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529A -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529A
KR20080105529A KR1020070053240A KR20070053240A KR20080105529A KR 20080105529 A KR20080105529 A KR 20080105529A KR 1020070053240 A KR1020070053240 A KR 1020070053240A KR 20070053240 A KR20070053240 A KR 20070053240A KR 20080105529 A KR20080105529 A KR 2008010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pull handle
handl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529A/ko
Publication of KR2008010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에 관한 것으로, 도어(10)의 개폐기능을 갖춘 풀 핸들(30)을 도어(10)에 장착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도어트림(13)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Pull handle for vehicle}
도 1은 도어 인사이드 핸들과 풀 핸들이 각각 별도로 구비된 종래의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그 중 도 5는 도 2의 Ⅰ-Ⅰ선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13 - 도어트림
14 - 도어 암레스트부 16 - 스위치장착부
16a - 걸림턱 16b - 록킹홈
17 - 손잡이홀 30 - 풀 핸들
31 - 걸림돌기 41 - 스프링부재
42 - 힌지축 43 - 래치와이어
50 - 핸들록킹수단 51 - 작동공간
52 - 록킹레버 53 - 록킹로드
55 - 레버와이어
본 발명은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동작을 하는 도어(10)가 도 1과 같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10)의 개폐동작은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와 바디측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래치조립체와 스트라이커의 언록킹(unlocking) 동작은 실외측에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하거나 또는 실내측에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11)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실내측에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11)을 조작하여 래치조립체와 스트라이커의 언록킹 동작을 행한 후 도어(10)를 바디로부터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풀 핸들(12)을 잡고 도어(10)를 밀어줌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개방된 도어(10)를 재차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풀 핸들(12)을 잡고 도어(10)를 바디측으로 잡아당겨 래치조립체와 스트라이커를 록킹(locking)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11)과 풀 핸들(12)은 전체적으로 도어트림(13)에 구비되며, 그 중 상기 풀 핸들(12)은 도어 암레스트부(14)에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도어 인사이드 핸들(11)과 풀 핸들(12)이 각각 별도로 구비된 종래의 도어(10)는 도어트림(13)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고급화되는 요즘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에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 및 소비 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15는 도어트림(13)에 장착되는 스위치조립체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16은 도어트림(13)에서 상기 스위치조립체(15)가 장착되는 스위치장착부이며, 미설명 도면부호 17은 도어트림(13)에서 풀 핸들(12)과 도어 암레스트부(14) 및 스위치장착부(16)에 의해 형성되는 손잡이홀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기능을 구비한 풀 핸들을 통해 도어로부터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도어트림 디자인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고급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더 나아가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풀 핸들은, 도어트림에 구비된 손잡이홀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일단은 도어 암레스트부와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 암레스트부와 힌지 결합된 일단에는 도어에 구비된 래치조립체와 연결되는 래치와이어의 한쪽 끝단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트림의 스위치장착부와 연결되는 타단에는 상기 스위치장착부와의 결합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한 탄력적인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핸들록킹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에 관한 기술로서, 차량의 도어(10)에서 실내측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13)이 결합된다.
상기 도어트림(13)에는 도어 암레스트부(14) 및 스위치조립체(15)가 장착되는 스위치장착부(16)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어 암레스트부(14)와 스위치장착부(16)사이에는 손잡이홀(17)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풀 핸들(30)은 도 2와 같이 상기 도어트림(13)에 구비된 손잡이홀(17)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그 일단은 상기 도어 암레스트부(14)와 스프링부재(41)를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풀 핸들(30)은 그 일단이 도 3과 같이 힌지축(42)을 매개로 도어 암레스트부(14)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이고, 또한 상기 힌지축(42)에 감겨져서 양단이 풀 핸들(30) 및 도어 암레스트부(14)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의 스프링부재(41)에 의해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풀 핸들(30)은 상기 도어 암레스트부(14)와 힌지 결합된 일단에 도 3과 같이 래치와이어(43)의 한쪽 끝단이 결합된 구조인 바, 상기 래치와 이어(43)의 반대쪽 끝단은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풀 핸들(3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도어트림(13)의 스위치장착부(16)와 연결되는 타단에 핸들록킹수단(50)이 구비된 구조인 바, 상기 핸들록킹수단(50)은 스위치장착부(16)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풀 핸들(3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풀 핸들(30)은 도 4와 같이 상기 스위치장착부(16)와 대면하는 면에 스위치장착부(16)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1)가 일체로 구비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장착부(16)에서 상기 풀 핸들(30)과 대면하는 면에는 걸림턱(16a)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31)는 풀 핸들(30)의 회전시 상기 걸림턱(16a)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풀 핸들(30)의 회전각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록킹수단(50)은 도 5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장착부(16)와 연결되는 타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한편 실내측으로는 레버구멍(51a)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장착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스위치장착부(16)에 구비된 록킹홈(16b)과 연결되도록 로드구멍(51b)이 형성된 작동공간(51)과, 일단은 상기 레버구멍(51a)을 통해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공간(51)속에 위치하면서 힌지핀(52a)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레버(52)와, 일단은 상기 작동공간(51)속에 위치한 록킹레버(52)의 타단과 링크핀(53a)을 매개로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드구멍(51b)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록킹레버(52)의 회전에 따라 로드구멍(51b)을 통과하여 상기 록킹홈(16b)에 삽입되는 록킹로드(53)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핸들록킹수단(50)은, 상기 풀 핸들(30)에 구비된 와이어구멍(33)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52)와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와 연결되는 레버와이어(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와이어(55)는 록킹로드(53)가 록킹홈(16b)으로 삽입되는 동작을 하도록 상기 록킹레버(52)가 힌지핀(52a)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때 상기 록킹레버(52)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이 레버와이어(55)가 록킹레버(52)쪽으로 당겨지게 되면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는 스트라이커와 록킹상태가 되도록 작동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실내측의 탑승자가 도어(10)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풀 핸들(30)을 잡고 도시된 화살표 R1과 같이 실내측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풀 핸들(30)은 도어 암레스트부(14)와 연결된 일단의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탄력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풀 핸들(30)의 회전시 래치와이어(43)가 당겨지면서 도어(10)속에 구비된 래치조립체를 작동시켜 래치조립체와 스트라이커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래치조립체와 스트라이커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도어(10)는 바디로부터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탑승자는 풀 핸들(30)을 잡은 상태에서 도어(10)를 밀어 바디로부터 회전시키면서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실내측의 탑승자가 개방된 도어(10)를 밀폐시키고자 할 때 풀 핸들(30)을 잡은 상태에서 도어(10)를 바디측으로 당겨주게 되면, 공지된 기술과 같이 래치조립체와 스트라이커가 록킹됨으로써 도어(10)는 밀폐상태가 된다.
한편, 도어(10)가 밀폐된 상태에서 풀 핸들(30)의 회전동작을 구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록킹레버(52)를 도 5의 상태에서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링크핀(53a)을 매개로 관절 운동하는 록킹로드(53)가 화살표 M1의 우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그 선단이 스위치장착부(16)의 록킹홈(16b)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풀 핸들(30)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한 회전동작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록킹레버(52)를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동시에 레버와이어(55)가 록킹레버(52)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는 레버와이어(55)에 의해 동작하여 스트라이커와 록킹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도어(10)가 개방되는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풀 핸들(30)의 회전동작을 풀어주고자 할 경우에는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시킨 록킹레버(52)를 화살표 R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면, 록킹로드(53)가 화살표 M1의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록킹홈(16b)으로 삽입되어 있던 록킹로드(53)의 선단은 록킹홈(16b)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이 결과 상기 풀 핸들(30)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한 회전동작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풀 핸들(30)은 도어의 개폐기능을 함께 구비한 구성이므로, 도어(10)에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11; 도1에 도시됨)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10)로부터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트림(13)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장점을 통해 도어트림(13)에 대한 소비자의 고급화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더 나아가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도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기능을 갖춘 풀 핸들을 도어에 장착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도어트림(13)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에 큰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도어트림(13)에 구비된 손잡이홀(17)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일단은 도어 암레스트부(14)와 스프링부재(41)를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 암레스트부(14)와 힌지 결합된 일단에는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와 연결되는 래치와이어(43)의 한쪽 끝단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트림(13)의 스위치장착부(16)와 연결되는 타단에는 상기 스위치장착부(16)와의 결합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한 탄력적인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핸들록킹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장착부(16)와 대면하는 면에는 스위치장착부(16)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1)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돌기(31)는 풀 핸들(30)의 회전시 상기 스위치장착부(16)에 구비된 걸림턱(16a)에 걸려져서 풀 핸들(30)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록킹수단(50)은,
    상기 스위치장착부(16)와 연결되는 타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한편 실내측으 로는 레버구멍(51a)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장착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스위치장착부(16)에 구비된 록킹홈(16b)과 연결되도록 로드구멍(51b)이 형성된 작동공간(51)과;
    일단은 상기 레버구멍(51a)을 통해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공간(51)속에 위치하면서 힌지핀(52a)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레버(52)와;
    일단은 상기 작동공간(51)속에 위치한 록킹레버(52)의 타단과 링크핀(53a)을 매개로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드구멍(51b)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록킹레버(52)의 회전에 따라 로드구멍(51b)을 통과하여 상기 록킹홈(16b)에 삽입되는 록킹로드(53);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들록킹수단(50)은,
    상기 풀 핸들(30)에 구비된 와이어구멍(33)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52)와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와 연결되는 레버와이어(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KR1020070053240A 2007-05-31 2007-05-31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KR20080105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40A KR20080105529A (ko) 2007-05-31 2007-05-31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40A KR20080105529A (ko) 2007-05-31 2007-05-31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29A true KR20080105529A (ko) 2008-12-04

Family

ID=4036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240A KR20080105529A (ko) 2007-05-31 2007-05-31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5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2009A (zh) * 2017-04-19 2017-08-22 梁春 防撞人车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2009A (zh) * 2017-04-19 2017-08-22 梁春 防撞人车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5529B1 (en) Vehicle door look control
KR10053508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US5947536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US10309130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4455646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660722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one-motion door opening mechanism and antitheft mechanism
US20100127511A1 (en) Vehicle door latch having a power lock-unlock mechanism
US20110012379A1 (en) Device for operating a door latch in a vehicle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JP2006266028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70119280A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CN112918228A (zh) 车门打开和关闭装置
JP46737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020854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4042954B2 (ja) 車両における開閉リッドロック装置
US9945161B2 (en) Lock system for dual vehicle closures
JP6837507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20080105529A (ko)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200359913Y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KR100886073B1 (ko) 비상 오픈 구조를 갖는 테일 게이트 래치
JP2003041828A (ja)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KR100526814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JP4095543B2 (ja) ドア開閉装置
JP62521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