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195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195B1
KR100676195B1 KR1020050038482A KR20050038482A KR100676195B1 KR 100676195 B1 KR100676195 B1 KR 100676195B1 KR 1020050038482 A KR1020050038482 A KR 1020050038482A KR 20050038482 A KR20050038482 A KR 20050038482A KR 100676195 B1 KR100676195 B1 KR 10067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battery
supply device
boo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110A (ko
Inventor
김학수
우경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19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bucking or boosting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 승압 전압 검출부 및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팅부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키고,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제공한다.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스팅부에 전송한다. 상기 누설전류 차단부는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된 때 상기 배터리로부터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를 통하여 흐를 수 있는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누설전류, 배터리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OURCE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1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 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102) 및 승압 전압 검출부(104)를 포함한다.
부스팅부(102)는 인덕터와 부스팅 집적회로칩을 포함하며, 배터리(100)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킨다.
그 결과, 제 1 노드는 승압된 전압을 가지며,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6)에 제공된다.
승압 전압 검출부(104)는 2개의 저항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노드에 원하는 전압이 인가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런 후, 승압 전압 검출부(104)는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6)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동작이 중지되었을 때,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원이 오프(off)되었을 때 배터리(100)로부터 승압 전압 검출부(104)로 누설전류가 흘렀다.
물론, 상기 누설전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6)으로도 흐르지만, 이 것은 소량이며, 상기 누설전류의 대부분은 승압 전압 검출부(106)를 통하여 그라운드(ground)로 흘렀다.
그 결과, 배터리(100)의 사용 시간이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배터리를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 승압 전압 검출부 및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팅부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키고,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제공한다.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스팅부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는 1개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설비 단가를 가지고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 집적회로칩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므로,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이 안정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202), 승압 전압 검출부(204) 및 누설전류 차단부(206)를 포함한다.
부스팅부(202)는 배터리(200)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원하는 전압까지 승압시키고,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가 100칸델라의 휘도를 발광하기 위하여 18V 전원 전압이 필요한 경우, 부스팅부(202)는 3.7V의 배터리 전압을 18V까지 승압시킨다.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가 100칸델라의 휘도를 발광하기 위하여 20V 전원 전압이 필요한 경우, 부스팅부(202)는 3.7V의 배터리 전압을 20V까지 승압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으로 사용된다.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의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값을 통하여 승압 정도를 판단한다.
또한,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에 관한 정보를 부스팅부(202)에 전송한다.
이 경우, 부스팅부(202)는 승압 전압 검출부(204)로부터 전송된 상기 배터리 전압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승압률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에 제공되어야 하는 전압이 18V로 기설정되었다고 하자.
부스팅부(202)는 3.7V의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켜,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전압이 17.5V까지 승압된다.
이 경우,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17.5V까지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 고 이에 대한 정보를 부스팅부(202)에 전송한다.
이어서, 부스팅부(202)는 상기 배터리 전압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이 17.5V까지 승압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을 18V까지 승압시키기 위하여 승압률을 높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원하는 전압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에 제공한다.
게다가,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부스팅부(202)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누설전류 차단부(206)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동작할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누설전류 차단부(206)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중지할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거나 스탠바이(stand-by) 상태일 경우에 배터리(200)로부터 승압 전압 검출부(204)를 통하여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차단부(206)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누설전류 차단부(206)에 포함된 간단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누설전류를 차단하므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하여 배터리(200)를 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 차단부(206)가 1개의 스위치를 사용하므로, 설비 단가도 낮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스팅부(202)는 1개의 부스팅 집적회로칩(boosting integrated circuit chip)과 이와 연결된 1개의 인덕터로 이루어진다.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터에 연결되는 제 1 저항(R1) 및 제 1 저항(R1)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R2) 및 제너 다이오드(Z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저항(R1), 제 2 저항(R2) 및 제너 다이오드(ZD)는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부스팅부(202)가 상기 배터리 전압을 상승시킨 경우,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제 2 노드의 전압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 1 노드의 전압이 18V를 가질 때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이 1.5V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고 하자.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을 검출하고, 예를 들어 1.3V를 검출한다.
이 경우, 승압 전압 검출부(204)는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1.3V)을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에 전송한다.
그 결과,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은 상기 배터리 전압이 원하는 전압까지 승압되지 않았음을 인식하고, 전압 상승률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 즉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8)에 제공되는 전압이 기설정된 값(18V)을 가진다.
누설전류 차단부(206)는 1개의 스위치, 예를 들어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로 이루어진다.
누설전류 차단부(206)가 1개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OS Transistor)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동작하는 때에는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는 턴-온(turn-on)된다. 반면에,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중지하는 때에는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는 턴-오프(turn-off)되어 상기 누설전류가 차단된다.
이하, 제너 다이오드(ZD)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 및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한계전압을 각기 3.7V 및 2.5V로 설정하겠다.
우선,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오프되는 경우, 즉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므로 제 2 저항(R2)은 플로팅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ZD)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노드에 배터리 전압(3.7V)이 인가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노드에 인가된 전압은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에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에 제공된 전압(3.7V)이 상기 부스 팅 집적회로칩의 FB단의 한계전압(2.5V)보다 크므로,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이 파괴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제 2 저항(R2)에 제너 다이오드(ZD, 예를 들어 2.0V)를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파괴를 방지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오프되는 경우, 제너 다이오드(ZD)의 음극에 상기 배터리 전압인 3.7V가 인가되고, 양극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즉, 제너 다이오드(ZD)에는 제너 다이오드(ZD)의 전압(2.0V)보다 큰 3.7V 전압이 역방향으로 인가되며, 그래서 제너 다이오드(ZD)가 동작한다.
그 결과, 상기 제 2 노드는 제너 다이오드(ZD)의 전압인 2.0V를 가진다.
이어서,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이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에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2.0V)이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의 한계전압(2.5V)보다 작으므로,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은 파괴됨이 없이 안정하다.
다만,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제너 다이오드(ZD)가 동작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제 2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D)의 전압보다 낮도록 설계한다.
그 결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턴-온되는 경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원하는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턴-오프되는 경우, 제 2 저항(R2)를 통하여 흐를 수 있는 누설 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는 1개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설비 단가를 가지고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 집적회로칩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므로,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이 안정하게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키고,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제공하는 부스팅부;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스팅부에 전송하는 승압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된 때 상기 배터리로부터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차단부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팅부는,
    부스팅 집적회로칩; 및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인덕터에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저항에 연결되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되,
    상기 저항들은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소정 단에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 2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상기 단에 설정된 한계전압 이하의 전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2 저항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상기 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차단부는 상기 제 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KR1020050038482A 2005-05-09 2005-05-09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KR10067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82A KR100676195B1 (ko) 2005-05-09 2005-05-09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82A KR100676195B1 (ko) 2005-05-09 2005-05-09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110A KR20060116110A (ko) 2006-11-14
KR100676195B1 true KR100676195B1 (ko) 2007-01-30

Family

ID=3765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482A KR100676195B1 (ko) 2005-05-09 2005-05-09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51B1 (ko) * 2006-06-05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85A (ko) * 1998-06-11 2000-01-15 문종태 담배갑 개폐장치
KR20040005093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 전압 발생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85A (ko) * 1998-06-11 2000-01-15 문종태 담배갑 개폐장치
KR20040005093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 전압 발생회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5093 *
202000000138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110A (ko)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4860B (zh) 關聯於發光二極體的負載驅動裝置
KR101026441B1 (ko) 차량용 등기구의 점등 제어 장치
CN102638918B (zh) 发光二极管驱动装置
WO2014187018A1 (zh) 短路保护电路以及具有短路保护电路的电子装置
KR20090090665A (ko)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
US20150237701A1 (en) Load driving apparatus related to light emitting diodes
US10542592B2 (en) LED driver and LED driving method
US9603227B2 (en) Semiconductor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EP3328160B1 (en)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providing a plurality of current output values for led lamps
JPWO2007015520A1 (ja) 電源装置
JP2010015883A (ja) 点灯回路
US7705547B2 (en) High-side current sense hysteretic LED controller
KR100682991B1 (ko) 전원 공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67619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US8084961B2 (en) Backlight modu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9093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101041365B1 (ko) 전압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KR100685090B1 (ko) 정전류 구동 회로
JP2007086631A (ja) 定電流駆動回路
KR100696563B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070052372A (ko)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KR20070052588A (ko) 전원 공급 장치
US20170354003A1 (en) Light emitting diode control circuit with wide range input voltage
KR20050015724A (ko) 전원공급장치의 역전압 방지회로
US20060145634A1 (en) Driving circuit for LCD backlight 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