제 2 픽셀 구조의 피치는 상기 제 1 픽셀 구조의 피치의 정수 배수이고, 상기 정수 배수가 정확하게 1보다 크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판을 갖는 공간 광 변조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위상판을 갖지 않는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위상판을 갖는 장치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다양한 위상판에 대한 강도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위상판을 갖는 공간 광 변조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판(50)을 갖는 공간 광 변조기(18)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위상판(150)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위상판(50)은 공간 광 변조기의 각 픽셀에 대해 그것의 위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픽셀들의 더 큰 블록들에 대해 위상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예의 경우에는, 위상 마스크의 피치가 공간 광 변조기의 피치보다 몇배 더 큰지에 대한 정수 배수가 4이다. 이때, 픽셀 구조의 변화를 1차원으로만 나타내었다. 수직 방향의 치수의 변화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위상판 피트 구조의 가장자리가 변조기 피트 구조의 가장자리와 정렬되는데, 즉 공간 광 변조기의 픽셀 내에서 변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때, 위상판의 픽셀 구조의 피치가 어느쪽 치수에서도 일정하거나 변동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 더 주목하기 바란다.
도 2는 위상판을 갖지 않는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위상판을 갖는 장치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초점을 통과한 거리를 x축에 표시하였으며, 강도를 y축에 표시하였다. (a)로 표시한 강도 분포는 위상판을 사용하지 않은 분포인 반면에, (b)로 표시한 분포는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위상판을 사용한 것이다. 곡선 (a)는 가파른 피크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곡선 (b)는 강한 피크를 나타내지 않 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근거하여 DC 푸리에 성분이 억제된다.
도 3은 다양한 위상판에 대한 강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다양한 강도 스펙트럼들은 모두 이중의 피크 구조를 갖는데, 이들 피크 중에서 한 개는 디지털 '0'을 표시하고 나머지 한 개는 디지털 '1'을 표시한다. 곡선 (a)는 위상판을 사용하지 않은 장치에 해당한다. 곡선 (b)는 위상판 픽섹 구조와 변조기 픽셀 구조 사이에 1의 정수 배수를 갖는 위상판, 즉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에 해당한다. 곡선 9c), (d) 및 (e)는 각각 2, 4 및 8의 피치 비율에 해당한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위상판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피크들은 서로 떨어져 있다. 이에 반해, 종래기술에 따른 위상판을 갖는 공간 관 변조기, 즉 1의 피치 비율을 사용한 공간 광 변조기에 대해서는, 피크들이 비교적 중첩하는 거동(곡선 (b))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검출기 어레이 상에서 '0'과 '1'을 구별할 수 잇기 위해 필요한 초점 평면의 영역을 표시하는 나이키스트 한계(Nyquist limit)의 1.125배의 주어진 공간 필터에 대해서는, 곡선 (b)의 경우에 값들 '0'과 '1'을 잘 구별할 수 없어, 다량의 비트 검출 에러가 도입된다. 이것은 공간 필터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지만, 이것은 저장용량을 희생해야 한다. 그 대신에, 위상판의 피치 비율을, 예를 들어 1(곡선 (b))로부터 8(곡선 (e))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8의 피치 비율에 대해, 비트 에러 레이트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은 저장용량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DC 푸리에 성분의 사라짐 효과(smearing out effect)는 더 작은 피치 비율에서 더 잘 작용하므로, 이것은 피치 비율이 더 큰 값으로 증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 는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이와 관련하여, 피치 비율을 무한대로 증가시키는 어떤 구조도 갖지 않은 위상판을 제공하므로, 큰 DC 푸리에 성분을 갖는 위상판을 사용하지 않는 공간 광 변조기에 대응한다. 이 결과, 주어진 특정한 장치에 대해 피치 비율에 대한 최적값을 결정해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등가물 및 변형물이 채용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공간 광 변조기(SLM)(18)와 위상판(50)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제 1 픽셀 구조를 갖고, 상기 위상판은 제 2 픽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 구조가 서로 정렬되고, 상기 제 2 픽셀 구조의 피치는 상기 제 1 픽셀 구조의 피치의 정수 배수이고, 상기 정수 배수가 정확하게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수가 3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수가 2 내지 16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수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판(50)의 상기 픽셀 구조는 제 1 디지털 값을 표시하는 제 1 세트의 픽셀과 제 2 디지털 값을 표시하는 제 2 세트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에 있는 픽셀들의 수가 기본적으로 상기 제 2 세트에 있는 픽셀들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판(50)의 픽셀 구조는 의사랜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판(50)의 픽셀 구조는 정렬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판(50)은 상기 공간 광 변조기에서 분리된 위상판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판이 상기 공간 광 변조기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10.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위상판으로서,
    상기 장치는 공간 광 변조기(SLM)(18)와 위상판(50)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제 1 픽셀 구조를 갖고, 상기 위상판은 제 2 픽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 구조가 서로 정렬되고, 상기 제 2 픽셀 구조의 피치는 상기 제 1 픽셀 구조의 피치의 정수 배수이고, 상기 정수 배수가 정확하게 1보다 큰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위상판.
KR1020087026065A 2006-03-29 2007-03-29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 KR20080113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300301 2006-03-29
EP06300301.6 2006-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084A true KR20080113084A (ko) 2008-12-26

Family

ID=3829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065A KR20080113084A (ko) 2006-03-29 2007-03-29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84814A1 (ko)
EP (1) EP2002435A1 (ko)
JP (1) JP2009535657A (ko)
KR (1) KR20080113084A (ko)
CN (1) CN101496103A (ko)
TW (1) TW200801865A (ko)
WO (1) WO2007110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28653A1 (en) * 2007-08-21 2009-02-25 Deutsche Thomson OHG Phase mask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EP2267703A1 (en) * 2009-06-11 2010-12-29 Thomson Licensing Phase mask for a holographic storage system
CN110060707B (zh) * 2018-01-18 2020-09-01 青岛泰谷光电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讯号的编码方法和存取方法以及全像储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480A (en) * 1976-02-18 1980-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olographic playback system using a charge storage sensor and binary decoding
US5995251A (en) * 1998-07-16 1999-11-30 Siros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HUP0000518D0 (en) * 2000-02-04 2000-04-28 Method of placing data signals onto a carrie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holographic recording and read-out of data
US6958967B2 (en) * 2000-11-17 2005-10-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olographic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6798547B2 (en) * 2001-10-09 2004-09-28 Inphase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holographic multiplexing
US6697180B1 (en) * 2002-08-09 2004-02-24 Inphase Technologies, Inc. Rotation correlation multiplex holography
JP4007267B2 (ja) * 2003-07-15 2007-11-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ホログラム記録方法及びホログラム記録装置
JP4175204B2 (ja) * 2003-07-15 2008-11-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ホログラム消去方法及びホログラム消去装置
JP2005165033A (ja) * 2003-12-03 2005-06-23 Sony Corp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US7656768B2 (en) * 2004-01-27 2010-02-02 Micron Technology, Inc. Phase masks for use in holographic data storage
JP2005292765A (ja) * 2004-03-09 200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ホログラムメモリ媒体および記録装置、再生装置
JP2006276373A (ja) * 2005-03-29 2006-10-12 Sony Corp ホログラム記録装置及び位相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84814A1 (en) 2009-11-19
CN101496103A (zh) 2009-07-29
TW200801865A (en) 2008-01-01
JP2009535657A (ja) 2009-10-01
EP2002435A1 (en) 2008-12-17
WO2007110845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6890B2 (ja) ホログラム記録方法及びホログラム記録装置
US7952975B2 (en) Optical reproduction device,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optical reproduction method
JP6138982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装置及びそのデータの読み取り方法
US8031383B2 (en) Common aperture holographic storage system with reduced noise
KR20080113084A (ko) 홀로그래픽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와 위상판
US7876482B2 (en) Method for wavelength mismatch compensation in a holographic storage system
JP2006220933A (ja) ホログラフィを利用した光学的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4883637B2 (ja) アポダイゼーション・フィルタを有するホログラフィック・ストレージ・システム
TWI417882B (zh) 全像儲存系統及全像資料儲存方法
JP2007286621A5 (ko)
WO2008039156A1 (en) Optical focusing system and method
JP2009205792A (ja) 反射型同一線上ホログラフィック記憶システム
TWI571869B (zh) 全像裝置與其資料讀取方法
JP5091993B2 (ja) 光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830989B2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ホログラム再生装置、ホログラム記録方法及びホログラム再生方法
JP5040482B2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ホログラム再生装置、ホログラム記録方法及びホログラム再生方法
JP2005352097A (ja) ホログラム記録方法、ホログラム再生方法、ホログラム記録装置、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90279407A1 (en) Setup for storing data in a holographic storage medium
Contrera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age-oriented “holographic” memory based on a Lippmann architecture
JP2010140594A (ja) 改善されたビームオーバーラップを有するホログラフィック記憶システム
JP2007187775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装置
JP2009048683A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方法
JP2009099225A (ja) 多値情報記録方法および多値情報記録装置
Li Quantitative Data Extraction using Spatial Fourier Transform in Inversion Shear Interferometer
JP2009099226A (ja) 多値情報再生方法および多値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