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886A - 금속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886A
KR20080108886A KR1020070100142A KR20070100142A KR20080108886A KR 20080108886 A KR20080108886 A KR 20080108886A KR 1020070100142 A KR1020070100142 A KR 1020070100142A KR 20070100142 A KR20070100142 A KR 20070100142A KR 20080108886 A KR20080108886 A KR 2008010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athode
experimental example
rotating cathod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부 코쿠보
히카루 아베
토시로 시모후사
Original Assignee
아사히 프리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프리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프리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07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of cells comprising at least a movable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함유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전기분해에 의해 회수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회수장치보다 공간절약화·설비부하의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단시간에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금속 회수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기둥형상 또는 통형상의 회전 음극과, 상기 회전 음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극과,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를 갖고, 상기 양극과 대향하는 상기 회전 음극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전체로 피복되어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금속 회수장치

Description

금속 회수장치{METAL RECOVERY EQUIPMENT}
본 발명은 금속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전기분해법에 의해 금속을 회수하는 금속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액(예를 들면 처리액 등)에는, 예를 들면 Au나 Ag, Cu, 백금족 원소 등의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있고, 이들 금속은 폐액으로부터 회수해서 재이용된다. 폐액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전기분해법이 알려져 있다.
전기분해법을 사용한 금속 회수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음극으로서 원통형상의 내부전극과, 양극으로서 상기 내부전극의 주위에 외부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음극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금속이 석출되는 음극의 표면 근방에는 음극의 표면에 석출된 금속을 깎아 떨어뜨리도록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플라스틱 회수판을 설치한 회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방법에 의하면, 음극 표면에 석출된 금속을 전극에 부착시키지 않고 플라스틱 회수판을 이용하여 깎아 떨어뜨려서 음극의 하방에 퇴적시킨 후,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폐액으로부터 금속을 공업적으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금속을 가능한 한 단시간에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효율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회수장치에서는, 금속의 회수효율이 나빠서 금속의 회수에 장시간이 걸렸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음극 표면에 전착된 금속을 플라스틱 회수판을 이용하여 깎아 떨어뜨림으로써 금속을 음극의 하방에 퇴적시켜서 회수하고 있기 때문에 회수장치를 공간절약화할 수 없었다. 또한 폐액의 종류에 따라서는 음극의 하방에 퇴적된 금속이 폐액 중에 재용해되는 일이 있어, 폐액으로부터 금속을 충분히 회수할 수 없었다.
금속의 회수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는 음극 원판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는, 원판형상의 음극을 회전시키면서 전기분해를 행함으로써 음극과 전해액의 접촉을 양호하게 해서 금속의 회수효율을 높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전해조 내의 용액을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금속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극 또는 음극의 어느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기구를 구비한 형태나, 양극 또는 음극에 교반 날개를 설치한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과 같이 음극 원판을 사용했을 경우, 금속의 회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극의 회전수를 과도하게 높일 필요가 있고, 설비부하가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금속의 회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안된 기술은 아니지만, 특허문헌 4에는 파이프 형상의 양극과 통형상의 음극을 구비하고, 상기 음극의 내주에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망형상 또는 래스(lath)형상의 통체를 배치한 금속 회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의 회수장치에 있어서, 음극의 내주에 배치된 망형상 또는 래스형상의 통체는, 전기분해가 진행되어 음극에 전착된 금속이 음극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에, 전착금속과 양극의 접촉에 의한 단락 발생 방지를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4의 도 1에 의하면, 망형상 또는 래스형상의 통체는 음극과 밀착되지 않고 공간(스페이스)을 형성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음극 표면에 전착된 금속의 일부는 음극으로부터 박리되어 음극의 하방에 퇴적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소61-10409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6-7036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5-31474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06-28555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함유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전기분해에 의해 회수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공간절약화·설비부하의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단시간에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효율이 매우 뛰어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회수장치는, 금속함유 용액을 전기 분해해서 금속을 회수하는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기둥형상 또는 통형상의 회전 음극과, 상기 회전 음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극과,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를 갖고 있고, 상기 양극과 대향하는 상기 회전 음극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전체로 피복되어 있는 점에 요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금속 회수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귀금속 함유 수용액으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도전체로서는, 예를 들면 평균 메쉬 크기가 0.5∼3㎜의 금속망이나, 평균 선지름이 0.3∼0.5㎜의 금속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메쉬 크기가 0.5∼3㎜이고, 또한 평균 선지름이 0.3∼0.5㎜의 금속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전체로서 상기 범위의 평균 메쉬 크기나 평균 선지름에 상당하는 개구부를 갖는 다공질 형상체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양극과 대향하는 회전 음극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망형상 ·다공질의 도전체를 밀착해서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음극의 채용에 의한 금속 회수효율 향상 효과에 추가로, 이하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된다.
(1)음극의 표면적이 커져서 금속의 회수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2)음극에서의 금속의 전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음극에 일단 전착된 금속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음극으로부터 벗겨져 떨어진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회수장치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치의 공간절약화, 설비부하의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금속의 회수효율이 우수한 회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하여 왔다. 그 결과, 양극과 대향하는 회전 음극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를 피복하면, 상기 회전 음극에 전착되는 금속의 전착성이 향상되어 상기 회전 음극에 일단 전착된 금속의 박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 그 결과, 금속의 회수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회수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기둥형상 또는 통형상의 회전 음극과, 상기 회전 음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극과,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를 갖고, 상기 양극과 대향하는 상기 회전 음극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전체로 피복되어 있다.
처음에, 본 발명을 가장 특징짓는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전체의 형상은, 망형상(격자형상을 포함한 다) 또는 다공질형상이다(이하, 「망형상·다공질형상」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 망형상이나 격자형상의 형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선재가 교차한 형태이여도 좋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선재가 교차한 형태라도 좋다. 망형상이나 격자형상의 개구부의 간격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도전체를 구성하는 선재 중, 일방향이 빽빽하고 다른쪽이 성기도록 짜서 개구부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망형상 또는 격자형상의 개구부의 형상이 다이아몬드형이나 정사각형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펀칭 메탈(punching metal), 익스팬드 메탈 등과 같이 복수의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다공질형상의 형상도 사용된다.
또한 「도전체」란, 전기분해 가능한 정도로 도전성을 갖고, 또한 금속함유 용액(즉 전해액)에 용해되지 않고, 또한 전해시에도 용출되지 않는 불용성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티타늄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회수 대상으로 하는 금속 자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는, 회전 음극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피복되어 있고, 상기 피복된 회전 음극면은 양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전체와 회전 음극이 접하는 부분에는, 상술한 특허문헌 4와 같이 공간(스페이스)은 없다. 이렇게, 양극과 대향하는 회전 음극 표면의 일부가 망형상·다공질형상의 도전체에 의해 간극없이 덮여짐으로써 회전 음극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고, 그 요철의 표면에 금속이 전착해서 서로 응집되어, 전착된 금속이 회전 음극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금속의 전착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한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회전 음극의 표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전해 효율이 향상되고, 금속의 회수효율이 높아진다.
또, 상기 도전체는 양극과 대향하는 회전 음극의 전체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전해 효율이 저하해서 금속 회수효율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이면, 상기 회전 음극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가 금속망일 경우에는, 평균 메쉬 크기가 0.5∼3㎜이거나, 평균 선지름이 0.3∼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균이란, 금속망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메쉬 크기와 선지름을 측정해서 이것을 평균하여 구한 값이다.
금속망의 평균 메쉬 크기가 0.5㎜미만이면 지나치게 망눈이 촘촘하고, 또 평균 메쉬 크기가 3㎜를 초과하면 망눈이 지나치게 성기기 때문에 처리액의 교반 효과가 저감되거나, 회전 음극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없고, 전해 효율을 높여서 금속의 회수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다.
금속망을 구성하는 선재의 평균 선지름이 0.3㎜미만에서는 선지름이 지나치게 작고, 또 평균 선지름이 0.5㎜를 초과하면 선지름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처리액의 교반 효과가 저감되거나, 회전 음극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없고, 전해 효율을 높여서 금속의 회수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다.
상기 금속망은, 특히 평균 메쉬 크기가 0.5∼3㎜이고, 또한 평균 선지름이 0.3∼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가 다공질 형상체일 경우에는, 상 기 범위의 평균 메쉬 크기나 평균 선지름에 상당하는 개구부를 갖고 있는 다공질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망은 회전 음극의 표면에 2∼4겹으로 되도록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망의 권취수를 2겹 권취 이상으로 함으로써 회전 음극의 면적을 충분히 증대시킬 수 있고, 금속의 회수효율을 한층더 높일 수 있다. 단, 금속망을 4겹을 초과하여 권취하여도 금속망을 접착하는 효과가 포화해서 금속의 회수효율은 거의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망의 권취수는 4겹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형상·다공질형상의 도전체를 회전 음극의 표면에 피복하는 방법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회전 음극의 표면에 금속망을 동일한 간격으로 스폿 용접해서 회전 음극의 표면과 금속망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하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 음극은,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기둥형상 또는 통형상의 회전 음극이다. 이러한 회전 음극을 사용함으로써 전해 효율이 향상해서 금속의 회수효율이 한층더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과 같은 원판형상의 회전 음극을 사용했을 경우에 비하여, 적은 회전수로 전해액을 충분히 교반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부하의 저감화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둥형상」이란 중실체이거나, 혹은 외부로 통하지 않는 공간을 내부에 보유하는 형상을 의미하고, 「통형상」이란 외부로 통하는 공간을 내부에 보유하는 중공체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쪽의 형태나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 음극은, 대표적으로는 대략 원기둥 형상 또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회전 음극의 단면형상은 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에 매우 가까운 「다각형상」의 형태라도 된다. 단, 회전 음극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예를 들면 사각)이면, 상기 음극을 회전시켰을 때에 용액으로부터 받는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음극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설치하는 모터 등의 동력에 부하가 지나치게 걸리는 것이나, 전해액이 비산하는 일이 있으므로 설비부하 등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상기 회전 음극과 양극은 이하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우선, 기둥형상의 회전 음극을 사용할 경우, 양극은 상기 기둥형상 회전 음극의 외측(외주)에 배치한다. 기둥형상 회전 음극의 주위에 배치되는 양극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금속 회수장치에 통상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판형상, 통형상의 어느쪽의 양극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둥형상 회전 음극의 주위(외주)를 둘러싸도록 판형상 혹은 통형상의 양극을 배치하면 좋다. 판형상의 양극을 사용할 경우, 망형상·다공질형상의 도전체가 피복된 기둥형상 회전 음극의 면에 대향하도록 판형상 양극을 배치한다. 이러한 판형상 양극은 기둥형상 회전 음극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매 배치하면 좋다.
한편, 통형상의 회전 음극을 사용할 경우, 양극은 상기 통형상 회전 음극의 외측에 배치해도 좋고, 통형상 회전 음극의 내측에 배치해도 좋다.
통형상 회전 음극의 주위(외측·내측)에 배치되는 양극의 형상 및 배치 방법은 상기의 기둥형상 회전 음극을 사용했을 때와 실질적으로 같다.
또, 통형상 음극의 내측에 양극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망형상·다공질형상의 도전체는 통형상 회전 음극의 적어도 내면에 설치하면 좋고, 필요에 따라 통형상 회전 음극의 외표면에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양극은 통형상 회전 음극의 중심축 근방에 배치해도 좋고, 통형상 회전 음극의 중심축 근방을 피해서 배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기둥형상 또는 통형상의 음극이 상기 음극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회전 음극을 사용한다. 음극을 회전시키면서 전기분해를 행함으로써 전해조 중의 용액(전해액)이 교반되기 때문에, 용액과 음극의 접촉이 효과적으로 행하여져 금속의 회수효율이 향상되어 단시간에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음극은 장치 내에 설치된 모터 등의 동력에 접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음극의 주속(회전속도)은 사용하는 전해조의 사이즈, 전해조에 공급하는 용액량, 또는 회수 대상으로 하는 금속의 종류 등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일의적으로 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예를 들면 귀금속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대체로 주속을 0.5∼1.8m/sec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의 주속이 0.5m/sec미만에서는 전해조 내의 처리액이 교반되지 않고, 처리액이 회전 음극의 표면 근방에 체류하여 전해 효율을 높이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극의 주속은 0.5m/sec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sec이상이다.
그러나 음극의 주속이 1.8m/sec를 초과하면 처리액에 기포가 일어나고, 회전 음극에서의 전기분해 반응이 저해되어 전해 효율이 오히려 저하된다. 또한 음극의 주속을 지나치게 높이면 처리 용액에 파동이 일어나고, 처리액이 전해조로부터 넘 쳐서 안전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음극의 주속은 1.8m/sec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6m/sec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sec이하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해서 회수할 수 있는 금속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귀금속 원소나 Cu, Ni 등을 들 수 있다. 귀금속 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Au나 Ag, 또는 백금족 원소(Pd, Pt, Ir, Ru 및 Rh)를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회수장치를 사용하면, Au 등의 고가인 귀금속 원소를 종래에 비해서 단시간에 저비용으로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회수장치는 용액으로부터의 귀금속 회수장치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함유 용액은 상기의 금속을 함유하고 있으면 좋고, 대표적으로는 도금 폐액이나, 사진의 현상 폐액, 도금품을 수세한 액, 박리액의 폐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함유 용액을 전기분해할 때의 전해 조건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압을 1∼10V, 전류를 10∼25A정도로 해서 행하면 된다.
전기분해해서 금속함유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음극 표면에 전착시킨 후에는, 회수장치로부터 음극을 꺼내고, 이 음극을 회수 대상으로 하는 금속이 용해되는 액중에 침지해서 금속을 용출시켜서 회수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금속 회수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표면에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8)가 밀착되도록 피복된 원 통형상의 회전 음극(4)을 사용하고, 상기 회전 음극(4)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양극(2)이 배치된 회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중, 1은 전해조, 3은 회전축, 5는 모터, 6은 순환 탱크, 7은 펌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금속 회수장치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실시형태이며,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결코 아니다.
도 1에 나타내는 금속 회수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 음극(4)과, 상기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4매의 판형상 양극(2)과,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티타늄제 망)(8)를 갖고 있다. 판형상 양극(2)과 대향하는 회전 음극(4)의 면의 적어도 일부가 티타늄제 망(8)으로 피복되어 있다. 후기하는 실험예에서는, 이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들은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험예 1)
실험예 1 및 후기하는 실험예 2∼10은, Au함유 시안계 도금품 수세수로부터 Au를 회수했을 때의 회수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서 행했다.
실험예 1에서는,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금속 회수장치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해서 Au를 회수했다.
전해조(1)(용량은 10L)의 중심에 배치된 회전축(3)에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은 모터(5)를 동작시킴으로써 회전축(3)을 중심으로 해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은 티타늄제이고, 지름 160㎜, 길이 200㎜의 원통형상이며, 외표면에는 도전체(8)로서 평균 메쉬 크기가 1㎜, 평균 선지름이 0.3㎜(20메쉬)의 티타늄제 망이 2겹으로 감겨 있다. 티타늄제 망은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스폿 용접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티타늄제 망이 접촉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을 계산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상기 티타늄제 망을 접착했을 경우의 표면적은, 티타늄제 망을 접착하지 않은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적과 비교해서 약 3.9배 증가했다.
전해조(1)의 내벽면에는 각 벽면에 판형상의 불용성 양극(100㎜×250㎜)이 1매씩, 합계 4매 형성되어 있다.
전해조(1) 내에, 처리액으로서 Au 농도가 97mg/L인 Au함유 시안계 도금품 수세수 30L를 충전하고, 전해조(1)로부터 오버플로우해서 넘친 처리액은 순환 탱크(6)에 저장된 후, 펌프(7)에 의해 순환 탱크(6)로부터 전해조(1)의 바닥 부근에 공급하여, 전해조(1) 내를 순환시켰다.
전해조(1) 내를 순환하는 액량은 10L/분으로 하고, 전압을 4∼6V, 전류를 12A,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1.0m/sec(회전수 120rpm)로 해서 전기분해를 행하였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도 2에 ■로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3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Au 농도는 1mg/L까지 저하되고, 처리액 중의 Au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전착되었다.
(실험예 2)
실험예 2에서는 티타늄제 망이 Au의 회수효율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서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지름 160㎜, 길이 200㎜의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도 2에 ◆로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15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2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험예 2의 결과는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는데에 요하는 시간이 약 5배가 된다. 따라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해서 표면적을 약 3.9배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Au의 회수효율을 약 5배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실험예 3에서는, 회전 음극의 주속이 Au의 회수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상기 실험예 2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2.0m/sec(회전수 240rpm)로 2배로 높인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2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도 2에 ▲로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12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3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2의 결과를 비교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2배로 하여도 전해시간은 3시간 단축할 수 있는 것에 머물며, Au의 회수효율은 20%정도밖에 개선되지 않았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은 2.0m/sec(회전수 240rpm)정도가 한계이며, 더 이상 주속을 높이면 처리액의 파동이 커져서 안전 조업할 수 없었다.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도 2 중의 ◆와 ▲)보다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함으로써(도 2 중의 ■), 전해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Au의 회수효율이 현격하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실험예 4와 후술하는 실험예 5는, 회전 음극의 주속이 Au의 회수효율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한 다른 실험이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0.3m/sec(회전수 40rpm)로 1/3로 저감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6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4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지나치게 작게 하면, 전해시간이 길어져 Au의 회수효율이 그다지 개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회수효율이 개선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처리액의 교반 부족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고, 전기분해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실험예 5)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2.0m/sec(회전수240rpm)로 2배로 높인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5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5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험예 5의 결과는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이 약 1.7배가 되고,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Au의 회수효율이 도리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u의 회수효율이 나빠진 것은, 주속이 지나치게 큰 것에 의해 처리액의 기포가 발생하고, 발생한 기포에 의해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처리액의 접촉 면적이 감소해서 전기분해 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주속을 지나치게 작게 해도, 지나치게 높게 해도,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보다 Au의 회수 시간은 길어져 Au의 회수효율은 그다지 향상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실험예 6 및 후술하는 실험예 7, 8은, 티타늄제 망의 메쉬 크기나 선지름이 Au의 회수효율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이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티타늄제 망으로서 평균 메쉬 크기가 5㎜, 평균 선지름이 1㎜(4메쉬)인 망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티타늄제 망이 접촉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을 계산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상기 티타늄제 망을 접착했을 경우의 표면적은 티타늄제 망을 접착하지 않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적과 비교해서 3.1배정도의 증가이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 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6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6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티타늄제 망으로서 망눈이 지나치게 거친 망을 사용하면, Au의 회수에 시간이 걸리고, Au의 회수효율은 그다지 개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티타늄제 망으로서 평균 메쉬 크기가 2㎜, 평균 선지름이 0.5㎜(10메쉬)인 망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티타늄제 망이 접촉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을 계산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상기 티타늄제 망을 접착했을 경우의 표면적은 티타늄제 망을 접착하지 않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적과 비교해서 3.5배정도의 증가이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4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Au 농도는 1mg/L미만으로까지 저하했다.
실험예 7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티타늄제 망이 10메쉬에서도 20메쉬에서도 처리액의 Au 농도가 1mg/L정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거의 같고, Au의 회수효율은 거의 같았다.
(실험예 8)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티타늄제 망으로서 평균 메쉬 크기가 0.3㎜, 평균 선지름이 0.1㎜(60메쉬)인 망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티타늄제 망이 접촉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을 계산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상기 티타늄제 망을 접착한 경우의 표면적은 티타늄제 망을 접착하지 않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적과 비교해서 4.1배정도의 증가이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5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8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티타늄제 망으로서 눈이 지나치게 촘촘한 망을 이용하여도 전해시간을 그다지 단축할 수 없어, Au의 회수효율은 개선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티타늄제 망의 눈을 지나치게 거칠게 해도, 지나치게 미세하게 해도,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나 상기 실험예 7의 결과보다 Au의 회수에 시간이 걸려, Au의 회수효율은 개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실험예 9 및 후술하는 실험예 10은, 티타늄제 망의 권취수가 Au의 회수효율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이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감는 티타늄제 망의 권취수를 1겹으로 하는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티타늄제 망이 접촉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을 계산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상기 티타늄제 망을 접착했을 경우의 표면적은 티타늄제 망을 접착하지 않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적과 비교해서 2.4배정도의 증가이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Au 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하기 위해서는 5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9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감는 티타늄제 망의 권취수를 지나치게 줄이면, 티타늄제 망을 감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0)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감는 티타늄제 망의 권취수를 4겹으로 하는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과 티타늄제 망이 접촉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을 계산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상기 티타늄제 망을 접착했을 경우의 표면적은 티타늄제 망을 접착하지 않는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적과 비교해서 6.8배정도의 증가이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3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Au 농도는 1mg/L까지 저하했다.
실험예 10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감는 티타늄제 망의 권취수를 지나치게 늘려도 티타늄제 망을 감는 효과는 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티타늄제 망의 권취수를 지나치게 적게 하면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나 상기 실험예 10의 결과보다 전해시간이 길어져 Au의 회수효율을 개선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71535709-PAT00001
(실험예 11)
실험예 11 및 후기하는 실험예 12, 13에서는, Au회수 공정을 반복해 행했을 때의 티타늄제 망의 영향을 조사했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처리액으로서 Au함유 시안계 도금품 수세수 30L를 도 1에 나타낸 금속 회수장치에 충전하고, 상기 폐액의 Au 농도가 1mg/L가 될 때까지 전기분해한 후,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한 Au를 회수하지 않고 새로운 Au함유 시안계 도금품 수세수 30L를 충전하는 공정을 반복해서 30회 행하였다. 상기 Au함유 시안계 도금품 수세수의 Au 농도는 97mg/L이다.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한 Au가 박리해서 전해조(1)의 밑바닥에 퇴적한 Au량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 Au함유 시안계 도금품 수세수로서는 합계로 900L 사용했다. 상기 폐액에 포함되어 있는 총 Au량은 87.3g이었다.
하기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30회 반복해서 전기분해를 행한 후,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되어 있는 Au량은 86.1g이며, 전해조의 밑바닥에 퇴적된 Au량은 0.3g이었다. 따라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부터 박리된 Au율은 0.3%이었다.
(실험예 12)
상기 실험예 1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서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지름 160㎜, 길이 200㎜의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하기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30회 반복해서 전기분해를 행한 후,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되어 있는 Au량은 81.3g이며, 전해조의 밑바닥에 퇴적된 Au량은 5.1g이었다. 따라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부터 박리된 Au율은 5.8%이었다.
(실험예 13)
상기 실험예 11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감을 때에, 티타늄제 망과 원통형상 회전 음극의 상부 복수 개소를 도선으로 연결시키고, 티타늄제 망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밀착하지 않도록 스페이서를 넣어서 1㎜정도의 간극을 두고서 2겹이 되도록 감은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하기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30회 반복해서 전기분해를 행한 후,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되어 있는 Au량은 85.0g이며, 전해조의 밑바닥에 퇴적된 Au량은 1.4g이었다. 따라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부터 박리된 Au율은 1.6%이었다.
상기 실험예 11∼13의 결과를 비교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접착시킴으로써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의 전착성을 높일 수 있고,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으로부터 Au를 박리시키지 않고 회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진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회수장치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1535709-PAT00002
(실험예 14)
실험예 14 및 후기하는 실험예 15, 16은, Au함유 왕수(aqua regia) 박리액의 폐액으로부터 Au를 회수했을 때의 회수효율을 조사한 실험이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처리액으로서 Au함유 왕수 박리액의 폐액을 사용한 점과, 전압을 1.0∼2.0V, 전류를 20A로 해서 전기분해를 행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상기 Au함유 왕수 박리액의 폐액의 Au 농도는 80mg/L이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도 3에 ■로 나타낸다.
하기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6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Au 농도는 3mg/L까지 저하했다. 6시간 경과하는 동안,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한 Au가 박리된 모양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예 15)
상기 실험예 14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서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지름 160㎜, 길이 200㎜의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4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도 3에 ◆로 나타낸다.
하기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12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Au 농도는 10mg/L까지 저하했지만, 그 후에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한 Au가 박리해서 재용해가 일어났기 때문에 Au 농도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부터 박리한 Au는, 잠깐이면 왕수에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박리된 Au량은 측정할 수 없었다.
(실험예 16)
상기 실험예 14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감을 때에, 티타늄제 망과 원통형상 회전 음극의 상부 복수 개소를 도선으로 연결시키고, 티타늄제 망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스페이서를 넣어서 1㎜정도의 간극을 두고 2겹이 되도록 감은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4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Au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도 3에 ▲로 나타낸다.
하기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3시간 행한 시점에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에 전착한 Au가 박리해서 재용해가 일어났다. 처리액의 Au 농도는 20mg/L 전후에서 추이하고, Au 농도는 더 이상 저하하지 않았다.
또,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부터 박리된 Au는 잠깐이면 왕수에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박리된 Au량은 측정할 수 없었다.
실험예 14∼16의 결과를 플롯한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으로서 Au함유 왕수 박리액의 폐액을 사용했을 경우이여도 티타늄제 망을 표면에 접착시킨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함으로써(도 3의 ■) 전해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Au의 회수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티타늄제 망을 표면에 접착시킨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함으로써(도 3의 ■) 처리액의 Au 농도를 3mg/L까지 저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Figure 112007071535709-PAT00003
(실험예 17)
실험예 17 및 후기하는 실험예 18에서는, Pd함유 폐액으로부터 Pd를 회수했을 때의 회수효율을 조사했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처리액으로서 Pd함유 폐액(Pd농도는 113mg/L, pH=8)을 사용한 점과, 전압을 7∼8V로 해서 전기분해를 행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Pd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하기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6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Pd농도는 1mg/L까지 저하했다.
(실험예 18)
상기 실험예 17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서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지름 160㎜, 길이 200㎜의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7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Pd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하기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Pd농도를 1mg/L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27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18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7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험예 18의 전해시간은 약 4.5배로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해서 표면적을 약 3.9배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Pd의 회수효율을 약 4.5배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Pd함유 폐액으로부터 Pd를 회수할 경우라도,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지 않을 때보다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함으로써, 전해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Pd의 회수효율이 높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71535709-PAT00004
(실험예 19)
실험예 19 및 후기하는 실험예 20에서는, Cu함유 황산 폐액으로부터 Cu를 회수했을 때의 회수효율을 조사했다.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처리액으로서 Cu함유 황산 폐액(Cu농도는 166mg/L, 산농도는 1mol/L)을 사용한 점과, 전압을 3∼4V로 해서 전기분해를 행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Cu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하기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3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Cu농도는 5mg/L로 저하되고, 6시간 행한 시점에서 처리액의 Cu농도는 1mg/L미만으로까지 저하했다.
(실험예 20)
상기 실험예 19에 있어서, 원통형상 회전 음극(4)으로서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지름 160㎜, 길이 200㎜의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을 사용한 점 이외는, 상기 실험예 19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액을 전기분해했다. 전기분해를 개시하고나서 수시간 경과마다 처리액의 Cu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하기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Cu농도를 1mg/L미만으로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24시간 필요했다.
실험예 20의 결과와 상기 실험예 19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험예 20에서는 전해시간이 약 4배로 길어져 있고,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해서 표면적을 약 3.9배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Cu의 회수효율을 약 4배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보다 원통형상 회전 음극(4)의 표면에 티타늄제 망을 설치함으로써 전해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Cu의 회수효율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71535709-PAT00005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 회수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는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전해시간(hr)에 대한 처리액의 Au 농도(㎎/L)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해조 2 : 양극
3 : 회전축 4 : 원통형상 회전 음극
5 : 모터 6 : 순환 탱크
7 : 펌프 8 : 도전체(티타늄제 망)

Claims (4)

  1. 금속함유 용액을 전기 분해해서 금속을 회수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기둥형상 또는 통형상의 회전 음극과, 상기 회전 음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극과, 망형상 또는 다공질형상의 도전체를 갖고;
    상기 양극과 대향하는 상기 회전 음극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전체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귀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평균 메쉬 크기가 0.5∼3㎜의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평균 선지름이 0.3∼0.5㎜의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장치.
KR1020070100142A 2007-06-11 2007-10-05 금속 회수장치 KR20080108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54459 2007-06-11
JP2007154459 2007-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86A true KR20080108886A (ko) 2008-12-16

Family

ID=401296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142A KR20080108886A (ko) 2007-06-11 2007-10-05 금속 회수장치
KR1020097021692A KR20100015659A (ko) 2007-06-11 2008-06-09 금속 회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692A KR20100015659A (ko) 2007-06-11 2008-06-09 금속 회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651332B2 (ko)
KR (2) KR20080108886A (ko)
CN (2) CN101323957A (ko)
HK (1) HK1138335A1 (ko)
MY (1) MY157686A (ko)
TW (1) TWI435953B (ko)
WO (1) WO20081530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83Y1 (ko) * 2009-10-27 2010-03-30 고병산 이중전극이 장착된 회전식 귀금속회수장치
KR101151564B1 (ko) * 2009-11-16 2012-05-31 신동만 음극충전재를 구비한 전기분해 금회수장치
KR102244502B1 (ko) * 2019-11-29 2021-04-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관 내부 표면 플라즈마 전해연마 음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내부 표면 전해전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2439B2 (en) * 2009-09-14 2015-01-13 Sangyoup Suk Electrolytic both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with increased contact specific surface area
KR100992716B1 (ko) * 2009-10-13 2010-11-05 석상엽 접촉 비표면적을 증대시킨 유가금속 회수용 전해조
JP5558232B2 (ja) * 2010-07-05 2014-07-23 株式会社東芝 高放射性レベル廃液からの希少金属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JP4666418B1 (ja) * 2010-07-07 2011-04-06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貴金属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JP5507502B2 (ja) * 2011-07-15 2014-05-28 松田産業株式会社 金電解回収方法
JP5848571B2 (ja) * 2011-10-04 2016-01-27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電解回収装置
CN103215615B (zh) * 2013-04-10 2016-08-03 东莞市华生电镀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贵金属的回收方法
WO2014192581A1 (ja) * 2013-05-31 2014-12-04 アサヒプリテック株式会社 Au含有ヨウ素系エッチング液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US20170143771A1 (en) * 2014-06-20 2017-05-25 joint Center for Biosciences Composition containing pseudomonas aeruginosa culture solution extract having antibiotic and antiseptic activities, and use thereof
CN110306206A (zh) * 2019-07-16 2019-10-08 深圳市鑫鸿发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电解回收装置
JP7337676B2 (ja) * 2019-12-05 2023-09-04 アサヒプリテック株式会社 金属の電解回収装置
JPWO2022085610A1 (ko) 2020-10-21 2022-04-28
CN112877538A (zh) * 2021-01-11 2021-06-01 中南大学 一种自旋流电场强化置换回收镉绵的装置及方法
JP6975871B1 (ja) * 2021-09-06 2021-12-01 松田産業株式会社 電解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4932Y1 (ko) * 1970-01-09 1976-08-28
JPS62161979A (ja) * 1986-01-08 1987-07-17 Showa Denko Kk 電解鉄の製法
JPS63186887A (ja) * 1987-01-28 1988-08-0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解用電極
JPH071070U (ja) * 1993-02-16 1995-01-10 株式会社フジプレシャス 積層メッシュ電極
JP3990483B2 (ja) * 1997-09-24 2007-10-10 松田産業株式会社 金電解回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83Y1 (ko) * 2009-10-27 2010-03-30 고병산 이중전극이 장착된 회전식 귀금속회수장치
KR101151564B1 (ko) * 2009-11-16 2012-05-31 신동만 음극충전재를 구비한 전기분해 금회수장치
KR102244502B1 (ko) * 2019-11-29 2021-04-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관 내부 표면 플라즈마 전해연마 음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내부 표면 전해전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6808B (zh) 2012-10-24
TW200912046A (en) 2009-03-16
WO2008153001A1 (ja) 2008-12-18
CN101323957A (zh) 2008-12-17
MY157686A (en) 2016-07-15
JP5651332B2 (ja) 2015-01-14
CN101646808A (zh) 2010-02-10
HK1138335A1 (en) 2010-08-20
KR20100015659A (ko) 2010-02-12
JPWO2008153001A1 (ja) 2010-08-26
TWI435953B (zh)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8886A (ko) 금속 회수장치
EP2176451B1 (en) Anode assembly for electroplating
JP4666418B1 (ja) 貴金属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KR200448283Y1 (ko) 이중전극이 장착된 회전식 귀금속회수장치
AU701369B2 (en) Silver electrolysis method in moebius cells
TW201226632A (en)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metal ions from plating wastewater
CA2533450A1 (en) Metal electrowinning cell with electrolyte purifier
JP5898346B2 (ja) 陽極および電解槽の運転方法
US45085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on of a copper-containing etching solution
US5628884A (en) Device and process for the electrolytic separation of metals with the aid of a rotating cathode system
KR101630379B1 (ko) 저 폐수형 유가금속 전해장치
JP5848571B2 (ja) 電解回収装置
JPS5919994B2 (ja) 金属の稀薄溶液から金属粉末を製造する方法
JP5507502B2 (ja) 金電解回収方法
CN110050089B (zh) 用于提取包含在导电混合物中的锡和/或铅的电解方法
JP2594802B2 (ja) 電解還元法
KR101483547B1 (ko) 전해 회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
KR200448367Y1 (ko) 회전디스크형 귀금속 회수장치
JPH08209375A (ja) 銀電解装置
JPS6142794B2 (ko)
KR810001966B1 (ko) 알카리 할로겐 화합물 전해조의 음극 관표면에 닉켈-아연 합금도막을 전착하는 방법
JP3406403B2 (ja) 強酸性水用電極
Takenaka et al. Separation of elements in stainless steel by electrorefin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