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162A -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 Google Patents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162A
KR20080109162A KR1020070057132A KR20070057132A KR20080109162A KR 20080109162 A KR20080109162 A KR 20080109162A KR 1020070057132 A KR1020070057132 A KR 1020070057132A KR 20070057132 A KR20070057132 A KR 20070057132A KR 20080109162 A KR20080109162 A KR 2008010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uide rail
blocking effect
shut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현
임상혁
Original Assignee
임동현
임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임상혁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102007005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162A/ko
Publication of KR2008010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05Y2201/502Wing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크린 천으로 이루어진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되는 공간의 효율성이 좋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스크린 천이 가이드 되는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여 비상문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밀폐를 우수하게 하여 효율적인 차단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방화 및 방연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는 중량과 부피가 있는 강철로 형성되어 설치 비용이 비싸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고온에 의해 강철셔터가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자체에 비상문을 설치할 수 없어 별도의 비상문을 설치함으로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스크린 천을 이용한 방화셔터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은 스크린 천을 중첩되게 비상문이 설치되어 화재로 인한 연기가 중첩된 틈새로 새어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천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의 승강을 안내토록 하는 가이드프레임에 이탈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천이 고정되어 있는 하단프레임과 가이드레일을 절첩되도록 하여 비상문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에 잠금수단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이 개방된 후 원상복귀될 때 고정토록 하여 방화나 방연의 의해 효율적인 차단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방화 스크린 셔터.
스크린 천, 하단프레임, 가이드 프레임, 절첩

Description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fireproof shutter with a fire exut}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상문이 절첩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스크린 셔터가 천정에 권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가이드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은 하단프레임의 내공간에 무게추가 설치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크린 천 11: 리벳
20: 하단프레임 21: 돌출편
22: 내공간 23: 무게추
24: 경첩
30: 가이드레일 31: 내공간
32: 방연막 33: 절곡홈
34: 경첩 35: 홈
40: 안착프레임 41: 안착면
42: 내공간 43: 나사
44: 잠금수단 44a: 자석
44b: 볼잠금장치
M: 모터
본 발명은 스크린 천으로 이루어진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으로 형성되어 있어 가벼우면서도 셔터의 설치공간이 작아 공간의 효율성이 높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스크린 천이 가이드 되는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여 비상문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밀폐를 우수하게 하여 방화와 방연에도 효율적인 차단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난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방화 및 방연구역을 설치함과 동시에 피난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방화 및 방연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는 강철로 형성되어 건물 천정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하강시켜 건물의 입구 또는 통로를 차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강철이 연결되어 있어 이에 따른 중량과 부피가 커 천정의 설치 공간이 커지고 셔터의 승,하강을 작동하는 모터가 커지게 되어 설치되는 비용이 높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강철셔터가 변형이 발생되어 방화셔터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강철셔터 자체에 피난통로인 비상문 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여 별도의 방화문을 설치해야 하여 설계가 복잡하고 높은 설치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얇고 가벼운 스크린 천을 이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방화셔터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셔터의 단점이 비상문의 설치가 곤란하다는 것이고, 스크린 천을 절개하거나 중첩되게 하여 비상문을 설치하더라도 절개되어진 틈새나 중첩되는 틈새로 연기가 새어 방연에 의한 차단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천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의 승강을 안내토록 하는 가이드레일에서 쉽게 빠져버리게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정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하강되어 질 때 스크린 천의 하단부에 천을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형성된 하단프레임에 돌출편을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다수개의 리벳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시켜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잘 가이드 되도록 하고 가이드레일과 하단프레임이 절첩되어 개폐되도록 하여 비상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발생되는 방화와 방연에 효율적인 차단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레일과 스크린 천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하단프레임에 문의 세로와 가로 폭만큼 대각선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절개하여 경첩으로 고정하고 개방된 문이 원상복귀되어 닫혀질 때 고정되도록 고정프레임에 자석과 탄성으로 작동되는 볼잠금장치를 부착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조는 봉재건물내부의 천정에 권취되어 모터(M)에 의해 상,하강으로 작동되는 횡형의 다단으로 겹쳐져 봉재되어진 스크린 천(10)의 하단으로 천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하단프레임(20)이 장착되어 상단으로 나사가 고정되어지고 상기 하단프레임(20)의 일측방에는 하강되어질 때 가이드프레임에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 되어지도록 하는 돌출편(21)이 형성되고 그 상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벳(11)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30)은 내공간(31)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져 방연막(32)이 꽉 끼워지도록 하는 절곡홈(33)이 양쪽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30)과 상기 가이드 레일(30)이 안착되도록 절곡되어 안착면(4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내공간(42)을 형성한 안착프레임(40)이 벽면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와 같은 하단프레임(20)과 가이드레일(30)은 문의 가로와 세로 길이만큼 절첩토록 절개되어 밀침에 의해 개폐가 가능토록 하고 상기 안착프레임(40)에 잠금수단(44)을 부착하여 가이드레일(20)이 개방된 후 복귀 시 잠금수단(44)에 의해 안착프레임(40)에 잠금되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하단프레임(20)은 두께가 얇은 철판을 상단은 좁고 하단은 넓게 절곡하여 내공간(22)을 형성하고 내공간(22)에 무게추(23)를 삽입하고 상기 무게추(23)를 스크린 천(10)으로 감싸고 나사나 각종 고정수단으로 고정토록 하여 스크 린 천(10)이 하강시 더욱 팽팽하도록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44)으로 볼이 탄성에 의해 작동되는 볼잠금장치(44b)가 안착프레임(40)의 일측면에 나사(43)로 고정되고 볼잠금장치(44b)가 부착되는 가이드레일(30)의 동일한 위치에 홈(35)을 형성하여 개폐시 볼이 탄성되어 홈에 끼워지고 빠지게 되면서 잠금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0)이 개방된 후 원위치 될 때 내려오는 속도에 의해 가이드레일(30)이 들뜨지 않도록 안착프레임(40)의 내공간(42) 즉 안착면(41)의 이면에 다수개의 자석(44a)을 접착제 등의 각종 부착수단으로 부착하면 자력이 안착면(41)의 이면에서 바깥쪽까지 투과되어 안착프레임(40)의 안착면(41)에서 가이드레일(30)이 들뜨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한 자석(44a)과 구슬이 탄성에 의해 작동되는 볼잠금장치(44b)는 상기에 언급된 것의 반대로 부착되어 동일한 부착방법과 작동으로 잠금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30)과 하단프레임(20)은 대각선의 일직선상으로 동일한 각도로 절개하고 각각 경첩(24,34)등의 갖가지 절첩수단을 부착하여 절첩되도록 하여 비상문을 형성토록 하고 비상문을 밀게 되면 절첩부분이 열려지면서 피난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문이 설치된 스크린 천(10) 부분에 출입구 표시를 하면 화재대피시 육안으로 쉽게 비상문을 찾을 수 있게 되어 대피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 천(10)은 1M의 폭으로 규격이 제한되어 있어 횡형태의 다단으로 끝단을 겹치게 봉재토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횡형태로 봉재됨은 종형태로 봉재되었을 시 스크린 천(10)이 권취되었을때 겹쳐져 봉재된 부분에 의해 한쪽으로 치우침이 발생하게 되어 하단프레임(20)이 삐뚤게 위치되어 하강시 가이드레일(30)에 잘 가이드 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스크린 천(10)은 자체의 중량이 적고 또한 그 말려진 상태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설치 시에 이러한 스크린 셔터를 구동시키는 모터(M)의 소형화와 좁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저렴한 단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크린 셔터는 천정에 설치되어 모터(M)에 의해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권취되어 있던 스크린 셔터가 하단프레임(10)에 형성된 돌출편(21)과 리벳(11))이 하강되어 가이드레일(30)에 가이드 되어지면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완전히 하강되면 스크린 셔터에 출입구로 표시된 비상문을 밀치면 비상문이 절첩되어 개방이 되면서 대피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비상문이 복귀되면 잠금장치에 고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 천(10)이 장착된 프레임 자체가 개폐가 되어 발생되는 방화와 방연에 대해 효율적인 차단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설치비용을 제공하고 스크린 천(10)이 부착된 하단프레임(20)과 가이드레일(30)이 경첩(24,34)에 의해 절첩되도록 하여 밀침으로 인해 개폐가 가능한 비상문의 형성이 가능토록하면서도 방화와 방연에 대한 효율적인 차단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Claims (8)

  1. 건물내부의 천정에 권치되어 모터(M)에 의해 상,하강으로 작동되는 스크린 천(10)의 하단으로 천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하단프레임(20)이 장착되고 가이드레일(30)에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 되어지도록 하는 돌출편(21)이 형성되고 그 상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벳(11)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30)은 내공간(31)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져 방연막(32)이 꽉 끼워지도록 하는 절곡홈(33)이 양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0)이 안착되도록 절곡되어 안착부(41)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내공간(42)을 형성한 안착프레임(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20)과 가이드레일(30)은 문의 가로와 세로 길이만큼 절첩되도록 절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40)에 잠금수단(44)을 부착하여 가이드레일(30)이 잠금수단(44)에 의해 잠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20)은 두께가 얇은 철판을 상단은 좁고 하단은 넓게 절곡하여 내공간(22)을 형성하고 내공간(22)에 무게추(23)를 삽입하고 상기 무게추(23)를 스크린 천(10)으로 감싸고 나사나 각종 고정수단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4)으로 볼이 탄성에 의해 작동되는 볼잠금장치(44b)가 안착프레임(40)의 내공간(42)의 일측면에 나사(43)로 고정되고 볼잠금장치(44b)가 부착되는 가이드레일(30)의 동일한 위치에 홈(3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이 개방된 후 원위치 될 때 내려오는 속도에 의해 들뜨지 않도록 안착프레임(40)의 내공간(42) 즉 안착면(41)의 이면에 다수개의 자석(44a)이 부착되어 접착제 등의 각종 부착수단으로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과 하단프레임(20)은 대각선의 일직선상으로 동일한 각도로 절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천(10)은 횡형의 다단으로 끝단이 겹쳐져 봉 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방화스크린셔터.
KR1020070057132A 2007-06-12 2007-06-12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KR20080109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132A KR20080109162A (ko) 2007-06-12 2007-06-12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132A KR20080109162A (ko) 2007-06-12 2007-06-12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162A true KR20080109162A (ko) 2008-12-17

Family

ID=4036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132A KR20080109162A (ko) 2007-06-12 2007-06-12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1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509A (zh) * 2018-05-02 2018-10-16 赵雪丽 一种卷帘式防火门
CN110694197A (zh) * 2019-11-15 2020-01-17 季志刚 一种自触发式防火灭火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509A (zh) * 2018-05-02 2018-10-16 赵雪丽 一种卷帘式防火门
CN108661509B (zh) * 2018-05-02 2020-11-20 山东佳和保护膜有限公司 一种卷帘式防火门
CN110694197A (zh) * 2019-11-15 2020-01-17 季志刚 一种自触发式防火灭火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7510C (en) Horizontally unfurled spring assisted furling screen for walkways
JP6818270B2 (ja) 開閉装置
US5577541A (en) Rolling door assembly having pass door arrangement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JP2005113577A (ja) 外付けロールスクリーン
JP6190161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20080109162A (ko) 비상구가 설치되면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방화스크린셔터
JP6491500B2 (ja) 網戸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JP2020066906A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40103223A (ko) 방화 스크린셔터
KR100766456B1 (ko) 일체형 자동방화셔터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754921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JP7002995B2 (ja) 自動ドア装置
JP6190160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20090002461U (ko) 스크린방화셔터의 피난문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JP6378943B2 (ja) 開閉装置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