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745A -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745A
KR20080104745A KR1020070051958A KR20070051958A KR20080104745A KR 20080104745 A KR20080104745 A KR 20080104745A KR 1020070051958 A KR1020070051958 A KR 1020070051958A KR 20070051958 A KR20070051958 A KR 20070051958A KR 20080104745 A KR20080104745 A KR 2008010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ain body
pair
cove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엄마랑아빠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엄마랑아빠랑 filed Critical (주)엄마랑아빠랑
Priority to KR102007005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4745A/ko
Publication of KR2008010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등받이와 엉덩이 받침부 형성된 본체, 제 1 및 제 2 덮개부, 상기 본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등받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을 구비한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이면에 설치된 허리띠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는 유아용 포대기가 개시된다.
유아용 포대기, 허리띠, 분리, 압박

Description

유아용 포대기{The infant for wadded baby wrapper}
도 1은 특허공보 제0531611호에 개시된 유아용 포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허리를 죄는 허리띠에 의해 유아의 다리를 조이지 않으면서 유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특허공보 제0531611호에 개시된 유아용 포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문헌에서 제시한 유아용 포대기는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와, 상기 등받이부(1) 하부로 이어진 엉덩이 받침부(2)와, 상기 엉덩이 받침부(2)의 양측으로 다리를 인출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다리 인출부(3) 와,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도록 착용자의 어깨와 허리에 각각 결착되는 어깨띠(4) 및 허리띠(5)와, 상기 각 띠(4, 5)를 결착할 수 있는 결착구(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 양 측면에 연장된 제 1,2 덮개부(7, 7a)와; 상기 등받이부(1) 내부에 공간부(1a)가 구성되고, 이 공간부(1a)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등받이부(1) 상부면에 구성된 지퍼(8)와; 상기 공간부(1a) 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머리받침대(9)와; 상기 머리받침대(9)에 고정수단(15, 15a)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모자(10)로 구성된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다리 인출부(3)로 유아의 양쪽 다리를 빼내고 유아의 엉덩이와 등이 각각 엉덩이 받침부(2) 및 등받이부(1)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어깨띠(4)를 보호자의 어깨에 걸친 후 제 1,2 덮개부(7, 7a)를 보호자의 몸 둘레에 감싸서 고정수단(13)으로 각 덮개부(7, 7a)를 상호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허리띠(5) 단부의 결착구(6)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허리에 단단하게 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로 어깨띠(4)와 허리띠(5)에 의하여 유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허리띠(5)에 의해 조이는 강도는 제한이 따른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덮개부(7, 7a)가 각각 유아의 다리를 감싼 상태에서 허리띠(5)를 조여 결착구(6)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허리띠(5)를 지나치게 조이면 유아의 다리에 통증을 가하게 되므로 조이는 강도가 제한된다.
그 결과, 허리띠가 조이는 강도가 약하므로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아가 흘러내리게 되며, 이에 따라 착용자는 어깨띠에 의해서만 유아의 체중을 지탱해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주기적으로 허리띠를 고쳐 매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다리를 강하게 조이지 않으면서 유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 이점 및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등받이와 엉덩이 받침부 형성된 본체, 제 1 및 제 2 덮개부, 상기 본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등받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을 구비한 유아용 포대기로서,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이면에 설치된 허리띠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등받이와 엉덩이 받침부 형성된 본체, 제 1 및 제 2 덮개부, 상기 본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등받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을 구비하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 허리 지지부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단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각각 허리띠 가 연장되는 유아용 포대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관통공에 끼워진 허리띠가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전단을 받치도록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한 쌍의 다리 인출부가 형성된 하복부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받이의 상단 양측에 각각 상기 어깨끈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끈의 단부에는 클립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부에 부착된 클립과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부의 하단에는 각각 가림부가 더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가릴 수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크게 등받이(102)와 엉덩이 받침부(104)가 형성된 본체(100),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 그리고 본체(100)와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로 구성되며, 등받이(102)와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160, 160)과 본체(100)의 이면에 설치되어 그 양단부가 한 쌍의 관통공(106, 107)을 통하여 본체(100)의 전면으로 돌출하는 허리띠(13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외관상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 성되어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 등받이(102)와 엉덩이 받침부(104)를 수용함으로써 표피의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100)를 직물과 망사로 구성하여, 가령, 유아의 체중이 실리는 엉덩이 받침부(104)에 대응하는 본체(100) 부분은 직물로 구성한다.
본체(100)와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는 각각 한 쌍의 연결부(120, 120)에 의해 연결되는데, 연결부(120)는, 가령, 신축성을 갖는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연결부(120, 120)의 외부를 망사가 덮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의 전면과 이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매직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수단(145, 155)이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를 서로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의 하단에는 가림부(141, 151)가 더 연장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가 서로 결합된 경우, 착용자의 하복부를 가리는 역할을 한다.
등받이(102)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어깨끈(160)이 형성되고, 어깨끈(160)의 단부에는 클립(162)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에 부착된 클립(142, 152)과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어깨끈(160)을 설치함으로써 포대기를 보관하는 경우 접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는 관통공(106, 107)이 형성되는데, 허리띠(130)가 본체(100)의 이면에 설치되어 그 양단부가 각각 관통공(106, 107)을 통하여 본체(100)의 전면으로 돌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허리띠(130)로 유아의 다리를 조이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어 유아의 다리에 통증을 주지 않으며, 착용자를 기준으로 조이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공(106, 107)은 허리띠(130)가 엉덩이 받침부(104)의 전단(104a)을 받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허리띠(130)가 엉덩이 받침부(104)의 전단(104a)을 포함하여 엉덩이 받침부(104)를 받힌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 고정되므로 더 확실하게 유아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아용 포대기는 한 쌍의 다리 인출부(112)가 형성된 하복부 지지대(110)를 본체의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즉, 유아의 다리가 다리 인출부(112)를 통해 각각 분리된 후 유아의 하복부를 지지하여 유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하복부 지지대(110)는 허리띠(130)의 조이는 힘만으로 엉덩이 받침부(104)에 의해 유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면 생략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유아용 포대기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포대기의 하복부 지지대(110)의 다리 인출부(112)를 통하여 유아(60)의 두 다리를 각각 인출하여 앉힌 다음, 착용자(50)가 어깨끈(160)을 양 어깨에 맨다.
이 상태에서 허리띠(1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허리띠(130) 단부의 클립(132, 132a)를 서로 결합하여 착용자(50)의 허리에 단단하게 고정한다. 이때, 유아(60)의 두 다리는 허리띠(130)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허리띠(130)를 아무리 단단하게 졸라매어도 유아의 다리에는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후,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를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매직 테이프(145, 155)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포대기의 착용을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덮개부(140, 150)를 서로 결합시킬 때, 가림부(141, 151)에 의해 착용자(50)의 하복부를 가릴 수 있어 튀어나온 배를 가릴 수 있다.
다음은, 상기한 실시예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변형 예에 따르면, 허리띠(130)의 본체 이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여 허리 지지부를 형성하고, 관통공(106, 107)은 제거하며, 관통공(106, 107)이 있던 위치, 즉 허리 지지부의 양단에 대응하는 본체(100)의 전면으로부터 허리띠(130)가 연장된다.
이 변형 예에 따르면, 관통공을 형성하고 허리띠를 이 관통공을 통하여 본체의 이면에서 전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복잡한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의 다리를 강하게 조이지 않으면서 유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등받이와 엉덩이 받침부 형성된 본체, 제 1 및 제 2 덮개부, 상기 본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등받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을 구비한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이면에 설치된 허리띠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2. 등받이와 엉덩이 받침부 형성된 본체, 제 1 및 제 2 덮개부, 상기 본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등받이와 제 1 및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끈을 구비한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 허리 지지부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단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각각 허리띠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공에 끼워진 허리띠가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전단을 받치도록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한 쌍의 다리 인출부가 형성된 하복부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상단 양측에 각각 상기 어깨끈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끈의 단부에는 클립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부에 부착된 클립과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부의 하단에는 각각 가림부가 더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KR1020070051958A 2007-05-29 2007-05-29 유아용 포대기 KR20080104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958A KR20080104745A (ko) 2007-05-29 2007-05-29 유아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958A KR20080104745A (ko) 2007-05-29 2007-05-29 유아용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745A true KR20080104745A (ko) 2008-12-03

Family

ID=4036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958A KR20080104745A (ko) 2007-05-29 2007-05-29 유아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4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62Y1 (ko) * 2017-10-31 2018-08-28 전창헌 유아용 포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62Y1 (ko) * 2017-10-31 2018-08-28 전창헌 유아용 포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KR101473505B1 (ko) 운반 장치
JP5753712B2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JP2013509331A (ja) 乳児用の車両安全ベルト補助具
KR20130092942A (ko) 아기 캐리어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JP2001218779A (ja)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KR20130085778A (ko) 아기띠
KR20080104745A (ko) 유아용 포대기
CN109480541B (zh) 抱婴带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100531611B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WO2020255112A1 (en) Child carrier system comprising a simultaneous connection and progressive adjustment system for the length and width of the dorsal support panel
KR20090007123U (ko)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JP3079903U (ja) 抱っこ用と背負い用に変更し得る子守帯
US20230190008A1 (en) Baby carrier
KR200324020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180062711A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2000070079A (ja) 子守帯
KR200433584Y1 (ko) 유아용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