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244A -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244A
KR20080108244A KR20087022765A KR20087022765A KR20080108244A KR 20080108244 A KR20080108244 A KR 20080108244A KR 20087022765 A KR20087022765 A KR 20087022765A KR 20087022765 A KR20087022765 A KR 20087022765A KR 20080108244 A KR20080108244 A KR 2008010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call control
terminal devic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2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세타
하루야 미야지마
히데키 하야시
테루야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dapting protocols for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to wireless environment, e.g. adap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과제]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 TCP 통신의 지속과 리얼타임 통신의 품질 유지를 동시에 실현한다.
[해결 수단] 이동단말장치(3a)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9)와, 무선 LAN(4) 등의 통신 품질을 검출하는 통신 품질 감시부(38)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9)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과 통신 품질 감시부(38)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고정 어드레스 및 의탁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드레스 제어부(31)와,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고정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의탁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선택하는 망 선택 전환부(33)를 갖는다.
이동단말장치, 어플리케이션, 고정 어드레스, 의탁 어드레스, 홈 에이전트

Description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 {Session Control System, Sess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에서의 IP 모빌리티(IP Mobility) 및 리얼타임 통신의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체 통신의 IP(Internet Protocol)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 이동체 통신에서도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을 행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동체 통신에서는 단말의 액세스망간 이동시에 IP 어드레스가 변화하지만, TCP 통신에서는 IP 어드레스가 변화하면 세션이 절단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TCP 통신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Mobile IP(MIP) 등의 IP 모빌리티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상기 IP 모빌리티의 사양으로서 Mobile IPv6의 표준화를 제창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IP 모빌리티에서는,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MN:Mobile Node)(3a)에, 이동단말장치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이동단말장치가 이동하여도 변동하지 않는 일의적(一意的) IP 어드레스인 홈 어드레스(HoA:Home of Address)가 부여된다. 이러한 HoA는 이동단말장치(3a)가 본래 소속된 네트워크(홈 링크)인 패킷 코어망(2) 상에서의 고정된 IP 어드레스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패킷 코어망(2)에는 다른 네트워크로서 무선 LAN(4)이나 셀룰러 패킷망(6)이 라우터 장치(7)나 게이트웨이 장치(5)를 통해 접속되고, 이동단말장치(3a)와 통신상대인 통신처 단말(CN:Correspondent Node)(3b)과의 사이에서 통신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패킷 코어망(2) 상에는 홈 에이전트(HA:Home Agent)(21)가 설치되고, 이 홈 에이전트(21)는 이동단말장치의 홈 어드레스와 홈 링크 이외에 존재하는 의탁 어드레스(CoA:Care of Address)의 대응 정보(바인딩 정보)를 보유하고, 각 이동단말장치(MN)의 홈 어드레스 및 의탁 어드레스를 관리한다. 그리고, 이동단말장치(MN)는, 홈 링크 이외의 링크로 이동하면 이동처의 링크에서 의탁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이동단말장치는 취득한 의탁 어드레스에 관하여 홈 에이전트(21)에 대하여 위치등록을 행한다. 도 14에서 제시한 예에서는, 무선 LAN(4)에서 셀룰러 패킷망(6)으로 이동하고, 의탁 어드레스가 CoA1에서 CoA2로 갱신된다.
여기서, 상술한 IP 모빌리티에서의 일반적인 이동단말장치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이동단말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각 어플리케이션(99)에 대하여, 어드레스 제어부(91)에 의해 의탁 어드레스가 은폐되고, 이동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은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하지 않고 홈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이하, 이동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단말장치(3a)와 통신처 단말장치(3b) 사이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15는 종래 패킷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에서 통신처 단말장치(3b)로 데이터(D11)를 송신할 경우, 이동단말장치(3a)는 데이터(D11)의 선두에 통신처 단말장치(3b)의 홈 어드레스(HoA)로 주소지정된 헤더(D12)와, 홈 에이전트(21)로 주소지정된 IP 헤더(D13)를 부가(캡슐화)하여 송신한다. 홈 에이전트(21)는 해당 홈 에이전트(21)로 주소지정된 패킷(D1)을 포착하고 선두에 부가된 IP 헤더(D13)를 제거(디캡슐화)하여, 헤더(D12)로부터 통신처 단말장치(3b)의 홈 어드레스(HoA)를 취득하고 해당하는 HoA로 송신한다.
한편, 통신처 단말장치(3b)에서 이동단말장치(3a)로 데이터(D21)를 송신할 경우, 통신처 단말장치(3b)는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로 주소지정된 패킷(D2)을 송신한다. 홈 에이전트(21)는 상기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로 주소지정된 패킷(D2)을 포착하고,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CoA로 주소지정된 IP 헤더(D23)를 부가(캡슐화)하여 패킷(D2)을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3a)는 상기 CoA로 주소지정된 패킷(D2)을 수신하면, 먼저 부가된 IP 헤더(D23)를 제거(디캡슐화)하여 오리지날 패킷(D21)을 복원한다.
그러나, 상기 IP 모빌리티 기능으로는 홈 에이전트(21)로의 트래픽 집중 등의 문제에 의해 리얼타임(RT) 통신의 품질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하면, 상기 IP 모빌리티 기능으로는 모든 통신이 홈 에이전트(21)를 통하는, 소위 MIP 가상 인터페이스 경유가 되기 때문에, 통신 경로가 장황해지고 통신 지연이 발생하거나 홈 에이전트에 대한 부하 집중에 의한 패킷 손실을 발생시켜서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RT 통신에는 품질 악화의 요인이 된다.
이 때문에, 간단히 MIP를 이용하여도 TCP 통신과 UDP 통신의 품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앞으로, 액세스망의 브로드 밴드화나 단말의 고성능화에 의해 복수의 통신 세션을 유지하는 이동통신이 보다 현실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TCP 통신과 RT 통신의 품질을 동시에 유지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 특원2005-340982호 공보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의 IP 모빌리티 기능과 리얼타임 통신 기능의 인터페이스를 분리 가능하게 하고, 이동단말장치에 리얼타임 통신의 QoS 상태에 따라서 동적인 세션 제어를 행함으로써, TCP 통신의 지속과 리얼타임 통신의 품질 유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이동단말장치 마다 부여되는 이동단말장치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 어드레스와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홈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와,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검출하는 통신 품질 감시부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의 종별과 통신 품질 감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고정 어드레스 및 의탁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드레스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어드레스 제어부는,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고정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의탁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1)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시에 해당 이동단말장치에서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검출하고,
(2) 이동단말장치에 의해 이동단말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과 통신 품질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고정 어드레스 및 의탁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3) 상기 (2)에서,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고정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의탁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선택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QoS 상태)에 따라서 고정 어드레스(HoA)와 의탁 어드레스(CoA)를 전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리얼타임 통신에서의 홈 에이전트에 대한 트래픽 집중을 회피할 수 있고, 아울러 TCP 통신 등과 같은 어드레스의 변동에 의해 절 단되어버리는 통신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이동단말장치는,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呼)제어장치에 통지하고, 이 호제어장치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이동단말장치의 호제어부에 통신 경로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이동단말장치의 호제어부는 호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서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호제어장치가 주도하여 통신에 관련된 단말 쌍방의 통신 품질에 근거한 제어가 가능해지고, 보다 적절하게 통신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이동단말장치는,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고, 이 호제어장치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각 이동단말장치는 호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서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호제어장치가 주도하여 통신에 관련된 단말 쌍방의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부호화 대역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상술한 통신 경로의 선택과 병행하여 트래픽량의 최적화를 꾀함으로써 송수신 쌍방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트래픽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이동단말장치는,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고, 이 호제어장치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에 해당 통신에서의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이동단말장치는 호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서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호제어장치가 주도하여 통신에 관련된 단말 쌍방의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패킷의 송출 간격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상술한 통신 경로의 선택과 병행하여 트래픽량의 최적화를 꾀함으로써 송수신 쌍방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트래픽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 각 최적화 처리는, 이동단말장치가 주도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즉, 상기 (1)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측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각종 최적화 처리(통신 경로의 최적화,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 패킷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3)에서, 각 통신단말장치는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와 협동하여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지시에 따른 최적화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통신에 관련된 단말 쌍방의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통신에 관련된 각 이동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주도한 각종 최적화 처리가 가능해지고, 호제어장치의 부담을 증대시키지 않고 단계적으로 트래픽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호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의 각 기능 블록간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에서의 최적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에서의 패킷 송수신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미디어 속성의 변경 제어 및 통신 경로의 최적화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호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호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의 연속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호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의 연속이다.
도 14는 종래의 세션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세션 제어 시스템에서의 패킷 송수신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 명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이동단말장치에서의 각 기능 블록간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세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장치 등의 호제어장치(1)가 설치되고,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 통신을 행하는 코어(핵)가 되는 패킷 코어망(IP망)(2)과 휴대전화기 등의 이동단말장치(3a) 사이에서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셀룰러 패킷망(6)을 라우터 장치(7)를 통해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패킷 코어망(2)과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 통신을 행하는 무선 LAN(4)(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라우터 장치(7)를 통해 서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패킷 코어망(2)에는, 다른 통신네트워크로서의 셀룰러망이나 무선 LAN(4) 외에, 음성 통신이 가능한 IP 전화망(8)이나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일반 공중망)(9)이 게이트웨이 장치(5)나 라우터 장치(7)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게이트웨이 장치(5)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장치(MGC)와 시그널링 게이트웨이(SG)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보통 MGC가 SIP를 이해하고 MGC가 SG 및 MGW를 제어하며 각각 시그널 링 및 회선 접속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킷 코어망(2)에는 홈 에이전트(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 에이전트(21)는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HoA)와 의탁 어드레스(CoA)의 대응 정보(바인딩 정보)를 보유·관리한다. 그리고, 이동단말장치는 홈 링크 이외의 링크로 이동하면 이동처의 링크에서 의탁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이동단말장치는 취득한 CoA에 관하여 홈 에이전트(21)에 대하여 위치등록을 행한다.
(호제어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호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제어장치(1)는 호제어계의 기능으로서 위치등록 처리부(103)와 호제어부(104)와 네트워크(I/F)(105)를 구비하고 있다.
호제어부(104)는, 이동단말장치(3a)와의 사이에서 호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이 호제어 메시지를 착신처가 되는 통신처 단말장치(3b) 등으로 송신함으로써 발호(發呼)·착호(着呼) 처리를 행하는 모듈이다. 위치등록 처리부(103)는 호제어부(104)로부터 위치등록 메시지를 받으면 등록 서버에 보존·갱신시키는 모듈이다. 이 위치등록 처리부(103)에서는 위치정보로서 각 단말의 HoA뿐만아니라 CoA도 보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는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이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다이얼 업 기능 등의 망 제어 기능이나 기본 프로토콜 스택(TCP/UDP/IP 등)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또한, 호제어장치(1)는 QoS 관리부(102)와 3PCC(3PCC:3rd Party Call Control)부(101)를 갖는다. QoS 관리부(102)는 호제어부(104)로부터 QoS 관련 신 호(알람 신호, 품질 리셋 신호, 품질 양호 신호 등)를 수신하면,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해당하는 접속 상태 레코드를 갱신시킨다. 이 레코드의 갱신시에는, 해당 신호의 발생 시간이 기록되고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한 신호 상태에 따라서 QoS 관리부(102)로부터 3PCC부(101)에 대하여 코덱의 변경이나 경로 최적화 제어를 3PCC부(101)에 지시한다. 또한, 3PCC부(101)는 QoS 관리부(102)의 지시에 따라서 3PCC 의 순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단말장치 그룹에 관해서 코덱이나 패킷 송신 간격을 변경시키거나 경로 최적화를 행하게 하는 모듈이다.
또한, 이 호제어장치(1)는 각 유저의 위치정보 및 접속상태를 보존하기 위한 등록 데이터 서버(15)와 각 유저의 위치등록 처리를 행하는 위치등록 처리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정보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ID(전화번호, SIP-URI 등)로 위치등록된 대기 저장 어드레스인 HoA 및 CoA를 관련시킨 데이터이고, 접속상태는 접속 완료 호를 식별하는 ID, 서로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ID의 그룹, 사용중인 코덱, 코덱 우선순위, 현재 착신 대기 저장 어드레스 그룹(CoA/HoA)이나 QoS 신호 송신원과 그 수신 시각 등을 보유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호제어장치(1)에서 호제어부(104)는, 각 유저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접속상태정보를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등록 제어하는 동시에 각 유저의 위치정보를 위치등록 처리부(103)에 전송한다. 위치등록 처리부(103)는, 호제어부(104)로부터 위치정보가 전송되면 이 전송된 위치정보와 상기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등록 완료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유저(이동단말장치(3a))가 통신망(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망)을 이동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나 접 속상태를 갱신한다.
(이동단말장치의 구성)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4는 도 3에 도시한 블록도에서의 각 기능 블록간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및 통신처 단말장치(3b))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9)와 유저 인터페이스(36)와 망 선택 전환부(33)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1∼31n)를 구비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9)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실행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고, TC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TCP 실행부(39a)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RT 실행부(39b)로 구성되어 있다. TCP 실행부(39a)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로서는 Web 브라우저나 화일 전송 소프트, 메일러 소프트 등의 TCP에 근거한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9)에 의한 통신은 소켓 인터페이스(32)를 통해 TCP 인터페이스(32a)에 접속되고, 이 TCP 인터페이스(32a)로부터 어드레스 제어부(31)의 MIP부(31a) 및 망 선택 전환부(33)를 통해 통신망(311∼31n)에 접속된다.
한편, RT 실행부(39b)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로서는, SIP에 근거한 통화 어플리케이션 등, UD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이 RT 실행부(39b)에 의한 통신은 소켓 인터페이스(32)를 통해 UDP 인터페이스(32b)에 접속되고, 이 UDP 인터페이스(32b)로부터 어드레스 제어부(31)의 MIP부(31a) 또는 IP부(31b)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망 선택 전환부(33)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 스(311∼31n)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RT 실행부(39b)는 코덱 처리부(37)와 미디어 송수신부(35)와 품질 감시부(38)와 호제어부(34)와 어드레스 제어부(31)가 포함되어 있다. 미디어 송수신부(35)는 통신상대의 단말장치(3b) 사이에서 음성이나 동화상 등의 리얼타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이다. 품질 감시부(38)는 리얼타임 통신의 QoS를 감시한다.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QoS가 저하했다고 판단되면 호제어장치에 알람 송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QoS값으로서는 통신 패킷의 평균 지터(jitter), 패킷 손실율, 평균 왕복 지연 시간 등을 들 수 있다.
호제어부(34)는 호제어 메시지를 상기 호제어장치(1) 혹은 통신상대의 단말장치(3b) 사이에서 송수신하고, 등록·발호·착호 처리나 음성 코덱 등의 미디어 교섭을 행하는 모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제어부(34)는 호제어장치(1)의 지시에 따라서 동적인 코덱 변경이나 수신 어드레스 변경을 행한다.
또한, 어드레스 제어부(3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9)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과 품질 감시부(38)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 어드레스로서 HoA 및 CoA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모듈이고, HoA를 이용한 통신을 실행하는 MIP부(31a)와 CoA를 이용한 통신을 실행하는 IP부(31b)로 구성된다. MIP부(31a)는 홈 에이전트(21)에 대한 위치등록이나 IP·UDP 캡슐링 등의 통상의 MIP 처리를 행하는 모듈이다. 일반적으로 이 MIP 처리를 실행하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는 MIP의 IF밖에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UDP 인터페이 스(32b)에 대해서는 MIP부(31a)와 IP부(31b)를 분리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상황에 따라서 MIP 통신 또는 비(非)MIP 통신을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어드레스 제어부(31)는, 해당 단말장치(3a)에 있어서 수신 어드레스로서 HoA가 이용될 경우에는 홈 에이전트(21)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책정하고, CoA가 이용될 경우에는 홈 에이전트(21)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책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망 선택 전환부(33)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1∼31n)를 감시하고 유저의 기호, 가격, 통신품질(전계강도) 등으로부터 최적의 I/F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모듈이다. 또한, 망 선택 전환부(33)는,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해서 동시에 복수의 I/F를 유효하게 하고, MIP부(31a)나 호제어부(34)에 위치등록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1∼31n)는,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이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다이얼 업 기능 등의 망 제어 기능(NCU)이나 기본 프로토콜 스택(TCP/UDP/IP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36)는, 마이크로폰이나 스피커부 등이 접속된 음성카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AD/DA변환부 등을 구비한 입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이다. 코덱 처리부(37)는, 유저 인터페이스(36)나 미디어 송수신부(35)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대응하는 모듈이나 통신상대에게 최적의 포맷으로 변환 처리(코덱 변환 처리)하는 모듈이다.
(최적화 처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시스템에 의해 각 단말에서 자기(自機)의 통신품질을 감시시켜서 일정한 품질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호제어장치(1)로 QoS관련 신호를 통지시키고, 호제어장치(1)에서 각 단말장치의 통신품질을 파악하여 서로 통신하는 각 단말장치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하는 신호 상황에 따라서 각종 최적화 처리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단계적으로 행한다.
(a) 한쪽의 단말로부터 알람 수신⇒미디어 속성 변경에 의한 최적화
(b) 양쪽의 단말로부터 알람 수신⇒경로 최적화
구체적으로, 우선, 상기 (a)의 미디어 속성 변경에서는, 어느 한쪽의 단말이 속하는 액세스망의 통신품질 저하를 상정하고, 호제어장치(1)에서 단말에 패킷 송출 간격의 변경이나 저대역 코덱으로의 변경을 동적으로 지시한다. 또한, 상기 (b)의 경로 최적화에서는, 홈 에이전트(21)의 과부하 상태를 상정하고 HoA를 사용하는 MIP 통신과 CoA를 사용하는 비MIP 통신을 동적으로 전환한다.
나아가, 상기 (a),(b) 중 한쪽의 세션 제어를 행한 후 다시 해당 통신에 관련된 단말의 그룹으로부터 품질알람을 수신하면, 각각 다른 쪽의 제어를 행하고 RT 통신의 품질을 유지한다. 한편, HoA를 계속 이용하는 TCP 통신은 MIP의 모빌리티에 의해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안 방식에서의 2개의 세션 제어는 통신중인 미디어 속성이나 IP 어드레스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표준적인 SIP 모빌리티와 제삼자가 호제어할 수 있는 SIP-3PCC 순서를 조합하여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각종 최적화 처리는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호제어장치(1)에 이동단말장치(3a)의 CoA와 HoA의 쌍방을 등록하고,
(2) 이동단말장치(3a 또는 3b)에서 RT 통신의 QoS 악화를 검지하면 호제어장치(1)에 QoS 관련신호로서 통지하고,
(3) 호제어장치(1)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통지상태에 의해 통신 경로 최적화 제어(비MIP로의 변경), 미디어 속성 변경에 의한 최적화(코덱 대역의 변경 제어나 패킷 송신 간격 제어)를 행하고,
(4) QoS가 양호한 경우, 호제어장치(1)는 코덱의 대역을 올리거나 MIP 통신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통신 경로의 최적화 제어로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에서 통신처 단말장치(3b)로 데이터(D11)를 송신할 경우, 이동단말장치(3a)는 데이터(D11)의 선두에 통신처 단말장치(3b)의 홈 어드레스(HoA)로 주소지정된 헤더(D12)와 홈 에이전트(21)로 주소지정된 IP 헤더(D13)를 부가(캡슐화)하여 송신한다. 홈 에이전트(21)는 해당 홈 에이전트(21)로 주소지정된 패킷(D1)을 포착하고 선두에 부가된 IP 헤더(D13)를 제거(디캡슐화)하여, 헤더(D12)로부터 통신처 단말장치(3b)의 홈 어드레스(HoA)를 취득하고 해당하는 HoA로 송신한다.
한편, 통신처 단말장치(3b)에서 이동단말장치(3a)로 데이터(D21)를 송신할 경우, 통신처 단말장치(3b)는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로 주소지정된 패킷(D2)을 송신한다. 홈 에이전트(21)는 상기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로 주소지정된 패킷(D2)을 포착하고, 이동단말장치(3a)의 홈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CoA로 주소지정된 IP 헤더(D23)를 부가(캡슐화)하여 패킷(D2)을 송신한다. 이동단말장 치(3a)는 상기 CoA로 주소지정된 패킷(D2)을 수신하면 먼저 부가된 IP 헤더(D23)를 제거(디캡슐화)하여 오리지널 패킷를 복원한다.
다른 한편, UDP 기반의 통신에서는, 패킷(D3 및 D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와 통신처 단말장치(3b)의 쌍방으로부터 의탁 어드레스로 주소지정된 헤더(D32 및 D42)를 부가하여 직접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도 5 중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에이전트(21)를 경유하지 않는(예를 들면, 라우터(42) 경유) 통신경로가 형성되고 홈 에이전트(21)에서의 부가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단말장치(3a 및 3b)는 MIP 통신과 비MIP 통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호제어장치(1)는 각 단말의 2개의 착신 어드레스(HoA 및 CoA)를 파악한다.
(세션 제어 방법)
이상의 구성을 갖는 세션 제어 시스템을 동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세션 제어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세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세션 제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우선, 이동단말장치(3a)로부터 호제어장치(1)에 대하여 HoA와 CoA의 쌍방을 위치등록시킨다(f1). 이어서, 통신을 개시할 때, 이동단말장치(3a)의 TCP 실행부(39a)와 RT 실행부(39b)는 HoA를 이용한 MIP 통신을 행한다(f2).
그리고, RT 통신의 품질이 일정한 품질 이하가 되면, 이동단말장치(3a)는 예를 들면 INFO 메소드(참고 문헌 "The SIP INFO Meshod", RFC2976, October,2000)를 이용하여 호제어장치(1)에 품질 알람 신호를 보낸다(f3). 호제어장치(1)는 일정 시 간 내에 서로 통신하는 단말의 양방으로부터 알람을 수신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PCC를 이용하여 경로 최적화 제어를 행한다(f4).
그 후, 다시 통신처 단말장치(3b)측으로부터 품질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f5), 단말이 이용하는 코덱이나 패킷 송출 간격 등의 미디어 속성을 변경시킨다(f6). 한편, TCP 통신은 HoA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MIP에 의해 세션이 유지된다(f7).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미디어 속성의 변경 제어 및 통신 경로의 최적화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미디어 속성 변경 제어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차도이고, (b)는 통신 경로 최적화 제어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또한, 도 8(a)에서는 미디어 속성의 변경 제어로서 코덱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패킷 송출 간격 변경시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 및 3b) 사이에서 MIP 또는 비MIP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S401). 그리고, 예를 들면, 이동단말장치(3a) 측에 대하여 호제어장치(1)로부터 코덱(또는 패킷 송출 간격) 지정의 문의(Invite)를 행하면(S402), 이동단말장치(3a)에서는 이 지정에 따라서 수신 어드레스 및 포트의 지정을 행한다(S403). 호제어장치(1)는 이 이동단말장치(3a)가 지정한 수신 어드레스 및 포트를 통신처 단말장치(3b)로 통지하기 위해, 통신처 단말장치(3b)에 대하여 코덱 지정의 문의(Invite)를 행하고(S404), 통신처 단말장치(3b)는 자기의 수신 어드레스 및 포트를 지정한다(S405).
호제어장치(1)는 ACK로서 통신처 단말장치(3b)의 수신 어드레스 및 포트를 이동단말장치(3a)에 통지하는 동시에(S406), 이동단말장치(3a)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 통신처 단말장치(3b)에 ACK를 송신한다(S407).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 및 3b) 사이에서 HoA를 이용한 통신(MIP 통신)을 행할 때 해당 MIP 통신을 CoA에 의한 통신(비MIP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이동단말장치(3a)측에 대하여 호제어장치(1)로부터 비MIP 통신의 문의(Invite)를 행하면(S502), 이동단말장치(3a)에서는 이 지정에 따라서 의탁 어드레스 및 포트의 지정을 행한다(S503). 호제어장치(1)는 이러한 이동단말장치(3a)가 지정한 의탁 어드레스 및 포트를 통신처 단말장치(3b)에 통지하기 위해서, 통신처 단말장치(3b)에 대하여 비MIP 통신의 문의(Invite)를 행하고(S504), 통신처 단말장치(3b)는 자기의 홈 어드레스 및 포트를 지정한다(S505).또한, 통신처 단말장치(3b)에 관해서도 동시에 경로최적화할 경우에는 통신처 단말장치(3b) 측에서도 이 스텝 S505에서 CoA 및 포트를 지정할 수 있다.
호제어장치(1)는 ACK로서 통신처 단말장치(3b)의 홈 어드레스 및 포트를 이동단말장치(3a)에 통지하는 동시에(S506), 이동단말장치(3a)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 통신처 단말장치(3b)에 ACK를 송신한다(S507).
이어서, 상술한 세션 제어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 및 호제어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이동단말장치(3a) 측에서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단말장치측에서 통신품질의 감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3a)에서 정기적으로 미디어 송수신부(35)에 QoS 정보의 문의를 행하고(S101), QoS가 하한 임계치를 밑돌지 않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102). QoS이 하한 임계치를 밑돈 경우(S102에서의 "Yes")에는 호제어장치(1)에 품질 알람 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S103).
한편, 스텝 S102에서, QoS가 하한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S102에서의 "No"), 이어서 QoS가 상한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감시한다(S104). QoS가 상한 임계치 미만이면(S104에서의 "Yes"), 호제어장치(1)에 품질 리셋 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S105). 스텝 S104에서 QoS가 상한 임계치를 상회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104에서의 "No" 및 S106), 호제어장치(1)에 품질 양호 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S107).
이렇게 하여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호제어장치(1)에 송신되는 QoS 관련 신호에 따라서, 호제어장치(1)가 주도하여 각 최적화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 이동단말장치측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P에 의한 통신중, 호에 관한 변경 요구를 수신하면(S201 및 S202), 그 변경 요구가 코덱의 변경 요구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S203). 코덱의 변경 요구일 경우(S203에서의 "Yes"), 미디어 송수신부(35)에 코덱 변경을 통지하고, 신규 데이터 수신 포트 번호를 취득하고(S204), 현재 데이터 수신 어드레스(HoA) 및 신규 포트 번호를 회신한다(S205). 그 후, ACK에 포함되는 데이터 송신처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미디어 송수신부(35)에 통지한다(S206).
스텝 S203에서, 변경 요구가 코덱 변경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S203에서의 "No"), 변경 요구의 내용이 경로 변경 요구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 단한다(S207). 경로 변경 요구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201로 되돌아가고, 다음 변경 요구가 수신될 때 까지 대기상태가 된다.
스텝 S207에서, 경로 변경 요구로 판단된 경우에는, 미디어 송수신부(35)에 경로 변경을 통지하고 신규의 의탁 어드레스(CoA)에서의 신규 데이터 수신 포트 번호를 취득하고(S208), 신규 데이터 수신 어드레스(CoA) 및 신규 포트 번호를 회신한다(S209). 그 후, ACK에 포함되는 데이터 송신처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미디어 송수신부(35)에 통지한다(S210).
도 11∼도 13은 호제어장치(1)측에서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대기하는 중에 호제어부(104)로부터 QoS 관련 신호를 수신하면(S301 및 S302), 해당 단말에 관한 접속 상태 레코드의 독출을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지시하고(S303), 수신 신호는 품질 알람 신호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S304).
스텝 S304에서, 수신신호가 품질 알람 신호인 경우에는(S304에서의 "Yes"), 해당 통신상대가 알람세트 상태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S305), 알람세트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해당 통신에 관한 경로를 비MIP 통신으로 전환하는 최적화 제어를 3PCC부(101)에 지시한다(S306). 또한, 스텝 S305에서, 통신상대가 알람세트 상태에 없을 때에는(S305에서의 "No"), 해당 레코드의 단말 알람 상태를 세트하여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갱신을 지시하고(S310), 해당 레코드에 관한 타이머 이벤트를 세트하여(S311)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S301).
한편, 스텝 S304에서 수신신호가 품질 알람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S304에서의 "No"), 해당 수신신호가 품질 리셋 신호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단 한다(S307). 수신신호가 품질 리셋 신호일 때에는 해당 단말에 관한 접속상태 레코드를 독출하도록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지시하고(S308), 해당 레코드의 해당 단말에 관한 알람 상태를 리셋하여(S309),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S301).
다른 한편, 스텝 S307에서 수신 신호가 품질 리셋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S307에서의 "No"), 해당 수신신호가 품질 양호 신호로서(S318), 해당 단말에 관한 접속 상태 레코드를 독출하도록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지시하고(S319), 해당 통신상대의 품질 양호 세트 상태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S320). 품질 양호 세트 상태일 때에는(S320에서의 "Yes"), 해당 통신에 대한 MIP 통신으로의 변경 제어를 3PCC부(101)에 지시하고(S321),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S301). 또한, 스텝 S320에서, 통신상대가 품질 양호 세트 상태에 없을 때에는(S320에서의 "No"), 해당 레코드의 해당 단말 품질 양호 상태를 세트하여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갱신을 지시하고(S322), 해당 레코드에 관한 타이머 이벤트를 세트하여(S323),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S301).
그리고, 대기 상태(S301)에서, 타이머 이벤트를 수신했을 때에는(S312) 타이머 세트된 접속 상태 레코드의 독출을 등록 데이터 서버(15)에 지시한다(S313). 그 후, 통신에 관련된 단말 중 하나가 알람 세트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S314), 알람 세트 상태에 있을 때에는(S314에서의 "Yes") 해당 통신에 대한 코덱 변경(대역 삭감)을 3PCC부(101)에 지시한다(S315). 한편, 스텝 S314에서 어느 단말도 알람 세트 상태에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S314에서의 "No"), 한쪽의 단말이 품질 양호 상태이고 또한 다른 쪽의 단말이 알람 리셋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 에 대해서 판단하고(S316), 이러한 경우에는(S316에서의 "Yes") 해당 통신에 대한 코덱 변경(대역 증가)을 3PCC부(101)에 지시한다(S317). 다른 한편, 스텝 S316에서, 어느 단말도 품질 양호 상태 및 알람 리셋 상태가 아닐 때에는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S301).
(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QoS 상태)에 따라서 HoA와 CoA를 전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한 UDP 통신을 행할 수 있고, 리얼타임 통신에서의 홈 에이전트에 대한 트래픽 집중을 회피하고, 아울러 TCP 통신 등의 통신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종 최적화를 각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QoS 관련 신호에 근거하여 호제어장치가 주도하여 행하기 때문에, 통신에 관련된 통신단말장치(예를 들면 3a 및 3b) 쌍방의 통신품질에 근거한 제어가 가능해지고, 보다 적절한 통신경로의 선택이나 부호화 대역의 제어, 패킷 송출 간격의 제어가 가능해지며 송수신 쌍방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트래픽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종 액세스망 환경에서, 예를 들면 SIP의 모빌리티 및 3PCC 순서를 이용하여 호제어장치(SIP 서버)(1)에 의해서 QoS에 근거한 동적 세션 제어가 가능해지고, MIP에 의한 TCP 통신의 지속과 RT 통신의 품질 유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본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추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최적화 처리를 호제어장치(1)가 주도하여 실행했지만, 예를 들면, 통신에 관련된 각 이동단말장치(3a 또는 3b)를 주도적으로 실행해도 된다. 즉, 이동단말장치(3a 또는 3b)에서 통신 품질을 검출하는 동시에 해당 이동단말장치측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을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호제어장치(1)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각종 최적화 처리(통신 경로의 최적화,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지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통신단말장치의 호제어부는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호제어장치(1)와 협동하여 주도한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최적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변경예에 따르면, 통신에 관련된 각 이동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로 통신 품질을 검출하여 그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 때문에, 호제어장치(1)의 부담을 증대시키지 않고 단계적으로 트래픽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 통신에서, 이동단말장치의 IP 모빌리티 기능과 리얼타임 통신 기능의 인터페이스를 분리하고, 이동단말장치에 리얼타임 통신의 QoS 상태에 따라서 동적인 세션 제어를 행하고, TCP 통신의 지속과 리얼타임 통신의 품질 유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1)

  1.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상기 이동단말장치 마다 부여되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 어드레스와 해당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홈 에이전트를 구비한 세션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와,
    상기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검출하는 통신 품질 감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과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상기 고정 어드레스 및 상기 의탁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드레스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상기 고정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의탁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해당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에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이동단말장치의 호제어부에 통신 경로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호제어장치에 통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호제어부는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에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에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호제어장치에 통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은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에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에 해당 통신에서의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호제어장치에 통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은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통신 경로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는, 상기 호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에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해당 통신 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는 상기 호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는 상기 호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시스템.
  8.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상기 이동단말장치 마다 부여되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 어드레스와 해당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의탁 어드레스에 의해서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홈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세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단말장치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시에 해당 이동단말장치에서 상기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검출하는 스텝(1)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의해 해당 이동단말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과 상기 통신 품질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상기 고정 어드레스 및 상기 의탁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2)과,
    상기 스텝(2)에서, 상기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상기 고정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의탁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해당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선택하는 스텝(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에서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고, 해당 호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호제어부에 통신 경로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스텝(3)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의 호제어부는,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에서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 질을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고, 해당 호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스텝(3)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에서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고, 해당 호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해당 통신에 관련된 각 단말에 해당 통신에서의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스텝(3)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12. 상기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측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통신 경로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스텝(3)에서,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측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스텝(3)에서,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에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고,
    상기 스텝(3)에서,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는 상기 호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제어 방법.
  15. 통신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장치와,
    상기 이동단말장치 마다 부여되는 해당 이동단말장치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 어드레스와 해당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의탁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의 중계를 행하는 홈 에이전트를 구비한 세션 제어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이동단말장치로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와,
    상기 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검출하는 통신 품질 감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과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에서의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상기 고정 어드레스 및 상기 의탁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드레스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수신용 어드레스로서 상기 고정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의탁 어드레스가 선택될 경우에 해당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는 통신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는 기능과,
    해당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에 대하여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호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는 기능과,
    해당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가 검출한 통신 품질을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에 통지하는 기능과,
    해당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호제어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단말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 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통신 경로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와 협동하여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경유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와 협동하여 상기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감시부에서 검출되는 통신 품질에 따라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상의 호제어장치 및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에 해당 통신에서의 부호화 대역의 최적화를 지시하는 호제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통신상대의 이동단말장치 및 상기 호제어장치와 협동하여 상기 패킷의 송출 간격의 최적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KR20087022765A 2006-03-07 2007-03-07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 KR200801082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1924A JP4705863B2 (ja) 2006-03-07 2006-03-07 セッション制御システム、セッション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JPJP-P-2006-00061924 2006-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244A true KR20080108244A (ko) 2008-12-12

Family

ID=3847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22765A KR20080108244A (ko) 2006-03-07 2007-03-07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310495A1 (ko)
JP (1) JP4705863B2 (ko)
KR (1) KR20080108244A (ko)
CN (1) CN101395869A (ko)
WO (1) WO2007102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704B2 (en) 2006-05-24 2017-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erminals
US9813901B2 (en) * 2008-10-22 2017-11-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sid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02457537B (zh) 2010-10-19 2015-11-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传输控制协议的通信方法及服务器
JP2013131810A (ja) * 2011-12-20 2013-07-04 Fujitsu Ltd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セッション制御方法
KR102054195B1 (ko) * 2013-07-02 2019-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경로 최적화 방법 및 장치
JP6207340B2 (ja) * 2013-10-18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811A (ja) * 1999-11-17 2001-05-25 Sharp Corp モバイルipにおける通信制御方式
JP3496641B2 (ja) * 2000-12-07 2004-02-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端末位置情報管理方法,この方法を用いる端末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ボーダゲートウェイ
JP3682236B2 (ja) * 2001-02-09 2005-08-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
JP2003249951A (ja) * 2002-02-25 2003-09-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エッジならびに通信相手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3850339B2 (ja) * 2002-05-31 2006-11-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モバイルQoS通信システム
JP2005244525A (ja) * 2004-02-25 2005-09-08 Fujitsu Ltd 通信装置
JP2006050035A (ja) * 2004-08-02 2006-02-16 Hitachi Ltd モバイルルータ
JP5080490B2 (ja) * 2005-12-23 2012-11-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ト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0495A1 (en) 2009-12-17
JP4705863B2 (ja) 2011-06-22
JP2007243495A (ja) 2007-09-20
CN101395869A (zh) 2009-03-25
WO2007102553A1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685B2 (en) Enhanced mobility management at a mobile access gateway
US7245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P handoff
US9049690B2 (e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462042B2 (ja) ルータ選択方法、ホームエージェント装置、移動ルータ、および移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959711B2 (ja) 遠距離通信装置及び方法
Seta et al. All-SIP Mobility: Session Continuity on Handover in Heterogeneous Access Environment
TW200818948A (en) Wireless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methods for multiple system communications
US8897265B2 (en) Call handoff between different networks for hybrid mobile device
WO2007043180A1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US20100015980A1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80108244A (ko) 세션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장치
WO2007066577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7742428B1 (en) Dynamic gateway selection
JP2007067713A (ja) 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モバイルノード
JPWO2010053098A1 (ja)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Chang et al. Timed PR-SCTP for Fast Voice/Video over IP in Wired/Wireless Environments.
US8588177B2 (en) Method of performing session handover between terminals, network system, and program
JP2004194104A (ja) 通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074264A (ja)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及び音声ハンドオーバ方法
US8320295B2 (en) Mobile IP control system, mobile IP control method, and mobile IP control program
JP3632596B2 (ja) 電話システム
JP5000355B2 (ja) 無線通信端末、制御方法
KR20060023359A (ko) 서로 다른 이기종 무선망간 로밍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JP2005027098A (ja) サーバ、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移動体通信端末
JP2006054649A (ja) パケット伝送方法及び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