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588A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588A
KR20070052588A KR1020050110389A KR20050110389A KR20070052588A KR 20070052588 A KR20070052588 A KR 20070052588A KR 1020050110389 A KR1020050110389 A KR 1020050110389A KR 20050110389 A KR20050110389 A KR 20050110389A KR 20070052588 A KR20070052588 A KR 20070052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battery
leakage current
switch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2588A/ko
Publication of KR2007005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누설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 승압 전압 검출부 및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팅부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킨다.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누설전류 차단부는 상기 부스팅부와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된 때 상기 제 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누설전류 차단부를 이용하여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누설전류를 차단하므로,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된다.
전원 공급 장치, 부스팅, 누설전류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OURCE}
도 1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누설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 장치는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102), 다이오드(D) 및 승압 전압 검출부(104)를 포함한다.
부스팅부(102)는 배터리(100)에 연결된 인덕터(inductor, ID) 및 인덕터(ID)의 양단에 연결된 부스팅 집적회로칩(boosting integrated circuit chip, 108)을 포함한다.
부스팅 집적회로칩(108)은 부스팅 소자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제 1 스위치(SW1)의 온(on)/오프(off) 비율, 즉 듀티비(duty rate)를 조정하여 배터리(100)로부터 출력된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압이 인덕터(ID)에 저장되고,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되는 경우 인덕터(ID)에 저장된 전하가 다이오드(D)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승압된 배터리 전압이 다이오드(D)에 인가된다. 여기서, 다이오드(D)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다이오드(D)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큰 경우, 인덕터(ID)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다이오드(D)를 통하여 제 2 노드로 흐른다. 그 결과, 상기 제 2 노드는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가진다.
승압 전압 검출부(104)는 2개의 저항들(R1 및 R2)로 이루어지며, 저항들(R1 및 R2)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노드에 원하는 전압이 인가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런 후, 승압 전압 검출부(104)는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으로 전송한다.
이하, 발광 소자(106)가 동작을 중지한 경우,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상술하겠다. 다만, 발광 소자(106)가 동작을 중지한 때, 제 1 스위치(SW1)는 턴-오프된다.
발광 소자(106)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에도, 배터리(100)로부터 전하, 즉 전류(이하, "누설전류"라 함)가 출력된다. 여기서,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되었 으므로, 상기 누설전류는 다이오드(D)를 통하여 승압 전압 검출부(104) 및 발광 소자(106)로 흐른다.
요컨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발광 소자(106)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에도 배터리(100)의 전압이 계속하여 소모되었다. 그 결과, 배터리(100)의 수명이 단축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 승압 전압 검출부 및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팅부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킨다.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누설전류 차단부는 상기 부스팅부와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된 때 상기 제 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가 누설전류 차단부를 이용하여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누설전류를 차단하므로,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누설전류 차단부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된 다이오드 대신에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이 낮아진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누설전류 차단부로서 모스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스팅부(202), 누설전류 차단부(204) 및 승압 전압 검출부(206)를 포함한다.
부스팅부(202)는 배터리(200)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을 원하는 전압까지 승압시키고,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발광 소자(208)에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208)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이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208)를 100칸델라의 휘도로 발광시키기 위하여 발광 소자(208)에 18V 전원 전압이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 부스팅부(202)는 배터리 전압(예를 들어, 3.7V)을 18V까지 승압시킨다. 또는, 발광 소자(208)를 100칸델라의 휘도로 발광시키기 위하여 발광 소자(208)에 20V 전원 전압이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 부스팅부(202)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20V까지 승압시킨다.
승압 전압 검출부(206)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의 값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에 관한 정보를 부스팅부(202)에 전송한다. 이 경우, 부스팅부 (202)는 승압 전압 검출부(204)로부터 전송된 상기 배터리 전압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승압률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208)에 공급되어야 하는 전압이 18V로 기설정되었다고 하자.
부스팅부(202)는 3.7V의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켜,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전압이 17.5V까지 승압된다. 이 경우, 승압 전압 검출부(206)는 17.5V까지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배터리 전압에 대한 정보를 부스팅부(202)에 전송한다. 이어서, 부스팅부(202)는 상기 배터리 전압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이 17.5V까지 승압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을 18V까지 승압시키기 위하여 승압률을 높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원하는 전압을 발광 소자(208)에 제공한다.
누설전류 차단부(204)는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그래서 부스팅부(20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누설전류 차단부(204)를 통하여 흐른다.
반면에,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거나 스탠바이(stand-by) 상태일 경우, 배터리(200)로부터 출력된 전류(이하 "누설전류"라 함)가 발광 소자(208) 및 승압전압 검출부(206)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차단부(204)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누설전류 차단부(204)의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스팅부(202)는 배터리(200)에 연결된 인덕터(inductor, ID) 및 인덕터(ID)의 양단에 연결된 부스팅 집적회로칩(boosting integrated circuit chip, 300)을 포함한다.
부스팅 집적회로칩(3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로이므로, 제 1 스위치(SW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스팅 집적회로칩(300)은 제 1 스위치(SW1)의 온(on)/오프(off) 비율, 즉 듀티비(duty rate)를 조정하여 배터리(200)로부터 출력된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킨다.
누설전류 차단부(204)는 제 2 스위치(SW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2 스위치(SW2)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이다.
승압 전압 검출부(20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ID)에 연결되는 제 1 저항(R1) 및 제 1 저항(R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R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은 부스팅 집적회로칩(300)의 FB단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이하, 발광 소자(208)가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상술하겠다.
제 1 스위치(SW1)가 턴-온(turn-on)되며, 그래서 상기 배터리 전압이 부스팅 집적회로칩(300)을 통하여 접지(ground)로 흐른다.
이어서,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turn-off)되고, 그래서 상기 배터리 전압이 인덕터(ID)에 저장된다.
계속하여,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되고, 인덕터(ID)에 저장된 전하가 제 2 노드로 출력된다.
위와 같은 과정들을 반복시키며, 즉 제 1 스위치(SW1)가 소정 듀티비를 가지면서 반복적으로 턴-온/오프된다. 그 결과, 상기 배터리 전압이 승압되며, 그래서 상기 제 2 노드 및 제 3 노드는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가진다.
이어서, 승압 전압 검출부(206)는 그의 내부에 포함된 저항들(R1 및 R2)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노드가 가지는 전압, 즉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노드의 전압이 18V일 때 제 4 노드의 전압이 8V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승압 전압 검출부(206)는 저항 분배 법칙을 이용하여 상기 제 4 노드의 전압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된 제 4 노드의 전압이 7V라 하자. 이 경우, 승압 전압 검출부(206)는 상기 제 4 노드의 전압(7V)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의 FB단에 전송한다. 부스팅 집적회로칩(300)은 상기 배터리 전압이 원하는 전압(18V)까지 승압되지 않았음을 상기 제 4 노드의 전압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인식하고, 제 1 스위치(SW1)의 듀티비를 조정하여 승압률을 상승시킨다.
위의 과정을 반복시킴에 의해, 상기 제 3 노드는 기설정된 전압(18V)을 가지며, 그래서 기설정된 전압(18V)이 발광 소자(208)에 공급된다.
이하, 발광 소자(208)가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 치의 동작을 상술하겠다.
발광 소자(208)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배터리(200)로부터 출력되는 누설전류는 부스팅 집적회로칩(3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인덕터(ID)를 통하여 상기 제 2 노드의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제 2 스위치(SW2)가 턴-오프되며, 그래서 상기 제 2 노드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누설전류는 제 2 스위치(SW2)에 의해 차단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발광 소자(208)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 스위치들(SW1 및 SW2)이 턴-오프되며, 그래서 상기 누설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배터리(200)의 수명이 연장된다.
이하,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를 비교하겠다.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발광 소자(106)가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에도 누설전류 차단 기능이 없었으므로, 배터리(100)로부터 발생된 누설전류를 차단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본원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발광 소자(106)가 동작을 중지한 경우, 제 2 스위치(SW2)를 이용하여 상기 누설전류를 차단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별도의 소자를 추가하지 않고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되었던 다이오드(D) 대신에 제 2 스위치(SW2)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누설전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 2 스위치(SW2)로서 모스 트랜지스터가 사용되는 경우, 제 2 스위치 (SW2)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 다이오드(D)의 문턱전압보다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보다 동작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가 누설전류 차단부를 이용하여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누설전류를 차단하므로,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누설전류 차단부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된 다이오드 대신에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누설전류 차단부로서 모스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키는 부스팅부;
    상기 승압된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승압 전압 검출부; 및
    상기 부스팅부와 상기 승압 전압 검출부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된 때 상기 제 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누설전류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팅부는,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연결된 부스팅 집적회로칩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인덕터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ot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팅 집적회로칩은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2 스위치들은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050110389A 2005-11-17 2005-11-17 전원 공급 장치 KR20070052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89A KR20070052588A (ko) 2005-11-17 2005-11-17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89A KR20070052588A (ko) 2005-11-17 2005-11-17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88A true KR20070052588A (ko) 2007-05-22

Family

ID=3827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389A KR20070052588A (ko) 2005-11-17 2005-11-17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25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441B1 (ko) 차량용 등기구의 점등 제어 장치
EP2073605A1 (en) Lighting controller of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8198818B2 (en) Vehicle lighting control device
US7898782B2 (en) Inverter
US9496703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circuit, ligh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leakage current detection method
CN101123397A (zh) 有自体辅助电压源及负载故障保护的直流电源转换电路
US6949889B2 (en) Wide input voltage range light emitting diode driver
JP4483867B2 (ja) 電源装置
US9439262B2 (en) LED drive device
KR20130017024A (ko) Led 발광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237301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8138686B2 (en) Current regulator and method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a LED display system
KR20130056085A (ko) 발광소자부 쇼트 보호 회로
EP2074864A2 (en) High-side current sense hysteretic led controller
KR101659088B1 (ko) Led 전원 장치
KR20070052588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067619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KR100696563B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40017212A (ko)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US20090295305A1 (en) Led driver circuit
JP6754241B2 (ja) Led光射出装置
US10716186B2 (en) Driving circuit using buck converter capable of generating sufficient voltage to power a LED circuit and associated auxiliary circuitry in a normal mode of operation, and insufficient to power the LED circuit but sufficient to power the associated auxiliary circuitry in an off mode of operation
KR20070052372A (ko)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
JP2017016919A (ja) Led点灯回路及びled照明装置
KR20190100033A (ko) 정밀 고전류 쇼트 채널 드라이버를 위한 전류 보정 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