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513A -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513A
KR20080100513A KR1020070046297A KR20070046297A KR20080100513A KR 20080100513 A KR20080100513 A KR 20080100513A KR 1020070046297 A KR1020070046297 A KR 1020070046297A KR 20070046297 A KR20070046297 A KR 20070046297A KR 20080100513 A KR20080100513 A KR 2008010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effect
effect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volt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365B1 (ko
Inventor
이신우
김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7004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365B1/ko
Priority to US12/152,489 priority patent/US7928793B2/en
Publication of KR200801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압 선택회로는 제1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와, 제2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2 단자 전압 감지부와, 제1 및 제2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비교신호에 따라 제1 단자의 전압과 제2 단자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단자의 전압 중 큰 전압을 정밀하게 선택하는 전압 선택회로가 제공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 전압 선택회로, 비교부, 선택부, 스위치 제어회로

Description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VOLTAGE SELECTION CIRCUIT AND DC/DC CONVERTER COMPRISING IT}
도 1은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전압 선택회로
21: 제1 단자 전압 감지부
22: 제2 단자 전압 감지부
23: 비교부
24: 선택부
30: 스위치 제어회로
40: 스위치부
본 발명은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직류 변환기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휴대용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수동 구동형 (Passive Matrix)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하여 대략 18 V 정도의 전압이 필요한데,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이 대략 3.7 V 이므로 승압형 직류/직류 변환기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스위치부(1)와 스위치 제어회로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부(1)와 스위치 제어회로부(2)는 다양한 구성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스위치 제어회로부(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은 출력단으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어 도 1이 승압형의 직류/직류 변환기인 경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의 상승 곡선의 특성 상 출력전압이 입력전압보다 작은 구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은 레벨의 출력전압이 스위치 제어회로부(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으로 공급되면, 스위치 제어회로부(2)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스위치 제어회로부(2)의 동작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스위치부(1)에 포함된 피모스형의 스위치(11)와 엔모스형의 스위치(12)의 온/오프를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가 없기 때문에 승압형의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사용하는 인덕터의 전류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러한 스위치 제어회로부(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 레벨의 부족으로 인하여 스위치부(1)의 피모스형의 스위치(11)와 엔모스형의 스위치(12)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사용하는 인덕터의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포화되고 스위치부(1)에 포함된 피모스형의 스위치(11)이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류/직류 변환기의 동작 초기의 불안정성 및 이로 인한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위한 전압 선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는 제1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와, 제2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2 단자 전압 감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는 래치(latch) 구조를 이루는 한쌍의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부는 게이트가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와, 게이트가 상기 인버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피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버퍼 및 일단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1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와, 제2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2 단자 전압 감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와, 상기 전압 선택회로에서 선택된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 제어회로 및 상기 스위치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제1 단자의 전압을 상기 제2 단자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는 래치(latch) 구조를 이루는 한쌍의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 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부는 게이트가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일단이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와, 게이트가 상기 인버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버퍼 및 일단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20)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21)와, 제2 단자 전압 감지부(22)와, 비교부(23) 및 선택부(24)를 포함한다.
제1 단자 전압 감지부(21)는 제1 단자(N1)의 전압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비교부(23)로 출력한다.
제2 단자 전압 감지부(22)는 제2 단자(N2)의 전압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비교부(23)로 출력한다.
비교부(23)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21)로부터 입력된 제1 단자(N1)의 전압 정보와 제2 단자 전압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제2 단자(N2)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단자(N1)의 전압과 제2 단자(N2)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비교부(23)는 제1 단자(N1)의 전압이 제2 단자(N2)의 전압보다 큰 경우 하이 레벨의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제1 단자(N1)의 전압이 제2 단자(N2)의 전압보다 작은 경우 로우 레벨의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부(24)는 비교부(23)로부터 입력받은 비교신호에 따라 제1 단자(N1)의 전압과 제2 단자(N2)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부(24)는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와, 인버터(INV)와,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와,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와,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와,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3) 및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는 비교부(23)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소오스는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버터(INV)의 일단은 비교부(23)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는 인버터(INV)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소오스는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는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은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드레 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는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의 드레인은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는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3)의 드레인은 제1 단자(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3)의 소오스는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의 소오스와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의 게이트는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의 드레인은 제2 단자(N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의 소오스는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의 소오스와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부(23)로부터 출력되는 비교신호는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한편, 인버터(INV)를 거쳐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또한,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 및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는 래치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출력이 항상 반대가 되어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3)와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는 반대로 제어된다.
이러한 동작을 비교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와 로우 레벨인 경우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1) 비교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
제1 단자(N1)의 전압이 제2 단자(N2)의 전압보다 커서 비교부(23)로부터 하이 레벨의 비교신호가 출력되면,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가 턴온되고,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3 피모스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를 통하여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3 피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자(N1)의 전압이 선택된다.
(2) 비교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1 단자(N1)의 전압이 제2 단자(N2)의 전압보다 작아서 비교부(23)로부터 로우 레벨의 비교신호가 출력되면,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 턴오프되고,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의 게이트는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를 통하여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4 피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2 단자(N2)의 전압이 선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20)는 제1 버퍼(BUF1)와 제2 버퍼(BUF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BUF1)의 일단은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버퍼(BUF1)의 타단은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 터(MP3)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버퍼(BUF2)의 일단은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버퍼(BUF2)의 타단은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버퍼(BUF1)와 제2 버퍼(BUF2)는 각각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3)와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4)의 턴온 시간을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1 버퍼(BUF1)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 단자와 제2 버퍼(BUF2)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 단자는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버퍼(BUF1)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 단자와 제2 버퍼(BUF2)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 단자는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의 소오스와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1)와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N2)와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1) 및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MP2)로 이루어진 래치와 제1 버퍼(BUF1) 및 제2 버퍼(BUF2)가 같은 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1 단자(N1)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21)와, 제2 단자(N2)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2 단자 전압 감지부(22)와, 제1 및 제2 단자(N1, N2)의 전압을 비교하여 제1 단자(N1)의 전압과 제2 단자(N2)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23)와, 비교신호에 따라 제1 단자(N1)의 전압과 제2 단자(N2)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선택부(24)를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20)와, 전압 선택회로(20)에서 선택된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 제어회로(30) 및 스위치 제어회로(30)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 단자(N1)의 전압을 제2 단자(N2)로 출력하는 스위치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에 포함된 전압 선택회로(20)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20)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에 포함된 전압 선택회로(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선택회로(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스위치 제어회로(30) 및 스위치부(40)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구성을 채택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위치부에 포함되는 피모스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벌크(bulk)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 중 높은 전압을 갖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변환기에 따르면, 제1 단자(N1)의 전압과 제2 단자(N2)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여 스위치 제어회로(30)의 구동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단자(N1)가 입력단자이고 제2 단자(N2)가 출력단자인 경우, 1) 직류/직류 변환기의 동작 초기에 출력단자의 전압이 입력단자의 전압보다 작으면, 입력단자의 전압을 공급하고, 2) 출력단자의 전압이 입력단자의 전압보다 크면, 출력단자의 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직류/직류 변환기의 효율 및 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직류 변환기의 효율 및 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단자의 전압 중 큰 전압을 정밀하게 선택하는 전압 선택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제1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
    제2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2 단자 전압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선택부;
    를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래치(latch) 구조를 이루는 한쌍의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게이트가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일단이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
    게이트가 상기 인버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
  4. 제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 고, 타단이 상기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버퍼; 및
    일단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버퍼;
    를 더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선택회로.
  6. 제1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 단자 전압 감지부와, 제2 단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2 단자 전압 감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차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전압 선택회로;
    상기 전압 선택회로에서 선택된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 제어회로; 및
    상기 스위치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제1 단자의 전압을 상기 제2 단자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래치(latch) 구조를 이루는 한쌍의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게이트가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일단이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
    게이트가 상기 인버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게이트가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9. 제8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버퍼; 및
    일단이 상기 제2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버퍼;
    를 더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로우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기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와 상기 제2 버퍼의 하이 레벨의 바이어스단자는 상기 제1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2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직류/직류 변환기.
KR1020070046297A 2007-05-14 2007-05-14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KR101041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297A KR101041365B1 (ko) 2007-05-14 2007-05-14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US12/152,489 US7928793B2 (en) 2007-05-14 2008-05-14 Voltage selection circuit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297A KR101041365B1 (ko) 2007-05-14 2007-05-14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513A true KR20080100513A (ko) 2008-11-19
KR101041365B1 KR101041365B1 (ko) 2011-06-14

Family

ID=4002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297A KR101041365B1 (ko) 2007-05-14 2007-05-14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28793B2 (ko)
KR (1) KR101041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0211A1 (en) * 2009-02-23 2012-02-16 Takashi Murata Glass film for lithium ion battery
US8258853B2 (en) * 2010-06-14 2012-09-04 Ememory Technology Inc. Power switch circuit for tracing a higher supply voltage without a voltage drop
US9606150B1 (en) * 2011-12-13 2017-03-28 Marvell International Ltd. Sensing arrangement for sensing a voltage from multiple voltage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393A (en) * 1987-11-24 1993-12-21 Hitachi, Ltd. Voltage converter of semiconductor device
US5578916A (en) * 1994-05-16 1996-11-2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Dual voltage voltage regulator with foldback current limiting
JP2000036397A (ja) * 1998-07-17 2000-02-02 Victor Co Of Japan Ltd 蛍光ランプ駆動装置
US6642750B1 (en) * 2002-04-15 2003-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quencing circuit for applying a highest voltage source to a chip
US7420552B2 (en) * 2004-03-16 2008-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iving voltage control device
KR20090082709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84251A1 (en) 2008-11-20
US7928793B2 (en) 2011-04-19
KR101041365B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646B2 (en) Power supply circuit
US7724219B2 (en) Circuit and method of effectively enhancing drive control of light-emitting diodes
US8817007B2 (en) Regula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US9627455B2 (en) Touch display driving circuit,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7889190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ource
US9639108B2 (en) Power supply circuit
JP2008177019A (ja) Led駆動回路
JP2012191705A (ja) 電源切換回路
US20100191986A1 (en) Multi-phase voltage regulator module system
US9531259B2 (en) Power supply circuit
KR101041365B1 (ko)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US9772647B2 (en) Powering of a charge with a floating node
US8933678B2 (en) Buck volatge converting apparatus
US8143939B2 (en) Charge pump driving circuit and charge pump system
JP2007019363A (ja) 半導体集積回路
US9992844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682991B1 (ko) 전원 공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7986882B2 (en) Output current pumping circuit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US20210359679A1 (en) Control circuit for power switch
KR100685090B1 (ko) 정전류 구동 회로
KR100696563B1 (ko) 전원 공급 장치
US8665184B2 (en) Driving circuit used for current-driven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KR10067619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KR100912934B1 (ko) 직류/직류 변환기
JP2007174785A (ja) 反転型チャージポンプ回路及び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