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68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684A
KR20080103684A KR1020070050702A KR20070050702A KR20080103684A KR 20080103684 A KR20080103684 A KR 20080103684A KR 1020070050702 A KR1020070050702 A KR 1020070050702A KR 20070050702 A KR20070050702 A KR 20070050702A KR 20080103684 A KR20080103684 A KR 2008010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efrigerator
storage container
food storag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028B1 (ko
Inventor
지선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2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에 물건이 놓여지는 선반; 상기 선반의 전면부를 감싸는 장식부; 및 상기 물건 인출시 상기 장식부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반 상에서 상기 장식부의 후단에 인접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의 장식부 훼손이 방지되어 냉장고 내부의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냉장고, 선반, 걸림턱, 장식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이 장착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식품보관용기가 올려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냉동실
30: 냉장실 40: 인너케이스
42: 지지부재 50: 선반
54: 장식부 56: 걸림턱
70: 식품보관용기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선반을 보호하여 외관을 미려케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종류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구성에 따라, 냉동실이 상측에 있고 냉장실이 하측에 있는 탑마운트(top mount)방식의 냉장고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방식의 냉장고와, 냉동실이 하측에 위치하고 냉장실이 상측에 놓이는 바텀프리저(bottom freezer)방식의 냉장고가 있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는 비교적 큰 용량을 가지고 여러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비된 냉장고로써, 냉동실과 냉장실이 각각 종방향으로 수직하게 냉장고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냉동실의 배면에는 증발기가 장착되는 기계실이 구비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 공기를 하부측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상부측으로 토출되게 하여 각 고내로 순환시킴으로써 냉장기능과 냉동기능을 각각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는 해당 고내에 각각 식품 또는 식품보관용기 등을 올려 보관하기 위한 선반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선반의 하부에는 별도의 식품보관용기를 서랍식으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수납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식품보관용기는 플라스틱은 물론 플라스틱보다 강한 유리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선반에는 선반의 전면부를 감싸는 장식부가 마련되는 데, 상기 장식부에는 냉장고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해 제품의 로고나 장식무늬들이 형성된다.
그러나, 선반 위에 놓여진 식품보관용기를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식품보관용기의 바닥면과 선반의 장식부간에 마찰이 발생되어 장식부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식품보관용기가 장식부의 후방에 힘을 가하여 장식부가 선반으로부터 분리되어 냉장고의 선반을 교체해야하는 경제적인 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선반의 훼손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물건이 놓여지는 선반; 상기 선반의 전면부를 감싸는 장식부; 및 상기 물건 인출시 상기 장식부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반 상에서 상기 장식부의 후단에 인접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장식부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의 후면은 경사져서 상기 선반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턱의 상면은 라운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전면은 경사져서 상기 선반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걸림턱은 상기 장식부 후단에 이격되어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 다.
상기 장식부는 상기 선반 전면부 테두리까지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에서는 냉장고 좌측의 냉동실(20)의 도어는 폐쇄되어있는 반면, 냉장고 우측의 냉장실(30)의 도어는 개방되어있다.
본 발명은 냉동실(20)과 냉장실(30)이 상/하로 구획된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장실(30)과 냉동실(20)이 상/하로 구획된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에서도 적용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20)과 냉장실(30)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냉장고는 좌측에 냉동실(20)이 우측에 냉장실(30)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실(20)에서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냉장실(30)에서는 냉동실(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품을 보관한다.
냉장고의 본체(10)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기계장치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보호한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 수용된 압축기(미도시) 등과 같은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식품 등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40)를 장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또한 인너케이스(40)는 식품이 보관되는 공간과 냉장고의 압축기(미도시)와 같은 기계장치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구분시킨다. 이러한 인너케이스(40)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냉동실(20) 또는 냉장실(30)의 인너케이스(40) 내에는 식품보관용기 등이 상면에 놓여질 수 있는 복수 개의 선반(5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선반(50) 하부에는 서랍형태의 식품보관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선반(50)은 상면이 평평한 평판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반(50)에는 선반(50)이 구획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연통되는 복수개의 연통구(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선반(50)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이 장착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식품보관용기가 올려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인너케이스(40)에 장착되어 있는 선반(50)을 도시하며, 도 3에서는 선반의 일측단면만을 나타낸다.
상기 인너케이스(40)에는 냉장실(30) 또는 냉동실(20)에 장착되는 선반(50)이나 서랍 등을 지지하도록 지지부재(42)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42)은 인너케이스(4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42)는 선반(50)을 양측에서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인너케이스(40)에 동일한 높이로 좌,우측면에 두 개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42)는 도 2에 도시된 바처럼 안착홈(44)을 가운데 형성하고 안착홈(44)을 중심으로 상면 및 하면이 인너케이스(4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물론, 도 2와는 달리 상면없이 하면만이 마련되어 선반(50)이 상기 하면에 얹혀져 있는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선반(5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상기 지지부재(42)의 안착홈(44)에 선반(50)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부(52)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52)는 인너케이스(40)상의 안착홈(4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두께가 안착홈(44)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입부(52)에는 선반(50)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바퀴(미도시)등과 같은 구동부재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구동부재는 상기 안착홈(44)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선반(50)에는 선반(50)의 전면부를 감싸면서 냉장고 내부를 미려케하는 장식부(54)가 전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부(54)에는 냉장고를 제조하는 제조회사의 고유문양, 제품의 로고, 장식적인 무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색깔을 가지도록 하여 냉장고 내부의 외관을 아름답게 한다. 이런 무늬 등은 장식부(54)의 면상에 프린팅 즉, 입체적 형상없이 평면상에 그려지는 것은 물론 소정의 높낮이를 가지고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54)는 선반(50)의 전면부를 감싸며 선반(50)의 전면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외에도 장식부(54)는 선반(50)이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선반(50)의 전면부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감싸서 사용자가 모서리에 의해 다칠 위험을 제거한다.
상기 장식부(54)는 선반(5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높게 형성된다. 즉, 장식부(54)는 선반(50)의 전면부 모서리에서 소정길이 연장되어 감싸게 된다.
또한, 냉장고는 식품보관용기(70) 등의 물건 인출시 장식부(54)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반(50)상에 인접하여 돌출되는 걸림턱(5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걸림턱(56)은 상기 장식부(54)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보관용기(70)를 냉장고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식품보관용기(70)의 일측을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끌면서 인출하게 된다. 따라서, 식품보관용기(70)는 걸림턱(56)과 장식부(54)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56)이 장식부(54)의 후방에서 선반(50)상에 인접하게 돌출되어 있어, 식품보관용기(70)가 걸림턱(56)을 만나면서 식품보관용기(70)의 하면의 약간 상승되므로 식품보관용기(70)가 장식부(54)에 가해지는 충격이 줄어들어 장식부(54)가 파손될 염려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56)의 후면(58)은 경사져서 상기 선반(50)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턱(56)의 후면은 냉장고의 내부로 가장 깊이 삽입되어 있는 면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식품보관용기(70)를 인출할 때 식품보관용기(70)의 하부가 상기 걸림턱(56)과 가장 먼저 만나는 면이 걸림턱(56)의 후면(58)이기 때문이다. 식품보관용기(70)는 상기 걸림턱(56)의 후면(58)을 타고 올라가므로 식품보관용기(70)가 장식부(54)에 가하는 충격이 완화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56)의 상면은 라운드진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보관용기(70) 등의 물건은 상기 걸림턱(56)의 후면(58)을 거친 후에 걸림턱(56)의 상면(60)을 면접촉하면서 지나친다. 따라서, 걸림턱(56)의 상면(60)이 라운드지면 식품보관용기(70)를 원만하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56)의 전면(62)은 경사져서 상기 선반(50)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보관용기(70)는 걸림턱(56)의 상면(60)을 지나서 걸림턱(56)의 전면(62)의 경사를 지나게 된다. 이때, 식품보관용기(70)는 걸림턱(56)의 전면(62)에서 낙하하면서 장식부(54)에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걸림턱(56)의 전면(62)이 경사지면 식품보관용기(70) 등의 물건이 점진적으로 낙하되어 식품보관용기(70)가 장식부(54)에 가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식품보관용기(70)에 의해 장식부(54)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56)은 상기 장식부(54) 후단에 이격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56)이 장식부(54)에 이격되어 마련되면 장식부(54)가 가진 미적형상에 걸림턱(56)의 형상이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장식부(54)는 상기 선반(50) 전면부 테두리까지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부(54)가 선반(50) 전면부 테두리 및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면까지 감싸서 선반(50)의 전면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54)가 선반에 견고 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반(50)은 인너케이스(40)에 마련된 지지부재(42)에 의해서 지지된다. 선반(50)의 좌측 및 우측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52)는 상기 지지부재(42)의 안착홈(44)에 삽입된다. 상기 안착홈(44)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재(42)의 하면은 선반(50)의 삽입부(52) 하면과 면접촉되면서 선반(50) 및 선반 위에 놓여진 식품보관용기(70) 등의 물건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42)에 의해 지지된 선반(50)은 냉장고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선반(50)에 놓여진 물건을 인출하기 위해 우선 선반(50)이 설치된 냉장실(30) 또는 냉동실(20)의 도어를 개방한다. 이어서 원하는 식품보관용기(70) 등의 물건을 선택한 후 냉장고의 전방으로 식품보관용기(70)를 끌어당긴다.
식품보관용기(70)는 걸림턱(56)의 후면(58)과 접촉하기 전까지는 선반(5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식품보관용기(70)가 걸림턱(56)의 후면(58)을 만나면 후면(58)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식품보관용기(70)의 하부면의 전방이 상승하게 된다.
이후 식품보관용기(70)는 걸림턱(56)의 상면(60)과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식품보관용기(70)는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여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걸림턱(56)의 상면은 라운드졌기 때문에 식품보관용기(70)는 걸림턱(56)의 상면(60)을 유연하 게 지나갈 수 있다.
이때, 식품보관용기(70)가 크다면 식품보관용기(70) 하부의 전방쪽은 장식부(54)의 상면과 면접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식품보관용기(70)의 하부 전방은 걸림턱(56)에 의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해 있어 장식부(54)의 후단에 냉장고 전방 방향의 힘을 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식품보관용기(70)에 의해 장식부(54)가 선반(50)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품보관용기(70)의 하부의 후단이 걸림턱(56)의 상면(60)을 지나는 순간 식품보관용기(70) 일측의 높이가 낮아지며 식품보관용기(70)의 하면이 걸림턱(56)의 전면(62)을 지나게 된다. 걸림턱(56)의 전면(62)은 선반(50)과 둔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식품보관용기(70)는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식품보관용기(70)의 하부 후단이 장식부(54)에 가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56)에 의해 식품보관용기(70) 하단에 묻어있는 찌꺼기들이 식품보관용기(70)를 따라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된다. 왜냐하면 식품보관용기(70) 하단이 걸림턱(56)과 면접촉되면서 인출되므로 찌꺼기들은 걸림턱(56)에 잔류하기 때문이다.
만일, 걸림턱(56)이 없을 경우 식품보관용기(70) 하단에 묻어있는 찌꺼기들이 장식부(54)에 잔류하므로 장식부(54)가 더러워져서, 냉장고의 이미지가 나빠질 수 있다.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의 장식부 훼손을 방지하여 냉장고 내부의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토록 한다.
또한, 식품보관용기 등이 장식부의 후단에 수평방향으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장식부가 선반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Claims (7)

  1. 상면에 물건이 놓여지는 선반;
    상기 선반의 전면부를 감싸는 장식부; 및
    상기 물건 인출시 상기 장식부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반 상에서 상기 장식부의 후단에 인접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장식부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후면은 경사져서 상기 선반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면은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전면은 경사져서 상기 선반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장식부 후단에 이격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선반 전면부 테두리까지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0050702A 2007-05-25 2007-05-25 냉장고 KR10135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02A KR101351028B1 (ko) 2007-05-25 2007-05-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02A KR101351028B1 (ko) 2007-05-25 2007-05-2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684A true KR20080103684A (ko) 2008-11-28
KR101351028B1 KR101351028B1 (ko) 2014-01-13

Family

ID=4028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702A KR101351028B1 (ko) 2007-05-25 2007-05-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0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937U (ko) * 1998-02-11 1999-09-15 윤종용 냉장고용 선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28B1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8814B1 (en) Refrigerator
KR101602215B1 (ko) 냉장고의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EP2594877B1 (en) Refrigerator
RU2421668C1 (ru) Холодильник
JP5508986B2 (ja) 貯蔵庫
RU2438079C2 (ru) Холодильник
CN113260827A (zh) 冰箱
KR101351028B1 (ko) 냉장고
KR100513681B1 (ko) 냉장고
KR20090005503U (ko) 달걀트레이를 갖는 냉장고
JP2008224130A (ja) 冷蔵庫
CN113272606B (zh) 冰箱
KR20090078390A (ko) 냉장고
KR100443982B1 (ko) 냉장고
KR20080066450A (ko) 냉장고
JP2002350044A (ja) 冷蔵庫
JP2009068748A (ja) 冷蔵庫
KR101495353B1 (ko) 냉장고
KR20100046360A (ko) 냉장고
JP2017197210A (ja) 収納容器
JP7122087B2 (ja) 冷蔵庫
US10465972B2 (en) Container and refrigerator
KR102008817B1 (ko) 냉장고 선반용 장식재, 그 제조 방법 및 냉장고
KR20070062350A (ko) 냉장고용 선반
KR102485761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