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159A -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159A
KR20080110159A KR1020070058554A KR20070058554A KR20080110159A KR 20080110159 A KR20080110159 A KR 20080110159A KR 1020070058554 A KR1020070058554 A KR 1020070058554A KR 20070058554 A KR20070058554 A KR 20070058554A KR 20080110159 A KR20080110159 A KR 2008011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harcoal
exhaust
smok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무
Original Assignee
류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현무 filed Critical 류현무
Priority to KR102007005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159A/ko
Publication of KR2008011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의 외통체 일측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갖는 배기장치를 구비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흡입부에 의해 측부배기되도록 함으로써, 마주 앉은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석쇠의 상부 일측에 흡입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연기의 배기효과가 상승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숯불이 수용되는 내통체(1)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 상단에 안착되는 외통체(2)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측에 올려지는 구이판(3)을 갖는 숯불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하는 배기장치로서,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 일측에 거치되는 판형의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 상부 일측에 위치되어 하부면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공(20a)이 형성된 흡입부(20)와, 상기 흡입부(20)의 흡입공(20a)을 통해 연기가 강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연기를 다시 강제 배기하도록 내부에 흡입/배기팬(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흡입/배기부(30)와, 상기 흡입/배기부(30)에 의해 흡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부(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배기장치가 구비되되 배기장치의 흡입부가 숯불구이기의 외통체의 상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흡입부의 흡입구멍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빠르게 흡입될 수 있어 흡입효과가 상승되고, 연기의 흡입방식의 숯불구이기의 측부에서 흡입하는 측부흡입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주 앉은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고기를 먹으면서 대화를 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흡입부가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구워진 고기가 마르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구이기 배기장치, 숯불구이기 배기장치, 배기장치

Description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EXHAUST APPARATUS OF MEAT ROASTER}
도 1은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가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치부 20 : 흡입부
20a : 흡입구멍 21 : 커버
22 : 흡입관 23 : 망체
30 : 흡입/배기부 31 : 흡입/배기팬
40 : 배기부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쇠의 일측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구비하여 고기를 구을 때 발생되는 연기가 석쇠의 측부에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연기의 배기효과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마주 앉은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기의 수분이 증발되어 구워진 고기가 말라 고기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구이기는 외통체내부의 중앙에 숯불 용기가 배치되고, 그 상부에 석쇠가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석쇠에 고기를 올려 놓아 숯불 용기에 들어 있는 숯불의 화력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먹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숯불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먹을 때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할 수 있는 별도의 배기장치가 더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대개 숯불구이기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상부배기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기가 숯불구이기의 상부측으로 흡입되어 배기되는 상부배기방식과, 연기가 숯불구이기에 통공된 구멍을 통해 배기되는 하부배기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배기방식은, 갓 모양의 후드를 석쇠 중앙 상부에 배치하여 연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석쇠와의 높이 간격을 짧게 할 경우 연기의 흡입효율은 증가하는 반면, 마주 앉은 사람과의 시야가 방해되어 대화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석쇠에 올려진 고기를 굽거나 할 경우에 방해가 되어 불편한 점이 있고, 석쇠와의 높이 간격을 길게 할 경우에는 흡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기방식은, 숯불구이기의 외통체 상단 내주면에 연기가 배기되는 구멍을 다수개 통공하고 상기 구멍을 통해 배기되는 연기를 흡입/배기하는 배기장치를 구성하여 연기가 숯불구이기의 하부측으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배기방식이 갖는 시야방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하부배기방식의 경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의 내측 상단에 올려지는 석쇠에 의해 외통체 상단 내주면에 통공된 구멍이 가려짐으로써, 발생되는 연기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부배기방식은 연기를 흡입하는 구조가 외통체의 하부측에서 이루어지는 바, 예를 들어, 구이판이 외통체의 상부와 하부측 내부공간을 막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연기흡입력이 구이판 상부까지 미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금속봉을 엮어서 만든 석쇠를 구이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석쇠의 금속봉과 금속봉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외통체의 내부공간이 그대로 뚫린 형태로 놓이게 되어 연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하부배기방식은, 석쇠가 안착되는 내통체의 상부 내측 둘레부를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초벌구이된 고기를 올려 놓을 경우, 흡입부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초벌구이된 고기의 수분이 쉽게 말라 고기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하부배기방식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 260535호인 숯불구이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측부에 배기관이 형성된 외통체, 외통체 내에 안치되고 상측부에 석쇠가 얹히며 상단이 외통체의 상부내측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어 환상의 배기구를 형성하는 내통체와, 내통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석쇠의 하측에 근접하여 놓이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둘레에서 석쇠의 주연부측에 화열이 집중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환상의 숯불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연기의 흡입효과가 상승되도록 하고 있으나,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위치가 고기가 구워지는 석쇠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근접되어 있음에 따라, 연기의 흡입효과의 상승은 기대할 수 있는 반면에 구워지는 고기의 수분이 마르게 되어 고기맛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중앙부에 물통을 더 구비하여 고기의 수분증발을 막도록 하고 있으나, 물통의 물이 가열되어 상부측으로 상승되는 수분에 의해 고기의 수분증발이 저하된다는 것은 실용 불가능한 것이며, 오히려 중앙부에 구성되는 물통에 의해 고기를 굽는 공간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점과 함께, 고기를 구워 먹는 동안에 물통에 물을 계속해서 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숯불구이기의 배기방식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숯불구이기의 외통체 일측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갖는 배기장치를 구비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흡입부에 의해 측부배기방식으로 연기가 배기 되도록 함으로써, 마주 앉은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석쇠의 상부 일측에 흡입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연기의 배기효과가 상승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내부에 숯불이 수용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 상단에 안착되는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측에 올려지는 구이판을 갖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 일측에 거치되는 판형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 상부 일측에 위치되어 하부면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흡입공을 통해 연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연기를 다시 배기하도록 내부에 흡입/배기팬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흡입/배기부와; 상기 흡입/배기부에 의해 흡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의 상부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흡입부를 지지하는 거치부는 상기 숯불구이기의 내통체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부는, 흡입구멍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끼움결합되는 흡입관으로 이중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멍이 형성된 커버의 내측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체가 더 내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배기장치가 구비되되 배기장치의 흡입부가 숯불구이기의 외통체의 상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흡입부의 흡입구멍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빠르게 흡입될 수 있어 흡입효과가 상승되고, 연기의 흡입방식의 숯불구이기의 측부에서 흡입하는 측부흡입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주 앉은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고기를 먹으면서 대화를 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흡입부가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구워진 고기가 마르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가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숯불 구이기의 배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내부에 숯불이 수용되는 내통체(1)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 상단에 안착되는 외통체(2)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측에 올려지는 구이판(3)을 갖는 숯불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하는 배기장치로서,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 일측에 거치되는 판형의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 상부 일측에 위치되어 하부면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공(20a)이 형성된 흡입부(20)와, 상기 흡입부(20)의 흡입공(20a)을 통해 연기가 강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연기를 다시 강제 배기하도록 내부에 흡입/배기팬(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흡입/배기부(30)와, 상기 흡입/배기부(30)에 의해 흡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의 상부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호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외통체(2)의 상부측으로 기울어진 흡입부(20)의 하부측 흡입구멍(20a)으로 흡입되어 연기가 용이하게 배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상기 흡입부(20)를 지지하는 거치부(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불구이기의 내통체(1)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될 경우, 배기장치의 설치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입부(20)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거치부(10)를 간단하게 식탁의 상면에 안착하여 거치하는 구조에 의해 배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상기 구이판(3) 위에 고기를 올려 놓고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숯불구이기의 일측 즉, 상기 고기가 구워지는 외통체(2)의 일측 상부에 흡입부(20)가 근접되게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가 빠르게 상기 흡입부(20)의 흡입구멍(20a)을 통해 강제적으로 흡입되고, 또한, 흡입된 연기는 상기 배기부(4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기 때문에, 연기의 제거가 용이하고 빠르게 이루어져 고기를 구워먹기가 더욱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0)가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마주앉은 사람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음으로써 고기를 먹으면서 대화를 하는데에 전혀 문제점이 없으며,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0)가 일측에 구비되어 측부 배기방식으로 연기가 배기되기 때문에, 고기가 올려진 구이판 전체에 흡입부의 흡입력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음으로써, 구워진 고기가 마르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20)가, 흡입구멍(20a)이 형성된 커버(21)와, 상기 커버(21)가 끼움결합되는 흡입관(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20)를 구성하는 커버(21)를 흡입관(22)으로부터 분리하 여 흡입관(22)의 내부나 또는 커버(21)의 내외측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항상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20)의 흡입구멍(20a)이 형성된 커버(21)의 내측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체(23)가 더 내삽될 경우, 망체(23)에 의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입부(20)의 내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보다 깨끗하게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배기장치가 구비되되 배기장치의 흡입부가 숯불구이기의 외통체의 상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흡입부의 흡입구멍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빠르게 흡입될 수 있어 흡입효과가 크게 상승되어 흡입효율성이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연기의 흡입방식의 숯불구이기의 측부에서 흡입하는 측부흡입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주 앉은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고기를 먹으면서 대화를 하기에 용이하다.
셋째,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흡입부가 숯불구이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구워진 고기가 말라 고기의 참 맛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넷째, 본 발명인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에 부담이 줄어든다.

Claims (5)

  1. 내부에 숯불이 수용되는 내통체(1)와, 상기 내통체의 외부 상단에 안착되는 외통체(2)와, 상기 내통체의 내부측에 올려지는 구이판(3)을 갖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 일측에 거치되는 판형의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 상부 일측에 위치되어 하부면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공(20a)이 형성된 흡입부(20)와;
    상기 흡입부(20)의 흡입공(20a)을 통해 연기가 강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연기를 다시 강제 배기하도록 내부에 흡입/배기팬(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흡입/배기부(30)와;
    상기 흡입/배기부(30)에 의해 흡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부(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숯불구이기의 외통체(2)의 상부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를 지지하는 거치부(10)는, 상기 숯불구이기의 내통체(1)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는, 흡입구멍(20a)이 형성된 커버(21)와, 상기 커버(21)가 끼움결합되는 흡입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의 흡입구멍(20a)이 형성된 커버(21)의 내측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체(23)가 더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KR1020070058554A 2007-06-14 2007-06-14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KR20080110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554A KR20080110159A (ko) 2007-06-14 2007-06-14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554A KR20080110159A (ko) 2007-06-14 2007-06-14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159A true KR20080110159A (ko) 2008-12-18

Family

ID=4036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554A KR20080110159A (ko) 2007-06-14 2007-06-14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1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9391A (zh) * 2013-03-30 2013-06-26 赵文浩 一种上排风地下排烟的聚能防火新型炭烤炉具
KR102008011B1 (ko) * 2018-04-25 2019-08-06 임영웅 숯불 로스터
KR102335149B1 (ko) 2020-05-29 2021-12-02 김통일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로스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9391A (zh) * 2013-03-30 2013-06-26 赵文浩 一种上排风地下排烟的聚能防火新型炭烤炉具
KR102008011B1 (ko) * 2018-04-25 2019-08-06 임영웅 숯불 로스터
KR102335149B1 (ko) 2020-05-29 2021-12-02 김통일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로스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1503A1 (en) Barbecue oven
TWM536026U (zh) 一種烤爐
US20040187702A1 (en) Forced Venting Fry Utensil
KR20080110159A (ko) 숯불구이기의 배기장치
JP3204529U (ja) 調理テーブルの排煙装置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CN105307546B (zh) 烹饪设备
CN210055745U (zh) 食物煎烤器
CN205606677U (zh) 一种具有抽油烟功能的锅
CN204016023U (zh) 一种烹饪器具及用于该烹饪器具的烟过滤系统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CN216897412U (zh) 一种具备吸油烟功能的电热装置
CN211066264U (zh) 一种户外使用的烧烤架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CN215454987U (zh) 一种螺蛳粉加工用油炸机
CN219982717U (zh) 一种无油烟烤盘
CN220417414U (zh) 一种烤鱼器的油烟过滤机构
CN104825064B (zh) 一种多功能烧烤装置
CN211911388U (zh) 一种具有油烟过滤功能的烤肉机
CN220069545U (zh) 一种高效净烟料理锅
CN216604588U (zh) 无烟火锅桌的内置式排烟处理系统
CN217137628U (zh) 一种可保温的食品烤炉
JP7166632B2 (ja) ロースター
CN211933735U (zh) 一种带有吸烟装置的烧烤架
CN217744089U (zh) 一种烤盘及烧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