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069A -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069A
KR20080100069A KR1020070046176A KR20070046176A KR20080100069A KR 20080100069 A KR20080100069 A KR 20080100069A KR 1020070046176 A KR1020070046176 A KR 1020070046176A KR 20070046176 A KR20070046176 A KR 20070046176A KR 20080100069 A KR20080100069 A KR 2008010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se material
main body
shaped bas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권
Original Assignee
조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권 filed Critical 조신권
Priority to KR102007004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0069A/ko
Publication of KR2008010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다리는 일단이 안경테와 연결되며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장공이 형성된 금속재의 본체와, 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개구를 갖되 종단이 막힌 수용홈이 형성된 귀뿔과, 본체가 귀뿔의 수용홈 내에서 일정길이 범위로 구속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귀뿔의 측면에서 본체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귀뿔의 타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이탈억제 핀을 구비한다. 이러한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귀뿔의 성형과정이 단순해지며 귀뿔의 성형과정 및 성형 이후에 발생되는 수축율에 대한 허용 편차를 더욱 완화시킬 수 있어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expansible temples of a pair of specta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경다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안경다리의 귀뿔이 본체로부터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안경다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안경다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경다리 12: 본체
14: 장공 20: 귀뿔
30: 이탈방지핀 200: 봉형모재
300: 금속심
본 발명은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귀뿔의 성형과정에서의 수축율 편차에 의한 제조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된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 중 돋보기와 같이 필요에 따라 착용하는 안경은 휴대 및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한 부피 또는 길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97-50125에는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경다리는 안경테와 연결되는 연결부 맞은 편의 삽입부에 내부 공간을 갖는 귀뿔을 삽입한 다음 토출되는 삽입부의 끝단을 가압시켜 걸림부를 갖게 한 후 그 외측에 장식캡을 끼워 접착 밀봉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안경다리가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으로 도금처리를 수행하는데 도금처리된 안경다리의 삽입부를 귀뿔에 삽입한 다음 압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도금된 부분이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걸림부가 끝단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귀뿔내에 삽입된 삽입부와 귀뿔 내의 공간사이의 이격공간이 커 귀뿔 내에서 안경다리가 상하로 유동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56546호에는 안경다리의 끝부분에 래치트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안경다리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과 래치트형 돌출부가 왕복 유동 될 수 있게 단면이 T자형인 돌출부 유동로가 형성된 귀뿔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안경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안경다리는 래치드형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안내홈을 통해 이물질이 귀뿔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35442호에는 안경다리의 끝단에 탄성요부를 중심으로 상 하부에 탄성편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걸림턱을 갖는 팁의 신축조절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의 안경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안경다리는 안경다리가 탄성편이 상호 밀접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했을 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상의 안경다리용으로 사용되는 얇은 금속판 소재의 경우 적용하기 어려워 적용대상 소재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귀뿔소재로서 불연성이면서 성형성이 좋은 셀룰로이드 아세테이트 소재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성형 이후 장시간에 걸친 수분 증발 및 첨가되는 도료 종류에 따라 수축율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수축율의 편차에 대한 결합가능 허용 범위를 더욱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안경다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물질 유입을 억제시킬 수 있고, 귀뿔의 수축율의 편차에 대한 허용 범위를 더욱 완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는 일단이 안경테와 연결되며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장공이 형성된 금속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개구를 갖되 종단이 막힌 수용홈이 형성된 귀뿔과; 상기 본체가 상기 귀뿔의 수용홈 내에서 일정길이 범위로 구속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상기 귀뿔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귀뿔의 타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이탈방지 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귀뿔의 수용홈은 스트레이트 형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부분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은 가. 셀룰로이드 아세테이트 소재의 봉형 모재를 150 내지 160℃도로 가열하고, 스트레이트형 금속심을 220 내지 250℃로 가열하는 단계와; 나. 상기 봉형 모재의 일측에서 상기 금속심을 상기 봉형모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삽입하는 단계와; 다. 상기 금속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봉형모재를 8 내지 10초 동안 자연냉각시키는 단계와; 라. 상기 봉형모재를 상기 금속심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봉형모재를 찬물에 담가 냉각시키는 단계와; 마. 상기 봉형 모재의 상기 금속심의 삽입부분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홈 내로 삽입될 수 있게 스트레이트 형상을 갖되 장공이 형성된 본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사. 상기 봉형모재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장공 내로 진입되게 이탈방지핀을 상기 봉형모재에 장착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경다리(10)는 본체(12), 귀뿔(20) 및 이탈방지핀(30)을 구비한다.
본체(12)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일단은 안경테(5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 맞은 편의 타단으로부터 연결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장공(14)이 형성된 삽입부분(15)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12) 부분 중 후술되는 귀뿔(20)의 수용홈 (22)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분(15)은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스트레이트형으로 형성된다.
귀뿔(20)은 본체(12)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깊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22a) 맞은편은 폐쇄되어 있다.
귀뿔(20)은 동일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귀뿔(20)은 셀룰로이드 아세테이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는 귀뿔(20)은 합성수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성형 소재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탈방지핀(30)은 본체(12)가 귀뿔(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귀뿔(20)의 측면 에서 본체(12)의 장공(14) 내를 관통하여 귀뿔(20)의 타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면 된다.
이탈 방지핀(30)은 머리부(31)와 몸통부(32)로 되어 있다. 머리부(31)의 외경은 장공(14)의 상하 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몸통부(32)는 장공(14)의 상하 방향 폭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탈방지핀(30)은 가열에 의해 귀뿔(20)에 삽입시키거나, 몸통부(32)의 종단으로부터 일부부분에 나사선을 형성시켜 나사조립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이탈 방지핀(30)은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탈 방지핀(30)의 머리부(31)가 귀뿔(20)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귀뿔(20)의 측면에 머리부(31)가 인입될 수 있는 안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2)의 장공(14)의 길이, 귀뿔(20)의 수용홈(22)의 길이 및 이탈억제핀(30)의 설치 위치는 설정된 신축길이에 대응되게 적용하되 귀뿔(20)이 본체(12)로부터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장공(14)이 노출되지 않게 적용한다.
이러한 안경다리(10)는 비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뿔(20)을 본체(12)방향으로 진입시킨 다음 안경다리(12)를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뿔(20)을 본체(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의 안경다리(10)는 본체(12)의 장공(14)을 통과하여 삽입된 이탈방지핀(30)에 의해 본체(12)가 귀뿔(20) 내에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기 때문 에 본체(12)와 수용홈(22)과의 유격은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귀뿔(20)의 수용홈(22) 형성시 수축율 허용 편차를 충분히 크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귀뿔(20)이 본체(12)가 진퇴되는 방향에 있는 개구(22a) 만 열려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유입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안경다리의 제조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봉형모재(200)와 금속심(300)을 준비한다.
봉형모재(200)는 경질 소재의 하나인 셀룰로이드 아세테이트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이하의 제조공정을 통해 형성하고자 하는 귀뿔(20)의 길이 및 폭에 대응되게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것을 적용하면 된다.
금속심(300)은 본체(12)의 삽입부분(15)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적용한다. 또한, 금속심(300)은 본체(12)의 삽입부분(15) 보다 큰 크기의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봉형모재(200)와 금속심(300)의 준비가 완료되면, 봉형모재(200)와 금속심(300)을 가열한다(단계 110).
여기서 봉형모재(200)는 150 내지 160℃도로 가열하고, 금속심(300)은 220 내지 250℃로 가열한다.
다음 단계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금속심(300)을 가열된 봉형모재(200)에 설정된 길이만큼 강제 삽입한다(단계 120).
이때 금속심(300)은 봉형 모재(200)의 종단을 통해 관통되지 않게 목표하는 수용홈(22)의 길이만큼만 도달되게 삽입한다.
단계120 이후에는 금속심(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봉형모재(200)를 8 내지 10초 동안 자연냉각시킨다(단계 130).
이후, 봉형모재(200)를 금속심(30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봉형모재(200)를 찬물에 담가 냉각시킨다(단계 140). 찬물온도는 통상의 온도 예를 들면 10℃정도가 적용되면 된다.
단계 140까지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봉형모재(200)는 금속심(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수용홈(22)이 형성된다.
다음은 봉형모재(200)의 이물질 유입이 억제되게 수용홈(22)의 개구를 탈착가능한 마개(미도시)로 막고, 봉형모재(200)의 외주면을 원하는 형상으로 연마에 의해 가공한다. 이러한 성형과정을 거친 봉형모재(200)는 적용하고자 하는 귀뿔이 된다. 이하에서는 성형완료된 봉형보재(200)를 귀뿔(20)로서 설명한다.
이후, 마개를 귀뿔(20)의 개구로부터 분리한 다음 귀뿔(20)의 수용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되 장공(14)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도금처리가 완료된 도금층을 갖는 본체(12)의 삽입부분(15)을 수용홈(22) 내로 삽입하고, 이탈방지핀(30)을 귀뿔(20)의 측면에서 중공 내로 진입되게 하여 타측에 고정시킨다(단계140).
이러한 공정을 거치게 되면 도금처리된 본체(12)의 도금층을 손상시키지 않고, 별도의 개구 맞은편의 종단을 폐쇄하기 위한 종래의 캡부착 공정도 요구되지 않으며, 수용홈(22) 형성과정에서의 봉형모재(200)의 수축율의 변동에 대해서도 본 체(12)의 삽입가능 크기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제조과정에서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귀뿔의 성형과정이 단순해지며 귀뿔의 성형과정 및 성형 이후에 발생되는 수축율에 대한 허용 편차를 더욱 완화시킬 수 있어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일단이 안경테와 연결되며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장공이 형성된 금속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개구를 갖되 종단이 막힌 수용홈이 형성된 귀뿔과;
    상기 본체가 상기 귀뿔의 수용홈 내에서 일정길이 범위로 구속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상기 귀뿔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귀뿔의 타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이탈방지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뿔의 수용홈은 스트레이트 형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부분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3. 가. 셀룰로이드 아세테이트 소재의 봉형 모재를 150 내지 160℃도로 가열하고, 스트레이트형 금속심을 220 내지 250℃로 가열하는 단계와;
    나. 상기 봉형 모재의 일측에서 상기 금속심을 상기 봉형모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삽입하는 단계와;
    다. 상기 금속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봉형모재를 8 내지 10초 동안 자연 냉각시키는 단계와;
    라. 상기 봉형모재를 상기 금속심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봉형모재를 찬물에 담가 냉각시키는 단계와;
    마. 상기 봉형 모재의 상기 금속심의 삽입부분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홈 내로 삽입될 수 있게 스트레이트 형상을 갖되 장공이 형성된 본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사. 상기 봉형모재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장공 내로 진입되게 이탈방지핀을 상기 봉형모재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KR1020070046176A 2007-05-11 2007-05-11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0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176A KR20080100069A (ko) 2007-05-11 2007-05-11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176A KR20080100069A (ko) 2007-05-11 2007-05-11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069A true KR20080100069A (ko) 2008-11-14

Family

ID=4028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176A KR20080100069A (ko) 2007-05-11 2007-05-11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00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791A1 (ko) * 2010-03-04 2011-09-09 Chang Jung Tae 셀룰로이드 평판을 이용한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WO2012039738A2 (en) * 2010-09-23 2012-03-29 Silver Global Manufacturing Llc Decorative arm sleeves for eyeglasses
KR20220053206A (ko) * 2020-10-22 2022-04-29 (주)케이홀릭컴퍼니 안경다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791A1 (ko) * 2010-03-04 2011-09-09 Chang Jung Tae 셀룰로이드 평판을 이용한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US8696111B2 (en) 2010-03-04 2014-04-15 Jung Tae Chang Spectacle frames using celluloid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039738A2 (en) * 2010-09-23 2012-03-29 Silver Global Manufacturing Llc Decorative arm sleeves for eyeglasses
WO2012039738A3 (en) * 2010-09-23 2012-05-31 Silver Global Manufacturing Llc Decorative arm sleeves for eyeglasses
KR20220053206A (ko) * 2020-10-22 2022-04-29 (주)케이홀릭컴퍼니 안경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0069A (ko)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WO2005121870B1 (en) Temple bar assembly for eyeglasses
JP2014518786A (ja) 注射器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型組立体および方法
US10642065B2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US10114231B1 (en) Eyewear with detachable temples
US7980689B2 (en) Floating eyewear and method of making floating eyewear
CA2519530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ushioning element
KR100703173B1 (ko) 길이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EP1524547B1 (en) Elastic hinge particularly for monobloc temples
JP2003025377A (ja) 車両灯具用レンズ体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6206561A (ja) グラデーションを有する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眼鏡用レンズ
CN104816434A (zh) 一种制作精密光学镜筒的模具结构
KR101192887B1 (ko) 합성수지재 반테형 안경 및 그 제조방법
CN207473266U (zh) 一种一体式镜座装置
KR200335442Y1 (ko) 안경다리의 신축조절구조
KR200186367Y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구조
US1622668A (en) Ophthalmic mounting
CN110531533B (zh) 眼镜架
KR200256546Y1 (ko) 신축조절이 용이한 안경다리
KR200428243Y1 (ko) 안경다리 성형장치
JP2002107677A (ja) 軟質樹脂製一体成型クッションモダ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5335B1 (ko) 렌즈용 사출 성형품
CN108688046B (zh) 模制产品的制造方法、模制产品和打印机
CN211263987U (zh) 一种具有隐藏式弹弓铰链机构眼镜
KR102282676B1 (ko) 끈멈춤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