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404A - 사조 권취기 - Google Patents

사조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404A
KR20080103404A KR1020080028355A KR20080028355A KR20080103404A KR 20080103404 A KR20080103404 A KR 20080103404A KR 1020080028355 A KR1020080028355 A KR 1020080028355A KR 20080028355 A KR20080028355 A KR 20080028355A KR 20080103404 A KR20080103404 A KR 2008010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member
contact
groov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300B1 (ko
Inventor
킨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56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two or more winding heads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2Drive contact pressure control, e.g. pres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지의 권취굵기에 따라 콘택트 롤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패키지에 부여되는 접압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사조 권취기를 제공한다. 사조 권취기(1)는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됨과 아울러 보빈(20)이 장착되는 보빈 홀더(13)와, 본체 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승강 프레임(11)과, 보빈 홀더(1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보빈(20) 또는 보빈(20)에 형성된 패키지(2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콘택트 롤러(15)와, 승강 프레임(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콘택트 롤러(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2)와, 지지 플레이트(22)를 승강 프레임(11)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유닛(25)을 구비하고 있다.
Figure P1020080028355
사조 권취기

Description

사조 권취기{YARN WINDER}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권취하는 사조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방사기 등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보빈 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권취하는 사조 권취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조 권취기는 보빈 홀더와 평행한 상태에서 보빈에 권취된 실층에 접촉하면서 회전함으로써, 보빈에 형성된 패키지에 소정의 접압(接壓)을 부여하는 콘택트 롤러를 일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 롤러는 보빈에 실이 권취되어 패키지의 지름이 증대되어도 패키지에 일정한 접압을 부여할 수 있도록 패키지의 권취 굵기에 따라 패키지에 접촉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33814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사조 권취기에 있어서는, 기대 프레임에 대해서 승강 가능한 슬라이드 박스에 콘택트 롤러가 요동 암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에 의해 요동 암이 요동 구동됨으로써, 요동 암의 유동단에 설치된 콘택트 롤러가 보빈에 형성된 패키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8-301519호 공보에는 트래버스 장치의 안내 부재로서 V자형 홈과 V자형 돌기로 구성되는 리니어 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2002-33814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사조 권취기의 구성에서는 콘택트 롤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덜거덕거리기 쉽다. 그 때문에 패키지의 권취굵기에 따라 콘택트 롤러를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고, 패키지에 부여되는 접압이 불균일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8-3015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트래버스 장치의 퇴피 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트래버스 장치의 퇴피 동작시에 덜거덕거림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키지의 권취굵기에 따라 콘택트 롤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패키지에 부여되는 접압의 뷸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사조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의 사조 권취기는, 보빈 홀더와, 지지 프레임체와, 콘택트 롤러와, 롤러 지지체와, 안내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보빈 홀더는 사조 권취기의 본체 프레임에 지지됨과 아울러 보빈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체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상기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콘택트 롤러는 상기 보빈 홀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외주면 또는 상기 보빈에 실이 권취됨으로써 형성되는 패키지의 외주면에 접촉해서 회전된다. 상기 롤러 지지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대해서 상기 보빈 홀더 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안내 유닛은 제 1 안내 부재와, 제 2 안내 부재와, 복수의 원기둥형상의 롤러를 갖는다. 상기 제 1 안내 부재는 상기 롤러 지지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V자형상인 제 1 V홈을 갖고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2 안내 부재는 상기 롤러 지지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V자형상인 제 2 V홈을 갖고 또한 상기 제 2 V홈이 상기 제 1 V홈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원기둥형상의 롤러는 상기 제 1 안내 부재의 상기 제 1 V홈과 상기 제 2 안내 부재의 상기 제 2 V홈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원기둥형상의 롤러는 각각의 외측면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인 2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V홈과 상기 제 2 V홈의 양쪽에 접촉되도록 또한 인접하는 롤러 사이에서 축심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체에 고정된 제 1 안내 부재와 롤러 지지체에 고정된 제 2 안내 부재 사이에 복수의 원기둥형상의 롤러가 인접하는 롤러 사이에서 축심방향(회전축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배치된, 소위, 크로스 롤러 형식의 안내 유닛이다. 그 때문에 지지 프레임체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롤러 지지체의 지지 프레임체에 대한 변위(덜거덕거림)가 2종류의 롤러에 의해 규제되므로, 콘택트 롤러는 지지 프레임체, 나아가서는 보빈 홀더에 대해 기울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콘택트 롤러와 보빈 홀더의 평행 관계를 엄밀히 유지한 상태에서 콘택트 롤러를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유닛을 채용함으로써, 롤러 지지체(콘택트 롤 러)의 지지 프레임체에 대한 이동 저항이 작아져 콘택트 롤러를 지지 프레임체에 대해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 지지체는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롤러 지지체의 이동거리는 지지 프레임체의 길이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롤러 지지체는 강성이 높은 크로스 롤러 형식의 안내 유닛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콘택트 롤러와 보빈 홀더의 평행 관계를 엄밀히 유지하면서, 롤러 지지체의 이동 저항이 작은 상태에서 한정된 거리내에서 롤러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의 발명의 사조 권취기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롤러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의 양단부에 상기 안내 유닛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 롤러의 보빈 홀더에 대한 평행 관계를 한층 엄밀히 유지하면서, 콘택트 롤러를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의 사조 권취기는,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의 양단부 각각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안내 유닛이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세트로도 충분히 높은 강성을 갖는 안내 유닛이 롤러 지지체의 양단부 각각에 있어서 2세트 인접해서 배치됨으로써, 강성이 한층 높아져 안내 유닛의 탄성변형이 더욱 억제된다. 따라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관한 콘 택트 롤러의 변위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사조 권취기(1)에는 도시가 생략된 방사기로부터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실(Y)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사조 권취기(1)는 방사기로부터 공급된 복수개의 실(Y)을 복수의 보빈(20)에 각각 권취해서 복수의 패키지(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사조 권취기(1)는 본체 프레임(10)과, 승강 프레임(11)과, 원판상의 터렛(12)과, 2개의 보빈 홀더(13)와, 트래버스장치(14)와, 콘택트 롤러(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프레임(11)은 본체 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터렛(12)은 본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빈 홀더(13)는 터렛(12)을 통해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됨과 아울러 복수의 보빈(20)이 장착된다. 트래버스장치(14)는 보빈(20)에 권취되는 실(Y)을 트래버스하는 장치이다. 콘택트 롤러(15)는 권취 위치(P1)(도 2 참조)에 있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보빈(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판상의 터렛(12)은 본체 프레임(10)의 연직면에 평행한 자세로 본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터렛(12)의 회전중심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는 2개의 위치에는 터렛(12)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보빈 홀더(1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보빈 홀더(13)는 터렛(1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2개의 보빈 홀더(13)에는 각각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보빈(20)이 보빈 홀더(13)의 축방 향으로 늘어서서 장착된다.
터렛(12)은 도시가 생략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터렛(12)이 회전함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13)가 콘택트 롤러(15)에 접촉해서 보빈(20)에 실(Y)을 권취하는 권취 위치(P1)와, 권취 위치(P1)와 터렛(12)의 회전중심에 관해서 점대칭의 위치인 대기위치(P2)에 걸쳐 이동 가능하다.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보빈(20)에 만권취상태의 패키지(21)가 형성되면, 이 권취 위치(P1)에 위치하는 보빈 홀더(13)와 대기위치(P2)에 위치하는 보빈 홀더(13)가 스위칭된다.
터렛(12)에 지지된 2개의 보빈 홀더(13)는 도시가 생략된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된다.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가 회전함으로써, 이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복수의 실(Y)이 각각 권취된다.
승강 프레임(11)(지지 프레임체)은 보빈 홀더(1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의 프레임이다. 이 승강 프레임(11)은 보빈 홀더(13)와 평행한 자세로 그 길이방향 기단부에 있어서 상하방향(보빈 홀더(13)에 대해서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승강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승강 프레임(11)의 길이방향 기단부는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 2개의 가이드축(2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 프레임(11)은 승강 구동 모터(27)를 포함하는 승강 기구(2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의 사조 권취기(1)는 패키지(21)에 비교적 낮은 접압을 부여하면서 실(Y)을 권취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승강 프레임(11)은 트래버스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래버스장치(14)는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14a)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14a)에 복수의 실(Y)이 각각 걸려진 상태에서 트래버스장치(14)가 보빈 홀더(13)의 축방향(도 2의 지면 수직방향)에 관해서 복수의 트래버스 가이드(14a)를 소정의 트래버스 범위에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실(Y)을 각각 트래버스하면서 대응하는 보빈(20)에 권취된다.
승강 프레임(11)에는 콘택트 롤러(15)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2)(롤러 지지체)가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지지 플레이트(22)는 승강 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장척이며,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안내 유닛(25)을 통해 승강 프레임(11)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2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2개의 피벗부(22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콘택트 롤러(15)는 보빈 홀더(13)와 대략 같은 통형상체이며, 보빈 홀더(13)와 평행한 상태에서 상술한 지지 플레이트(22)의 2개의 피벗부(2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콘택트 롤러(15)는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모든 보빈(20) 또는 보빈(20)에 형성된 패키지(21)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다. 컨택트 롤러(15)는 보빈(20)으로의 실 권취시에는 패키지(21)에 소정의 접압을 부여하면서 회전해서 패키지(21)의 형상을 조정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2)와 컨택트 롤러(15)는 안내 유닛(25)에 의해 안내되면서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20)에 근접하는 방향(하방향) 및 이 보빈(20)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상방향)으로 승강 프레임(11)에 대한 상대 위치를 바꿀 수 있다.
패키지(21)의 축방향에 관한 권취 지름의 불균일을 작게 해서 보다 한층 품질이 높은 패키지(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택트 롤러(15)가 패키지(21)에 대해서 그 축방향에 관해서 항상 균일한 접압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지지 플레이트(22)(콘택트 롤러(15))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유닛(25)에는 이하의 2개의 조건이 요구된다. 제 1 조건은 콘택트 롤러(15)와 보빈 홀더(13)(보빈(20))의 평행 관계를 엄밀히 유지하기 위해서, 콘택트 롤러(15)의 상하방향 이동시에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변위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조건은 패키지(21)의 권취굵기에 따라 콘택트 롤러(15)가 한층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22)가 이동할 때의 이동 저항이 작은 것이다.
상술한 제 1 조건과 제 2 조건의 양쪽을 실현할 수 있는 본 실시형태의 안내 유닛(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지지 플레이트(2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안내 유닛(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2)의 양단부의 각각에 2세트의 안내 유닛(25)이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22)는 양단측 각각 2세트씩 합계 4세트의 안내 유닛(25)을 통해 승강 프레임(11)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B에 나타내듯이, 안내 유닛(25)은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와, 복수의 롤러(32)를 갖는다. 제 1 안내 부재(30)는 상하방향(지지 플레이트(22) 및 콘택트 롤러(15)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승강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안내 부재(31)는 제 1 안내 부재(30)와 마찬가 지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지 플레이트(22)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롤러(32)는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에서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내 유닛(25)은 소위 크로스 롤러 형식의 안내 유닛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승강 프레임(1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40a)와 이 볼록부(40a) 양측의 2개의 부착부(40b)를 갖는 고정구(40)가 볼록부(40a)에 있어서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구(40)의 2개의 부착부(40b)에 2세트의 안내 유닛(25)의 제 1 안내 부재(30)가 각각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제 1 안내 부재(30)의 한쪽의 측면(도 3에 있어서의 볼록부(40a)와 반대측의 면)에는 제 1 안내 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V자형상인 제 1 V홈(3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지지 플레이트(22)의 배면(콘택트 롤러(15)와 반대측의 면)에는 2세트의 안내 유닛(25)의 제 2 안내 부재(31)가 각각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제 2 안내 부재(31)는 승강 프레임(11)에 고정된 2개의 제 1 안내 부재(30)를 외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2 안내부재(31)의 한쪽 측면(제 1 안내 부재(30)와 대향하는 면)에는 제 2 안내 부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V자형상인 제 2 V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의 좌우 2세트의 안내 유닛(25)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안내 부재(30)의 제 1 V홈(30a)과 제 2 안내 부재(31)의 제 2 V홈(31a)이 대향하고 있 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서로 대향하는 제 1 V홈(30a)과 제 2 V홈(31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복수의 원기둥형상의 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단, 이들 복수의 롤러(32)는 인접하는 롤러 사이에서 축심방향(회전축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안내 부재(30) 및 제 2 안내 부재(31)의 대향방향(도 5A, 도 5B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대해서 회전축(C1)이 오른쪽으로 45° 기울어진 롤러(32)(도 5A)와, 상기 대향방향에 대해서 회전축(C2)이 왼쪽으로 45° 기울어진 롤러(32)(도 5B)가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에는 롤러 유지구(33)가 개재되어 있다. 이 롤러 유지구(33)는 복수의 관통구멍(33a)과, 이들 복수의 관통구멍(33a)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유지 클로(33b)를 갖는다. 복수의 롤러(32)는 롤러 유지구(33)의 복수의 관통구멍(3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유지 클로(33b)에 의해 각각 빠짐방지되어 있다.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는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에 소정의 끼움 하중(프리로드)이 작용한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11) 및 지지 플레이트(22)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32)는 이들의 외측면의 회전축(C1 및 C2)에 관해서 대칭인 2개의 위치(A 및 B)에 있어서, 제 1 V홈(30a)과 제 2 V홈(31a)의 양쪽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된다. 따 라서,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에 상대 이동이 발생했을 때에, 양 안내 부재(30,31)와 롤러(32) 사이에 슬라이딩이 생기기 어렵고, 각 롤러(32)가 회전축(C1 또는 C2)을 중심으로 매끄럽게 회전한다. 그 때문에 지지 플레이트(22)(콘택트 롤러(15))와 승강 프레임(11) 사이의 이동 저항이 롤러(32)의 구름 저항만으로 되어 이동 저항이 매우 작아진다.
롤러(32)는 제 1 V홈(30a)과 제 2 V홈(31a)의 양쪽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그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어긋남이 규제된다. 또한, 인접하는 롤러(32) 사이에서 축심방향이 직교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5A의 회전축(C1)의 방향에 관한 제 1 안내 부재(30) 및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의 어긋남이 도 5B의 롤러(32)에 의해 규제됨과 아울러 도 5B의 회전축(C2)의 방향에 관한 제 1 안내 부재(30) 및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의 어긋남이 도 5A의 롤러(32)에 의해 규제된다. 그 결과,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도 5A 및 도 5B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에 관한 지지 플레이트(22)의 승강 프레임(11)에 대한 변위(덜거덕거림)가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2)에 지지되는 콘택트 롤러(15)가 승강 프레임(11), 나아가서는,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된 보빈 홀더(13)에 대해서 기울어져 버리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 사이에 다수의 원기둥형상의 롤러(32)가 2개의 V홈(30a 및 31a)의 양쪽과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1세트의 안내 유닛(25)의 강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제 1 안내 부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는 모두 제 1 안내 부 재(30)와 제 2 안내 부재(31)의 길이방향 양단부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 도중부에 있어서도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권취중에 안내 유닛(25)에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해도 제 1 안내 부재(30)나 제 2 안내 부재(31)가 수평방향으로 탄성변형되기 어려워 휘어지기 어렵다. 이 점으로부터도, 지지 플레이트(22)에 지지되는 콘택트 롤러(15)의 변위가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지지 플레이트(22)의 양단부에 안내 유닛(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콘택트 롤러(15)의 보빈 홀더(13)에 대한 평행 관계를 한층 엄밀히 유지하면서, 콘택트 롤러(15)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1세트로도 충분히 높은 강성을 갖는 안내 유닛(25)이 도 3에 나타내듯이 지지 플레이트(22)의 양단부의 각각에 대해서 인접해서 2세트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강성이 한층 높아져서 안내 유닛(25)의 탄성변형이 더욱 억제되고, 그 탄성변형에 기인한 수평방향에 관한 콘택트 롤러(15)의 변위가 확실히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콘택트 롤러(15)를 승강 프레임(11)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유닛(25)의 수는 콘택트 롤러(15)의 길이나 중량 또는 승강 길이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사조 권취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사조 권취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지지 플레이트의 한쪽의 단부에 서로 인접해서 설치된 2세트의 안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는 1세트의 안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안내 유닛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5A는 축심방향이 안내 부재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한쪽으로 기울어진 롤러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축심방향이 안내 부재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도 5A와는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롤러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Claims (3)

  1. 본체 프레임에 지지됨과 아울러 보빈이 장착되는 보빈 홀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상기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프레임체;
    상기 보빈 홀더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외주면 또는 상기 보빈에 실이 권취됨으로써 형성되는 패키지의 외주면에 접촉해서 회전하는 콘택트 롤러;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 및
    상기 롤러 지지체를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대해서 상기 보빈 홀더에 대해 접촉 이간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제 1 V홈을 갖고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체에 고정된 제 1 안내 부재;
    상기 롤러 지지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제 2 V홈을 갖고 또한 상기 제 2 V홈이 상기 제 1 V홈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 지지체에 고정된 제 2 안내 부재; 및
    상기 제 1 안내 부재의 상기 제 1 V홈과 상기 제 2 안내 부재의 상기 제 2 V홈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원기둥 형상의 롤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각각의 외측면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인 2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V홈과 상기 제 2 V홈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또한 인접하는 롤러 사이에서 축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롤러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의 양단부에 상기 안내 유닛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의 상기 양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안내 유닛이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KR1020080028355A 2007-05-23 2008-03-27 사조 권취기 KR101196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6237A JP4990681B2 (ja) 2007-05-23 2007-05-23 糸条巻取機
JPJP-P-2007-00136237 200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404A true KR20080103404A (ko) 2008-11-27
KR101196300B1 KR101196300B1 (ko) 2012-11-06

Family

ID=4009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355A KR101196300B1 (ko) 2007-05-23 2008-03-27 사조 권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90681B2 (ko)
KR (1) KR101196300B1 (ko)
CN (1) CN101311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9435B2 (ja) * 2010-07-13 2014-06-1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装置
JP5702563B2 (ja) * 2010-08-24 2015-04-15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条巻取機
CN102390762B (zh) * 2011-07-15 2014-06-11 郑州中远氨纶工程技术有限公司 长丝纤维卷绕装置及卷绕方法
DE102011052699B4 (de) * 2011-08-12 2015-12-31 Georg Sahm Gmbh & Co. Kg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JP6037896B2 (ja) * 2012-03-08 2016-12-07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引取装置
CN102774704B (zh) * 2012-07-31 2014-04-16 太仓仕禾线网制造有限公司 络丝机的卷纱装置
CN102774703B (zh) * 2012-07-31 2013-08-14 太仓仕禾线网制造有限公司 一种络丝机的卷纱装置
CN105803550A (zh) * 2014-05-06 2016-07-27 福建锦江科技有限公司 一种丝线卷绕装置
JP6512950B2 (ja) * 2014-07-02 2019-05-15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装置、及び、紡糸引取装置
CN106672710B (zh) * 2017-03-22 2018-02-27 浦江升广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用收线设备
JP6935243B2 (ja) * 2017-06-21 2021-09-15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機
CN107385530B (zh) * 2017-09-20 2022-11-29 江苏垶恒复合材料有限公司 化纤缠绕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6182A (en) 1981-02-12 1981-10-24 Victor Co Of Japan Ltd Manufacture of dc high voltage generating device
JPS5841750U (ja) * 1981-09-16 1983-03-19 帝人株式会社 巻取機
CH694370A5 (de) * 1999-02-03 2004-12-15 Barmag Barmer Maschf Aufspulvorrichtung.
JP4539807B2 (ja) * 2001-07-03 2010-09-08 大塚精工株式会社 クロスローラ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90821A (ja) 2008-12-04
CN101311090B (zh) 2012-09-05
JP4990681B2 (ja) 2012-08-01
CN101311090A (zh) 2008-11-26
KR101196300B1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00B1 (ko) 사조 권취기
JP5702563B2 (ja) 糸条巻取機
EP2392532B1 (en) Winder
EP0902114B1 (en) Formation stabilizing guide for braider
JP5711062B2 (ja) 紡糸巻取機
EP1980518A1 (en) Yarn traverse guide
US8245541B2 (en) Equipment for providing twist to an optical fiber
JP6319079B2 (ja) 粗紡機の管替装置
JP7360790B2 (ja) 三次元測定機
CN214934935U (zh) 一种用于纱线输送的调紧机构
WO2019155839A1 (ja) 運動案内装置
CN219508140U (zh) 一种高速经编机纬纱架
EP4005959A1 (en) Yarn winder
CN216404763U (zh) 浆纱机经轴支撑调节装置
EP3988488B1 (en) Yarn winder
EP3418231B1 (en) Yarn winder
JP3925186B2 (ja) 直動装置の防塵カバー
KR100624179B1 (ko) 이중 데크를 갖는 사 권취 장치의 보빈 처짐 방지 장치
CN114311751A (zh) 一种用于纤维缠绕的辅助工装
JP2022516003A (ja) 巻取り機
JPH06115809A (ja) 多糸条巻取機
JP2000169045A (ja) 紡糸巻取機の据付装置
JP2006103967A (ja) トラバ−ス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81112A (ja) ブレイダーの組成点安定化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