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172A - 근거리 무선 통신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네스팅된 메모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네스팅된 메모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172A
KR20080100172A KR1020087018505A KR20087018505A KR20080100172A KR 20080100172 A KR20080100172 A KR 20080100172A KR 1020087018505 A KR1020087018505 A KR 1020087018505A KR 20087018505 A KR20087018505 A KR 20087018505A KR 20080100172 A KR20080100172 A KR 2008010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ass storage
memory card
portabl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브리스 조간드-콜롬브
요시 핀토
Original Assignee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321,833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145135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1/320,915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145152A1/en
Application filed by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10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9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application selection, e.g. an acceleration sensor or a set of radio butt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4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operating as a regular record carrier and a second attachable part that changes the functional appearance of said record carrier, e.g. a contact-based smart card with an adapter part which,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card makes the contact card function as a non-contac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는 자신과 함께 사용되는 호스트 장치들에 기능을 추가시킨다. 대량의 사용자 파일들을 저장하고 이 파일들을 인증되지 않은 복제로부터 보호하는 능력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대량 저장 장치는 다르게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지 않는 휴대용 전자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량 저장 장치는 마더/도터 구성을 가지며, 여기서 도터 카드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완전히 기능적인 마이크로-SD 카드이다. 마더 카드는 SD 카드 슬롯 내에 수용될 수 있고 SD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한다. 마더 카드 내에 도터 카드가 존재하든지 존재하지 않든지 간에, 내부에 대량 저장 장치를 갖는 호스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신들은 피어 투 피어일 수 있고, 일종의 전자 지갑으로서 상품들 또는 서비스들을 구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제어기는 또한 전자 지갑으로서 상기 장치 및 호스트를 사용할 때 행해지는 금융 거래들을 조정, 제어, 및 보호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 호스트 장치, 사용자 파일, 휴대용 전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네스팅된 메모리 시스템{NESTED MEMORY SYSTEM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CAPABILITY}
본 발명은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기반 대량 저장 장치들, 및 이와 같은 장치들 내에서의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보안, 및 무선 주파수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 출원의 임의의 부분 내에서 언급되는 표준들, 논문들 및 특허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모든 문서들은 그 전체가 참조적으로 포함되며, 본 문서의 사상들의 일체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전자 지불 및 전자 상거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및 상인에게 동등하게 매우 편리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이외에, 지불은 이제 무선 주파수 구비 카드 또는 휴대용 장치로 행해질 수 있다. 이를 행하는 하나의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s: "NFC")을 사용하는 것이다. NFC는 단순히 NFC 가능 장치를 NFC 판독기에 터치(touch)함으로써, 또는 상기 장치를 NFC 판독기의 약 10 내지 15 센티미터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지불을 허용한다. 잘못된 사람 또는 장치에 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아주 근접식의 요건(close proximity requirement)이 필요로 된다.
어떤 다른 동작의 지불을 위해 비접촉식 판독기 상에 NFC 또는 "비접촉식(contactless)" 장치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2개의 NFC 장치들은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NFC 기술은 또한 블루투스 접속(Bluetooth connection)들을 트리거(tigger)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매우 근접한 2개의 블루투스-가능 장치들에 의하여, NFC는 블루투스 접속을 자동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NFC 기술은 ISO 18092 및 ISO 21481, ECMA 340, 352와 356, 및 ETSI TS 102 190에서 표준화된다. NFC는 또한 Philips MIFARE® 기술, 뿐만 아니라 Sony의 FeliCaTM 카드를 포함하는 ISO 14443 A에 기초한 광범위하게 설정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기반구조와 호환 가능하다.
ISO 14443은 통상적으로 ISO 7810 ID-1에 의해 규정된 표준 신용 카드 폼 팩터(form factor)를 사용하는 식별(identification)에 사용된 근접식 카드(proximity card)를 규정한다. 다른 폼 팩터들이 또한 가능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NFC 기술은 이동 전화와 같은 장치들 내로 통합되었다. NFC 장치들 또는 카드들은 13.56 MHz(RFID)에서 작동하는 자기 루프(유도성) 안테나 및 (자신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여러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한) 임베딩(embedding)된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한다. ISO 14443은 4개의 파트들로 이루어지며, 2개의 유형들의 카드들: 유형 A 및 유형 B를 기술한다. 이러한 유형들 간의 주요 차이들은 변조 방법들, 코딩 방식들(파트 2) 및 프로토콜 초기화 절차들(파트 3)에 관한 것이다. 유형 A 및 유형 B 카드들 둘 모두는 파트 4에 기술된 동일한 고-레벨 프로토콜(소위 T=CL)을 사용한다. T=CL 프로토콜은 데이터 블록 교환 및 관련 메커니즘들을 규정한다.
ISO 15693은 "비시니티 카드(Vicinity Card)들", 즉, 근접식 카드들에 비하여 더 먼 거리로부터 판독될 수 있는 카드들에 대한 ISO 표준이다. ISO 15693 시스템들은 13.56MHz 주파수에서 동작하며, 1-1.5 미터의 최대 판독 거리를 제공한다. 이것의 예는 요금(toll)을 전자식으로 징수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식별 태그들(RFID)이다. 비시니티 카드들은 또한 건물들 또는 다른 법인 환경(corporate environment)들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SO 15693(또는 유사한 프로토콜들)에 따라 기능하는 비시니티 검출 시스템들이 또한 휴대용 장치들에 내장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NFC 칩 또는 제어기는 Phillips에 의해 제조되며, 파트 번호 PN531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NFC 제어기는 3개의 통신 경로들을 갖는다. 제1 경로는 안테나를 통한 것이며, NFC 판독기 또는 다른 NFC 가능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제2 경로는 NFC 제어기의 UART를 통한 직렬 인터페이스이다. NFC 제어기가 장치 내에 통합되는 경우, 이것은 상기 장치가 NFC 제어기 및 이에 접속된 안테나로, 그리고 NFC 제어기 및 이에 접속된 안테나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경로이다. 제3 경로는 S2C 접속 또는 인터페이스로서 공지된 2개의 와이어(wire)/핀 시리얼 접속을 통한 것이다. 다른 NFC 제어기들 및 칩들은 상이한 접속들 및 통신 경로들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후술되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의 현재 이용 가능한 이동 전화들은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화들 내에서 비접촉식 통신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법들이 사용된다. 일본에서, 전화에 내장된 영구적인 전용 NFC 안테나와 함께, 임베딩된 보안 제어기 및 NFC 칩을 갖는 일부 이동 전화들에서 NFC(FeliCaTM) 기능이 제공된다. 이것은 NFC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소비자들에 대해 전화의 비용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솔루션(solution)이다. 또 다른 방법은 교체 배터리 커버 내에 NFC 칩, 보안 제어기, 및 배터리 모두를 통합하는 소위 "스마트 커버(smart cover)"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에 비접촉식 통신을 추가하고자 할 때, 상기 사용자는 새로운 스마트 커버를 구매하고 자신의 오래된 커버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배터리가 커버의 비용 및 가격에 상당히 기여하는 매우 고가의 구성요소이며, 또한 오래된 배터리가 새로운 스마트 커버로 교체될 때 완전히 양호한 배터리들의 낭비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고가의 옵션(option)이다. 더구나, 이와 같은 방법과의 호환성 또는 보편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다른 솔루션은 전화에 내장된 NFC 칩 및 안테나를 갖지만, 보안 제어기용 SIM 카드에 의존하는 전화이다. 다시, 이 방법은 NFC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소비자들에 대해 전화가 더 비싸지게 한다. 또 다른 솔루션에서, NFC 안테나만이 전화에 내장되고, 전화와 함께 사용되는 SIM 카드가 보안 제어기 및 NFC 칩 둘 모두를 갖는다. 이것은 다시 안테나가 전화에 내장되는 것을 필요로 하여 전화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NFC 케이퍼빌리티는 보편적이지 않고, 임의의 전화, 즉 내장 NFC 안테나를 갖는 것들에만 추가될 수는 없다.
SIM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들은 다른 결점들을 갖는다. SIM 카드는 통상적으로 전화의 소유자 또는 제3자가 아니라, 이동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소유된다. 이것은 제3자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SIM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전화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은행은 애플리케이션용 비히클(vehicle)로서 SIM 카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고객들에 의해 사용된 모든 이동 전화 운영자들과의 관계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불가능하지 않은 경우, 매우 성가시다. 이것은 또한 은행이 기밀이고 독점적일 수 있는 고객 정보를 네트워크 운영자와 공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프라이버시(pricacy) 및 경쟁에 대하여 명백한 암시들을 갖는다. 최종적으로, SIM 카드 및 은행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이 상이할 것이며,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갱신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이 예에서 은행 및 다양한 이동 전화 운영자들 사이의 사업 관계들을 더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오늘까지, 이와 같은 내장 하드웨어 및 기능을 이미 갖지 않은 휴대용 장치들에 비접촉식 통신을 용이하게 추가하기 위한 만족스러운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비접촉식 통신이 광범위한 장치들에 끊김없이 추가되도록 한다. 소량 저장 유형 메모리 카드용 슬롯을 갖는 임의의 장치가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소량 저장 유형 메모리 카드의 예들로는 SD 카드, 미니-SD 카드, 마이크로-SD 카드, MMC 카드, 메모리 스틱, 메모리 스틱 듀오(memory stick duo),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및 XD 카드가 있다. USB 포트를 또한 갖는 임의의 장치가 또한 휴대용 섬 드라이브(thumb drive),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SanDisk Ultra® II SDTM 플러스 카드와 같은 USB 접속을 갖는 메모리 카드와의 비접촉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드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출될 때, 사용자는 상기 카드를 또 다른 장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장치들이 비접촉식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통신이 전자 상거래를 포함할 때, 사용자의 정보 및 계정은 또한 호스트 장치로부터 장치로 사용자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마더/도터 카드 구성(mother/daughter card configuration)을 통합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터 카드는 매우 작고, 대량 저장 장치로서 직접 사용되거나 대량 저장 장치로서의 마더 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매우 작은 도터 카드는 예를 들어, 어떤 이동 전화들과 같은, 더 큰 카드를 수용할 수 없는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매우 작은 도터 카드는 마더 카드와 함께 사용될 때, 또 다른 다양한 또는 또 다른 등급의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마더 카드와 함께 사용될 때, 전형적인 대량 저장 기능 이외에 비접촉식 동작들이 가능하다.
이 마더 도터 구성은 전자 상거래 및 식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최대 유연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터 카드는 다수의 상이하게 구성된 마더 카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도터 카드가 SD 카드, USB 장치, 또는 장치 특정 유형 카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모델의 이동 전화는 전화의 기하구조 및 마더 카드 리셉터클의 배치로 인하여 특정 구성의 마더 카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마더 카드는 NFC 또는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화 특정 액세서리일 수 있다. 이것은 음악 플레이어들 및 디지털 카메라들과 같은 임의의 수의 상이한 호스트 장치들에 대해서도 그러할 수 있다. 마더/도터 구성에 의하여, 메인 대량 저장 메모리(main mass storage memory)가 도터 카드 내에 있기 때문에 마더 카드의 비용은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마더 카드들의 재고품을 유지하는 비용이 감소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더 카드의 안테나는 비접촉식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더 카드의 메인 몸체로부터 끼워질 수도 있다.
카메라 또는 GPS 루틴들 및 지도들과 같은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이와 같은 유연한 마더/도터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1A는 표준 SD 카드의 도면.
도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량 저장 장치(100)의 도면.
도1C는 대량 저장 장치("MSD";100)가 호스트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기능의 도면.
도1D는 이동 또는 셀룰러 전화 내의 MSD(100)의 개략도.
도2는 MSD(100)의 단일 대량 저장 제어기, 단일 카드 실시예.
도3은 대량 저장 및 디지털 권리 관리용 제1 제어기 및 금융 거래용 제2 제어기를 갖는 MSD(100)의 단일 카드 실시예의 개략도.
도4A는 TransFlashTM 카드로서 또한 공지되어 있는 표준 마이크로-SD의 평면도.
도4B는 본 발명에서 도터 카드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비된 마이크로-SD 카드의 평면도.
도5는 단일 대량 저장 메모리 제어기를 사용하는 MSD(100)의 마더/도터 카드 실시예의 개략도.
도6A는 NFC 하드웨어 및 케이퍼빌리티를 통합한 단일 대량 저장 메모리 제어기를 사용하는 MSD(100)의 마더 도터 카드 실시예의 개략도.
도6B는 대량 저장 및 디지털 권리 관리용 제1 제어기 및 금융 거래용 제2 제어기를 갖는 MSD(100)의 마더 도터 카드 실시예의 개략도.
도7은 MSD(100)의 개념을 도시한 평면도.
도8은 호스트(110)와 함께 사용되는 바와 같은 MSD(100)의 도면.
도9는 말단 부재(97)의 삽입 및 수축을 도시한 MSD(100)의 평면도.
현재 이용 가능한 메모리 카드들
1994년에, 본 발명의 양수인인 SanDisk 코포레이션은 PC 카드와 기능적으로 호환 가능하지만 훨씬 더 작은 CompactFlsahTM 카드(CFTM 카드)를 소개하였다. CFTM 카드는 3.3mm의 두께 및 42.8mm × 36.4mm의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하나의 에지를 따라 피메일 핀(female pin)을 갖는다. CFTM 카드는 정지 비디오 데이터 의 저장용 카메라들과 함께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CF 카드가 끼워맞춤되는 수동 어댑터 카드가 이용 가능한데, 이것은 이 후에 호스트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의 PC 카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다. CF 카드 내의 제어기는 이의 커넥터에서 ATA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카드의 플래시 메모리와 함께 작동한다. 즉, CF 카드가 접속되는 호스트는 자신이 마치 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처럼 상기 카드와 인터페이싱한다. CompactFlash 카드에 대한 사양들은 2003년 5월자의 CompactFlash 협회의 "CF++ 및 CompactFlash Specification Revision 2.0"에 의해 설정되었다. 이러한 사양들의 구현예는 2003년 9월자의 제품 메뉴얼 "CompactFlash Momory Card Product Manual" 개정 10.1에서 SanDisck 코포레이션에 의해 기술되어 있다.
SmartMediaTM 카드는 45.0mm × 37.0mm의 치수를 갖는 PC 카드의 크기의 약 1/3이며, 단지 0.76mm 두께로 매우 얇다. 상기 카드의 표면 상의 에어리어들로서 규정된 패턴 내에 콘택(contact)들이 제공된다. 이의 사양들은 1996년에 시작된 고체 상태 플로피 디스크 카드(SSFDC) 포럼에 의해 규정되었다. 이 카드는 특히 NAND 유형의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SmartMediaTM 카드는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들, 특히 카메라들 및 오디오 장치들과 함께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 제어기는 PC 카드 표준에 따르는 것과 같이 또 다른 포맷으로 호스트 장치 또는 어댑터 카드 중 하나 내에 포함된다. SmartMediaTM에 대한 물리적 및 전기적 사양들은 SSFDC 포럼에 의해 발행되었다.
또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는 MultiMediaCard(MMCTM)이다. MMCTM에 대한 물리적 및 전기적 사양들은 2001년 6월자의 버전 3.1을 포함하는, MultiMediaCard 협회(MMCA)에 의해 때때로 갱신 및 간행되는 "The MultiMediaCard System Specification"에 제공되어 있다. 가변 저장 용량을 갖는 MMC 제품들은 현재 SanDisk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MMC 카드는 우표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상기 카드는 치수가 32.0mm × 24.0mm이고, 두께가 1.4mm이며, 컷-오프 코너(cut-off corner)을 또한 포함하는 좁은 에지를 따라 카드의 표면 상에 전기적 콘택들의 로우(row)를 갖는다. 이러한 제품들은 SanDisk 코포레이션에 의해 간행되고 2003년 3월자의 "MultiMediaCard Product Manual" 개정 5.2에 기술되어 있다. MMC 제품들의 전기적 작동의 어떤 양상들은 또한 미국 특허 번호 제6,279,114호 및 1998년 11월 4일 출원된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09/186,064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둘 모두는 출원인이 Thomas N. Toombs 및 M.Holtzman이고 SanDisk 코포레이션에게 양도되었다. 물리적 카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이 SanDisk 코포레이션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번호 제6,040,622호에 기술되어 있다.
변경된 버전의 MMCTM 카드는 이후의 보안 디지털(SD) 카드이다. SD 카드는 MMCTM 카드와 동일한 직사각형 크기를 가지지만, 바람직할 때 부가적인 메모리 칩을 수용하기 위하여 증가된 두께(2.1mm)를 갖는다. 이러한 2개의 카드들 간의 주요 차이는 SD 카드 내에는 음악의 독점 데이터(proprietary data)와 같은 독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대해 보안 특성들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들 사이의 또 다른 차이는 SD 카드가 카드 및 호스트 사이에 더 빠른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데이터 콘택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SD 카드의 다른 콘택들은 SD 카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소켓들이 또한 MMCTM 카드를 수용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MMCTM 카드의 콘택들과 동일하다. 총 9개의 콘택들이 컷오프 코너를 포함하는 카드의 짧은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이것은 2000년 8월 17일자로 Cedar 등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09/641,023(국제 출원 번호 WO02/15020)에 기술되어 있다. SD 카드와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 카드들의 유형들 둘 모두를 수용하도록 호스트 작동에 대한 적은 변화들이 행해질 필요가 있도록 하기 위하여 MMCTM 카드와 역호환(backward compatible) 가능하게 된다. SD 카드에 대한 완전한 사양들은 SD 협회(SDA)로부터의 멤버 회사들에서 입수 가능하다. SD 카드의 물리적 및 일부 전기적 특성들을 기술하는 공개 문서는 2001년 4월 15일자의 SDA: "Simplified Version of: Part 1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Version 1.01"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최근에, 미니SD 카드가 SDA에 의해 규정되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이 카드는 SD 카드보다 더 작지만, 거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카드는 21.5mm의 길이, 20.0mm의 폭 및 1.4mm의 두께의 치수들을 갖는 변경된 직사각형 형상이다. 총 11개의 전기적 콘택들이 하나의 에지를 따라 카드의 표면 상의 로우에 위치된다. 미니SD 메모리 카드는 SanDisk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며, 2003년 4월자의 "SanDisk miniSD memory Card Product Manual" 버전 1.0에서 입수 가능 하다.
상이한 유형의 카드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며, 이 카드의 사양들은 유럽 전기통신 표준 협회(ETSI)에 의해 간행되었다. 이러한 사양들의 일부는 GSM 11.11로서 나타나고, 최신 버전은 명칭이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Phase 2+); Specification of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 Mobile Equipment(SIM - ME) Interface"(GSM 11.11 Version 8.3.0 Release 1999)인 기술적 사양 ETSI TS 100 977 V8.3.0(2000-08)이다. 2개의 유형들의 SIM 카드들: ID-1 SIM 카드 및 플러그-인 SIM이 규정되어 있다.
ID-1 SIM 카드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및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EC)의 ISO/IEC 7810 및 7816 표준들에 따른 포맷(format) 및 레이아웃(layout)을 갖는다. ISO/IEC 7810 표준은 명칭이 "Identification cards - Physical characteristics" (제2판, 1995년 8월)이다. ISO/IEC 7816 표준은 "Identification cards - Integrated Circuit(s) Cards with Contacts"라는 일반적인 명칭을 가지며, 1994년부터 2000년까지 개별적인 날짜들을 지니는 파트들 1-10로 구성된다. 이러한 표준들의 부본들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ISO/IEC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ID-1 SIM 카드는 일반적으로 둥근 코너들과 함께 85.60mm × 53.98mm의 치수들 및 0.76mm의 두께를 갖는 신용 카드의 크기이다. 이와 같은 카드는 메모리만을 가지거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후자는 종종 "스마트 카드"라 칭해진다. 스마트 카드의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사용될 때마다 최초 대변 잔고(initial credit balance)가 감소되는 데빗 카드(debit card)이다.
플러그-인 SIM은 MMCTM 및 SD 카드들보다 더 작은, 매우 작은 카드이다. 상술된 GSM 11.11 사양은 이 카드가 방향에 대해 컷오프된 하나의 코너 및 ID-1 SIM 카드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25mm × 15mm)이 될 것을 요구한다. 플러그-인 SIM 카드는 주로 이동 전화들 및 장치들의 절도 및/또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에 대한 보안을 위한 다른 장치들 내에서 사용되며, 이 경우에, 상기 카드는 장치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 개인에 대한 보안 코드를 저장한다. SIM 카드들의 유형들 둘 모두에서, 8개의 전기적 콘택들(단지 5개만이 사용됨)이 호스트 리셉터클에 의한 접촉을 위해 카드의 표면 상에 배열되도록 ISO/IEC 7816에서 규정된다.
Sony 코포레이션은 또 다른 세트의 사양들을 갖는, Memory StickTM으로서 판매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를 개발하여 상품화하였다. 이 카드의 형상은 로우에서 10개의 전기적 콘택들을 가지며 방향에 대해 컷아웃된 코너를 또한 포함하는 자신의 단측(short side)들 중 하나에 인접한 표면 내로 개별적으로 리세스(recess)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이 카드의 크기는 50.0mm 길이 × 21.5mm 폭 × 2.8mm 두께이다.
더 최근의 메모리 스틱 듀오 카드는 더 작은데, 31.0mm 길이 × 20.0mm 폭× 1.6mm 두께의 치수들을 갖는다. 10개의 콘택들이 방향성 노치(orienting notch)를 또한 포함하는 카드의 단측을 따라, 그리고 표면 내의 공통 리세스 내에 제공된다. 이 더 작은 카드는 종종 메모리 스틱 카드의 형상을 갖는 수동 어댑터 내로의 삽입에 의해 사용된다.
SanDisk 코포레이션은 15.0mm 길이 × 11.0mm 폭× 1.0mm 두께의 치수들을 갖는 변경된 직사각형 형상의 TransFlash 메모리 모듈로서 또한 공지되어 있는 훨씬 더 작은 수송 가능한 비휘발성 마이크로-SD 카드를 소개하였다. 8개의 전기적 콘택 패드들이 상기 카드의 짧은 에지에 인접한 표면 상의 로우에 제공된다. 이 카드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특히 휴대용 장치들에 유용하며, 멀티미디어 카메라 셀 전화들 내로 통합되고 있다.
주요 전자 카드 표준들의 상기 요약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크기와 형상을 포함한 이들의 물리적 특성, 전기적 콘택들의 수, 배열과 구조, 및 카드가 호스트에 접속될 때 이러한 콘택들을 통한 호스트 시스템과의 전기적 인터페이스에서 많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전자 카드들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단지 하나의 유형의 카드와 함께 작동하게 된다. 능동 및 수동 유형들의 어댑터들은 이와 같은 호스트 장치들 사이에서 전자 카드들의 어느 정도의 호환성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공 또는 제안되었다. Harari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6,266,724호는 마더 및 도터 메모리 카드들의 조합들의 용도를 기술한다.
작은 휴대형의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들은 또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 또는 다른 유형의 호스트와 인터페이싱하게 되었다. 이 메모리들은 특히 상기 식별된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에 대한 리셉터클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들의 퍼스널 컴퓨터 앞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USB 커넥터들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특히 편리하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또한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한, USB 리셉터클들을 갖는 다양한 호스트 시스템들 사이 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USB 인터페이스의 기계적 및 전기적 세부사항들은 2000년 4월 27일자의 "Universal Serial Bus Specification" 개정 2.0에 의해 제공된다. SanDisk 코포레이션의 상표 Cruzer 하에서 SanDisk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여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제품들이 존재한다. USB 플래시 드라이브들은 전형적으로 상술된 메모리 카드들보다 더 크고 상술된 메모리 카드들과 상이한 형상이다.
상술된 장치들 중 일부는 대량 저장 장치들이며, 일부는 대량 저장 장치들이 아니다. 특히, SIM 및 스마트 카드들은 이들이 임의의 상당한 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대량 저장 카드들이 아니다. 상기 SIM 및 스마트 카드들은 메모리 용량을 갖지 않고, 더 중요하게는, 상기 SIM 및 스마트 카드들은 결코 사용자의 식별 및 거래에 관한 적은 량의 데이터 이상을 저장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메모리 용량의 문제가 아니다. SIM 카드들 내의 제어기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사진 또는 노래의 비교적 대량의 데이터를 자주 판독 및 기록하게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SIM 카드들 내의 제어기들이 또한 전형적으로 카피라이트(copyright)되거나 제한된 액세스 콘텐트(access content)로의 액세스를 인증받은 사용자들로만 제한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루틴들을 갖지 않을 것이다.
상기 카드들 및 다른 대량 저장 장치들의 용도
마이크로-SD 카드는 매우 작다. 참고로, 마이크로-SD 카드는 다임(dime)으로 또한 공지되어 있는 미국 10 센트 동전보다 훨씬 더 작은 풋프린트(footprint)를 갖는다. 실제로, 상기 마이크로-SD 카드는 스페어(spare)에 대한 공간을 갖는 다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SD 카드가 이미 플로피 디스크들의 용량의 수백 배로 이용 가능하므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 및 수송하기 위한 매우 편리한 방식이다. 마이크로-SD 카드는 특히 전화들, 음악 플레이어들, 카메라들, 디지털 오거나이저들과 같은 휴대용 또는 손에 들고 쓰는 이동 장치들 또는 기능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하나의 장치 내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 내의 모두들에 특히 유용할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표준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11), 이 경우에, SD 카드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USB 플래시 드라이브들, 뿐만 아니라,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SD 카드 및/또는 카드 버스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SD 메모리 카드 사양에 따르면, 9개의 전기적 콘택들(15-23)이 카드(11)의 플라스틱 하우징 내의 리세스들(25-32)의 하부면들 상에 제공되며, 2개의 전기적 콘택들(22 및 23)은 하나의 리세스(32)에 배치된다. 카드는 크기가 24mm × 32mm이며, 두께(35)가 2.1mm이다. 이 카드는 MMC 카드와 역호환 가능하며, MMC 카드를 수용하는 임의의 장치 내로 끼워맞춤될 것이다. 많은 상이한 휴대용 장치들이 현재 SD 및 MMC 카드들을 수용하며, 관련된 SD 카드 슬롯을 갖는다. PDA에 대한 카드로서 오랫동안 대중적으로 선택된 SD 카드는 상기 카드들 내로 통합된 카피라이트 관리(CPRM) 때문에, 또한 이제 넓은 어레이의 디지털 카메라들 및 음악 플레이어들에 의해 사용된다. 카드의 작은 크기 때문에, SD 카드들은 또한 많은 유형들의 이동 전화들에서 자주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카드들은 표준 SD 카드 내에 존재하는 대량 저장 능력 이상의 기능을 상기 기능이 없는 장치들에 추가시킬 것이다. 배경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것은 모든 사용자가 희망하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 어떤 소정 기능을 장치 내로 통합하기보다는 오히려, 사용자가 자신의 장치의 기능을 자신의 요구들 및 기호들에 따라 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조자들 및 소비자들에게 동등하게 유용하다. 이것은 기본 장치의 비용을 낮게 유지시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큰 레벨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량 저장 장치("MSD")(100)는 호스트 장치(110)와 함께 사용될 것이다. 장치(100)는 메모리 카드(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USB 장치), 바람직하게는, SD 카드(11)와 같은 SD 카드의 폼 팩터를 가질 것이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그러하지만, 폼 팩터는 카드가 자신의 의도된 리셉터클 내로 끼워맞춤되고 관련된 카드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여전히 통신되는 한, 메모리 카드의 표준 버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장치(100)의 일부는 상기 장치가 슬롯 및 호스트와 물리적 및 논리적으로 여전히 호환 가능할지라도, 호스트(110)의 슬롯으로부터 신장될 수 있다. 호스트(110)는 장치(100)를 수용하는 슬롯 또는 리셉터클을 갖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고, 이의 많은 예들이 상술되었다.
장치(100)는 호스트(110)에 임의의 범위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100)가 카드 구조 내에 카드를 포함하지만, 단지 단일 카드(또는 USB "섬" 드라이브의 경우에 몸체)를 사용하는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본 출원의 목적들을 위하여, 카드들 중 더 큰 카드가 마더 카드라 칭해질 것이며, 카드들 중 더 작은 카드가 도터 카드라 칭해질 것이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터 카드(50)는 마더 카드(95) 내에서 끼워맞춤된다. 장치(100)의 기능 및 하 드웨어는 장치(100)의 최종 용도에 따라 도터 카드(50) 및 마더 카드(95) 사이에서 상이하게 분포될 것이며, 상기 분포 및 커넥티비티(connectivity)의 일부 예들이 후술될 것이다. 마더 카드(95)는 또한 어댑터라 칭해질 수 있지만, 다른 현재 이용 가능한 어댑터들과 달리, 마더 카드는 바람직하게는 단순히 더 큰 카드 리셉터클 내로 작은 카드의 끼워맞춤을 행하는 어댑터가 아니라, 장치(100)에 의해 추가된 전체 기능에 기여한다.
도1C는 장치(100)가 호스트 장치(110)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의 일부 예들을 도시한다. MSD(100)는 임의의 호스트(110)에 근거리 무선 통신(근접식 및/또는 비시니티) 기술을 추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람이 포스터(poster) 내의 광고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도록 하는 지불 수신기 또는 다른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부근에 전화를 터치 또는 위치시킴으로써 자신의 원하는 임의의 아이템에 대해 지불하는데 자신의 이동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도1D와 관련하여 더 후술될 것이다. 상기 장치의 또 다른 흥미로운 용도는 예를 들어, 비행기 또는 기차 티켓을 구매하는 것 및 상기 구매 후에 기차 또는 비행기에 탑승하는 것일 것이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가 지갑 크기의 액세스 카드가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자신의 회사 건물 또는 임의의 다른 위치에 들어갈 때 동일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람이 자신의 전화 없이는 좀처럼 어느 장소에 가지 않기 때문에 전화가 예로서 사용되었지만, 호스트는 적절한 슬롯/리셉터클을 갖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GPS 기능 및 GPS와 관련된 지도들이 또한 사용자의 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GPS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로 되는 회로 및 루틴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장치(100) 내에 포함될 것이다. 물론, 상기 기능의 호스트 장치(100)와의 조정은 전형적으로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중요할 것이며, 호스트 장치의 프로세서와의 통신들을 통하여 성취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LANs")이 또한 장치(1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이것은 더 통상적으로는 전형적으로 WiFi라 칭해진다. 배경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WiFi는 현재 802.11x 가이드라인들에 의해 관리된다.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 다른 무선 주파수("RF") 전송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많은 RF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장치(100)의 안테나는 호스트 장치(110)로부터 외부로 신장되며, 또한 MSD (100)의 일부 내 또는 외로 이동(translate)될 수 있도록 위치될 것이다.
게다가, 카메라가 휴대용 장치(10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 카메라를 이동 전화들 및 다른 장치들에 추가하는 것이 현재 어떤 시간 동안 가능하였지만, 그러한 카메라들은 장치 특정(device specific)되었다. 이것은 주로 전화의 프로세서가 카메라를 직접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하다. 장치(100)에서, 상기 장치의 제어기는 카메라를 제어하고, 간단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하여 광범위한 호스트 장치들(110)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치(100)의 카메라 어댑터는 사용자가 이미 가질 수 있는 많은 상이한 유형들의 호스트와 용이하게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순히 호스트로부터 장치를 제거하거나 삽입함으로써 카메라를 자신의 PDA로부터 자신의 전화, 자신의 랩톱 또는 자신의 mp3 플레이어로 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된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로 되는 하드웨어는 마더 카드(95) 내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부의 사용자 파일들 및 데이터 모두와 함께 상이한 호스트 장치들 내에서 직접 사용될 수 있는 도터 카드는 MSD(100)의 기능 모두를 제거함이 없이 용이하게 마더 카드(95) 내로 삽입 및 상기 마더 카드(95)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모든 기능들이 또한 도터 카드(95) 내에,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카드(비-마더-도터) 실시예 내에 포함될 수 있을지라도, 마더 카드(95) 내에 대부분의 기능 특정 하드웨어를 갖는 것이 현재 바람직하다.
부분(95)이 종종 마더 카드라 칭해지지만, 일부(그러나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에서, 상기 부분은 메모리 제어기가 없고, 데이터 저장 및 보안에 대해 도터 카드(50) 내의 메모리 제어기에 의존할 것이라는 점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이것이 상기 부분이 다른 목적들을 위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형의 제어기, 예를 들어, 통신 또는 다른 제어기를 갖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상적인 실시예들은 마더 카드(95)의 비용 및 장치(100)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터 카드(50)의 제어기에 의존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도터 카드(50)가 임의의 수의 호스트들과 함께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독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마더 카드(95)가 메모리 제어기를 갖지 않는 실시예들에서도, 마더 카드(95)는 도터 카드 없이 기능할 것이다. 이것은 장치(100)에 의해 제공된 추가된 기능이 도터 카드가 삽입되든 또는 삽입되지 않든 간에 호스트 장치에 의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더 카드가 자기 명의의 대량 저장 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100)의 실시예들에서, 이 대량 저장 기능은 마더 카드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 없는 유일한 것일 것이다.
물론 어떤 량의 중첩(overlap)이 거의 확실히 존재할지라도, 더 작은 도터 카드가 마더 카드(95) 및 전체 장치(100)와 상이한 제품들의 범위에서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이 구상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도터 카드가 어떤 작은 이동 전화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지만, 가령, 랩톱 컴퓨터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이와 같은 도터 카드용 슬롯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도터 카드 상의 데이터는 랩톱 컴퓨터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내로 마더/도터 조합을 삽입함으로써 여전히 용이하게 액세스될 수 있다.
도1D는 하나의 가능한 환경에서의 장치(100), 즉 이동 전화 유형의 호스트(110)의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며, 이것이 많은 가능한 호스트들 및 환경들 중 단지 하나라는 것이 양호하게 이해되어야 할지라도, 앞으로 이 점으로부터 이와 같은 환경에서 기술될 것이다.
이동 전화의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자신의 처분에 따라 임의의 다른 전자 장치보다 더 많이 자신의 전화를 지닌다. 이것은 기능을 추가하는 편리한 플랫폼에 도움이 된다. 전화에 추가하기 위한 하나의 특히 유용한 기능은 배경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RF 통신,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이다. (대량 저장 장치(100)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호스트(110)는 또 다른 NFC 가능 장치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것은 피어 투 피어 통신(pear to pear communication)으로서 공지된 것에서 판독기 또는 또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이것은 MSD(100) 내의 안테나(280)를 통하여 발생한다. 이것은 전화의 내장 안테나를 통해서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NFC 가능 안테나가 전화 내의 장거리 안테나와 상이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NFC 안테나는 셀룰러 전화 전송기들과 통신하는데 필요로 되는 장거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없고, 반대로, 전화의 장거리 안테나는 일부의 예외들이 존재할 수 있을지라도, NFC 통신에 적합하지 않다. 일부 디자인이 하나의 단일 이중 목적 안테나를 사용하게 될 수 있을지라도, 요즘에는 하나의 이중 목적 안테나가 어느 한 태스크(task)를 더 열악하게 수행한다고 여겨진다. 더구나, 전화마다 안테나에서 편차(기생 특성 등)가 있기 때문에 MSD(100)가 NFC에 대해 전화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이 NFC 케이퍼빌리티가 MSD(100)에 의해 제공되고 MSD의 안테나(280)에 의존한다고 하는 모든 것이다.
NFC 통신에 대한 하나의 관심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지불이다. 전화 내로 삽입되는 MSD(100)에 의하여, MSD를 통해 임의의 범위의 상품들 및 서비스들에 대해 지불하는데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전화를 NFC 가능 장치에 터치시킬 수 있을지라도, 자신의 전화를 약 10-15 센티미터인 NFC 범위 내에 위치시킬 것이다. 임의의 유형의 현금 등록기 또는 그 문제에 관한 전자 장치는 NFC가 갖추어질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 포스터"로서 공지된 광고의 유형이 개발되었다. 이 스마트 포스터는 NFC가 갖추어진 전화를 갖는 사람이 포스터의 NFC 범위 내에 자신의 전화를 위치시킴으로써 포스터의 면 상에서 광고되는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금액을 지불하도록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무선 주파수 유니버셜 자원 로케이터("RF URL")가 포스터로부터 MSD(100)의 안테나(280)로 전송된다. 일단 상품 또는 서비스가 구매되면, 지불을 나타내는 신호가 MSD로부터 다시 포스터에 전송된다. 지불 세부사항들이 MSD(100)의 메모리(230) 내에서 안전하게 유지된다. 사용자 입력은 전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전화 프로세서와 조정될 것이다. 더 명확하게는, MSD(100)의 제어기는 전화의 프로세서와 이와 같은 거래들을 조정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거래들 모두는 MSD(100)의 제어기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전화는 거래가 행해지는 방법과 관계없이, 거래의 세부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일 피스(one piece)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장치(100)의 마더/도터 실시예가 도1D에 도시되어 있다. 마더 카드(95) 내에는 단거리 안테나(280) 및 NFC 제어기 또는 "칩"(270)이 있다. 또한 마더 카드(95) 내에는 2개의 세트들의 콘택들, 즉 도터 카드(50)와 통신하기 위한 내부 콘택들(250) 및 호스트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한 외부 콘택들(260)이 있다. 마더 카드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D 카드의 폼 팩터를 갖는 바람직한 경우에, 외부 콘택들(260)의 세트는 도시된 SD 카드에서와 같은 콘택들(15-23)을 포함할 것이다. 내부 콘택들(250)의 세트는 도터 카드(50)를 수용하고 상기 도터 카드(50)와 통신하기 위한 마더 카드(95) 내의 리셉터클의 파트이며, 이와 같이 도터 카드의 유형에 따라 가변될 것이다. 바람직한 경우에, 도터 카드는 마이크로-SD 카드의 유형이며, 콘택들은 도4B에 도시되고 도4B에 대해 후술되는 바와 같을 것이다. NFC 칩(270)은 내부 콘택들(250)의 세트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된다. 호스트 장치(110)는 콘택들(112)의 그룹을 가진 리셉터클을 갖는다. MSD(100)가 호스트(110) 내로 삽입될 때, 호스트 콘택들(112)은 마더 카드 외부 콘택들(260)과 전기적 접촉을 행하는데, 상기 마더 카드 외부 콘택들은 마더 카드 내부 콘택들(250)의 일부 또는 모두와 인턴(intern) 결합되며, 상기 마더 카드 내부 콘택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도터 카드(50)가 마더 카드(95)의 리셉터클 내에 있을 때 도터 카드 콘택들(240)에 인턴(intern) 결합된다. 도터 카드(50) 내에서, 도터 카드 콘택들(240)은 버스를 통하여 제어기(220)에 결합된다. 제어기(220)는 플래시 메모리(230)의 판독/기록 작동들을 제어한다. 제어기(220)는 플래시 메모리(230) 내의 콘텐트로의 액세스를 제한하고 전체 MSD(100)로 보안을 제공하는 보안 예방조치(security precaution)들을 포함한다.
보다 큰 크기이지만 역호한 가능한 SIM 카드가 또한 현재 개발중이다. 마이크로-SD 카드의 버전이 또한 메가 또는 수퍼 SIM이라 칭해지는 이 더 큰 크기의 SIM 내에서 도터 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구상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NFC 가능 장치 또는 NFC 칩은 ISO/IEC 14443PDC 모드 및 ISO/IEC 15693VCD 모드 하에서 비시니티 및 근접 범위 통신들을 할 수 있다.
도2는 MSD(10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마더/도터 실시예라기보다는 오히려, 단일 피스 실시예이다. MSD(100)로/로부터의 2개의 통신 경로들이 존재한다. 제1 경로는 카드 콘택들(260)을 통한 호스트(110)로/로부터의 경로이다. 이것은 유선 통신이라 칭해질 수 있다. 외부 카드 콘택들(260)이 호스트 장치 콘택 들(112)에 접속된다. 제2 경로는 NFC 제어기 칩(270) 및 NFC 안테나(280)를 통한 NFC 가능 장치로/로부터의 RF 경로이다. 현재 입수 가능한 NFC 칩의 일례는 Philips 파트 번호 531 또는 511이다. NFC 제어기("NFCC")(270)는 2개의 인터페이스, 즉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인터페이스, 및 구성에 대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데이터가 데이터 라인들(225)을 통하여 제어기(220)로, 그리고 상기 제어기(220)로부터 전송되는 송수신기 또는 "UART"(208)이다. 이러한 통신들은 독점적인 특성으로 또는 SDA 또는 다른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구성 인터페이스(212)는 하나 이상의 구성 라인들(223)을 통하여 제어기(220)에 접속된다. Philips로부터의 상기 예의 NFC에서, 구성은 2 와이어 솔루션인 Philips S2C 프로토콜로 성취될 수 있다. 다른 단일 와이어 솔루션들은 현재 Axalto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NFCC(270)의 다른 버전들은 통신 및 구성에 대해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220)는 MSD(100)의 중심에 있다. 제어기(220)는 대량 저장 플래시 메모리(230)로/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제어하고 나서, MSD(100)로/로부터 호스트 장치(110)로의, 그리고 NFCC(270)를 통해 제2 NFC 가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로부터의 통신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기는 또한 MSD(100)의 보안에 대한 책임이 있다.
제어기(220)는 카피라이트된 작품들, 뿐만 아니라, 상업적("EC") 거래들에 관한 보안 데이터와 같은 사용자 콘텐트의 카피 보호를 할 수 있는 보안 제어기이 다. 카피라이트되거나 다른 콘텐트의 보호는 종종 CPRM이라 칭해지며, 또한 카피 보호의 하나의 널리 공지된 구현예는 디지털 권리 관리("DRM")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DRM은 카피 보호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카피라이트되거나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콘텐트/파일들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방식의 광범위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보안 제어기(220)의 보안 메커니즘들 중 하나는 암호화이다. 대량 저장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가 암호화되고, MSD(100)로, 그리고 상기 MSD(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또한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220)에 의해 제공된 보안에 대한 더 많은 정보에 대해서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되어 있는 다음 특허들 및 특허 출원들: M. Holtzman 등에 의한 명칭이 "Secure Memory Card with Life Cycle Phases"이며 대리인 문서 번호 SNDK.383US3를 갖는 공동 계류중인 특허 출원 번호 제11/317,862호; Fabrice Jogand-Coulomb 등에 의한 명칭이 "Control Structure for Versatile Content Control"이고 대리인 문서 번호 SNDK.382US4를 갖는 공동 계류중인 특허 출원 번호 제11/313,536호; 및 Qawami 등에 의한 명칭이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back recorded audio, video or other content from non-volatile memory cards, compact disks or other media"인 공개된 특허 출원 번호 제20020176575호를 참조하라.
금융 거래들의 경우에, 충분히 안전하고 견고한 것으로 금융계에 의해 용인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기(220)는 바람직하게는, 양호하게 용인된 인증 기 관(certifying body)에 의해 인증 또는 승인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는 인증되는 이와 같은 제어기를 갖는다. 스마트 카드들을 위한 제어기들은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일례는 또한 Philips로부터의 SMX 제어기라 칭해진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거래들, 뿐만 아니라, DRM에 대해 승인되는(또는 양호하게 용인되는) 하나의 단일 제어기(22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별도의 제어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MSD(100)의 하나의 카드, 2개의 제어기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제1 제어기(220A)는 플래시 메모리로,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제어하며, 또한 DRM 기능을 포함하지만, 금융 거래들에 관한 작동들을 제2 제어기(220B)와 조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어기(220A)가 금융 거래들 또는 전자 상거래에 대해 승인되지 않거나 충분히 양호하게 용인되지 않은 반면, 제어기(220B)가 금융 거래들 또는 전자 상거래에 대해 승인되거나 충분히 양호하게 용인되는 구현예일 것이다. 제어기(220B)의 예는 금융 거래들에 대해 인증되었을지라도, 본원에서 DRM이라 칭해지는 카피 보호 관리를 포함하는 대량 저장 메모리(230)의 판독/기록 작동들을 제어하지 않는 Philips SMX 제어기이다. 2개의 제어기들(220A 및 220B) 사이의 통신들은 ISO 7816 표준/프로토콜에 따른 제어기 링크(227)를 통한 것이다. 이 통신은 대안적으로 이동 상거래 확장 사양에서 규정된 SDA의 새롭게 개발된 프로토콜 또는 독점적인 통신들로 성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SD 협회로부터 입수 가능한 "SD Specifications, Part A1, Mobile Commerce Extension Specification, Version 1.00, February, 2004" 인 마이크로-SD 사양을 참조하라.
도5, 6A 및 6B는 MSD(100)의 마더/도터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터 카드는 바람직하게는, TransFlashTM 카드의 상표명에 의해 또한 공지되어 있는 미니-SD 카드 또는 마이크로-SD 카드이다. 마이크로-SD 카드의 사용이 이제 설명될 도5, 6A 및 6B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표준 마이크로-SD 카드가 도4A에 도시되어 있다. 콘택들(70-77)은 SD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SD 협회로부터 입수 가능한 명칭이 "SD memory card specification, Part 1,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ver.1.0" 및 "SD Specifications, Part A1, Mobile Commerce Extension Specification, Version 1.00, February, 2004"를 참조하라. 관심이 있는 다른 문서들이 또한 SD 협회로부터 입수 가능할 수 있다.
MSD(100) 내에서 도터 카드로서 사용될 때, 도4A에 도시된 마이크로-SD 카드는 NFCC와 통신하도록 갖추어지지 않는다. 콘택들(70-77) 모두는 SD 사양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 및 작동에 사용된다. NFC 가능한 마더 도터 조합에서 도터 카드로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콘택들이 마더 카드 내의 NFC 하드웨어와 통신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한 부가적인 콘택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SD 카드의 일례가 도4B에 도시되어 있다. 부가적인 콘택들(80 및 81)은 NFCC(270)의 UART(208)로/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부가적인 콘택들(90-91)은 장치의 구성 인터페이스(212)를 통하여 NFCC(270) 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단일 와이어 접속(223)이 또한 NFCC(270)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콘택들(90 또는 91) 중 하나만이 필요로 되며 도4B에 도시된 도터 카드(50) 상에 존재할 것이다. 또한, 콘택들(80-81 및 90-91)의 배열 및 위치는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콘택들(80-81 및 90-91)의 추가가 결코 마이크로SD 카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슬롯들 또는 리셉터클과의 마이크로SD 카드의 호환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한다. 도4A에 도시된 표준 마이크로-SD 카드와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된 슬롯 또는 리셉터클은 도4B의 도터 카드(50)를 수용하며, 도터 카드가 표준 마이크로-SD 카드일 때만 표준 콘택들(70-77)을 사용한다.
도5는 도터 카드(50) 내의 단일 제어기(220)를 도시한다. NFCC(270)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신호들은 도터 카드(50)의 콘택들(90-91)을 통과한다. 이 콘택들은 구성 라인들(223B)을 통하여 구성 인터페이스(212)와 결합되는 마더 카드(95)의 콘택들(250A-B)과 접속된다. 도터 카드 메모리 제어기(220)로부터 마더 카드 내의 NFCC로의 데이터 통신은 도터 카드(50)의 콘택들(80-81)을 통한 것이다. 통신 라인들(225)은 이제 2개의 파트들: 도터 카드 내의 225A 및 마더 카드 내의 225B이다. 도터 카드 메모리 제어기(220)로부터 호스트(100)(의 콘택들(112))로의 통신은 마더 카드 SD 콘택들(260)을 통해 진행된다. 마더 카드 콘택들(260)은 마더 카드 내부 콘택들(250E-K)에 결합되는 도터 카드 콘택들(70-77)을 통해 메모리 제어기(220)에 접속된다.
도6A는 NFC 케이퍼빌리티가 제어기(220) 내로 직접 통합되는 마더/도터 조합 인 MSD(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제어기(220)는 DRM, EC, 및 NFC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 RF.NFC 통신에 사용되는 도터 카드의 콘택들(80 및 81)은 마더 카드(95) 내에 더 이상 FNC 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콘택들(250)의 콘택들(250M 및 250N)을 통하여 마더 카드(95) 내의 안테나(280)에 접속된다. 이것은 또한 마더/도터 구성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한 피스 버전(도시되지 않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6B는 MSD(100)의 2개의 제어기 마더/도터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기(220A 및 220B)는 ISO 7816 또는 SDA 프로토콜/표준들을 통하여 통신한다. EC 제어기(220B)는 NFCC(270)를 구성하지만, DRM을 갖는 대량 저장 메모리 제어기(220A)는 데이터 저장 및 무선과 유선 통신들을 관리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C(270) 및 안테나(280)를 통해 발생되는 반면, 유선 통신들은 SD 카드의 경우에 SD 카드 콘택들(15-23)인 마더 카드 콘택들(260)을 사용한다.
NFC 제어기(270) 및 안테나(280)가 설명되었을지라도, WiFi로서 공지된 더 장거리의 무선 LAN(802.11) 통신에 대한 것들을 포함한 임의의 RF 전송기 및 제어기가 대안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함된 주파수들 및 NFC 범위 통신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무선 주파수들이 사용될 수 있고, 상이한 범위들 및 주파수들에 대해 동조되는 안테나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기(270)가 또한 다른 RF 통신들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어기(220)와 같은) 메모리 제어기를 갖는 마더 카드 및 또한 (제어기(220)와 같은) 메모리 제어기를 갖는 도터 카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어기(220)가 대량 저장 플래시 메모리(도면들에서 230)에서 데이터 저장 작동들을 담당하기 때문에, 도터 카드가 마더 카드 내에 있을 때 제어기들 둘 모두의 작동을 조정하는 방법이 존재해야 한다. 하나의 방법은 호스트와의 모든 통신들이 마더 카드 제어기를 통해 라우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후, 마더 카드 내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입중계 명령 유형(incoming command type)의 특성을 결정한다. 상기 명령이 저장 유형 명령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및 관련 데이터를 도터 카드 및 이의 제어기로 전송할 것이다. 상기 명령이 저장 유형 명령이 아닌 경우, 상기 명령은 마더 카드 내에서 실행되는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어 상기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핸들링된다.
제2 방법은 통신이 마더 카드 제어기로 진행하기 전에 카드 내의 하드웨어 기반 디스패처(hardware based dispatcher)의 유형을 통해 호스트로부터 입중계 통신들을 라우팅하는 것이다. 이 제2 방식에서, 다스패처는 명령 유형을 평가하고, 상기 명령 및 관련 데이터를 마더 카드 제어기 또는 도터 카드 및 이의 제어기 중 하나에 전송한다.
도7은 마더 카드(95) 내로 삽입될 도터 카드(50)를 도시한다. 마더 카드(95)의 단부 상에는 MSD(100)가 호스트의 리셉터클/슬롯 내로 삽입될 때 호스트 장치에서 내밀어질 말단 부재(97)가 있다. 이 말단 부재(97)는 MSD(100)의 일부 실시예들 에서 안테나(280)가 위치될 장소에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80)는 소정 유형의 메모리 카드에 대한 표준 폼 팩터 내에 포함될 것이다. 안테나를 이 말단에 위치시키고 부재(280)를 돌출시키면 MSD(100)가 통신할 장치가 판독기이든지 또는 무선 또는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장치이든지 간에, MSD(100)가 통신할 장치와의 더 명백한 통신 경로가 제공된다. 도8은 MSD(100)가 PDA 유형의 호스트(110) 내로 삽입될 때의 MSD(100)를 도시하며, 여기서 말단 부재(97)는 PDA를 사용하여 NFC 또는 다른 RF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PDA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다. 카메라가 제공되는 MSD(100)의 실시예들에서, 카메라는 이 말단 부재(97) 상에 포함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 말단 부재(97)는 호스트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기하구조들 및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통신에 적합한 안테나가 말단 부재 상/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GPS 기능이 카드 제어기 및/또는 호스트 장치 프로세서 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말단 부재는 도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신이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또는 어떤 다른 이유로 MSD(100)의 몸체 내에서 남겨지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MSD(100)의 몸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호스트 장치들 및 상이한 마더/도터 조합들과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재의 상이한 구성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42)

  1.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에 있어서:
    마더 카드로서,
    호스트 장치와 접촉하는 제1의 다수의 콘택들로서, 상기 마더 카드는 호스트 장치의 슬롯 내에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의 빈번한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제1의 다수의 콘택들;
    통신 제어기;
    상기 통신 제어기에 결합된 안테나로서, 상기 통신 제어기 및 안테나는 제1 장치와 직접 통신하도록 함께 작동 가능하며, 상기 안테나는 2 미터 이하의 범위를 갖는, 안테나;
    도터 카드를 수용하고 도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다수의 콘택들을 가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마더 카드; 및
    도터 카드로서,
    제3의 다수의 콘택들;
    대량 저장 메모리;
    대량 저장 메모리 및 도터 카드의 판독 및 기록 작동들을 제어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는 도터 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터 카드가 마더 카드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제 어기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의 판독 및 기록 작동들을 제어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식별 및 금융 거래들에 관한 통신들을 제어하는 제2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대량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카피 보호된 콘텐트의 인증되지 않은 카피 또는 변경에 대해 보호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는 서로 통신하고 식별 및 금융 거래들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 기록 작동들을 조정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보안 콘텐트는 식별 및 금융 거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카드는 SD 호환 가능한 카드이며, SD 카드 슬롯 내에 끼워맞춤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터 카드는 마이크로-SD 카드인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터 카드는 미니-SD 카드인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카드는 미니-SD 카드이고 상기 도터 카드는 마이크로-SD 카드인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SD 카드의 제3의 다수의 콘택들은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콘택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은 SD 프로토콜을 따르고 상기 제2 그룹의 콘택들은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2개의 콘택들은 통신 제어기의 송수신기에 결합되며, 대량 저장 메모리로부터 통신 제어기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제1 장치로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2개의 콘택들은 통신 제어기에 결합되며, 통신 제어기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은 단일 콘택을 포함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콘택은 통신 제어기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콘택은 통신 제어기로, 그리고 상기 통신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하나 이상의 콘택들은 통신 제어기에 결합되며, 통신 제어기를 구성하고/하거나 대량 저장 메모리 및/또는 이의 제어기로부터 통신 제어기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제1 장치로 데이터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18.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범위의 전자 장치들과 호환 가능한 제1 표준화된 메모리 카드 포맷을 가지는 제거 가능한 수단; 및
    상기 제거 가능한 수단을 몸체 내에 수용할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제거 가능한 수단이 몸체 내에 있을 때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거 가능한 수단이 상기 몸체로부터 제거될 때 작동 불가능하며,
    상기 메모리 카드는 제2 표준화된 메모리 카드 포맷에 따르며,
    상기 몸체는 단거리 통신용 수단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는 비시니티 통신들을 위한 약 1.5 미터 이내인 메모리 카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는 근접식 통신들을 위한 약 15 센티미터 이내인 메모리 카드.
  21. 이동 전자 장치의 슬롯 내로 삽입 가능한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로서, 상기 슬롯은 제1 포맷의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에 있어서:
    다르게는 이동 전자 장치 내에 통합되지 않는 기능을 추가하는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로서:
    플래시 메모리;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판독과 기록 작동들 및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로, 그리고 상기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통신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2 포맷의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리셉터클들과 호환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는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 및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고 제1 포맷의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슬롯과 호환 가능하도록 형상화된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무선 주파수 전송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 전자 장치에 위성 위치추적 기능을 추가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에 무선 LAN 기능을 추가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추가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플래시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어댑터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동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와 상호작용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어댑터 및 전체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내에서의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플래시 메모리 내의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가 이동 전자 장치의 슬롯 내에 있을 때, 상기 이동 전자 장치는 무선 주파수 유니버셜 자원 로케이터를 판독하고,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무선 주파수 유니버셜 자원 로케이터와 관련된 공급자로부터 상품들 또는 서비스들을 구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상품들 또는 서비스들에 대한 지불을 행하도록 작동 가능한 휴대용 대량 저장 장치.
  30.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포함하도록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어기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스와 통신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1.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포함하도록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SD 호환 가능한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기는 SD 호환 가능한 카드의 제어기에 결합되고,
    상기 SD 호환 가능한 카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SD 리셉터클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와 제거 가능하게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2.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포함하도록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기 및 안테나를 포함하며 제2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를 가지는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가져서, 제1 대량 저장 장치가 상기 제2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 및 상기 리세스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하며,
    상기 모듈 및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 내에 삽입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3. 단거리 통신들을 포함하도록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 제공 단계; 및
    단거리 안테나를 포함하며 제2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를 가지는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가져서, 제1 대량 저장 장치가 상기 제2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 및 상기 리세스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 내의 송수신기는 상기 모듈 내의 단거리 안테나에 결합되고, 상기 모듈은 제2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를 가지며,
    상기 모듈 및 상기 모듈 내의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는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 내로 삽입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는 마이크로-SD 카드 폼 팩터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폼 팩터는 SD 카드 폼 팩터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폼 팩터는 미니SD 포맷, 메모리 스틱 포맷, 메모리 스틱 듀오 포맷, 콤팩트 플래시 카드 포맷, 또는 XD 카드 포맷 중 하나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단거리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주파수들과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콘택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콘택들은 상기 제1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가 모듈 없이 전자 장치 내로 직접 배치되었다면 유선 데이터 전달에 사용되는 다수의 콘택들에 더하여 제공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확장 방법.
  38.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슬롯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슬롯 내로 끼워맞춤되는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사용자 파일들을 저장 및 회수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인증되지 않은 복제로부터 카드 상의 카피라이트된 콘텐트를 보호하도록 작동 가능한 디지털 권리 관리 루틴들을 가지며, 상기 메모리 카드는 또한 상거래에서 사용된 거래 데이터를 보호하도록 작동 가능한, 메모리 카드 제공 단계;
    상기 메모리 카드 내에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카드 내에 근거리 무선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 대용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 내에 이동 가능한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소의 일부는 상기 카드의 몸체로부터 떨어진 거리로 신장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안테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 상 또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요소는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강화하기 위하여 신장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41.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지불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의 리셉터클 내로 상기 이동 전화의 안테나보다 더 단거리의 안테나를 갖는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로 이용 가능한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량 저장 메모리 카드로부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화로 이용 가능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불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지불을 행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신호는 무선 주파수 유니 버셜 자원 로케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지불을 행하는 방법.
KR1020087018505A 2005-12-28 2006-12-21 근거리 무선 통신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네스팅된 메모리시스템 KR20080100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20,915 2005-12-28
US11/321,833 US20070145135A1 (en) 2005-12-28 2005-12-28 Methods used in a nested memory system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capability
US11/320,915 US20070145152A1 (en) 2005-12-28 2005-12-28 Nested memory system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capability
US11/321,833 2005-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172A true KR20080100172A (ko) 2008-11-14

Family

ID=3821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05A KR20080100172A (ko) 2005-12-28 2006-12-21 근거리 무선 통신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네스팅된 메모리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69531A2 (ko)
JP (1) JP2009522662A (ko)
KR (1) KR20080100172A (ko)
TW (1) TW200803215A (ko)
WO (1) WO200707645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946A (ko) * 2011-11-01 2013-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식용 태그 기능을 구비한 유심카드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8225B2 (en) 2007-07-02 2011-12-13 Infineon Technologies Ag Communication devic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US20090023476A1 (en) * 2007-07-16 2009-01-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of devices
CN101383017B (zh) * 2007-09-06 2012-07-04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sd卡及访问智能sd卡的方法
DE102007043344A1 (de) * 2007-09-12 2009-03-19 Giesecke & Devrient Gmbh Massenspeicherkarte
FR2922669B1 (fr) * 2007-10-22 2020-10-09 Oberthur Card Syst Sa Dispositif electronique portable pour l'echange de valeurs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tel dispositif
FR2922670B1 (fr) * 2007-10-22 2021-04-09 Oberthur Card Syst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change de valeurs entre entites electroniques portables personnelles
US7961101B2 (en) * 2008-08-08 2011-06-14 Tyfone, Inc. Small RFID card with integrated inductive element
US8451122B2 (en) 2008-08-08 2013-05-28 Tyfone, Inc. Smartcard performance enhancement circuits and systems
CN101661548B (zh) * 2008-08-28 2011-08-17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clf与sim卡的通信方法
US9054408B2 (en) 2008-08-29 2015-06-09 Logomotion, S.R.O. Removable card for a contactless communication, its utilization and the method of production
US9098845B2 (en) 2008-09-19 2015-08-04 Logomotion, S.R.O. Process of selling in electronic shop accessibl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K288641B6 (sk) * 2008-10-15 2019-02-04 Smk Corporation Spôsob komunikácie s POS terminálom, frekvenčný konventor k POS terminálu
WO2010099093A1 (en) * 2009-02-24 2010-09-02 Tyfone, Inc. Contactless device with miniaturized antenna
CN102460520B (zh) 2009-05-03 2015-01-21 洛格摩提公司 使用移动通信装置的支付终端,例如移动电话;直接借记支付交易的方法
WO2011065807A1 (fr) * 2009-11-24 2011-06-03 Mourad Mekouar Solution haute securite et/ou nfc de traitement en temps reel de transactions electroniques provenant de telephones mobiles (mobile phone highly secured and/or nfc oltp)
US9483651B2 (en) * 2009-11-30 2016-11-01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 of content to a self contained wireless media device
EP2388731A1 (en) * 2010-05-20 2011-11-23 Gemalto SA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originating from a contact-less communicating device and a contact-less communicating device
US8068011B1 (en) 2010-08-27 2011-11-29 Q Street,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r-directed interfacing between handheld devices and RFID media
US9204398B2 (en) * 2011-03-21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with secure element
EP2608163A1 (en) * 2011-12-21 2013-06-26 Gemalto SA Customer carried shopping utensil
JP2013182481A (ja) * 2012-03-02 2013-09-12 Smart:Kk デバイス方式
WO2014155689A1 (ja) * 2013-03-29 2014-10-02 株式会社スマート 近距離無線通信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システム
DE102013005619A1 (de) * 2013-04-04 2014-10-09 Certgate Gmbh Vorrichtung mit Kommunikationsmitteln und einer Aufnahme für eine Chipkarte
NL2012543B1 (en) * 2014-04-01 2016-02-15 Audionova Int B V Mobile wireless controller for a hearing aid.
US9313651B2 (en) 2014-06-19 2016-04-12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memory system
CN106503782B (zh) * 2015-09-06 2019-04-30 上海复旦微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Nfc智能卡模拟方法及装置
JP2019045888A (ja) 2017-08-29 2019-03-22 東芝メモリ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を備える記憶装置及びそのデータ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6957B (fi) * 1998-10-29 2006-04-13 Nokia Corp Menetelmä langattoman laitteen ja elektroniikkalaitteen välistä tiedonsiirtoa varten ja tiedonsiirtolaite
JP2002329180A (ja) * 2001-04-27 2002-11-15 Toshiba Corp 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及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US7367503B2 (en) * 2002-11-13 2008-05-06 Sandisk Corporation Universal non-volatile memory card used with various different standard cards containing a memory controller
US6883718B1 (en) * 2004-02-27 2005-04-26 Imation Corp. Credit card sized memory card with host connector
DE202005013146U1 (de) * 2005-08-19 2005-12-15 Power Digital Card Co., Ltd., Banchiau Aufbau einer Adapterkar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946A (ko) * 2011-11-01 2013-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식용 태그 기능을 구비한 유심카드 구동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76456A2 (en) 2007-07-05
WO2007076456A3 (en) 2007-11-29
EP1969531A2 (en) 2008-09-17
JP2009522662A (ja) 2009-06-11
TW200803215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0172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네스팅된 메모리시스템
US20070145152A1 (en) Nested memory system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capability
US20070145135A1 (en) Methods used in a nested memory system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capability
TWI380219B (en) Card reader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068192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외장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nfc통신 방법
KR10071801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및 이를 이용한 nfc 통신방법
US7252242B2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based on dual UICC
JP2008210301A (ja) 記憶媒体、通信システム、並びに制御装置。
US20050224589A1 (en) SD memory card for extension of function
CN102122415B (zh) 基于安全tf卡和nfc技术的非接触式移动支付终端及支付方法
CN101682370A (zh) Nfc模块,特别是用于移动电话的nfc模块
CN101933033B (zh) 具有双集成电路的系统以及所述系统在实施远程应用方面的使用
WO2010041245A1 (en) Contactless nfc enabled peripherals for multi-interface mobile memory card
WO2011140458A2 (en) Magnetically coupling radio frequency antennas
EP2483844A1 (en) Switch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antennas
WO2009064138A1 (en) Chip card with flash memory for giving digital contents
WO2009039535A2 (en) A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 system
KR100974028B1 (ko)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프로세서
US20070262143A1 (en) Card Reading Device Having Both Contact and Contactless Card Reading Functions
CN102385713B (zh) 芯片银行卡及使用其的移动电话
TWM486099U (zh) 小型智慧卡,智慧卡及行動裝置智慧卡系統
TW200849935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actless IC card system
KR101388529B1 (ko) 상호 작용 근접식 단말기 및 이를 적용한 가입자 식별 모듈
KR101305369B1 (ko) 상호 작용 근접식 단말기 및 이를 적용한 가입자 식별 모듈
KR100779465B1 (ko) 일체형 rf카드의 제어와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