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168A -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168A
KR20080102168A KR1020087021953A KR20087021953A KR20080102168A KR 20080102168 A KR20080102168 A KR 20080102168A KR 1020087021953 A KR1020087021953 A KR 1020087021953A KR 20087021953 A KR20087021953 A KR 20087021953A KR 20080102168 A KR20080102168 A KR 2008010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channel
channel state
mobile station
cel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미 이시이
사다유키 아베타
타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10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국에, 무선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소정의 기간 평균화하는 수단과,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을 기억하는 수단과,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고,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와 무선채널상태를 보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수신 레벨의 임계값과, 보고 메시지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수단과,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의 변경을 지시하고, 변경 후의 셀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를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접속 셀, 주변 셀, 메세지, 무선채널상태

Description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MOBILE ST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AND MOBILIT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유저의 이동에 수반하여 접속하는 셀을 적절히 전환하는 핸드오버 제어(handover control)가 수행되고 있다. 핸드오버 제어에서는, 적절한 셀로 헨드오버하기 위해서, 이동국(mobile station)에서 접속 셀(connecting cell) 및 주변 셀(adjacent cell)의 전파상황(transmission condition)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evaluation)에 기초하여 핸드오버가 실시된다.
여기서, 주변 셀이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셀과 동일 주파수, 동일 기지국장치(base station apparatus)로 운용되고 있는 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셀과는 다른 주파수이나, 동일 기지국장치로 운용되고 있는 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셀과 동일 주파수이나, 다른 기지국장치로 운용되고 있는 셀 및 현재 접속하고 있는 셀과는 다른 주파수로, 다른 기지국장치로 운용되고 있는 셀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러한 주변 셀로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국에서 주변 셀이나 접속 셀의 전파환경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고속 페이딩(fading)에 추종한 링크 어댑테이션(link adaptation), 예를 들면 송신전력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나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동국은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Entity에 접속 셀의 무선채널상황(이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을 빈번히 보고하고 있다. 예를 들면, HSDPA에서는, 이동국에서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의 Ec/Io(수신 칩 에너지 대 간섭전력비)를 측정하고, 이것을 CQI로서, 2ms의 주기, 혹은 그 정수배의 주기로 보고하고 있다.
한편, 핸드오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동국은 접속하고 있는 셀 및 주변 셀의 공통 파일럿 채널의 Ec/Io, 또는 패스로스(pathloss)를 측정하고, RRC(Radio Resource Control)로 측정결과를 주기적으로 보고할 것을 지시받고 있는 경우는, 측정결과를 정기적으로 RRC 메시지로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에 보고한다. 또, 이동국은 RRC로 보고 조건(reporting condition)이 지정되고 있는 경우는, 보고 조건과 측정결과를 비교하고,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는, RRC 메시지로서, 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보고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 제어에 관한 보고나 지시가 RRC로 실시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MAC에서의 처리에 비해, 처리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RRC Entity를 실장(install)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부하가 커지는 것이 우려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드오버 제어의 처리시간을 단축하면서, RRC Entity를 실장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국은,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를 측정하는 무선채널상태 측정수단과,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 평균화하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수단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message type)을 기억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수단과,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채널상태 비교수단과, 상기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identifier)와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무선채널상태 보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는 접속 셀만의 보고였던 CQI 보고를 임계값 이상이 된 복수 셀의 CQI 보고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MAC Entity로도 일부의 모빌리티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모빌리티 제어의 고속화, 및 RRC를 처리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 레벨(reception level)의 임계값과 함께, 보고 메시지 종별(reporting message type)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수단과,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communicating cell)의 변경을 지시하는 통신 셀 변경수단과,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셀(destination cell)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mobile station identifier)를 통지하는 이동국 식별자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는 접속 셀만의 보고였던 CQI 보고를 임계값 이상이 된 1 또는 복수 셀의 CQI 보고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MAC Entity로 제어되는 CQI 보고를 이용하여, 셀 변경이나 이동국 ID 할당 등의 일부 모빌리티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모빌리티 제어의 고속화 및 RRC를 처리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국은, 무선채널상태를 측정하는 무선채널상태 측정수단과.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 평균화하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수단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을 기억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수단과,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채널상태 비교수단과, 상기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와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무선채널상태 보고수단을 구비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 레벨의 임계값과 함께, 보고 메시지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수단과,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의 변경을 지시하는 통신 셀 변경수단과,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셀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를 통지하는 이동국 식별자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는 접속 셀만의 보고였던 CQI 보고를 임계값 이상이 된 1 또는 복수 셀의 CQI 보고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MAC Entity로 제어되는 CQI 보고를 이용하여, 셀 변경이나 이동국 ID 할당 등의 일부 모빌리티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모빌리티 제어의 고속화, 및 RRC를 처리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제어방법은, 이동국에서, 무선채널상태를 측정하는 무선채널상태 측정단계와,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 평균화하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단계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을 기억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단계와,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채널상태 비교단계와, 상기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와 무선채널상태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무선채널상태 보고단계를 갖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 레벨의 임계값과 함께, 보고 메시지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단계와,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의 변경을 지시하는 통신 셀 변경단계와,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셀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를 통지하는 이동국 식별자 통지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는 접속 셀만의 보고였던 CQI 보고를 임계값 이상이 된 1 또는 복수 셀의 CQI 보고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MAC Entity로 제어되는 CQI 보고를 이용하여, 셀 변경이나 이동국 ID 할당 등의 일부 모빌리티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모빌리티 제어의 고속화, 및 RRC를 처리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의 셀 변경 수순에서, 셀 변경 수순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 RRC를 처리하고 있는 장치의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를 나타내는 포맷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를 나 타내는 포맷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의 셀 간의 통신 셀 변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의 셀 간의 통신 셀 변경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이동국
20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국(mobile station)(100)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200)를 구비한다.
이동국(100)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적어도 공유 데이터 채널(Shared Data Channel)에 의해,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가, 무선기지국(radio base station)의 기능을 구비하고, 직접 이동국(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가, 무선기지국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기지국을 마련하고, 그들의 기지국을 통해, 이동국(10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10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100)은, 송수신부(160)와, 송수신부(160)와 접속된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 측정부(150)와, 무선채널상태 측정부(150)와 접속된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부(140)와,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부(140)와 접속된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와,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와 접속된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부(130)와,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 및 송수신부(160)와 접속된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를 구비한다.
무선채널상태 측정부(150)는, 접속중인 셀(connecting cell) 및 주변 셀의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를 측정하고,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부(140)에 입력한다. 여기서, 무선채널상태란,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이어도 좋 으며,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의 Ec/Io, 패스로스(pathloss)이어도 좋다. 또, 주변 셀이란, 브로드캐스트 정보(broadcasting information)나 개별제어 정보(dedicated control information)로서 통지되는 셀이어도 좋으며, 이동국이 서치한 결과 수신할 수 있었던 셀이어도 좋다.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부(140)는,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 평균화하고,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에 입력한다.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부(13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의해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보고하는 메시지 종별(message type)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부(130)는, 보고하는 메시지 종별로서, CQI 리포트,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보고 임계값)과 보고하는 메시지 종별(보고 메시지 종별 : reporting message type)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의해 그룹 분류된 셀 그룹(cell group)마다 기억한다.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부(140)에 의해 입력된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와, 무선채널상태가 측정된 셀이 속하는 셀 그룹에 대해서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해당 임계값 이상인 경우는,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보고해야 할 메시지 종별을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에 입력한다.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에 입력된 평균화된 무선채널정보 그 자체이어도 좋다.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무선채널상태 비교부(120)에서 비교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보고해야 할 메시지 종별에 기초하여, 보고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보고해야 할 메시지 종별이 복수 종류 있는 경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종별마다 별도 메시지로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CQI 리포트로서, 셀의 식별자(identifier), 예를 들면 셀 번호 및 해당 셀의 식별자가 나타내는 셀의 CQI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또,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RC 메시지, 예를 들면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로서, 셀의 식별자 및 해당 셀의 식별자가 나타내는 셀의 Ec/Io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셀의 식별자로서는, 셀에 할당되어 있는 ID를 사용해도 좋으며, 해당 셀에 적용되어 있는 스크램블 번호(number of scrambling)를 사용해도 좋다. 보고신호로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지정된 메시지 종별에 따라서, MAC의 제어신호(예를 들면, CQI 보고), 및 RRC의 제어신호(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로서 송신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송수신부(210)와, 송수신부(210)와 접속된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신호 생성부(250)와, 송수신부(210)와 접속된 통신 셀(communicating cell) 변경요구 판단부(220)와, 통신 셀 변경요구 판단부(220)와 접속된 이동국 식별자(mobile station identifier) 선택부(230)와, 통신 셀 변경요구 판단부(220), 이동국 식별자 선택부(230) 및 송수신부(210)와 접속된 변경요구신호 생성부(240)를 구비한다.
통신 셀 변경요구 판단부(220)는, 이동국(100)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1회의 무선채널상태 보고값에 대해서 수행해도 좋으며, 복수회 연속하여 무선채널상태 보고가 있었던 경우만 통신 셀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등,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에서 통신 셀 변경조건을 설정해도 좋다.
이동국 식별자 선택부(230)는, 통신 셀 변경요구 판단부(220)에 의해 통신 셀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신규로 설정되는 셀에서 사용할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 선택을 수행한다. 이동국 식별자를 선택하는 엔티티는, 이동국(100)으로부터 보고된 메시지 종별에 따라 바뀌어도 좋다. 예를 들면, CQI 보고인 경우에는, MAC 엔티티가 이동국 식별자를 선택하고, RRC 메시지로 보고가 있었던 경우는, RRC 엔티티가 이동국 식별자를 선택해도 좋다. 또, 상기 RRC 엔티티가 이동국 식별자를 선택하는 경우는, MAC 엔티티에서 사용하는 이동국 식별자를 RRC 메시지의 일부로서 포함해도 좋다.
변경요구신호 생성부(240)는, 통신 셀 변경요구 판단부(220)에 의해 결정된 통신 셀 변경정보와, 신규 셀이 설정된 경우는, 이동국 식별자 선택부(230)에서 선택된 이동국 식별자를 해당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의 생성을 수행한다.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신호 생성부(250)는, 이동국(100)에서 측정된 무선채널상태와 비교하는 임계값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신호 생성부(250)는, 이 임계값을, 1 또는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셀 그룹마다 설정해도 좋다. 각 셀 그룹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차이에 따라 나뉘어져도 좋으며, 접속 중인 주파수와 그 이외의 주파수에 따라 나뉘어져도 좋으며, 또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동일 주파수와 그 이외로 나뉘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그룹 0과 셀 그룹 1로 그룹 분류되고, 셀 그룹 0에는 셀 0, 셀 1 및 셀 2, 셀 그룹 1에는 셀 3, 셀 4 및 셀 5가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신호 생성부(250)는, 셀 그룹을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의 동일주파수 셀과 그 이외의 셀로 나눈 경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의 임계값 통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셀 그룹 0에는 메시지 종별로서 CQI 보고를 적용하고, 셀 그룹 1에는 RRC Message를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제어장치(201)와 무선기지국장치(202)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가 무선제어장치(201)의 기능 및 무선기지국장치(202)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한편, 무선제어장치(201)와, 무선기지국장치(202)가 따로따로 마련되어도 좋으나, 데이터 전송에 수반하는 지연을 단축하는 관점에서는, 동일 장치 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의 셀 간의 셀 체인지 시퀀스에 대해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100)은 도 8a의 (a)지점에서 통신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셀 1의 무선채널상태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셀 1만의 CQI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한다(단계 S802).
다음으로, 이동국(100)이 도 8a의 (b)지점으로 이동한 경우, 셀 2의 무선채널상태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정된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셀 2만의 CQI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보고한다(단계 S80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이동국 식별자 선택부(230)는, MAC에 있어서, 셀 2로부터의 CQI 보고는 신규이기 때문에, 셀 2에서 이동국(100)이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C-RNTI: Cell Specific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할당한다. 또, 통신 셀 변경요구 판단부(220)는, 셀 1로부터의 CQI 보고가 없었으므 로, 셀 1에서 이동국(100)이 사용하고 있던 이동국 식별자를 이동국(100)에서 삭제할 것을 지시한다(단계 S806).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변경요구신호 생성부(240)는, MAC에 있어서, 셀 2에서 이동국(100)이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C-RNTI)를 할당한 것, 셀 1에서 이동국(100)이 사용하고 있던 이동국 식별자를 이동국(100)에서 삭제한 것을 이동국(100)에 통지한다(단계 S808).
이동국(100)에서는 셀 2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가 할당되었으므로, 이후, 이동국은 셀 2에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국(100)의 무선채널상태 보고신호 생성부(110)는, 셀 2의 무선채널상태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이동국(100)은 셀 2만의 CQI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보고한다(단계 S8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이 동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의 셀 간을 이동할 때, RRC에서의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지 않고, 셀 체인지의 지시, 및 이행처의 셀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를 MAC에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셀 체인지에 수반하는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에서의 RRC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06년 2월 14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6-03728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6-037288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를 측정하는 무선채널상태 측정수단;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predefined time period) 평균화하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수단;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로부터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message type)을 기억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수단;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채널상태 비교수단; 및
    상기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identifier)와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무선채널상태 보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상태 측정수단은, 접속중인 셀(connecting cell) 및 주변 셀(adjacent cell)의 무선채널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수단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그룹 분류된 셀 그룹(cell group)마다 임계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상태 보고수단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그룹 분류된 셀 그룹마다 무선채널상태를 다른 메시지로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상태 보고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와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로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 수신 레벨(reception level)의 임계값과 함께, 보고 메시지 종별(reporting message type)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 임계값 통지수단;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communicating cell)의 변경을 지시하는 통신 셀 변경수단;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셀(destination cell)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mobile station identifier)를 통 지하는 이동국 식별자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수단은, 1 또는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셀 그룹(cell group)마다 임계값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8. 이동국(mobile station)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로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를 측정하는 무선채널상태 측정수단;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predefined time period) 평균화하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수단;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message type)을 기억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수단;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채널상태 비교수단; 및
    상기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identifier)와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무선채널상태 보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 레벨(reception level)의 임계값과 함께, 보고 메시지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수단;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communicating cell)의 변경을 지시하는 통신 셀 변경수단; 및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셀(destination cell)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를 통지하는 이동국 식별자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9. 이동국(mobile station)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로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모빌리티(mobility)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무선채널상태(radio channel condition)를 측정하는 무선채널상태 측정단계;
    측정된 무선채널상태를 소정의 기간(predefined time period) 평균화하는 무선채널상태 평균화단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정된 무선채널상태의 임계값과 메시지 종별(message type)을 기억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기억단계;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채널상태 비교단계; 및
    상기 평균화된 무선채널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셀의 식별자(identifier)와 무선채널상태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무선채널상태 보고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서,
    수신 레벨(reception level)의 임계값과 함께, 보고 메시지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채널상태 임계값 통지단계;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무선채널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셀(communicating cell)의 변경을 지시하는 통신 셀 변경단계; 및
    변경 후의 셀에서 사용할 이동국 식별자를 통지하는 이동국 식별자 통지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제어방법.
KR1020087021953A 2006-02-14 2007-02-13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 KR20080102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7288 2006-02-14
JP2006037288A JP4795045B2 (ja) 2006-02-14 2006-02-14 移動局およ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並びにモビリティ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168A true KR20080102168A (ko) 2008-11-24

Family

ID=3837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953A KR20080102168A (ko) 2006-02-14 2007-02-13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00300B2 (ko)
EP (1) EP1986451A4 (ko)
JP (1) JP4795045B2 (ko)
KR (1) KR20080102168A (ko)
CN (1) CN101422062B (ko)
BR (1) BRPI0707828A2 (ko)
MX (1) MX2008010168A (ko)
RU (1) RU2008136542A (ko)
TW (1) TW200738023A (ko)
WO (1) WO2007094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01B1 (ko) * 2013-08-06 2014-08-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7083B2 (ja) * 2008-09-24 2013-09-11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発呼受付方法
JPWO2010113490A1 (ja) * 2009-03-31 2012-10-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411776B2 (en) * 2009-12-08 2013-04-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quantization of channel state vectors
KR101831281B1 (ko) 2010-04-06 2018-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414269B2 (en) 2010-05-14 2016-08-09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of transmitting measurement reports
WO2013077052A1 (ja) * 2011-11-22 2013-05-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6111529B2 (ja) * 2011-11-22 2017-04-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130324075A1 (en) * 2012-06-05 2013-12-05 Nokia Siemens Networks Oy Data Loading Control
US9781622B2 (en) 2012-08-30 2017-10-03 Nokia Technologies Oy Decision making based on remote observation of node capabilities
WO2015042890A1 (zh) * 2013-09-27 2015-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切换的控制设备及方法
EP4220993A1 (en) * 2014-05-22 2023-08-02 Kyocera Corporation Assignment of communication resources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to equipment operating in a licensed frequency ban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518A (ja) 1993-06-07 1994-12-22 N T T Idou Tsuushinmou Kk 移動通信セル判定方式および移動局装置
CA2145044A1 (en) * 1994-03-21 1995-09-22 Paul Crichto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ver in a multicellular environment
JPH09200838A (ja) 1996-01-12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FI106285B (fi) * 1998-02-17 2000-12-29 Nokia Networks Oy Mittausraportoint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JP3732792B2 (ja) 2002-03-12 2006-01-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KR100891785B1 (ko) * 2002-04-27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EP1432262A1 (en) 2002-12-20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tocol context preserv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JP2004349976A (ja) 2003-05-21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リソース管理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KR101015736B1 (ko) * 2003-11-19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선택적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7239875B2 (en) * 2004-07-07 2007-07-03 Lucent Technologies Inc. Establishing or releasing a radio connection between a mobile and a cel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S9184898B2 (en) * 2005-08-01 2015-1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1986347A1 (en) * 2006-02-10 2008-10-29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01B1 (ko) * 2013-08-06 2014-08-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6451A1 (en) 2008-10-29
TW200738023A (en) 2007-10-01
CN101422062A (zh) 2009-04-29
MX2008010168A (es) 2008-10-01
RU2008136542A (ru) 2010-03-20
US8000300B2 (en) 2011-08-16
JP2007221276A (ja) 2007-08-30
JP4795045B2 (ja) 2011-10-19
US20100188985A1 (en) 2010-07-29
BRPI0707828A2 (pt) 2011-05-10
WO2007094309A1 (ja) 2007-08-23
EP1986451A4 (en) 2013-02-20
CN101422062B (zh)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168A (ko)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모빌리티 제어방법
US114633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load bal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07633B2 (en) Configuring unscheduled periods to enable interference reduc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US86600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90359B (zh) 用于e-utran的与切换相关的测量报告
CN110545562B (zh) Bwp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基站
KR101286481B1 (ko) 전기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200801715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nnel selection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7075918A1 (zh) 一种基于非授权频谱的rssi配置方法、测量方法和相关设备
US9084117B2 (en) Dynamic mobility management in cell-breathing base station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0805023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measurement
JP2015518300A (ja) ネットワークによってトリガーされるユーザによる測定と測定の報告
CN101426224A (zh) 测量结果上报方法、系统及设备
CN109863779B (zh) 控制无线通信网络中的测量的方法、装置、节点和系统
KR201500153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라디오 접속점 간 조직화 방법 및 장치
JP2005136616A (ja) ハンドオフ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JPWO200912278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
KR10097832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기기 및 제어 장치
JP2016541170A (ja) 移動性管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EP3501205B1 (en) Uplink measurement based mobility management
CN103716858A (zh) 一种实现小小区为ue服务的方法、装置和系统
JP515232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
CN102647743B (zh) 控制用户设备进行测量的方法及系统
KR20150015651A (ko) 멀티캐리어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
JP2015073298A (ja) 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