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523A - 크롤러 벨트 - Google Patents

크롤러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523A
KR20080098523A KR1020087021877A KR20087021877A KR20080098523A KR 20080098523 A KR20080098523 A KR 20080098523A KR 1020087021877 A KR1020087021877 A KR 1020087021877A KR 20087021877 A KR20087021877 A KR 20087021877A KR 20080098523 A KR20080098523 A KR 2008009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inks
sleeve
crawler belt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913B1 (ko
Inventor
카즈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9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Handcart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제1 어셈블리(22A)는 서로 평행한 두개의 제1 링크들(25)을 가지며 제2 어셈블리(22B)는 서로 평행한 두개의 제2 링크들(28)을 갖는다. 제2 어셈블리(22B)의 양단부들에 구비되는 슬리브들(30)은 제1 어셈블리(22A)의 양단부들에 구비된 지지 샤프트(27)에 각각 외부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어셈블리들의 전체 개수가 홀수일 때, 제3 어셈블리(22C)는 제1 어셈블리(22A) 및 제2 어셈블리(22B)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어셈블리(22B)의 슬리브(30)는 제3 어셈블리(22C)의 지지 샤프트(27)에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제3 어셈블리(22C)의 슬리브(30)는 제1 어셈블리(22A)의 지지 샤프트(27)에 외부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크롤러 벨트를 위한 상기 어셈블리들의 전체 개수가 홀수일지라도,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롤러 벨트{CRAWLER BELT}
본 발명은 크롤러-형 건설 기계에 구비되는 크롤러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도저나 유압식 굴착기와 같은 크롤러-형 건설 기계의 크롤러 벨트는 순환 형태의 크롤러 벨트를 위한 다수개의 어셈블리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크롤러 벨트는 상기 크롤러-형 건설 기계의 바디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구동 휠 및 아이들러 휠 주위에 감겨진다. 각각의 크롤러 벨트 어셈블리들은 상기 구동 휠의 스프로켓 톱니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 휠이 구동될 때, 상기 크롤러 벨트는 상기 구동 휠 및 상기 아이들러 휠 사이의 상기 바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롤러들 및 트랙 롤러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크롤러 벨트에서의 크롤러 벨트 어셈블리의 예로서, 특허 문헌 1의 도 7에 개시된 크롤러 벨트 어셈블리 및 특허 문헌 1의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크롤러 벨트 어셈블리가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의 도 7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두개의 링크들은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 표면에 반대하는 트랙 슈의 표면, 즉, 상기 트랙 슈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지지 샤프트는 상기 링크들의 일단의 일단부들 사이에 지지되고, 슬리브는 상기 링크들의 타단부들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 샤프트가 구비되는 상기 링크들의 일단부들은 상기 트랙 슈의 외부로 오프셋 된다. 동일한 구성을 갖는 상기 크롤러 벨트 어셈블리들 각각의 상기 지지 샤프트는 인접한 어셈블리의 슬리브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어셈블리들은 동일한 상태, 즉, 크롤러 벨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종류의 크롤러 벨트는 동위상(in-phase) 링크 타입(오프셋 링크 타입)이라 한다.
특허 문헌 1의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두개의 제1 링크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트랙 슈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지지 샤프트들은 상기 제1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두개의 제2 링크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트랙 슈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슬리브들은 상기 제2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2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어셈블리의 링크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링크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제2 링크들은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링크들의 내측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슬리브들은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은 서로 결합하여 크롤러 벨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크롤러 벨트는 평행-링크 타입(롤러-링크 타입)이라 한다.
상기 슬리브가 상기 동위상 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와 같은 링크들에 결합하는 구성을 갖는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어셈블리들을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베어링으로서 역할을 하고 또한 구동 휠이 스프로켓으로 부터 파워를 받는 파워 전달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허 문헌 1의 도 7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들은 상기 링크들의 일단부들에 고정되므로, 상기 슬리브들의 외측면의 특정 부위가 상기 스프로켓의 톱니 표면들과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마모되고 이것은 상기 링크들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슬리브의 회전 동작을 요구한다. 이러한 회전 동작을 부싱 턴(bushing turn)이라 한다. 그러나, 고정된 상태에 있는 상기 슬리브의 회전 동작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처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2 또는 특허 문헌 1의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크롤러 벨트들이 종래에 제안되어 왔다. 상기 관련된 기술 구성들에 있어서, 상기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슬리브는 세 개의 부분들로 나누어진다. 상기 슬리브의 두 개의 부분들은 상기 링크의 일단부들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의 중앙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인접한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스프로켓이 서로 맞물릴 때 이들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감소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울퉁불퉁한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특허 문헌 1의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벨트의 어셈블리들의 전체 개수가 짝수이면, 상기 크롤러 벨트는 오직 상기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가 상기 제1 링크들 및 상기 제1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 샤프트들의 네 개의 측면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므로, 높은 강도가 확보된다. 상기 슬리브가 상기 링크들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성에 있어 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상기 제2 링크들의 두개의 단부들 사이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두개의 단부들 사이의 일부는 동역학적으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높은 강도를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의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축 라인을 따라 상기 제2 링크들의 슬리브를 위한 샤프트 홀의 크기는 축 라인을 따라 상기 제1 링크들의 지지 샤프트를 위한 샤프트 홀의 크기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지지 샤프트의 접착 강도(attaching strength)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어셈블리의 강도(rigidity)를 증가시킨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249973호
특허 문헌 2: 일본공표특허공보 제6-504747호
그러나, 상기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벨트의 어셈블리들의 전체 개수가 홀수이면, 순환 루프의 크롤러 벨트가 형성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동위상 링크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제3 어셈블 리가 상기 제1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어셈블리 사이에 배열될 필요가 있게 된다. 상기 슬리브가 상기 링크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갖는 상기 동위상 링크 타입의 제3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3 어셈블리는 상기 두개의 링크들 및 상기 링크들의 일단의 일단부들에 고정된 하나의 지지 샤프트의 세 개의 측면들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직사각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구비되는 하나의 측면은 동역학적으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상기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동위상 링크 타입의 제3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어셈블리 및 제2 어셈블리 사이에 배열되면,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제3 링크의 개방 단부, 즉, 상기 슬리브가 구비된 일단부에서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관련된 선행 기술에서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어셈블리 및 제2 어셈블리 사이에 동위상 링크 타입의 제3 어셈블리를 갖는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를 제공하여 슬리브가 구비된 제3 어셈블리의 개방 단부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제1 어셈블리들 및 제2 어셈블리들이 교호적으로 연결되고 제3 어셈블리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 사이에 구비되는 크롤러-형 건설 기계를 위한 크롤러 벨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어셈블리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트랙 슈, 상기 트랙 슈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된 두개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되는 제1 링크들, 및 상기 제1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트랙 슈, 상기 트랙 슈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된 두개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되는 제2 링크들, 및 상기 제2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3 어셈블리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트랙 슈, 상기 트랙 슈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면에 고정되고 오프셋되는 두개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되는 제3 링크들, 상기 제3 링크들의 일단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제3 링크들의 타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슬리브는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크롤러 벨트는 상기 슬리브가 구비되는 제3 어셈블리의 일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벨트를 형성하는 어셈블리들의 전체 개수가 홀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동위상 링크 타입의 제3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어셈블리 사이에 배열될지라도, 상기 보강 수단은 상기 슬리브가 구비된 상기 제3 어셈블리의 개방 단부의 강도를 보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어셈블리가 상기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 사이에 배열될지라도 상기 크롤러 벨트의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 수단은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트랙 슈의 상기 그라우저를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부품들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크롤러 벨트의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트랙 슈에 고정되는 보강 플레이트가 상기 보강 수단으로 사용되면, 상기 제3 링크는 신뢰성 있게 보강된다.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제3 링크들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 부재가 상기 보강 수단으로 사용되면, 상기 제3 링크는 신뢰성 있게 보강된다.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 링크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3 링크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면,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슬리브가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일단부에 있는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슬리브가 울퉁불퉁한 마멸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제3 링크의 강도가 상기 슬리브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면, 상기 제3 링크의 특정 부분 상에 스트레스의 집중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제3 링크가 튼튼하게 된다.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가 축 방향을 따라 세 개의 부분들로 나누어지고, 외측부들은 각각의 제3 링크의 홀에 고정되며 중앙부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3 링크들의 외측부들의 고정부의 두께가 상기 지지 샤프트 고정부의 두께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면, 상기 제3 링크의 개방 단부 및 상기 지지 샤프트의 연결이 강화되고 더 큰 강도의 크롤러 벨트를 얻게 된다.
상기 지지 샤프트가 구비되는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상기 슬리브가 구비되는 상기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보다 더 크고, 상기 지지 샤프트가 구비되는 상기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상기 제2 링크들 사이의 내부 거리와 동일하며, 상기 슬리브가 구비되는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상기 제1 링크들 사이의 내부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들 각각은 더욱 확실하게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타 이점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 벨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롤러 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롤러 벨트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11-11 라인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 벨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어셈블리들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 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3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3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링크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들에 설명되는 모든 조합들(combinations)이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크롤러 벨트(21)는 다수개의 제1 어셈블리들(22A) 및 제2 어셈블리들(22B)을 교호적으로 배치시키고 연결함으로써 순환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22A)는 양단부에 지지 샤프트(27)를 가지며, 제2 어셈블리(22B)는 양단부에 슬리브(30)를 갖는다. 슬리브(30)는 지지 샤프트(27)에 외부적으로 결합하여 제1 어셈블리(22A) 및 제2 어셈블리(22B)를 연결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들(22A)의 개수 또는 제2 어셈블리들(22B)의 개수가 홀수이면, 폐쇄형 루프의 크롤러 벨트(21)가 형성될 수 없다. 그러므로, 제1 어셈블리들(22A) 및 제2 어셈블리들(22B)의 전체 개수가 홀수이면, 적어도 하나의 제3 어셈블리(22C)(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수가 하나임)가 제1 어셈블리(22A) 및 제2 어셈블리(22B) 사이에 배열 및 연결된다. 제3 어셈블리(22C)는 일단부에 지지 샤프트(27)를 가지며 타단부에 슬리브(30)를 갖는다.
크롤러 벨트(21)는 불도저 또는 유압식 굴착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크롤러-형 건설 기계의 바디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구동 휠(24) 및 아이들러 휠(23)의 둘레에 감겨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어셈블리들(22A 내지 22C)이 구동 휠(24)의 스프로켓의 톱니(24a)에 맞물린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21)는 구동된다. 크롤러 벨트(21)는 상기 바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롤러들 및 트랙 롤러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 채로 구동 휠(24) 및 아이들러 휠(23) 둘레를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건설 기계는 상기 지면(GL) 상에서 운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크롤러 벨트(21)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어셈블리(22A)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개의 제1 링크들(25), 제1 링크들(25)의 외측 표면들에 고정되는 트랙 슈(26), 및 제1 링크들(25)의 두개의 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며 고정되는 두개의 지지 샤프트들(27)을 각각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1 링크들(25)은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에 반대하는 트랙 슈(26)의 표면, 또는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 샤프트들이 구비되고 고정된 제1 링크(25)의 일부분들은 제1 링크(25)의 일단 및 타단에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제1 링크(25)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어셈블리(22B)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개의 제2 링크들(28), 및 제2 링크들(28)의 두개의 단부들 사이에 구비된 한 쌍의 슬리브들(30)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2 링크들(28)은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트랙 슈(26)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표면, 또는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제2 링크(28)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이고, 상기 지지 샤프트들이 구비되고 고정된 제2 링크들(28)의 일부분들은 제2 링크(28)의 일단 및 타단에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제1 어셈블리(22A)의 제1 링크들(25) 사이의 내부 거리는 제2 어셈블리(22B)의 제2 링크들(28) 사이의 내부 거리보다 더 크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22A, 22B)이 교호적으로 배치되면서, 제2 어셈블리(22B)의 슬리브(30)는 제1 어셈블리(22A)의 지지 샤프트(27)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22A, 22B)은 서로 교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크롤러 벨트를 형성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어셈블리(22C)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개의 제3 링크들(31), 제3 링크들(31)의 외측 표면들에 고정된 트랙 슈(26), 제3 링크들(31)의 일단의 단부들 사이에 고정된 지지 샤프트(27), 및 제3 링크들(31)의 타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30)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3 링크들(31)은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트랙 슈(26)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상기 크롤러 벨 트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지지 샤프트(27)가 구비된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들(31)의 부분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슬리브(30)가 구비된 제3 링크들(31)의 부분들 사이의 내부 거리보다 더 크다. 지지 샤프트(27)가 구비된 제3 링크들(31)의 부분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제2 링크들(28) 사이의 내부 거리와 같다. 즉, 지지 샤프트(27)가 구비된 제3 링크들(31)의 단부들은 슬리브(30)가 구비된 제3 링크들(31)의 단부들에 대하여 외부로 오프셋 되어 있다.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어셈블리가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22A, 22B) 사이에 배치될 때, 제2 어셈블리(22B)의 슬리브(30)는 제3 어셈블리(22C)의 지지 샤프트(27)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제3 어셈블리(22C)의 슬리브(30)는 제1 어셈블리(22A)의 지지 샤프트(27)에 외부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3 어셈블리(22C)는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22A, 22B)에 결합된다.
도 4,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작은 직경의 샤프트 홀들(35)은 제1 어셈블리(22A)의 제1 링크들(25)의 두개의 단부들 및 제3 어셈블리(22C)의 각각의 제3 링크(31)의 일단부 상에 형성된다. 지지 샤프트(27)의 단부들은 샤프트 홀들935)에 의해 가압 및 고정된다.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큰 직경의 샤프트 홀들(36)은 제2 어셈블리(22B)의 제2 링크들(28)의 두개의 단부들 및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들(31)의 타단부들 상에 형성된다. 슬리브(30)의 분할된 외측부들(30a)은 큰-직경 샤프트 홀들(36)에 삽입 고정 및 지지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삽입홀들(37)은 각각의 어셈블리(22A, 22B, 22C)의 각각의 링크(25, 28, 31)의 중앙부에 서로 소정의 거리만 큼 이격되어 길이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삽입홀(37)은 각각의 샤프트 홀(35, 36)의 축 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두개의 윈도우 홀들(38)은 각각의 삽입홀(37)에 대응하여 삽입홀(37)과 연결되도록 각각의 링크(25, 28, 31)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볼트들(40)은 트랙 슈(26)의 외측면으로부터 각각의 링크(25, 28, 31) 및 각각의 트랙 슈(26)의 삽입홀들(37, 39)을 통해 삽입된다. 너트들(41)은 윈도우 홀들(38)에서 볼트들(40)의 끝단부들과 나사 결합된다. 볼트들(40) 및 너트들(41)은 트랙 슈(26)를 각각의 링크(25, 28, 31)의 외측면에 고정시킨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어셈블리(22C)에 있어서, 작은-직경 샤프트 홀(35) 근처의 제3 링크(31)의 윈도우 홀(38)은 큰-직경 샤프트 홀(36) 근처의 윈도우 홀(38) 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큰 직경 샤프트 홀(36) 근처의 윈도우 홀(38)은 다른 윈도우 홀(38)보다 더 큰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큰-직경 샤프트 홀(36)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제3 링크(31)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어셈블리(22B, 22C)의 슬리브(30)는 자신의 축 방향을 따라 세 개의 부분들로 구분된다. 외측부들(30a)은 제3 링크들(31)의 단부들에 형성된 샤프트 홀들(36)에 가압 및 고정된다. 중앙부(30b)는 인접하는 제1 및 제3 어셈블리(22A, 22C)의 지지 샤프트(27)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 및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 휠(23)의 톱니(23a)와 슬리브(30)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은 감소되고 슬리브(30)의 울퉁불퉁한 마멸이 방지된 다.
윤활제 수용홀(42)은 제1 및 제3 어셈블리(22A, 22C)의 지지 샤프트(27)의 축 중심에 형성된다. 윤활제 공급홀(43)은 윤활제 수용홀(42)의 중앙부로부터 지지 샤프트(27)의 외측 둘레를 향해 형성된다. 밀폐 플러그들(44a, 44b)은 윤활제 수용홀(42)의 두개의 단부들에 결합한다. 수용홀(42)의 윤활제는 공급홀(43)을 통해 지지 샤프트(27)의 외측 둘레 표면 및 제3 또는 제3 어셈블리(22C, 22B)의 슬리브(30) 사이의 일부에 공급되어 이들 사이의 윤활 특성을 확보한다.
수용 리세스(45)는 제1 및 제3 어셈블리들(22A, 22C)의 각각의 제1 및 제3 링크들(25, 31)의 샤프트 홀(35)의 내부 주변 에지 상에 형성된다. 제1 밀폐 링(46)은 수용 리세스(45)에 구비된다. 제1 밀폐 링(46)은 로드 링부(load ring portion, 46a) 및 립부(lip portion, 46b)를 포함한다. 로드 링부(46a)는 수용 리세스(45)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립부(46b)는 인접한 제3 또는 제2 어셈블리(22C, 22B)의 슬리브(30)의 외측부(30)의 외측면에 결합한다.
수용 리세스(47)는 제2 및 제3 어셈블리(22B, 22C)의 슬리브(30)의 외측부(30a)의 내부 주변 에지 상에 형성된다. 제2 밀폐 링(48)은 수용 리세스(47)에 구비된다. 제2 밀폐 링(48)은 로드 링부(48a) 및 립부(48b)를 포함한다. 로드 링부(48a)는 수용 리세스(47)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립부(48b)는 인접한 어셈블리의 중앙부(30b)의 두개의 측면들에 결합한다. 제2 밀폐 링(48) 및 제1 밀폐 링(46)은 서로 협력하여 제1 및 제3 어셈블리(22A, 22C)의 지지 샤프트(27)의 두개의 단부들로부터 윤활제의 누출을 억제한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직경 샤프트 홀(36)이 구비된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31)의 단부의 두께(T), 및 제2 어셈블리(22B)의 제2 링크(28)의 두개의 단부들(상기 외측부들의 고정부들)의 두께(T)는 제1 어셈블리(22A)의 제1 링크(25)의 두개의 단부들 및 작은-직경 샤프트 홀(35)이 구비된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31)의 단부(지지 샤프트 고정부)의 두께(t)보다 더 크도록 설정된다.
도 2, 도 4,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저(grouser, 49)는 각각의 어셈블리들(22A 내지 22C)의 트랙 슈(26)의 외측면으로부터 트랙 슈(26)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한다. 그라우저(48)는 지면 접촉 측면 상에서 차량의 후방 측에 위치한다. 그라우저(49)는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차량의 미끄럼(skidding)을 방지한다. 트랙 슈(26)는 제3 어셈블리(22C)의 볼트들(40) 및 너트들(41)에 의해 제3 링크(31)에 고정되어 그라우저(49)는 슬리브(30)가 구비된 제3 링크(31)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크롤러 벨트(21)의 상기 지면 접촉 측면 상에서 차량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그라우저(49)는 두개의 제3 링크들(31) 및 지지 샤프트(27)에 의해 형성된 세 개의 측면 구조(도 3에 도시된 U-자형의 점선으로 도시된 라인 참조)를 갖는 제3 어셈블리(22C)의 개방된 일단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제3 링크(31)를 위해 구비된 그라우저(49)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행-링크 타입의 크롤러 벨트(21)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22A, 22B)의 전체 개수가 홀수이고 제3 어셈블 리(22C)가 어셈블리들(22A, 22B) 사이에 구비될 때, 슬리브(30)가 위치하는 제3 어셈블리(22C)의 일단부는 트랙 슈(26)의 그라우저(49)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그러므로, 슬리브(30)가 위치하는 제3 어셈블리(22C)의 개방된 단부는 트랙 슈(26)의 그라우저(49)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크롤러 벨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어셈블리들의 전체 개수가 홀수 일지라도, 크롤러 벨트(21)는 적어도 단일의 제3 어셈블리(22C)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슬리브(30)가 위치하는 제3 어셈블리(22C)의 개방된 단부는 보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더 큰 강성을 갖는 크롤러 벨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2) 트랙 슈(26)의 그라우저(49)는 슬리브(30)가 위치하는 제3 어셈블리(22C)의 개방된 단부를 보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부품들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개방된 단부를 보강하게 된다.
(3) 두개의 윈도우 홀들(38)의 단면의 크기는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31)의 강도가 슬리브(30)로 갈수록, 또는 상기 개방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변화된다. 그러므로, 제3 링크(31) 상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3 링크(31) 전체가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제3 링크(31)의 특정 부위에 집중된 스트레스를 억제한다. 따라서, 제3 링크(31)는 제3 링크(31)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외력에 대하여 튼튼하게 될 수 있다.
(4) 큰-직경 샤프트 홀(36)이 구비된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31)의 단부의 두께(T), 또는 제2 어셈블리(22B)의 제2 링크들(28)의 두개의 단부들의 두 께(T)는 제1 어셈블리(22A)의 제1 링크(25)의 두개의 단부들 및 작은-직경 샤프트 홀(35)이 구비된 제3 어셈블리(22C)의 제3 링크(31)의 단부의 두께(t)보다 더 크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점은 제3 링크(31)의 개방된 단부 및 지지 샤프트(27)의 연결을 보강하게 된다. 제2 링크들(28)의 두개의 단부들 및 큰-직경 샤프트 홀(36)이 구비된 제3 링크들(31)의 단부가 동역학적으로 개방되더라도, 제2 링크들(28) 및 제3 링크(31)의 개방부들의 강도가 증가되어 더 큰 강성을 갖는 크롤러 벨트(21)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차이점들에 대해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플레이트(60)가 보강 수단으로서 구비된다. 보강 플레이트(60)는 제3 링크(31)를 고정시키는 볼트들(40)에 의해 제3 링크(31)의 트랙 슈(26)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60)는 제3 링크(31)의 개방 단부를 보강시킨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차이점들에 대해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63)는 자신의 두개의 단부들에 두개의 너트부들(64)을 각각 일체적으로 갖는다. 너트부들(64)은 윈도우 홀들(38)에 볼트들(40)에 나사 결합되어 보강 부재(63)는 링크들(31) 사이에 구비 및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63)는 제3 링크(31)의 개방 단부를 보강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30)는 몇 개의 부분들로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들과 달리, 슬리브(30)는 제3 링크(31)에 삽입되고 제2 링크들(28) 또는 제3 링크들(31)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부들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 어셈블리(22b) 또는 제3 어셈블리(22C)의 슬리브(30) 및 링크(28, 31)는 단일의 어셈블리(22B, 22C)를 통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변형예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3 어셈블리들(22C)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크롤러 벨트(21)의 제1 어셈블리(22A) 및 제2 어셈블리(22B)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큰-직경 샤프트 홀(36)이 위치하는 제3 링크(31)의 개방부는 트랙 슈(26)의 그라우저(49)에 대응된다. 작은-직경 샤프트 홀(35)이 위치하는 제3 링크(31)의 부분은 트랙 슈(26)의 그라우저(49)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3 링크(31)의 개방 단부는 보강 플레이트(60) 또는 보강 부재(63)를 제공함으로써 보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다수개의 제1 어셈블리들 및 제2 어셈블리들이 교호적으로 연결되고 제3 어셈블리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형 건설 기계를 위한 크롤러 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트랙 슈, 상기 트랙 슈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된 두개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되는 제1 링크들, 및 상기 제1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트랙 슈, 상기 트랙 슈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된 두개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되는 제2 링크들, 및 상기 제2 링크들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어셈블리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트랙 슈, 상기 트랙 슈의 접촉면에 반대하는 면에 고정되고 오프셋되는 두개의 플레이트들로 형성되는 제3 링크들, 상기 제3 링크들의 일단의 일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제3 링크들의 타단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슬리브는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는 상기 제1 어셈 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보강 수단은 상기 슬리브가 위치하는 제3 어셈블리의 일단부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랙 슈는 자신의 접촉면 상에 그라우저를 가지며, 상기 보강 수단은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그라우저를 배열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수단은 상기 트랙 슈에 고정되는 보강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수단은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제3 링크들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상기 제3 링크의 강도는 상기 슬리브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셈블리의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 링크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 어셈블리 의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3 링크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슬리브는 축 방향을 따라 세 개의 부분들로 나누어지고, 외측부들 각각은 상기 제3 링크들 중 하나에 형성된 홀에 고정되며 중앙부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기 지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제3 링크의 외측부의 고정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 샤프트 고정부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가 위치하는 상기 제3 어셈블리의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상기 슬리브가 위치하는 상기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지지 샤프트가 위치하는 상기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상기 제2 링크들 사이의 내부 거리와 동일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슬리브가 위치하는 제3 링크들의 일부들 사이의 내부 거리는 상기 제1 링크들 사이의 내부 거리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벨트.
KR1020087021877A 2006-04-18 2007-04-10 크롤러 벨트 KR101138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4909 2006-04-18
JP2006114909A JP4430033B2 (ja) 2006-04-18 2006-04-18 履帯
PCT/JP2007/057902 WO2007119719A1 (ja) 2006-04-18 2007-04-10 履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523A true KR20080098523A (ko) 2008-11-10
KR101138913B1 KR101138913B1 (ko) 2012-05-14

Family

ID=3860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877A KR101138913B1 (ko) 2006-04-18 2007-04-10 크롤러 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66154A1 (ko)
EP (1) EP2008919A4 (ko)
JP (1) JP4430033B2 (ko)
KR (1) KR101138913B1 (ko)
CN (1) CN101421149B (ko)
WO (1) WO20071197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689A3 (en) * 2008-12-12 2010-09-16 Caterpillar Inc. Master link for a track cha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68A (ja) * 2006-04-25 2007-11-08 Komatsu Ltd 履帯アッセンブリ
WO2011004362A1 (en) * 2009-07-06 2011-01-13 Galileo Mobility Instruments Ltd. Traction system
CN102481960B (zh) * 2010-04-28 2014-01-0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履带和用于履带的主链节
US20120119567A1 (en) * 2010-11-16 2012-05-17 Caterpillar, Inc. Cartridge Seal for Track Chain Bushing
JP5318843B2 (ja) * 2010-12-01 2013-10-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ブシュおよび履帯リンク装置
CN102642571B (zh) * 2012-04-10 2015-06-17 安徽合矿机械股份有限公司 湿地挖掘机履带式行走机构
CN103661657B (zh) * 2013-12-23 2016-07-27 北京南车时代机车车辆机械有限公司 挖掘机、履带总成及履带板
DE102014011143A1 (de) 2014-07-25 2016-01-28 Liebherr-Mining Equipment Colmar Sas Kettenglied für einen Raupenantrieb
CN104248878B (zh) * 2014-09-16 2016-10-05 华南理工大学 一种高压平面带式脱水装置
US9505455B1 (en) * 2015-05-19 2016-11-29 Caterpillar Inc. Track chain assembly for undercarriage system
US10065692B2 (en) * 2015-08-13 2018-09-04 Caterpillar Inc. Track link structure and pin join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3141A (en) * 1931-03-10 1934-01-09 Kochring Company Traction belt for tractors
NL44364C (ko) * 1933-08-12
US3054300A (en) * 1961-04-14 1962-09-18 Thew Shovel Co Sprocket chain
US3419316A (en) * 1967-04-27 1968-12-31 Gen Motors Corp Track shoe assembly
US6322173B1 (en) * 2000-04-20 2001-11-27 Caterpillar Inc. Link for a track chain assembly of a track type work machine
US6386651B1 (en) * 2000-04-20 2002-05-14 Caterpillar Inc. Insert arrangement for a track chain assembly
US6371577B1 (en) * 2000-04-20 2002-04-16 Caterpillar Inc. Track chain assembly for a work machine
US6382742B1 (en) * 2000-04-20 2002-05-07 Caterpillar Inc. Cartridge assembly for a track chain of a track type work machine
US6354679B1 (en) * 2000-04-20 2002-03-12 Caterpillar Inc. Off-set symmetrical link and an associated subassembly for a track chain assembly
JP3904428B2 (ja) * 2001-10-26 2007-04-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式車両の走行駆動装置
US20030122423A1 (en) * 2001-12-27 2003-07-03 Caterpillar Inc. High stiffness track assembly for undercarriage noise reduction
JP2003220983A (ja) * 2002-01-31 2003-08-05 Komatsu Ltd ロータリブシュ式履帯
JP4059687B2 (ja) * 2002-02-12 2008-03-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式車両の走行駆動装置
JP2003237846A (ja) 2002-02-18 2003-08-27 Sato Corp 二重梱包箱
JP4289990B2 (ja) 2003-01-29 2009-07-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
JP2004249797A (ja) * 2003-02-19 2004-09-09 Komatsu Ltd 履帯用リン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689A3 (en) * 2008-12-12 2010-09-16 Caterpillar Inc. Master link for a track chain
US7877977B2 (en) 2008-12-12 2011-02-01 Caterpillar Inc. Master link for a track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1149B (zh) 2012-12-26
WO2007119719A1 (ja) 2007-10-25
EP2008919A4 (en) 2009-04-22
JP2007283942A (ja) 2007-11-01
EP2008919A1 (en) 2008-12-31
US20090066154A1 (en) 2009-03-12
CN101421149A (zh) 2009-04-29
JP4430033B2 (ja) 2010-03-10
KR101138913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913B1 (ko) 크롤러 벨트
KR101054483B1 (ko) 크롤러 벨트의 트랙 슈를 연결시키기 위한 링크, 크롤러 벨트를 위한 어셈블리, 및 크롤러 벨트
JP4289990B2 (ja)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
KR101049468B1 (ko) 트랙 체인 어셈블리
EP2583883B1 (en) Track Chain Joint for a Crawler Type Work Vehicle
CN103974877B (zh) 履带用链节及履带装置
US20080164756A1 (en) Track
AU2009322177A1 (en) Lobed bushing for track assembly and track-type machine using same
US6866351B2 (en) Rotary bushing type crawler track
US9840291B2 (en) Roller device for track-type work vehicle, roller shell unit and roller shell
US11618514B2 (en) Link assembly and seal assembly
JP2009113807A (ja)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用リンク
US11679826B2 (en) Unitary link and track chain assembly of a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