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232A - 지폐 인식기 - Google Patents

지폐 인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232A
KR20080101232A KR1020070047723A KR20070047723A KR20080101232A KR 20080101232 A KR20080101232 A KR 20080101232A KR 1020070047723 A KR1020070047723 A KR 1020070047723A KR 20070047723 A KR20070047723 A KR 20070047723A KR 20080101232 A KR20080101232 A KR 2008010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s
recognizer
bill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텍
Priority to KR102007004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232A/ko
Publication of KR2008010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지폐가 통과하는 지폐 이송통로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어 지폐의 폭에 따라 넓이가 조절되면서 지폐의 좌우 중심을 지폐통로의 중심과 일치시켜 주는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좌우로 움직여 주는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자기 인식부를 갖추고 있어 지폐에 함유되어 있는 자기 성분을 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폐 인식기는 지폐의 폭에 따른 종류에 상관없이, 지폐를 투입하면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가 지폐를 유도하여 항상 지폐의 중심이 지폐 이송통로의 중심을 정확하게 통과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지폐 판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폐를 이송하게 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지폐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지폐인식, 가이드 플레이트, 스크류 샤프트

Description

지폐 인식기{AN APPARATUS FOR IDENTIFYING PAPER MON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커버를 열어 지폐가 통과하는 통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병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커버를 열은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도면 3의 A - A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지폐의 중심을 잡아 주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양쪽으로 완전하게 벌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도면 3의 A - A선 단면도로서, 지폐의 중심을 잡아 주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안쪽으로 오므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지폐 인식기의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지폐 인식기에 구비된 지폐투입구의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3 - 커버
5 - 지폐 투입구 7 - 이송통로
9 - 가이드 플레이트 11 - 스크류 샤프트
13 - 스크류 15 - 감속기
17 - 구동모터 19 - 지폐투입인식센서
21 - 직반사센서 23 - 지폐 이송롤러
25 - 자기감지센서 27 - 배출롤러
29 - 지폐투입감지센서 31 - 지폐판독센서
33,35 - 지폐 이송롤러 37 - 누름핀
본 발명은 지폐를 판독하여 액면과 진위여부를 구분하는 지폐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입되는 지폐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폐의 중심을 기기의 중심에 자동으로 맞추어줄 수 있게 하여 정확한 판독을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롤러만을 이용하여 지폐를 이송시키게 하여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지폐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인식기는 커피 또는 음료수 자동판매기나 은행의 접수창구를 대신하는 접수기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지폐 인식기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지폐를 판독하 여 그 액면가는 물론 진위여부까지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지폐의 종류는 액면가로서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액면가에 따라 크기도 다양하게 되어 있는바, 현재 우리나라의 지폐는 1천원권, 5천원권 및 1만원권이 있고, 각기 신권과 구권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폐 인식기의 지폐투입구에 투입되는 지폐는 좌우 중심에 정확하게 맞추어 투입되어져야만 지폐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피 자판기 등에 설치된 지폐 인식기에는 한 종류의 지폐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액면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지폐는 하나의 지폐 인식기에서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가지의 지폐만을 인식하게 되어 있는 지폐 인식기라 하여도, 지폐가 새로운 크기와 디자인으로 바뀌는 경우에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 지폐 투입구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기존의 지폐 인식기는 지폐를 정확하게 직선방향으로 이송시키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게 이송하여 지폐를 정확하게 판독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면 5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인식기(101)의 지폐 투입구(103)의 양쪽 선단에 단턱(105)을 형성시켜 두고, 상기 단턱(105) 위쪽에 형성되는 광폭 지폐 투입구(103a)에는 좌우 폭이 넓은 지폐를 투입하는 한편, 상기 단턱(105) 아래쪽에 형성되는 협폭 지폐 투입 구(103b)에는 좌우 폭이 좁은 지폐를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폭이 다른 지폐를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실용신안등록 20-412464호의 “지폐 인식기용 지폐 투입구조”와 같은 장치에서는, 지폐 인식기의 입구에 서로 폭이 다른 지폐 투입구를 상하에 2개 마련해 두고, 지폐의 크기에 따라 상하 서로 다른 지폐 투입구를 통하여 지폐를 투입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폐 투입구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두고서 2종류의 지폐를 투입할 수 있게 한 지폐 인식기에 있어서도, 지폐가 새로운 디자인으로 바뀌는 경우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지폐 투입구 크기를 변화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지폐 인식기는 지폐의 크기가 바뀔 때 마다 지폐 투입구의 크기도 변화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었다.
또, 기존의 일반적인 지폐 인식기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통로의 양쪽에 배치된 벨트(106)가 지폐를 끌어 당겨서 이송시키게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벨트(106)를 사용하는 방식은 장시간 사용하면 필연적으로 벨트(106)가 늘어지게 되므로, 지폐를 이송하는 좌우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이송하게 되어 지폐를 오판독하게 하는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일반적인 지폐 인식기는 지폐에 함유되어 있는 자기성분을 인 식하기 위한 자기 인식부가 갖추어 있지 않아서, 지폐의 진위를 정확하게 구분하는데 다소 미흡한 면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폐 인식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나의 지폐 투입구만을 갖추고서도 투입되는 지폐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폐의 중심을 기기의 중심에 자동으로 맞추어줄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롤러만을 이용하여 지폐를 이송시키게 함으로써 지폐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지폐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 인식기는, 지폐가 통과하는 지폐통로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어 지폐의 폭을 감지한 후 지폐의 좌우 중심을 지폐통로의 중심과 일치시켜 주는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좌우로 움직여 주는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자기 인식부를 갖추고 있어 지폐에 함유되어 있는 자기 성분을 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폐 인식기는 지폐의 폭에 따른 종류에 상관없이, 지폐를 투입하면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가 지폐를 유도하여 항상 지폐의 중심이 지폐 통로의 중심을 정확하게 통과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지폐 판독이 이루 어지게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폐를 이송하게 함으로써 편마모로 인한 오작동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지폐인식에 필요한 각종기기가 설치된 본체(1)에 커버(3)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1)와 커버(3) 사이에 지폐 투입구(5)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커버를 열어 지폐가 통과하는 통로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커버를 열은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면 4a 및 도면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 대하여 커버(3)를 열면 지폐 이송통로(7)가 나타나 보이는데, 상기 이송통로(7)의 좌우측에 가이드 플레이트(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는 이송통로(7)의 바닥면 일부를 이루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턱(9a)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래쪽으로도 돌출된 연결핀(9b)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는 연결핀(9b)을 통하여 본체(1) 내부의 가이드 플레이트(9) 아래쪽에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1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11)에는 좌우 양쪽에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1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13)의 나사산에 가이드 플레이트(9)의 연결핀(9b)이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스크류 샤프트(11)는 감속기(15)를 통하여 구동모터(17)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7)의 구동력이 감속기(15)를 통하여 스크류 샤프트(11)로 전달되면, 상기 스크류 샤프트(11)의 좌우 양쪽 스크류(13)에 연결핀(9b)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9)가 동시에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13)는 하나의 스크류 샤프트(11)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그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쪽 스크류(13)와 각각 맞물려 있는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9)가 서로 마주보고 이동하면서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면서 그 폭이 가변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이송통로(7)의 입구에 지폐투입인식센서(19)와 직반사 센서(21) 및 지폐 이송롤러(2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통로(7)의 후단에 자기감지센서(25)와 배출롤러(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의 내면에도 지폐투입감지센서(29)와 지폐 판독센서(31) 및 지폐이송롤러(33,35)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본체(1)의 이송통로(7)에 설치된 롤러(23)와 접촉하여 지폐를 정확하게 이송시켜 줄 수 있게 하는 누름 핀(37)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폐 인식기는 지폐투입구(5)에 지폐를 투입하면 지폐투입인식센서(19)가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에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17)를 가동시키게 한다.
이렇게 구동모터(17)가 가동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속기(15)를 통하여 구동모터(17)의 동력을 전달받은 스크류 샤프트(11)가 구동함과 더불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11)의 스크류(13)와 연결핀(9b)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양쪽 가이드 플레이트(9)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9)에 돌출 형성된 돌출턱(9a)이 지폐의 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양쪽 가이드 플레이트(9)의 돌출턱(9a)이 지폐의 측면에 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돌출턱(9a)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이 가이드 플레이트(9)와 스크류 샤프트(11)를 통하여 구동모터(17)로 전달되어, 구동모터(17)의 부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면 제어기에서 구동모터(17)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쪽 가이드 플레이트(9)가 좌우로 동시에 움직이면서 지폐를 잡아 주면, 지폐의 중심이 이송통로(7)의 중심(C)과 일치하게 배치된 상태로 정렬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지폐 이송롤러(23,33)가 구동하면서 이송통로(7)를 따라 지폐가 이송되게 하는데, 지폐가 상기 이송통로(7)를 따라 가는 동안에 다수개의 센서(21,31)와 자기감지센서(25)를 통하여 진위 여부가 판별되어지게 되고, 진폐로 인정되면 최종적으로 배출롤러(27)를 거쳐 다음 구성부품인 저장박스 속으로 이송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지폐가 투입되면 상기 구동모터(17)와 스크류 샤프트(11)에 의해 좌우로 이송하는 양쪽 가이드 플레이트(9)에 의해 지폐투입구(5)의 폭이 지폐의 폭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조절되어지게 되므로, 어떠한 폭의 지폐도 정확하게 이송통로(7)의 중심에 맞추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지폐의 크기가 바뀌어도 기기의 부품을 바꾸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지폐의 크기에 맞추어 작동할 수가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지폐 인식기를 사용하면 하나의 장치로서 여러 종류의 지폐를 모두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는 롤러만으로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오랜 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이송기구가 느슨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으며, 자기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써, 지폐에 함유된 자기 성분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지폐가 통과하는 지폐 이송통로(7)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어 지폐의 폭에 따라 넓이가 조절되면서 지폐의 좌우 중심을 지폐 이송통로(7)의 중심(C)과 일치시켜 주는 좌우 가이드 플레이트(9)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와 연결되어 가이드 플레이트(9)를 좌우로 움직여 주는 스크류 샤프트(11)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지폐 인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에 연결핀(9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9)의 양쪽에 상기 돌출핀(9b)이 결합되는 스크류(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9)의 스크류(13)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7)에 다수개의 이송롤러(23,33)에 의해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지폐의 자기성분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센 서(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
KR1020070047723A 2007-05-16 2007-05-16 지폐 인식기 KR20080101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23A KR20080101232A (ko) 2007-05-16 2007-05-16 지폐 인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23A KR20080101232A (ko) 2007-05-16 2007-05-16 지폐 인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32A true KR20080101232A (ko) 2008-11-21

Family

ID=4028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23A KR20080101232A (ko) 2007-05-16 2007-05-16 지폐 인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2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4356A (zh) * 2012-11-29 2014-06-11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纸币识别器用右侧入钞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4356A (zh) * 2012-11-29 2014-06-11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纸币识别器用右侧入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780B2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valuable papers with centering means
BR112014001696B1 (pt)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folha de papel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20090093701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080101232A (ko) 지폐 인식기
KR201000300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KR200374272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876503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JP2004139189A (ja) 紙幣処理装置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0570581A (zh) 一种调宽机构及其纸币鉴别模块
US20120038956A1 (en) Device for inputting one or several value documents
KR100430517B1 (ko) 지폐 자동 정리 장치
KR101123340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60034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KR200399932Y1 (ko) 지폐식별장치
KR20100052101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픽업장치
KR101212109B1 (ko) 지폐 처리 장치
JP5261815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KR200260032Y1 (ko) 지폐 자동 정리 장치
KR101450788B1 (ko) 지폐 자동정렬기
KR200349735Y1 (ko) 지폐식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