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762A -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762A
KR20080108762A KR1020070056745A KR20070056745A KR20080108762A KR 20080108762 A KR20080108762 A KR 20080108762A KR 1020070056745 A KR1020070056745 A KR 1020070056745A KR 20070056745 A KR20070056745 A KR 20070056745A KR 20080108762 A KR20080108762 A KR 20080108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erver
digital
content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훈
박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8762A/ko
Priority to US12/136,447 priority patent/US20080307471A1/en
Publication of KR2008010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4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broadcast system and non-broadcas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방송 컨텐츠(Contents)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기는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저장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제 2 디지털 방송 셀을 탐색하고, 만약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VOD(Video On Deman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여 디지털 방송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방송 수신, 핸드 오버

Description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METHOD FOR SEEMLESSLY PROVIDING BROADCASTING CONTENT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엔진 및 재생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들이 포함된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방 송 컨텐츠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시청할 수가 있다.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를 기반으로 할 경우 ESG 엔진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방송 컨텐츠 가이드인 ESG 데이터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편성표를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된 방송 컨텐츠의 편성표를 기반으로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한다. 그러면 재생 장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인 IP 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동영상(A/V)을 출력한다.
한편, 방송 컨텐츠의 송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는 단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다수의 셀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인 SFN(Single Frequency Network)과 여러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다수의 셀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인 MFN(Multi Frequency Network)으로 나뉠 수가 있다. 방송 수신 단말기는 전술한 두 개의 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이 되는 경우 주파수 정보에 맞추어 핸드 오버(Hand Over)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방송 수신 단말기는 핸드 오버로 인해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계속해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방송 수신 단말기는 현재 위치한 디지털 방송 셀을 벗어나 다음 디지털 방송 셀로 진입할 때까지 방송 컨텐츠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셀에 위치하고 있어도 수신 신호 강도가 낮게 측정이 되는 경우에는 방송 컨텐츠를 계속해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방송 수신 단말기는 기존에 저장해 놓은 ESG 데이터를 기준으로 방 송 컨텐츠의 편성표는 표시할 수가 있지만, 재생 장치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출력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ESG 데이터는 수신과 동시에 방송 수신 단말기 내부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이 되지만, 방송 컨텐츠는 스트리밍(Streamming) 방식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기존의 디지털 방송 셀에서는 하나의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의 방송 컨텐츠가 방송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었다. 그리고 이동통신 셀에서는 디지털 방송 서버와는 별개인 VOD 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셀에서의 방송 컨텐츠와 이동통신 셀에서의 방송 컨텐츠는 동일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방송망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가 이동되거나 충분한 수신 신호 강도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버(Server)와 VOD(Video On Demand) 서버 및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방송 컨텐츠(Contents)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연결 요청이 있을 경우에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의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VOD 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상기 VO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버(Server), VOD(Video On Demand) 서버 및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컨텐츠(Contents)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제 1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상기 VO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요청을 수신한 VOD 서버로부터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송 컨텐츠(Contents)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기는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저장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제 2 디지털 방송 셀을 탐색하고, 만약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VOD(Video On Deman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여 디지털 방송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 무선부(110), 메모리(120), 표시부(130), 키 입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는 디지털 방송 서버(Server)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Contents)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비스 가능한 방송들은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Satellite)-DMB,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T(Terrestial), DVB-S(Satellite) 및 DVB-C(Cable)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송에 대한 컨텐츠들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방송 수신 단말기에 전송이 된다.
무선부(110)는 방송 수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구성된 방송 컨텐츠의 편성표가 저장이 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키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방송 관련 메뉴들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된 방송 컨텐츠(이하 '컨텐츠'라 칭함)를 화면에 출력한다.
키 입력부(16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써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 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키 입력부(160)에서 출력되는 키 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50)에 인가되어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 입력 데이터인지 검출이 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그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키 입력부(160)는 다수의 숫자 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표시부(130)에 출력된 방송 관련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응답인 키 입력을 받는다.
제어부(150)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디지털 방송 서버(Server)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전송되는 현재 위치한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이어 제어부(150)는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와 미리 저장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또 다른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판단을 한다. 제어부(150)는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 경우에 그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지만,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서버와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VOD(Video On Deman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VOD 서버로부터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면 디지털 방송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송 수신 단말기는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VOD 서버로부터 동일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컨텐츠를 끊김없이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크게 서버 단과 단말 단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먼저 서버 단은 컨텐츠 제공 서버(200), 디지털 방송 서버(202) 및 VOD 서버(204) 등으로 구성이 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연결된 디지털 방송 서버(202) 및 VOD 서버(204)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동일한 컨텐츠를 동시에 두 서버(202,204)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두 서버(202,204) 간에는 컨텐츠가 전송되는 시간의 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서버(202) 및 VOD 서버(204)는 서로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서버(202)에서 컨텐츠의 3번째 프레임이 전송이 되는 경우, VOD 서버에서도 동일한 컨텐츠의 3번째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전송 순서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이때 동기화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수신 단말기(216)의 연결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이처럼 디지털 방송 서버(202) 및 VOD 서버(204)에서 동기화된 컨텐츠는 라우터(Router)(206)를 통해 디지털 방송 셀A(210) 및 디지털 방송 셀 B(214)와 같은 디지털 방송 셀과 연결된 IP 서버(207) 및 이동통신 셀(212)과 연결된 IP 서버(208)로 모두 전송이 된다. 다시 말해, 라우터(206)는 디지털 방송 서버(202) 및 VOD 서버(2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에 따라 디지털 방송 셀A 및 B(210,214) 등과 연결된 네트워크의 IP 서버(207) 및 이동통신 셀과 연결된 네트워크의 IP 서버(208)에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 셀 A 및 B(210,214)는 디지털 방송 서버(20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기지국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만큼 보내질 수 있는 최소 단위를 의미하며, 이동통신 셀(212)은 VOD 서버(204)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해당 기지국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만큼 보내질 수 있는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이제 단말 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디지털 방송 셀A(210)에서 디지털 방송 서버(202)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디지털 방송 셀A(210)에서 디지털 방송 셀 B(214)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수신 신호 강도가 약해지거나 단말기 자체의 이동으로 인한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컨텐츠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216)가 디지털 방송 셀A(210) 또는 B(214)를 벗어나거나 수신 신호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에도 컨텐츠가 도중에 중단되지 않도록, 이동통신 셀(212)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계속해서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먼저 300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 VOD 서버(204)에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때 각 서버(202),(204)로 전송되는 컨텐츠는 동일하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일단 디지털 방송 서버(202)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그러나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현재 컨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셀을 벗어나 또 다른 디지털 방송 셀로 진입하기 전까지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보다 더 큰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가지고 있는 셀 정보를 수신해 저장해놓고, 그 저장된 셀 정보를 통해 셀 설정을 재수행하여 현재의 수행하고 있는 동작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되면 그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 셀을 탐색하여 302 단계에서 탐색된 VOD 서버(204)에 연결을 요청한다. 이때 방송 수신 단말기(216)가 VOD(204)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서 VOD 서버(204)는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방송 수신 단말기(216)의 연결 요청을 받은 VOD 서버(204)는 304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 컨텐츠를 동기화한다. 이때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이유는 방송 수신 단말기(216)가 디지털 방송 셀로부터 수신하던 컨텐츠를 이동통신 셀에서 연속해서 수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서버측에서 미리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동기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VOD 서버(204)는 306 단계에서 동기화된 컨텐츠를 방송 수신 단말기(216)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VOD 서버(204)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의 연결을 종료하기 위하여 308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서버(202)에 연결 해제 요청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기존의 디지털 방송 셀에서만 국한되어 있던 컨텐츠의 수신 범위를 이동통신 셀까지 포함하여 넓힐 수가 있으므로, 컨텐츠를 중단없이 연속해서 제공받을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400 단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402 단계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저장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수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404 단계로 진행하지만,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400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수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아 404 단계로 진행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탐색하여 406 단계에서 탐색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판단 결과 탐색된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 경우 408 단계로 진행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410 단계에서 핸드 오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412 단계에서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현재 위치한 디지털 방송 셀 내의 수신 신호 강도보다 더 큰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또 다른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 경우, 그 또 다른 디지털 방송 셀을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406 단계에서 탐색된 디지털 방송 셀이 없으면 414 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방송 셀 외에 이동통신 셀이 있는지 탐색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416 단계에서 탐색된 이동통신 셀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탐색된 이동통신 셀이 있는 경우 418 단계로 진행하여 VO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이동통신 셀이 있는 경우 VOD 서버(204)가 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신하여 VOD 서버(204)와의 연결을 위해 네트워크를 재설정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이동통신 셀로 진입하자마자 전화 송수신과 데이터 서비스 등을 위해 서킷(Circuit) 및 패킷(Packet) 망을 설정하기 때문에, 이미 네트워크의 설정은 끝난 상태일 것이다. 하지만 만약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라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이동통신 셀(212)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네트워크의 설정이 끝나 VOD 서버(204)와 연결이 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이전의 디지털 방송 셀(210)에서 수신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VOD 서버(212)에 있는지 탐색을 한다.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VOD 서버(204)에 동일한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부(130)에 찾을 수 없는 컨텐츠라 표시하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하지만, 동일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420 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를 동기화한다. 여기서 동기화는 이전의 디지털 방송 서버(202)로부터 수신하던 컨텐츠와 현재 VOD 서버(204)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간의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이 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이전의 디지털 방송 서버(202)로부터 컨텐츠의 2번째 프레임까지 수신한 경우, VOD 서버(204)로부터는 컨텐츠의 3번째 프레임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두 컨텐츠 간의 타임스탬프를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422 단계에서 동기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424 단계에서 컨텐츠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디지털 방송 서버(202)가 아닌 VOD 서버(204)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의 연 결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426 단계에서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이때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의 연결을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을 기다리도록 한다. 이는 방송 수신 단말기(216)가 디지털 방송 셀에 연결할 수 없는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에 다른 디지털 방송 셀에 들어가거나, 원래 있던 디지털 방송 셀에 들어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다시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에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의 연결을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기다림으로써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에 재연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는 계속해서 수신 신호 강도를 체크하여, 다른 디지털 방송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한다. 이때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만약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났는데도 인접한 디지털 방송 셀을 파악하지 못할 경우에는 VOD 서버(204)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디지털 방송 서버(202)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기(216)는 416 단계에서 탐색된 이동통신 셀이 없는 것으로 판단이 되면, 422 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통하여 방송 수신 단말기가 이동되거나 충분한 수신 신호 강도를 갖지 못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된 전송 영역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방송 서버(Server)와 VOD(Video On Demand) 서버 및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방송 컨텐츠(Contents)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연결 요청이 있을 경우에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의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VOD 서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상기 VO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 상기 VOD 서버에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VOD 서버에 이동통신 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 및 VOD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털 방송 셀과 연결된 네트워크의 IP 서버 및 이동통신 셀과 연결된 네트워크의 IP 서버에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라우터(Rou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VOD 서버로부터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와 상기 VOD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비교하여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VOD 서버에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의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있는지 검색하여,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없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7. 디지털 방송 서버(Server), VOD(Video On Demand) 서버 및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컨텐츠(Contents)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모드에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제 1 디지털 방송 셀(Cell) 내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인접한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셀이 없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상기 VOD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요청을 수신한 VOD 서버로부터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VOD 서버로부터 상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모드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VOD 서버와 연결이 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와 상기 VOD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맞추어 동기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070056745A 2007-06-11 2007-06-11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KR20080108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45A KR20080108762A (ko) 2007-06-11 2007-06-11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US12/136,447 US20080307471A1 (en) 2007-06-11 2008-06-10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providing broadcast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45A KR20080108762A (ko) 2007-06-11 2007-06-11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762A true KR20080108762A (ko) 2008-12-16

Family

ID=400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45A KR20080108762A (ko) 2007-06-11 2007-06-11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307471A1 (ko)
KR (1) KR200801087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21B1 (ko) * 2009-11-27 2011-04-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역 무선랜 환경에서 컨텐츠 푸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2793B (zh) * 2011-07-25 2014-06-21 Acer Inc 回報量測報告事件之方法
US20160353338A1 (en) * 2014-02-14 2016-1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Managing Measurement of Referenc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6716A1 (en) * 2000-02-18 2001-08-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rocessing of video data
US7334249B1 (en) * 2000-04-26 2008-02-1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tering digital video images
AU784972B2 (en) * 2000-07-28 2006-08-10 Sony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6757735B2 (en) * 2001-07-03 2004-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distributing multiple description streams on servers in fixed and mobile streaming media systems
US20030078045A1 (en) * 2001-10-02 2003-04-24 Anders Norstrom Soft stream hand over
JP3776363B2 (ja) * 2002-02-18 2006-05-17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認識システム
US7283782B2 (en) * 2002-10-22 2007-10-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shared and individual channels to provide broadcast content services in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US7564905B2 (en) * 2002-12-20 2009-07-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single frequency network
JP3891174B2 (ja) * 2003-12-08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制御方法
JP2005260758A (ja) * 2004-03-12 2005-09-22 Hitachi Ltd 携帯端末、ディジタルデータ配信サーバ、及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4405306B2 (ja) * 2004-03-31 2010-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7706739B2 (en) * 2005-03-11 2010-04-27 Openwave Systems Inc. Broadcast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networks
US7689236B2 (en) * 2005-03-17 2010-03-30 Nokia Corporation Media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use of media device
US20100229205A1 (en) * 2005-05-27 2010-09-09 Cellular Terrestrial Broadcasting, Llc Cellular Television Broadcas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21B1 (ko) * 2009-11-27 2011-04-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역 무선랜 환경에서 컨텐츠 푸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7471A1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65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ation of multimedia playback
US8005987B2 (en) Multi-representation media event handoff
US7336925B2 (en) Graphical indication of a proximately located device
JP4391505B2 (ja) 弱電界区間において放送サービスを提供する放送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158492A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140189751A1 (en) Broadband assisted channel change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45707B1 (ko) 수신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EP1827010A2 (en) Method for outputting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9288443B2 (en) Broadcast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apparatus and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device for use in the system
KR100689444B1 (ko)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20080074557A1 (en) Method for switching a channel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080108762A (ko) 방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방법
JP2007159121A (ja) 弱電界区間における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サービスの提供装置及び方法
WO2015111478A1 (ja) 外部端末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10013215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방송 채널 미리 보기 방법 및 장치
KR20090015260A (ko) 다중 영상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방법과 시스템 및 이에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EP1879379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for quick channel switching and method thereof
US8769588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television set
KR20080043038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1287110B1 (ko)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3219732A (ja) コンテンツハンドオーバー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20054817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Set-Top Box
KR101295572B1 (ko)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수신감도 표시 방법
US10499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errestrial broadcast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