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390A - 박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박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390A
KR20080112390A KR1020087028176A KR20087028176A KR20080112390A KR 20080112390 A KR20080112390 A KR 20080112390A KR 1020087028176 A KR1020087028176 A KR 1020087028176A KR 20087028176 A KR20087028176 A KR 20087028176A KR 20080112390 A KR20080112390 A KR 2008011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strate
electrode
display device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타에 시노다
마나부 이시모토
겐지 아와모토
히토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시노다 프라즈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노다 프라즈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노다 프라즈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2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390A/ko
Publication of KR2008011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2Manufacture of cathodes
    • H01J2209/022Cold cathodes
    • H01J2209/0223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9/0226Sharpening or resharpening of emitting point o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발광부와 이 발광부를 구동하여 발광시키기 위한 전극을 형성한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부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전극기판재료의 선택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유연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 자체를 유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의 공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 공정 내지는 제조라인 등에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추가로, 발광부, 전극기판 등의 부품 레벨에서의 성능의 양부 판단이 가능하게 되어, 표시장치의 생산에 있어서의 코스트 저하를 실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박형 표시장치{THIN-SHAP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발광부와 이 발광부의 소정 부위를 구동하는 전극 등을 가진 기판을 개별적으로 구성하고, 발광부와 기판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박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대형화면 또한 박형의 표시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종래의 이것들 표시장치에서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으로, 액정 또는 방전공간을 봉지한 구조임과 동시에, 이것들의 전면기판, 배면기판에 소망하는 소자를 선택, 구동하기 위한 전극 등을 배치하고,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배면기판 상에 TFT 등의 회로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또, PDP에서는 한쪽 기판에 각 화소를 규정하기 위한 격벽을 구성하고, 형광체를 도포, 소성하고 있다.
즉, 종래의 대형화면이면서 박형의 표시장치를 실현시키고 있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나, PDP에서는 전면기판 또는 배면기판에 표시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 등을 형성하고, 양 기판 내에 액정이나 방전가스 및 형광체를 봉지한다, 말하자면, 표시 기능부재를 기판에 순차적으로 만들어 가는 적층방법을 채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적층방법에서는 전극이나 화소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기판에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 자체가 최종적으로 화면을 완성할 때까지의 제조 공정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두꺼워지게 되고, 표시 패널이 무거워 지게 되는 동시에,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액정표시장치, PDP 이외의 표시장치로서, 일렉트로 루머넌스(EL)의 원리를 이용한 EL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6320호에는 발광체로서의 EL소자를 배치하는 필름 상의 절연기판에, EL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극을 형성한 플렉시블한 EL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EL 표시장치의 전극도 절연기판에 형성된 것이다.
이 EL 표시장치는 플렉시블하기는 하지만, 절연기판 상에 EL소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기판을 제작한 후에 발광부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 다는 큰 제약을 받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박형 표시장치는 발광체 내지는 발광부는 기판과 일체화하여 제조하는 적층방법으로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을 구부리기에는 너무 강한 두께의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연속한 공정에서 표시패널을 제조하여야만 한다는 제조공정상의 큰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6320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박형 표시장치에서는 화면을 구부리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대형화면에서는 과대한 무게가 되어, 표시화면의 제조공정에 자유도가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것들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표시장치의 발광부와, 이 발광부의 소정의 위치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극을 형성한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그 후에 이것들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접착제, 압착, 또는 흡착 등으로 접합하면 된다는 기술사상을 얻고, 이것을 기초로, 상기 과제를 해결한 박형 표시장치를 얻기에 이르렀다.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부를 형성하는 기판에 얇은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개별적으로 작성하는 전극기판의 기판재료의 내열성 등의 선택범위가 확대되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유연한 재료를 기판재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 및 전극기판을 가요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플렉시블한 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전극기판 작성 후에 발광부를 형성해야만 한다는 제조상의 제약은 없어지고, 또 발광부, 전극기판 등의 개개의 부품레벨에서의 성능평가가 가능하게 되므로, 이 부품레벨에서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종래의 연속한 제조방법에 비해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코스트 삭감의 효과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1측면에서는 발광층과 그 발광층의 전면측에 전면기판을, 배면측에 배면기판을 구비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을 가지고, 상기 전극기판은 상기 전면기판 또는 상기 배면기판의 적어도 한쪽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기판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상기 전극기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전극기판이 접착층을 통해서 접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다른 측면에서는, 발광부를 방전가스와 형광체층을 가지는 발광층의 전면측에 전면기판을, 배면측에 배면기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전면 기판측에 배치되고, 전극을 가지는 전면 전극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측에 배치되고, 전극을 가지는 배면 전극기판과를 가지고, 상기 전면 전극기판 또는, 상기 배면 전극기판의 적어도 한쪽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면 전극기판에는 복수의 유지 전극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 전극기판에는 어드레스 전극이 복수 형성하고, 3전극면 방전형 PDP의 구성도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복수의 발광부를, 서로 접촉시켜 평면상으로 배치한 발광부 모듈과, 상기 복수의 발광부 모듈의 전면측에 전극을 구비한 전면 전극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부 모듈의 배면측에 전극을 구비한 배면 전극기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는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대형화면을 제작하기 용이한 발광부를 복수 배열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 발광층 전면측의 전면기판, 배면측의 배면기판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유리기판으로서, 상기 발광부를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두께는 0.2㎜ 정도,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고, 또 발광층을 형성하는 등의 강도 상, 30㎛ 이상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를 구동해서 발광시키기 위한 전극을 형성한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발광부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전극기판의 기판재료의 선택범위가 확대되어, 유연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 자체를 유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의 공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게 되고,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 공정 또는 제조라인 등에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추가로, 발광부, 전극기판 등의 부품 레벨에서의 성능의 양부 판단이 가능하게 되어, 표시장치의 생산에 있어서의 코스트 저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발광부를 배열하고, 대형 화면화를 용이하게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발광층에 무기 형광체 재료를 사용한 표시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접착층으로 접착하는 구성을 가지는 표시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광층이 가스방전을 이용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표시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발광층이 가스방전을 이용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박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발광부의 부재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진공챔버 내에서의 발광부의 개략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발광부의 개략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발광부 모듈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발광부 모듈과 전면 전극기판, 배면 전극기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발광부 사이의 접합부와 비발광 영역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발광부에 사용하는 파티션 프레임의 개략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파티션 프레임의 홈 단면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파티션 프레임의 홈에 형광체 칩을 배치하는 구조의 발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발광부 12 전면기판
20 발광층 30 기판
32 전극 40 기판
42 전극 50 접착층
52 접착층 100 발광부
102 전면기판 104 배면기판
120 형광체 122 방전가스
124 리브 135 유지 전극쌍
142 어드레스 전극 200 표시장치
300 단부기판 302 실링재
304 실링재 350 발광부 모듈
352 접착층 354 접착층
400 파티션 프레임 412, 414,416 홈
602 파티션 프레임 640, 650, 660 형광체 칩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발광부(10)은 발광층(20A, 20B, 20C)은 예를들면, 적색, 녹색,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발광층의 전면 및 배면에 기판(12, 14)을 가지고,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발광층(20A, 20B, 20C)을 인쇄 법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이 각 발광층, 예를들면 발광층(20A)는 ZnS:Sm, Cl, ZnS:Mn등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층이고, 발광층(20B)은 ZnS:Tb, F, caS:Ce등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층이고, 발광층(20C)은 ZnS:Tm, F 등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층이다. 또, 기판(12, 14)의 재료는 무기절연재료이고, 유리나, 배면측에 위치하는 기판에는 세라믹 등의 비광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기판(12, 14)에는 절연층이나 유전체층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고, BaTi03, Ta205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광부(10)를 유연하게 굽힘 가능하도록 0.2㎜ 이하의 두께의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하 30㎛ 이상이라면, 유연성을 더욱 얻을 수 있고, 또 제작상의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발광부(10)의 전면측을 도 1에서는 기판(30)측으로 하지만, 기판(30)에는 발광부(10)에 접촉하는 측에 전극(32)을 발광층(20A, 20B, 20C)과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하고 있다. 한편 발광부(10)의 배면측을 도 1에서는 기판(40)측으로 하지만, 기판(40)에는 발광부(10)에 접촉하는 측에 전극(42)을 발광층(20A, 20B, 20C)에 따른 방향에 형성하고 있다.
기판(30)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투명전극 ITO막이나 NESA막으로 전극(3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두께 12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판(40)은 마찬가지로 PET를 사용할 수 있지만, 광 투과성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극(42)은 광 투과성은 반드 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므로, 도금이나,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에 접착된 동박 등의 금속층을 에칭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의 전극(42)으로 형성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또, 전극(32, 42)등의 피치, 발광층(20A, 20B, 20C)등의 피치는 시각거리, 화면 사이즈, 화소 사이즈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 가능하다. 발광층(20A, 20B, 20C)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정도일 수 있지만, 구동전압이나 발광강도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발광부(10)와 기판(30) 및 기판(40)을 접착층(50) 및 접착층(52)을 사용해서 접합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착층(50)은 광 투과성이며, 상온에서 연질의 에폭시 수지, 광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접착층(52)도 마찬가지로, 상온에서 연질의 에폭시 수지, 광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일반의 점착을 가지는 필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접착층(50) 및 (52)는 액상 접착제 이외에, 시트상의 접착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기판(12) 및 (14)과 기판(30) 및 (40)을 각각 대전시키고, 정전기에 의해 흡착시키는 방법은 발광부(10)가 대면적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기판(12) 및 (14)과 기판(30) 및 (40)을 각각 가압함으로써, 기판(12)과 기판(30) 사이, 기판(14)과 기판(40) 사이를 밀착시켜서 대기압에 의해, 서로 가압해서 접합하는 방법일 수도 있고, 또한, 전면측, 배면측의 접합방법이 다를 수도 있으며, 또, 발광부(10)의 주변부만을 에폭시 수지 등으로 기판(30) 및 (40)과 접착하고, 주변부 이외는 상기의 다른 접합방법을 병용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형태]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발광부가 가스방전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발광부(100)는 전면기판(102)과 배면기판(104) 사이에 리브(124)을 가지고, 각 리브(124) 사이에는 방전가스(122)가 봉지되는 동시에, 형광체(120A, 120B, 120C)이 차례로 배치되고, 각 형광체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전면기판(102) 및 배면기판(104)은 도 1내지 도 2의 기판(12, 14) 과 마찬가지로 0.1㎜ 이하 30㎛ 이상의 유리기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기판(102)은 광 투과성의 유리기판이 바람직하지만, 배면기판(104)은 광 투과성이 없어도 좋고, 안료를 포함하는 유리기판일 수도 있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전면기판(102) 및 리브(124)와 방전가스(122)가 접촉하는 면에는 방전 시에 발생하는 플라즈마로부터 보호를 위해서 Hg0막 등의 보호막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기판(102)측에는 전면 전극기판(130)이 배치되고, 이 전면 전극기판(130)의 전면기판(102)에 접촉하는 측에, 형광체(120A, 120B, 120C)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극(132, 133)을 쌍으로 하는 유지 전극쌍(135)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 전극쌍(135)과 유지 전극쌍(135)의 사이에는, 전극(132, 133) 사이의 거리보다도 긴 비발광 영역(137)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기판(104)측에는 배면 전극기판(140)이 배치되고, 이 배면 전극기판(140)의 배면기판(104)에 접촉하는 측에, 형광체(120A, 120B, 120C)의 길이방향을 따른 방향에 어드레스 전극(142)이 형 성되어 있다.
전면 전극기판(130)은 전면기판(102)과 마찬가지로, 광 투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투명전극 ITO막이나 NESA막으로 전극(13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두께 12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면 전극기판(140)은 마찬가지로 PET를 사용할 수 있지만, 광 투과성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142)은 광 투과성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으므로, 도금이나,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에 접착된 동박 등의 금속층을 에칭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의 전극(142)으로 형성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도 3에 있어서, 발광부(100)와 전면 전극기판(130), 및 배면 전극기판(140)의 접합방법은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기에 나타내는 구성도 실시 가능하다.
(1)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을 가지는 발광층과 표시용 전극을 가지지 않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적어도 한 쪽 측에 접촉하여 발광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부와 전극기판이 각각 독립하고, 또한, 전극기판은 굽힘 가능한 유기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적어도 한 쪽 측 에 접촉하고, 발광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부가 최박부의 두께가 0.1㎜ 이하인 기판과, 그 기판상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전극기판을 굽힘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양측에 접촉하고, 발광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부가 두께 0.1㎜ 이하인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전극기판이 굽힘 가능하고, 전극기판의 적어도 한쪽이 투광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적어도 한 쪽 측에 접촉하고, 발광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부가 얇은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이루어지고, 발광부와 전극기판 사이에 접착층을 가지며, 또한, 전극기판이 구부리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양측에 접촉하고, 발광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부가 얇은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이루어지고, 발광부와 전극기판 사이에 접착층을 가지며, 또한, 전극기판이 굽힘 가능하고, 전극기판의 적어도 한쪽이 투광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상기의 발광층이 방전가스와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표시장치.
(7) 상기의 발광부가 형광체층과 유전체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을 가지는 발광층과 전극을 가지지 않는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적어도 한쪽 측에 접촉하여 발광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며, 또한 굽힘 가능한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것들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그것들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9)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의 적어도 한 쪽 측에 접촉하고, 발광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부가 최박부의 두께가 0.1㎜ 이하인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층과, 또한, 굽힘 가능한 전극기판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0) 복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그 발광층의 양측에 접촉하고, 발광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발광층이 두께 0.1㎜ 이하인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전극기판이 굽힘 가능하고, 전극기판의 적어도 한쪽이 투광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제 3의 실시형태]
다음에, 도 3에 나타낸 표시장치를 사용한 박형 표시장치와 주변회로를 조합시킨 표시장치(200)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표시장치(200)에는, 구동 유닛(500)이 접속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전극쌍(135)은 표시화면의 행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유지 전극쌍(135)은 스캔/서스테인 Y전극과 서스테인 X전극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 유지 전극쌍(135)과 어드레스 전극(142)이 교차하는 영역을 셀이라고 칭하고, 각 셀의 내에서 유지 전극쌍(135) 사이의 방전에 의해 발광시켜야 할 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스캔/서스테인Y전극은 행단위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스캔전극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어드레스 전극(142)은 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열단위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동유닛(500)은 컨트롤러(512), 데이터 처리회로(514), X드라이버(516), 스캔 드라이버(518), Y공통 드라이버(520),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522) 및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는 전원회로 등을 가지고 있다. 구동유닛(500)에는 TV튜너,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휘도레벨(계조 레벨)(컬러표시의 경우에는 R, G, B의 각색의 휘도레벨)을 나타내는 화소 단위의 필드데이터(DF)가, 각종 동기신호와 함께 입력된다. 이 필드 데이터(DF)는 데이터 처리회로(514)에 있어서의 프레임 메모리(524)에 일단 수납된 후, 계조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가 된 후에 프레임 메모리(524)에 수납되고, 적시, 어드레스 드라이버(522)로 전송된다.
X드라이버(516)는 모든 X전극에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스캔 드라이버(518)는 셀의 선택에 있어서 각스캔/서스테인 Y전극에 개별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Y 공통 드라이버(520)는 선택된 셀에서의 점등유지 시에 모든 스캔/서스테인 Y전극에 일괄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제 4의 실시형태]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광부의 제조방법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5 내지 도 7은, 면방전 3전극형의 PDP구조에 유사한 박형 표시장치이다. 도 5에서는 발광부(100)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면기판(102), 배면기판(104), 리브(124), 단부기판(300)에는 유리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또, 도 5에는 단부기판(300)을 1장만을 나타냈지만, 도면 앞쪽에도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는 단부기판(300)이 설치된다. 각 형광체(120A, 120B, 120C)을 구획하거나, 또 전면기판(102)과 배면기판(104)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배면기판(104) 상에 리브(124)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리브(124)는 전면기판(102) 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전면기판(102), 배면기판(104), 리브(124), 단부기판(300)의 두께는 0.1㎜ 이하 30㎛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리브(124)의 두께는 도면에 나타낸 A방향으로의 구부리기 용이함에는 영향이 적으므로, 0.2㎜ 정도일 수도 있다. 또, 리브(124)의 높이는 50∼200㎛이 바람직하지만 이 높이는 소망하는 발광강도, 사용 인가전압 등에 의해 적시, 선택 가능하다. 이 배면기판(104)과 리브(124)를 저융점 유리 등으로 접착할 수도 있고, 또, 일체성형에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샌드블라스트법, 에칭법, 배면기판(104)에 저융점 유리로 접착하는 접착법일 수도 있다. 또한 연화시킨 유리를 도면에 나타낸 형상으로 직접 성형하는 스탬프법이나 레플리카법, 또는, 모재유리를 거의 상사형(conformable shape)으로 형성하고, 연화시킨 상태에서 다운로드법, 재드로잉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기판(104)과 리브(124)를 일체화하고, 그 리브(124) 사이에 형광체(120A, 120B, 120C)를 소정량 도포하고, 건조시켜, 발광부(100)의 양단의 리브(124)의 말단부에 실링재(302)(예를 들면 일본전기글래스사 제품, LS-3075등)을 도포해 둔다. 이 단계에서, 전면기판(102)을 양단의 리브(124)와 위치를 맞추어서 포개고, 실링재(302)를 용융시켜서, 전면기판(102)과 리브(124)를 고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다음에 설명하는 진공챔버 내에서 접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이 전면기판(102)을 도면에 나타낸 양단의 리브(124)와 고착하는 이외에, 다른 리브(124)의 말단부와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124)의 말단부에 실링재(302)를 도포하는 경우에, 말단부 전역에 도포 할 수 있지만, 형광체(120C)에로의 유입을 피하기 위해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124)의 두께방향의 일부분에 실링재(302)를 도포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도 5의 점선 원(B) 및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면기판(104)의 단부(도시의 앞쪽, 및 내측의 단부), 및 양단의 리브(124)의 단부(4부위)에도, 실링재(304)를 도포한다.
이 단계에서는 발광부(100)의 단부기판(300)은 아직, 전면기판(102), 배면기판(104) 및 양단의 리브(124)와는 고착되어 있지 않다.
이 실링재(304)를 도포한 후에, 전면기판(102), 단부기판(300)을 접착하지 않는 상태의 발광부(100')를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면기판(102), 단부 기판(300)이 아직 부착되어 있지 않는 발광부(100')는 진공챔버(310) 내에 진공으로 배치되고, 진공챔버(310) 내를 배기하고, 발광부(100') 내의 가스, 습기 등을 제거한다. 다음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는 가스봄베로부터 배관 등을 통해서 진공챔버(310) 내에 방전가스를 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온가스와 크세논가스를 혼합한 것을 방전가스(Ne-Xe가스)로 하고 있다.
이 방전가스가 발광부(100') 내에 충전된 후, 도 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면기판(102), 2장의 단부기판(300)을 미봉지의 발광부(100)의 상면, 양단(도면 앞쪽, 및 내측의 단면)에 실링재(304)를 사용해서 고착하고, 발광부(100)를 완전하게 봉지한다. 이 2장의 단부기판(300)의 고착은 진공챔버(310) 내에서 실시하지만, 주지의 기술에서 단부기판(300)을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이동, 가압하고, 진공챔버(310) 내부온도를 실링재(304)의 용융온도로 소정시간 유지하고, 그 후에 진공챔버(310) 내의 온도를 낮추어 단부기판(300)을 고착시키는 것은 용이하다. 실링재(304)가 고착한 상태를 도 6d에 나타낸다.
도 7에 완성한 발광부(100)의 개략 외형도를 나타낸다.
[제 5의 실시형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5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은 발광부(100)를 평면상으로 9장 배열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배열된 9장의 발광부(100)로 구성되는 발광부 모듈(350)의 양면에 전극기판을 배치하는 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 3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 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발광부(100), 전면 전극기판(130), 및 배면 전극기판(140)의 부분도를 나타냈지만, 도 9는 발광부(100)가 9장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 모듈(350)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발광부 모듈(350)의 전면측에 부착되는 전면 전극기판(130)의 발광부 모듈(350)에 접촉하는 면(도시한 전면 전극기판(130)의 이면측)에는 발광부 모듈(350)의 종횡의 크기가, 거의 동일한 접착층(3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발광부 모듈(350)의 배면측에 부착할 수 있는 배면 전극기판(140)의 발광부 모듈(350)과 접촉하는 면에는 접착층(3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착층(354)의 종횡의 치수도, 발광부 모듈(350)의 종횡의 치수에 거의 일치시키고 있다.
이것들 전면 전극기판(130) 및 배면 전극기판(140)은 발광부 모듈(350)과 접착된다. 접착된 후의 점선 원(D)로 나타낸 발광부(100) 사이의 상세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서 발광부(100A)와 발광부(100B)는 각각의 단부기판(300)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있고, 이 단부기판(300)이 접촉하는 부위는 유지 전극쌍(135) 사이의 비발광 영역(137)의 중앙부근에 위치하도록 전면 전극기판(130)은 발광부 모듈(350)에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비발광 영역(137)의 위치와, 발광하기 어려운 단부기판(300)의 위치를 맞추도록 하였으므로, 복수의 발광부(100)를 인접해서 배치하여도, 이 접합부위가 표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부(100)를 복수 매 배치해서 사용하여도, 접합부위가 보이지 않으므로, 위화감이 없는 대형화면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6의 실시형태]
다음에, 도 11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발광부(100)에 사용하는 부재에 대해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발광부(100)의 각 형광체(120A, 120B, 120C)의 사이나, 도 5에 나타낸 발광부(100)의 단부기판(300)을 보다 적은 수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a는 도 5에 나타낸 발광부(100)의 리브(124)와 단부기판(300)을 일체화한 파티션 프레임(4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파티션 프레임(400)의 사시방향은 도 5의 사시방향과 같다. 도 11a에 있어서, 홈(412, 414, 416)에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형광체가 도포된다. 이 도 11a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B방향의 각 홈의 폭은 같을 수도 있고, 발광효율(발광강도)가 좋은 형광체를 도포하는 홈의 폭은 좁게 하고, 발광효율(발광강도)이 떨어지는 형광체의 홈의 폭은 넓게 하도록 파티션 프레임(4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홈의 폭을 바꿀 때에, 홈(412)과 홈(414)의 피치, 홈(414)과 홈(416)의 피치, 홈(416)과 인접하는 홈(412)의 피치를 각각, 바꾸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이것들 홈간의 피치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1a에 있어서는, 이 홈이 10열, 2행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 홈의 열의 수는 3×(2의 거듭제곱)열이 바람직하고, 또, 도면에서는 파티션 (408)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파티션(408)은 없어도 좋고. 또한 표시장치의 화소수에 상당해서 다수 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벌집 형상으로 각 화소별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각 홈(412, 414, 416) 사이는 리브(406)를 형성하고, 파티션 프레임(400)의 주변부는 프레임부(404, 40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a에 나타낸 파티션 프레임(400)의 평면 부분도를 도 11b에 나타낸다. 도 11b 중에 나타낸 AA선에서의 단면형상을 도 11c 에 나타낸다.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412, 414) 또는 (416)의 리브(416)의 단면형상은 스커트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스커트 벽에 형광체를 도포하지만, 이 형상에 의해 도포량을 적게 하는 동시에, 매끈매끈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홈의 저면에까지 형광체가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파티션 프레임(400)의 홈 형상으로서 도 11c의 단면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을 도 12a, 도 12b, 도 12c에 나타낸다. 도 12a에 나타내는 홈 형상은 리브에 상당하는 파티션(432)의 저부를 연결시키고, 요부 상단면의 홈(430)을 나타낸다. 도 12b는 리브에 상당하는 파티션(442)이 저부(444)와 직교하는 단면형상의 홈(440)이고, 홈(430 )및 (440)의 경우에는, 도 11c에 나타낸 구멍(410)을 막는 단면형상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배면기판(104)에 상당하는 기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12c에 나타내는 홈(450)은 파티션(452)만으로 분리된 단면형상을 가진 것으로, 저부가 막혀있지 않으므로, 형광체를 도포하는 경우나, 도 6a에서 나타낸 진공챔버(310) 내를 배기하는 경우에, 탈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7의 실시형태]
본 제 7의 실시형태는 도 5 등에서 나타낸 발광부(100)의 각 부품을, 추가로 공정별로 세분화한 발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a에서 나타낸 파티션 프레임(400)에 대응하는 각 색별로 화소의 형상에 대응한 홈을 가진 파티션 프레임(602)의 각 홈에, 다른 공정에서 형성한 단면이 오목형상이며 적색을 발광하는 형광체 칩(660), 녹색을 발광하는 형광체 칩(650), 청색을 발광하는 칩(660)을 삽입하였을 때의 발광층(6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파티션 프레임(602)은 파티션체(610)와 (6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b는 이 도 13a에서 나타낸 발광부(600)의 일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각 형광체 칩(640, 650, 660)은 오목형상 단면으로 하였지만, 도 13a의 평면시로 홈 저면에 끼워 넣는 형상의 평판일 수도 있고, 또, 오목형상 단면으로 바꾸고, U 자상 단면형상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 형광체 칩(640, 650, 660)의 배치는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열방향으로 같은 색을 발광하는 형광체 칩을 배열할 수도 있고, 또, 같은 열에 적색, 녹색, 청색 등을 차례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형광체 자체를 칩화하여 이 칩화한 형광체 칩(640, 650, 660)을 파티션 프레임(602)의 홈에 끼워 넣는, 또는 접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형광체 칩의 성형에 가장 바람직한 조건으로 형광체 칩을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대형화면에 필요한 광화면 영역에 균일하게 형광체를 도포한다고 하는, 수율을 악화시키는 공정을 거치는 않고 용이하게, 형광체 칩 수를 늘리는 것에 의해서, 대형화면에 필요한 형광체의 배치를 수율을 악화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동일 기판에 각색의 형광체를 도포하고 있으므로, 각색의 형광체가 혼합되어, 혼색을 발생시키는 표시 품질의 열화의 문제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색의 형광체 칩을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혼색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발광부와 이 발광부를 구동하여 발광시키기 위한 전극을 형성한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발광부를 얇고, 경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전극기판의 기판재료의 선택범위가 확대되어 유연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 자체를 유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의 공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게 되고, 발광부와 전극기판을 개별의 공정 또는 제조라인 등에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추가로, 발광부, 전극기판 등의 부품 레벨에서의 성능의 양부 판단이 가능하게 되어, 표시장치의 생산에 있어서의 코스트 저하를 실현시킨다.

Claims (14)

  1. 발광층과 그 발광층의 전면측에 전면기판을, 배면측에 배면기판을 구비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가지는 전극기판을 가지고,
    상기 전극기판은 상기 전면기판 또는 상기 배면기판의 적어도 한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기판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상기 전극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전극기판이 접착층을 통해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는 박형 표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형광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5. 방전가스와 형광체층을 가지는 발광층과 그 발광층의 전면측에 전면기판을, 배면측에 배면기판을 구비한 발광부와,
    상기 전면기판측에 배치되고, 전극을 가지는 전면 전극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측에 배치되고, 전극을 가지는 배면 전극기판을 가지고,
    상기 전면 전극기판 또는 상기 배면 전극기판의 적어도 한쪽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전극기판에는 복수의 유지 전극쌍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배면 전극기판에는 어드레스 전극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7. 복수의 발광부를 서로 접촉시켜 평면상으로 배치한 발광부 모듈과,
    상기 발광부 모듈의 전면측에 전극을 구비한 전면 전극기판과,
    상기 발광부 모듈의 배면측에 전극을 구비한 배면 전극기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는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8. 상기 전면전극 또는 상기 배면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방전가스와 형광체층을 가지는 발광층과 그 발광층의 전면측에 전면기판을, 배면측에 배면기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전극기판에는 복수의 유지 전극쌍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배면 전극기판에는 어드레스 전극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지 전극쌍에 직교하는 방향에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복수의 유지 전극쌍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12. 제 1 항, 제 5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층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격벽부로 구획된 영역에, 형광체로 구성된 형광체 칩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전면기판 또는 상기 배면기판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장치.
KR1020087028176A 2008-11-18 2006-05-10 박형 표시장치 KR20080112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8176A KR20080112390A (ko) 2008-11-18 2006-05-10 박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8176A KR20080112390A (ko) 2008-11-18 2006-05-10 박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390A true KR20080112390A (ko) 2008-12-24

Family

ID=4037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176A KR20080112390A (ko) 2008-11-18 2006-05-10 박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23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2542B1 (en) Large E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157854B1 (en) Tubular PDP
JP4913323B2 (ja) ディスプレイ
JPH11250810A (ja) プラズマ表示装置
JPWO2007129411A1 (ja) 薄型表示装置
US20070052359A1 (en) Micro discharge (MD) plasma display panel (PDP)
US20060238691A1 (en) Plasma display module
JPH0594772A (ja) プラズマデイスプレイパネル
US781685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gas discharge tub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020033669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112390A (ko) 박형 표시장치
KR20150092924A (ko)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848205A (zh) 等离子体显示装置
KR100482320B1 (ko) 멀티패널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조방법
KR200000091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6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3318B1 (ko) 면분할 구동제어 기능을 갖는 면광원 장치
KR200400705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10046948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0128521Y1 (ko) 전계발광소자
JP200218431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73317B1 (ko) 면분할 구동제어 기능을 갖는 면광원 장치
KR200601226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52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0619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