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600A -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600A
KR20080105600A KR1020070053384A KR20070053384A KR20080105600A KR 20080105600 A KR20080105600 A KR 20080105600A KR 1020070053384 A KR1020070053384 A KR 1020070053384A KR 20070053384 A KR20070053384 A KR 20070053384A KR 20080105600 A KR20080105600 A KR 20080105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ust container
dust
opening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492B1 (ko
Inventor
김명호
정삼종
송정곤
류태영
이주상
김흥이
최삼현
고장연
김경웅
김대형
이학봉
조윤경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9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내의 집진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먼지통의 흡기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먼지통 개폐장치는, 집진실에 설치된 먼지통의 흡기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흡기구를 밀폐하는 밀폐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셔터, 청소기의 바퀴와 연동하도록 바퀴에 연결되고, 셔터를 작동하는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에 설치되고, 바퀴 또는 작동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셔터를 밀폐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소기, 먼지통, 개폐, 이물질, 역류, 오염, 방지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ust collector for use in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먼지통 개폐장치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일예로서 로봇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봇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먼지통의 흡기구를 개방하는 도 1의 선 III을 따라 취한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먼지통의 흡기구를 밀폐하는 도 4에 도시한 먼지통 개폐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먼지통의 흡기구를 개방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도, 및
도 6은 먼지통의 흡기구를 밀폐하는 도 5에 도시한 먼지통 개폐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로봇청소기 23: 집진실
51: 먼지통 53: 본체
61: 흡기구 79, 79': 먼지통 개폐장치
80, 80': 셔터 83, 83', 88a: 지지축
85, 85': 탄성스프링 86: 링크
88: 레버 90, 90': 작동부재
91, 91': 작동봉 96, 96': 탄성부재
98: 바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내의 집진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먼지통의 흡기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 특히 자기 스스로 주행하면서 먼지 및 오물을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내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이물질은 집진실내에서 수거되고,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집진실내에 수거된 이물질은, 로봇청소기의 외면에 시각적으로 노출된 먼지통의 커버를 개방시키거나 혹은 집진실내에 별도로 내장된 먼지통을 외부로 인출시켜 제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은 공기흡입개구와 연결된 공기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봇 청소기를 들어올리거나 먼지통을 로봇 청소기의 집진실에서 꺼낼 때, 먼지통이 기울어진다면, 먼지통에 수거된 이물질은, 먼지통의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 쏟아지거 나 공기유로로 역류하여 공기흡입개구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먼지통의 입구에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회전가능부재 또는 막힌지를 설치하는 로봇 청소기가 WO 03/022120호 및 국내 특허공개 2005-12116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의 회전가능부재 또는 막힌지는 비청소시는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먼지통의 흡기구를 차단하고, 청소시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된다.
하지만, 이러한 회전가능부재 또는 막힌지는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되므로, 로봇 청소기가 들어올려져 먼지통이 기울어질 경우 먼지통의 흡기구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한다. 따라서, 일부 이물질이 먼지통의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 쏟아지거나 공기유로로 역류하여 공기흡입개구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회전가능부재 또는 막힌지가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되므로, 청소시 흡입력이 저하되고, 그 결과, 먼지 흡입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가 들어올려져 먼지통이 기울어지거나 먼지통이 집진실로부터 제거될 때 먼지통의 흡기구를 강제로 밀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시 흡입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는, 집진실에 설치된 먼지통의 흡기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흡기구를 밀폐하는 밀폐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셔터, 청소기의 바퀴와 연동하도록 바퀴에 연결되고, 셔터를 작동하는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에 설치되고, 바퀴 또는 작동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셔터를 밀폐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셔터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밀폐위치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먼지통에 설치될 수 있다.
작동부재는 바퀴와 연결된 작동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작동부재는, 바퀴와 연결되고 작동단부를 구비하는 작동봉,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집진실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작동봉의 작동단부에 의해 제1위치로 회전하는 레버, 및 셔터에 형성되고, 레버가 제1위치로 회전할 때 레버에 의해 셔터를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버는 일단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제2위치에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바퀴와 집진실 사이에서 작동봉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먼지통 개폐장치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일예로서 로봇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는 상부덮개(41)를 구비한다. 상부덮개(41)는, 중앙에는 촬상유닛 노출공(도 2의 42참조)이 개구되어 있고, 일측에는 디스플레이창(43) 및 복수의 표시램프 노출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로봇청소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에는 외부의 이물질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시켜 처리하는 흡진부(21), 및 주행 및 청소를 위한 부하구동부(31)가 내장된다. 이러한 로봇청소기(20)는 촬상유닛(35) 및 송수신부(도시않음)를 탑재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자기 위치 및 장애물을 확인하며 주행한다.
흡진부(21)는, 상향 개구된 집진실(23)과 집진실(23)의 상향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25), 및 집진실(23)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먼지통(51)을 구비한다. 집진실(23)의 일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2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흡진부(21)는 외부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집진실(23)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브러쉬(24;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23)은, 그 바닥면에 흡기포트(2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벽면에 배기포트(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포트(22)는 흡기 가이드(25)를 통해 먼지흡입개구(26)과 연통되고, 배기포트는 흡입모터(27)의 흡기포트(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먼지흡입개구(26)는 흡입브러쉬(24)가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집진실(23)의 상측 개구에는 예를 들어, 후크홈(도시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어(25)에는 집진실(23)의 후크홈과 맞물리는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집진실(23)의 상향 개구에 개방가능하게 고정된다.
먼지통(51)은 먼지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53)로 구성된다. 본체(53)는 집진실(23)의 배기포트와 대응하는 일측면에 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54)에 커버(55)가 결합되며, 커버(55)의 중앙에는 집진실(23)의 배기포트에 대응하는 배기구(5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55)의 배기구(56)에는 필터(57)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57)는, 그 원주방향 외면에 다수의 필터창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창의 외면에는 다공질 필터링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배기구(56)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물질을 필터링시킨다.
본체(53)의 바닥면에는 흡기구(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구(61)는 집진실(23)의 흡기포트(22)에 대응하여 개구되고, 흡기포트(22)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이에 의해, 흡기포트(22)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먼지통(5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53)의 흡기구(61)에는 흡기구(61)를 개폐하기 위한 본 발명의 먼지통 개폐장치(79)가 설치되어 있다.
먼지통 개폐장치(79)는 셔터(80), 작동부재(90), 및 탄성부재(96)를 구비한다.
셔터(80)는 흡기구(6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3 참조)와 흡기구(61)를 밀폐하는 밀폐위치(도 4 참조)로 이동하도록 일단부에서 지지축(83)에 지지된다. 이 셔터(80)는 지지축(83)에 설치된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스프링(85)에 의해 밀폐위치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를 위해, 탄성스프링(85)은 일단부는 셔터(8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본체(53)의 하부면에 지지된다.
작동부재(90)는 로봇 청소기(20)의 캐스터(caster)와 같은 바퀴(98)와 연동하여 셔터(80)를 개방위치로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 하우징(98a)의 상부에 바퀴 하우징(98a)과 일체로 형성된 작동봉(91)으로 구성된다. 작동봉(91)은 환형부(91b)와 선단부(91a)를 구비한다. 환형부(91b)는 집진실(23) 하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5)의 고정홈(97)에 배치되고, 선단부(91a)는 고정홈(97)으로부터 셔터(80)의 하면쪽으로 돌출된다.
탄성부재(96)는 바퀴(98) 또는 작동부재(9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셔터(80)를 밀폐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봉(9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봉(91)의 환형부(91b)와 고정홈(97)의 내벽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96)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53)의 상부판의 중앙부분에는 손잡이부(71; 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71)도 집진실(23)의 도어(2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부(71)를 파지하여 먼지통(51)을 인출 및 장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71)는 상부판에 함몰시킨 구조로, 본체(53)의 사출성형시 간단히 본체(5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53)는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의 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먼지통 개폐장치(79)가 적용된 로 봇 청소기(20)의 작용을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20)가 지면 위에 놓여져 있을 때, 바퀴(98)는 로봇 청소기(20)의 무게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부재(90)의 작동봉(91)은 위로 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91)은 환형부(91b)가 탄성부재(96)를 압축하면서 선단부(91a)가 위로 돌출하여 셔터(80) 하면에 형성된 누름부(80a)를 밀어올리게 된다. 그 결과, 셔터(80)는 지지축(83)에 설치된 탄성스프링(8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흡기구(6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청소명령이 인가되면, 로봇청소기(20)는 청소를 위한 주행을 개시한다. 로봇청소기(20)는 일반적인 주행방식에 따라, 전방에 나타나는 장애물을 실시간으로 피하면서 이동한다. 이러한 주행중에 내부에 장착된 흡입모터(27)를 작동시켜 청소를 수행한다.
흡입모터(27)가 작동하면, 외부 공기는 흡입브러시(24)에 의해 털려진 먼지 등의 이물질과 함께 먼지흡입개구(26)를 통해 흡입된다. 흡입된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는 흡기 가이드(25)를 통해 집진실(23)의 흡기포트(22) 및 먼지통(51)의 흡기부(61)을 경유하여 먼지통(51) 내부로 유입된다.
먼지통(51)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배기구(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데, 이 때, 배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57)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에 의해, 먼지통(51)내에 이물질이 집진된다.
이와 같이 청소를 완료한 후, 먼지통(51)내에 집진된 이물질을 비우기 위해, 먼지통(51)의 본체(53)가 집진실(23)로부터 제거되면, 작동봉(91)은 선단부(91a)가 셔터(80)의 누름부(80a)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셔터(80)는 탄성스프링(85)의 탄성력과 자체 무게에 의해 흡기구(61)를 밀폐하는 밀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통(51)의 제거시 먼지통(51)이 기울어지더라도, 일부 이물질이 먼지통(51)의 흡기구(61)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20)가 이동을 위해 들어올려질 경우, 바퀴(98)와 바퀴 하우징(98a)에 연결된 작동부재(90)의 작동봉(91)은 환형부(91b)와 고정홈(97)의 내벽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91)은 선단부(91a)가 고정홈(97) 내부로 후퇴되어 셔터(80)의 누름부(80a)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그 결과, 셔터(80)는 탄성스프링(85)의 탄성력과 자체 무게에 의해 흡기구(61)를 밀폐하는 밀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20)가 들어올려져 먼지통(51)이 기울어지더라도, 셔터(80)가 먼지통(51)의 흡기구(61)를 강제로 밀폐하므로, 일부 이물질이 먼지통(51)의 흡기구(61)에서 먼지흡입개구(26)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먼지통 개폐장치(79')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먼지통 개폐장치(79')는 셔터(80'), 작동부재(90'), 및 탄성부재(96')를 구비한다.
셔터(80')는 제1실시예의 셔터(80)와 마찬가지로, 먼지통(51)의 본체(53)에 설치되며, 흡기구(6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5 참조)와 흡기구(61)를 밀폐하는 밀폐위치(도 6 참조)로 이동하도록 일단부에서 제1지지축(83')에 고정 지지된다. 이 셔터(80')는 제1지지축(83')에 설치된 토션스프링과 같은 제1탄성스프링(85')에 의해 밀폐위치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를 위해, 탄성스프링(85')은 일단부는 셔터(8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본체(53)의 일측면에 지지된다.
작동부재(90')는 로봇 청소기(20)의 뒷바퀴 또는 캐스터와 같은 바퀴(98)와 연동하여 셔터(80')를 개방위치로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봉(91'), 레버(88), 및 링크(86)를 구비한다. 작동봉(91')은 바퀴(98)의 바퀴 하우징(98a) 상부에 바퀴 하우징(98a)과 일체로 형성되고, 작동단부(91a')와 환형부(91b')를 구비한다. 환형부(91b')는 집진실(23) 하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5)의 고정홈(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되고, 작동단부(91a')는 반달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홈으로부터 후술하는 레버(88)의 하부 가이드면(88b)쪽으로 돌출된다.
레버(88)는 제1위치(도 5 참조)와 제2위치(도 6 참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집진실(23)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레버(88)는 일단부의 제2지지축(88a)에 설치된 토션스프링과 같은 제2탄성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2위치(도 6 참조)에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레버(88)는 하부 가이드면(88b)과 상부 가이드면(88c)을 구비한다. 하부 가이드면(88b)은 작동봉(91')의 작동단부(91a')가 위로 상승될 때 작동단부(91a')와 접촉하여 레버(88)가 작동단부(91a')에 의해 제1위치(도 5 참조)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부 가이드면(88c)은 레버(88)가 작동단부(91a')에 의해 제1위치(도 5 참조)로 회전할 때, 후술하는 링크(86)의 돌기(97)와 맞물려서 돌기(97)를 당김으로서 셔터(80')가 개방위치로 회전하도록 한다.
작동봉(91')의 작동단부(91a')가 위로 상승할 때 작동단부(91a')가 회전하지 않고 하부 가이드면(88b)과 정확히 접촉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작동봉(91')의 일측의 바퀴 하우징(98a)에는 가이드봉(99)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봉(99)은 고정브라켓(95)의 가이드홀(95a)를 통해 고정브라켓(95)의 고정홈 외부로 돌출된다.
링크(86)는 셔터(80')와 함께 회전하도록 셔터(80')의 제1지지축(83')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레버(88)의 상부 가이드면(88c)과 맞물리는 돌기(87)를 구비한다. 돌기(8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88)가 작동봉(91')의 작동단부(91a')에 의해 제1위치(도 5 참조)로 회전할 때 레버(88)의 상부 가이드면(88c)에 의해 당겨져 셔터(80')를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
탄성부재(96')는 바퀴(98) 또는 작동부재(90')의 작동봉(9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셔터(80')를 밀폐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봉(9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봉(91')의 환형부(91b')와 고정브라켓(95)의 고정홈 내벽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96')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20)가 지면 위에 놓여져 있을 때, 바퀴(98)는 로봇 청소기(20)의 무게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부재(90')의 작동봉(91')은 위로 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91')은 환형부(91b')가 탄성부재(96')를 압축하면서 작동단부(91a')가 위로 상승하여 레버(88)의 하부 가이드면(88b)과 접촉하면서 레버(88)를 제2지지축(88a)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 결과, 레버(88)의 상부 가이드면(88c)은 링크(86)의 돌기(86)를 당겨서 링크(86)가 제1지지축(83')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링크(86)와 함께 제1지지축(83')에 고정된 셔터(80') 역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 도시한 개방위치에 위치된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20)가 이동을 위해 들어올려질 경우, 바퀴(98)와 바퀴 하우징(98a)에 형성된 작동부재(90')의 작동봉(91')은 작동봉(91')의 환형부(91b')와 고정브라켓(95)의 고정홈 내벽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91')은 작동단부(91a')가 아래로 하강하여 레버(88)의 하부 가이드면(88b)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그 결과, 레버(88)는 제2탄성스프링의 탄성력과 자체 무게에 의해 제2지지축(88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링크(86)와 함께 제1지지축(83')에 고정된 셔터(80') 역시 제1탄성스프링(85')에 의해 제1지지축(8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셔터(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61)를 밀폐하는 밀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20)가 들어올려져 먼지통(51)이 기울어지더라도, 일부 이물질이 먼지통(51)의 흡기구(61)에서 먼지흡입개구(26)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먼지통(51)내에 집진된 이물질을 비우기 위해, 먼지통(51)의 본체(53)가 도 5에 도시한 상태에서 집진실(23)로부터 제거되면, 셔터(80')를 개방위치에 구속하는 링크(86)의 돌기(87)가 레버(88)의 상부 가이드면(88c)에서부터 벗어나므로, 셔터(80')는 제1탄성스프링(85')의 탄성력과 자체 무게에 의해 흡기구(61)를 밀폐하는 밀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통(51)의 제거시 먼지통(51)이 기울어지더라도, 일부 이물질이 먼지통(51)의 흡기구(61)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는 진공청소기가 들어올려져 먼지통이 기울어지거나 먼지통이 집진실로부터 제거될 때 먼지통의 입구를 강제로 밀폐할 수 있으므로, 일부 이물질이 먼지통의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 쏟아지거나 공기유로로 역류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 쏟아져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는 먼지통의 흡기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지 않고 바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되므로, 청소시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결과 종래의 먼지통 개폐장치에서와 같이 청소시 흡입력이 저하되어 먼지 흡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 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집진실에 설치된 먼지통의 흡기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흡기구를 밀폐하는 밀폐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셔터;
    청소기의 바퀴와 연동하도록 상기 바퀴에 열결되고, 상기 셔터를 작동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 또는 상기 작동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셔터를 상기 밀폐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기 밀폐위치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먼지통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바퀴와 연결된 작동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바퀴와 연결되고 작동단부를 구비하는 작동봉;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집진실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봉의 상기 작동단부에 의해 제1위치로 회전하는 레버; 및
    상기 셔터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일단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퀴와 집진실 사이에서 상기 작동봉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KR1020070053384A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KR10139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84A KR101393492B1 (ko)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84A KR101393492B1 (ko)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600A true KR20080105600A (ko) 2008-12-04
KR101393492B1 KR101393492B1 (ko) 2014-05-15

Family

ID=4036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384A KR101393492B1 (ko)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08B1 (ko) * 2010-03-29 2012-05-08 주식회사 유진로봇 청소 로봇의 먼지통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로봇
CN112515575A (zh) * 2020-04-30 2021-03-19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
CN114451831A (zh) * 2021-12-20 2022-05-10 深圳乐动机器人有限公司 清洁机器人清理垃圾的处理方法、存储介质及清洁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330480U (zh) * 2019-01-28 2020-04-17 嘉兴杰创智能电器有限公司 一种扫地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5837A (en) * 1979-03-20 198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sweeper
JPH02126544U (ko) * 1989-03-25 1990-10-18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08B1 (ko) * 2010-03-29 2012-05-08 주식회사 유진로봇 청소 로봇의 먼지통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로봇
CN112515575A (zh) * 2020-04-30 2021-03-19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
CN114451831A (zh) * 2021-12-20 2022-05-10 深圳乐动机器人有限公司 清洁机器人清理垃圾的处理方法、存储介质及清洁机器人
CN114451831B (zh) * 2021-12-20 2023-12-08 深圳乐动机器人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清理垃圾的处理方法、存储介质及清洁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492B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735B1 (ko) 로봇청소기
KR100869873B1 (ko) 집진 장치
KR10140872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4205466B2 (ja) 電気掃除機
KR100456174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
AU2007200171B2 (en)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mechanisms
AU2004202836B2 (en) Dust Receptacle of Robot Cleaner
KR101352314B1 (ko) 로봇 청소기
US5090083A (en) Wide area carpet vacuum cleaner
RU2299671C2 (ru) Пылесос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JPH0373291B2 (ko)
JP2007089755A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80105600A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개폐장치
CN112515531A (zh) 尘盒组件、清洁机器人和清洁系统
EP2614760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6320455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111904323B (zh) 积灰底座和具有其的清洁设备总成
JP3540622B2 (ja) 電気掃除機
JP2001314354A (ja) 電気掃除機
KR100544479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CN209953473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CN209836896U (zh) 垃圾箱体和扫地车
KR20090079148A (ko) 진공청소기
CN218792085U (zh) 一种具有污水桶的湿式表面清洁装置
JP2008272138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