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895A - 주행 경로 선택 - Google Patents

주행 경로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895A
KR20080097895A KR1020070066116A KR20070066116A KR20080097895A KR 20080097895 A KR20080097895 A KR 20080097895A KR 1020070066116 A KR1020070066116 A KR 1020070066116A KR 20070066116 A KR20070066116 A KR 20070066116A KR 20080097895 A KR20080097895 A KR 2008009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driving
rout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557B1 (ko
Inventor
윤경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040,625 priority Critical patent/US8626437B2/en
Priority to EP08723503.2A priority patent/EP2142887B1/en
Priority to PCT/KR2008/001466 priority patent/WO2008136576A1/en
Publication of KR2008009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2Coding or decoding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2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n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complete route is shown to th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제 1위치 값 및 제 2 위치 값을 입력 받고, 위치값들에 대응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 중 복수개의 정보들에 따라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한다.
주행 경로, 현재 교통혼잡정보, 예측 교통혼잡정보, TPEG,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주행 경로 선택{Selecting Route According To Traffic Informa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는 무선으로 송출되는 혼잡 교통정보의 제공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현재의 교통 소통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혼잡 교통 정보 컴포넌트의 구조, 도 4b 내지 도 4e는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의 제공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혼잡 교통 정보 컴포넌트의 구조, 도 5b 내지 도 5e는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의 제공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선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S650 단계에서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a 및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선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주행 경로 선택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을 비롯한 각종 이동체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교통 혼잡이 심해지고 있다. 특히 이동체의 증가속도가 도로나 기타 운송시설이 확충되는 속도에 비해 매우 빠르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교통 혼잡에 대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GPS 수신기로 수신하고, 이동체에 자이로스코프 및 속도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설치하여 이동체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며, GPS 수신기가 수신한 항법 메시지와 센서들이 검출한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를 이용하는 데드 레코닝(Dead-Reckoning)으로 주행중인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부의 화면에 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동체의 사용자들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확인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미리 이동체가 주행할 경로를 계획하고, 주행함으로써 주어진 도로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교통정보 제공용 서버에서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또한 방송국에서는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규격에 맞도록 구성하고, 이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전송 규격 등을 통해 방송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종래의 TPEG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현재 시간에서의 교통 정보 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를 선택했으며, 차량의 이동 중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도로 네트워크와 도로 소통 상태를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 소통 상태에 대한 예측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교통 정보를 포함한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가 메시지 관리를 위한 시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관리 정보, 현재 교통 혼잡상태 정보 또는 예측 교통 혼잡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 상기 현재 또는 예측 교통 혼잡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각각의 위치도로구간에 할당된 링크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제 1위치 값 및 제 2 위치 값을 입력 받고, 상기 위치값들에 대응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 중 복수개의 정보들에 따라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교통 정보를 포함한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메시지 정보가 메시지 관리를 위한 시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관리 정보, 현재 교통 혼잡상태 정보 또는 예측 교통 혼 잡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 상기 현재 또는 예측 교통 혼잡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각각의 위치도로구간에 할당된 링크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교통 혼잡상태 정보 또는 예측 교통 혼잡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교통정보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제 1위치 값 및 제 2 위치 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주행 경로 탐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위치값들에 대응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 중 복수개의 정보들에 따라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5), 교통정보 제공 서버(10), 방송국(15), 및 차량(20)을 포함한다.
네트워크(5)는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WAN)과 같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네크워크(5)를 통해서는 각종 교통 정보가 수집되며, 수집된 정보는 교통정보 제공 서버(10)에서 후술하는 포맷으로 처리되어 방송국(15)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방송국(15)에서는 처리된 교통정보를 방송신호에 삽입하여 차량으로 방송한다.
교통정보 제공서버(10)는 네트워크(5)에 연결된 여러 가지 경로, 예를 들어, 운영자 입력, 유무선 인터넷, Transparent Data Channel(TDC), Multimedia Object Transport(MOT)와 같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타 서버 또는 검증 카(probe car)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교통정보를, 예를 들면 교통정보 서비스를 위한 규격인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TPEG) 규격에 따른 포맷과 같은 교통정보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방송국(15)으로 전송하고, 방송국(15)에서는 차량(20) 등에 탑재된 교통정보 수신단말기,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가 수신할 수 있도록 교통정보를 방송신호에 실어 무선으로 송출한다. TPEG 포맷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교통정보는 사고, 도로 상황, 교통 혼잡, 도로 건설, 도로 폐쇄, 공공 교통망 지연, 항공 운항 지연과 같은 도로, 해양, 항공 운항을 위해 필요한 각종 교통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국(15)은 교통정보 제공 서버(10)로 부터 처리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다양한 디지털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신호를 통해 무선으로 차량(20)에 송출한다. 이경우, 방송 규격으로는 Eureka-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향 디지털 오디오방송 (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 규격,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 DVB-T) 규격,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 DVB-H) 규격, Media Forward Link Only(MFLO) 규격과 같은 각종 디지털 방송 규격을 포함한다.
한편, 방송국(15)은 교통정보를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차량(20)은 일반적인 승용차, 버스, 기차, 선박, 항공기 등 사람이나 물건의 이동을 목적으로 기계,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가능한 모든 운반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인 승용차에 탑재된 교통정보 수신단말기를 위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량(20)은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를 탑재하며, 탑재된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국(15)으로부터 TPEG 포맷의 TPEG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처리된 데이터를 그래픽, 텍스트 및/또는 오디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는 차량에서의 설치 형태에 따라 인데시 타입(In dash Type)과 온데시 타입(On Dash Type)으로 구분된다. 인데시 타입의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는 차량의 데시 보드(Dash Board) 내에 할당된 일정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형태이다. 온데시 타입은 차량의 데시보드 위에 거치되거나 또는 그 근처에 일정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형태로서 탈착이 가능하므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할 수 있어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Portable Navigation Device)라고 칭한다.
본 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는 이러한 인데시 타입과 온데시 타입의 차량용 정보 단말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차량 내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와 같은 교통정보의 수신 및/또는 처리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는 GPS 수신기(110), 방송신호 수신부(120), 교통정보 추출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입력부(170) 및 음성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GPS 수신기(110)는 안테나(ANT)를 통해 GPS 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는 항법 메시지에 기초하여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가 탑재된 차량(20)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20)는 안테나(ANT)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방송사로부터 수신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 DVB-H) 등 각종 규격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TPEG) 서비스,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교통정보 및 각종 부가 데이터와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20)는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신호 대역을 동조하고 동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방송신호 수신부(120)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입력받 아 후술하는 도 3과 같이 구성된 TPEG 메시지 시퀀스로 디코딩한 후, 시퀀스 내의 각 TPEG 메시지를 해석하여 그 메시지 내용에 따른 교통정보 및/또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전달된 교통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특히, 메모리(140)의 비휘발성 메모리는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적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교통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도로 구간의 혼잡 교통정보를 이에 대응하여 결정된 가중치와 함께, 예를 들면 룩업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하여, 차량의 경로 탐색 과정에서 신속하게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GPS 수신된 항법 메시지에 기초하여 차량(20)을 운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지도 데이터는 타 도로와의 교차점 또는 나들목과 같은 도로 분기점들, 각 분기점들을 연결하는 도로 구간과 구간 거리 및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지리적 데이터와 그래프로 표현된 지도를 포함한다.
한편,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가 제한된 메모리 용량으로 인해 지도 데이터를 전자 지도 형식으로 저장하지 않는 경우 그래프로 표현된 지도를 제외한 상술 한 다양한 지리적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로 구간은 목적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도로 구간들로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도로 상의 분기점과 분기점 사이의 도로 구간을 하나의 단위 구간(Link)으로 정의한다.
출발지점과 목적지점 사이의 도로 구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구간(Link)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단위 구간은, 분기점과 분기점 사이의 도로 구간을 지칭하며 단위 구간 내에 진입한 차량(20)은 다음번 분기점이 나타날 때까지 다른 도로 구간으로 분기할 수 없다.
지도 데이터에서 각각의 도로 구간은 구간 식별자(Link Identifier)에 의해 인식된다. 구간 식별자는 예를 들어 구간의 시점 및 종점의 위도 및 경도, 또는 구간의 명칭를 포함하는 문자, 숫자 또는 그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로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로 구현되며, 또한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네비게이션 기능에 따라 GPS수신기(110)에 의해 수신된 항법 메시지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 출발지, 목적지 등의 각종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메모리(140)로부터 검색하고 목적지까지의 가능한 모든 경로를 탐색한 후, 교통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를 나타내기 위한 비디오 신호로 처리한 후 표시부(160)로 출력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GPS수신기(110)에서 수신된 항법 메시지에 따라 메모리(140)로부터 독출된 지도 데이터에 차량의 현재 위치, 교통정보 및 차량의 주행 경로 등을 지도에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16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DC)와 같은 표시장치로 구현되어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한편, 표시부(16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기능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메뉴 구조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한 터치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인가한다. 이러한 입력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 또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는 터치 패드(Touch Pad),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의 조작 편의를 위해 차량 내의 운전대 등에 설치할 수 있는 리모콘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선택된 경로에 대한 음성 안내를 위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부(170)를 통해 선택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도 3는 무선으로 송출되는 교통정보의 제공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통정보 제공 서버(10)가 무선으로 송출하는 교통정보 제 공 포맷은 메시지 세그먼트(이하, 'TPEG(Transport Protocol Export Group) 메시지'라 한다.)의 시퀀스(sequence)로 구성된다.
메시지 세그먼트의 시퀀스 중 하나의 메시지 세그먼트, 즉 TPEG 메시지(300a)는, 하나 이상의 응용에 적용된다. 일 예로서, TPEG 메시지(300a)는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TPEG-Congestion and Travel-Time information Application)을 나타내며, 다른 TPEG 메시지(300b)는 사고 및 돌발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교통 메시지 응용(TPEG-Road Traffic Message Application) 또는 대중 교통 정보 응용(TPEG-Public Transport Information Application)을 나타낼 수 있다.
각 TPEG 응용마다 응용식별자(AID:Application Identification)라고 불리는 고유의 식별번호가 할당된다. 응용식별자는 수신된 TPEG 메시지를 가장 적합한 응용복호기를 사용하여 복호하는데 이용된다.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TPEG-CTT)에는 응용식별자 0010(hex)가 할당되어 있다.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은 도로 이용자들을 정보 제공의 주요대상으로 하며, 제공되는 정보는 도로 네트워크상의 소통정보, 지체도 및 통과시간 등 도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들이다.
혼잡 교통 정보 메시지(Congestion and Travel-Time information Message)를 전달하는 TPEG 메시지(300a)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Message Management Container)(310), 응용 상태 컨테이너(Application Status Container)(320), 및 TPEG 위치 컨테이너(TPEG-Location Container)(3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TPEG 메시지(300a)의 응용 상태 컨테이너(320)는 TPEG-CTT 컨테이너를 의미한다. TPEG 메시지 응용의 종류에 따라 응용 상태 컨테이너(320)의 내용이 달라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TPEG CTT 메시지가 아닌 다른 교통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TPEG 메시지(300b)도 TPEG 메시지 시퀀스에 포함될 수 있어 두개 이상의 응용이 하나의 TPEG 메시지 스트림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310)는 메시지 식별자(MID: Message Identifier)와 버젼 번호(VER: Version Number)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310)는 날짜 및 시간 구성 요소, 메시지 생성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31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TPEG 디코더에서 수신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310)의 구성 요소 중 날짜와 시간과 관련하여 혼잡 교통 정보 응용에서는 TPEG의 다른 응용(사고 및 돌발 상황 정보 응용, 대중 교통 정보 응용)과는 달리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메시지 소거 시간, 및 스케쥴 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 혼잡 교통 정보는 돌발적인 또는 계획된 상태의 상황을 시시 각각 변화하는 상태에 따라 메시지를 관리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는 돌발 상황 정보와는 달리, 각 지점에 대한 현재의 소통 상태의 전송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응용 상태 컨테이너(320)는 즉, TPEG-CTT 컨테이너(320)에는 각 링크(도로 구간)의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와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 등이 생성되어 포함된다. 응용 상태 컨테이너(320)에서 상태 정보의 기술은 계층적인 구조를 따르며, 이는 규격 확장 및 컴포넌트 추가에 따른 단말기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아래의 표 1은 TPEG-CTT 컨테이너(320)의 클래스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클래스 설명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CTT_Status 교통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도로 구간에서 차량의 소통 상황을 기술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예측 Prediction_CTT_Status 교통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도로 구간에서 차량의 소통 예측 상황을 기술
추가 정보 Additional Information 소통 상황에 대한 추가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
표 1을 참조하면, TPEG-CTT 컨테이너(320)에는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컴포넌트와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예측 컴포넌트, 혼잡도 및 통행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나 보조정보가 포함된 추가 정보 컴포넌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a는 TPEG-CTT 컨테이너(322)에 포함되는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컴포넌트의 구조를 보여준다.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컴포넌트에는 식별자(4a) '80h'이 할당되며, m개의 상태 컴포넌트(4c)를 포함하고, 포함된 상태 컴포넌트의 전체 데이터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현한 필드(4b)를 갖는다.
혼잡도 및 통행시간 상태 컴포넌트의 각 상태 컴포넌트에는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 즉 구간 평균 속도(average link speed), 구간 통행 시간(travel time), 구간 지체(link delay), 혼잡 유형(congestion type) 등의 정보가 도 4b 내지 4e에 도시된 포맷으로 실리게 된다.
구간 평균 속도는 식별자 '00'이 부여되고, 구간 평균 속도의 단위는 [Km/h]가 사용된다. 구간 통행 시간은 식별자 '01'이 부여되고, 구간 통행 시간의 단위는 [sec]가 사용된다. 구간 지체에는 식별자 '02'가 부여되고, 구간 지체의 단위는 [sec]가 사용된다. 혼잡 유형에는 식별자 '03'이 할당된다.
아래의 표 2는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 규격 부속서 A(규정)에 정의된 혼잡도 및 통행시간 정보 응용 테이블 03(CTT 03)을 나타낸다.
TPEG 테이블 혼잡도 및 통행시간 정보 03(CTT 03): 혼잡도
코드 종류 내용 보기
0 알 수 없음
1 원활
2 서행
3 지체
4 정체
.. 버전0.9의 끝
..
255
도 5a는 TPEG-CTT 컨테이너(320)에 포함되는 혼잡 교통정보 중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혼잡도 및 통행 시간 상태 예측 컴포넌트의 구조를 도시한다. 예측 정보를 전송하는 혼잡도 및 교통 시간 상태 예측 컴포넌트(prediction CTT status)에는 식별자(5a) '81h'가 할당되며, m개의 상태 컴포넌트(5b)를 포함하고, 포함된 상태 컴포넌트의 전체 데이터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현한 필드(5c)를 갖는다.
혼잡도 및 교통 시간 상태 예측 컴포넌트(prediction CTT status)의 각각의 상태 컴포넌트에는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 즉 구간 평균 속도 예측(prediction average link speed), 구간 통과 시간 예측(prediction travel time), 혼잡도 추이(congestion tendency), 추가 정보(additional information)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각 상태 컴포넌트에는, 구간 평균 속도 예측, 구간 통과 시간 예측, 혼잡도 추이, 추가 정보 등이 도 5b 내지 5e에 도시된 포맷으로 실리게 되고, 구간 평균 속도 예측에는 식별자 '00', 구간 통과 시간 예측에는 식별자 '01', 그리고 혼잡도 추이에는 식별자 '02'. 추가 정보에는 식별자 '03'이 부여된다.
아래의 표 3은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 규격 부속서 A(규정)에 정의된 혼잡도 및 통행시간 정보 메시지 테이블 04(CTT 04)를 나타낸다.
TPEG 테이블 혼잡도 및 통행시간 정보 04(CTT 04): 구간 속도 추이
코드 종류 내용 보기
0 알 수 없음
1 증가
2 감소
3 불변
.. 버전0.9의 끝
..
255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선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목적지에 대한 주행 경로 탐색요청이 있는 경우[S610:Y], 제어부(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독출하고 GPS수신기(110)에 의해 수신된 항법 메시지를 이용하여 차량(20)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도착 가능한 경로들을 모두 탐색한다[S630].
제어부(150)는 교통정보 추출부(130)에 의해 TPEG CTT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혼잡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된 경로 중에서 최적 경로를 선택하고[S650],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주행 안내를 실행한다.
제어부(150)가 탐색된 경로 중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S650 단계에서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탐색된 경로들에 대해 각각 주행 예측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각 경로에 대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도로 구간별 혼잡 교통 정보를 확인한다[S651].
제어부(150)가 확인하는 혼잡 교통 정보로는, 예를 들면 도 4b 내지 4e에 도시된 현재 교통소통 상태 정보, 즉 구간 평균속도(average link speed), 구간 통과시간(travel time), 구간 지체(link delay), 및/또는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 즉 혼잡 유형(congestion type) 등의 정보, 및 도 5b 내지 5e에 도시된 구간 평균 속도 예측(prediction average link speed), 구간 통과 시간 예측(prediction travel time), 혼잡도 추이(congestion tendency), 추가 정보(additional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혼잡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신호 대역을 동조하고 동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교통정보 추출부(13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입력된 복조 신호를 TPEG 메시지 시퀀스로 디코딩하고, 시퀀스 내의 TPEG 메시지 중 혼잡 교통 정보 메시지(TPEG-CTT)를 해석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혼잡 교통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하, 교통정보 추출부(130)가 추출하는 도 4b 내지 4e, 5b 내지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혼잡 교통 정보, 즉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와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에 관한 처리과정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응용식별자(AID) 정보에 따라 해당 TPEG 메시지가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하고, TPEG 혼잡 교통 정보 응용에 해당하는 경우 이에 따라 해당 TPEG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상기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각 TEPG 메시지의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내의 날짜/시간, 그리고 메시지 발생 시간을 추출하고, '메시지 요소'의 정보로부터 후속하는 컨테이너가 응용 상태 컨테이너 즉,TPEG-CTT 컨테이너인지를 파악한다.
후속하는 컨테이너가 TPEG-CTT 컨테이너인 경우,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해당 컨테이너 내의 CTT 컴포넌트로부터 각 구간(Link)의 혼잡 교통 정보 즉,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와 예측된 교통소통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후속하는 TPEG-CTT 위치 컨테이너로부터 현재 전송된 혼잡 교통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데, 이 위치정보는, TPEG-CTT 위치 컨테이너의 유형(type) 정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구간 식별자(Link Identifier), 예를 들면 구간의 시점 및 종점의 위치 좌표, 즉 경도 및 위도, 또는 구간의 명칭을 포함하는 문자, 숫자 또는 그 혼합으로 구성되는 구간 식별자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정보 추출부(130)는 구간의 구간 식별자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예측정보를 산출하고자 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혼잡 교통 정보를 선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교통정보 추출부(130)로부터 전달된 혼잡 교통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검색하여 각 구간별 가중치를 확인하고,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간별 구간 거리를 확인한다[S653].
도 8a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룩업 데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혼잡 유형 및 혼잡도 추이에 따라 각각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혼잡도 추이는 사실상 현재 상황의 교통 정보에 해당하나, 혼잡도 추이에 따라 현재의 교통 상황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예측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혼잡 유형 및 혼잡도 추이에 따라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타 혼잡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교통소통 상태 정보 중 구간 지체와 혼잡도 추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a의 룩업 테이블에 따르면, 해당 구간의 혼잡 유형, 예를들면 교통 소통이 원활하고, 혼잡도 추이가 감소인 경우, 즉 현재 교통 흐름이 원활하고 혼잡도가 감소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면 '1'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유형, 혼잡도 추이가 원활, 증가인 경우, 즉 현재의 교통 흐름은 원활하나 혼잡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면 '3'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여기서 혼잡 유형은 예를 들면 원활, 서행, 지체, 정체의 4가지 단계로 구별될 수 있고, 혼잡도 추이는 구간 평균 속도 또는 가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로 구별될 수 있어, 혼잡 유형과 혼잡도 추이를 감안하여 교통 상태를 총 12단계로 구별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해당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각 구간별로 교통 상태에 따른 가중치와 구간 거리를 곱한 값을 전 구간에 대해 합산하여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한다[S655].
제어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탐색된 각각의 경로에 대해 해당 경로의 전 구간에 대한 합산값, 즉 주행 예측정보를 산출하고, 예를 들어 산출한 상기 주행 예측정보가 최저 값이 되는 경로를 최적 경로로 선택한다[S657].
도 8b는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가능한 도로구간들을 나타낸 지도의 일 예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시된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71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로 구간들이 단위 구간(Link)들로 각각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간별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12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각각 구별되도록 표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목적지까지의 가능한 모든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에 대해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선택한다.
그러나, A 및 B의 두개의 경로는 동일한 주행 예측정보를 나타낸다. 즉, 경로 A의 경우 주행 예측정보는 각 구간별 가중치와 구간 거리를 곱한 값의 전체 합산값으로서, 도 8a를 참조하면 이는 "2*10+3*5+6*5+6*5+3*5=100"에 해당하며, 경로 B의 경우에도 주행 예측정보는 "2*10+2*5+7*5+4*5+3*5=100"에 해당한다.
주행 예측정보가 최저 값인 경로가 복수개인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혼잡도 추이가 감소인 구간들, 즉 도 8b의 세번째 및 네번째 구간들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B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데 혼잡도 추이가 감소하는 구간이 목적지보다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까운 구간들에서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선택하는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최적 경로를 선택하면, 선택된 최적 경로로 주행 안내를 실행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추가 정보 컴포넌트를 확인하여, 혼잡도 및 통행 시간 정보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나 보조 정보 등을 지도 상에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최적 경로에 따라 주행 안내를 시작하고, 주행 경로에 대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670:Y], 현재 주행 중인 도로 구간이 주행 경로 중 최종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S690].
주행 경로에 대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로는, 예를 들면 차량(20)이 이동하면서 차량(20)이 현재 위치한 도로 구간을 통과하여 새로운 도로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새로운 TPEG 교통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교통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새로운 도로 구간에 진입하거나 TPEG 교통 정보가 갱신되는 등 주행 경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시마다,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최적인 주행 경로를 다시 산출하고 이에 따라 주행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도로 상황의 변화와 같은 변화하는 교통상황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주행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새로이 진입하는 도로 구간이 주행 경로 중 최종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주행 안내가 종료되어 목적지에 도달할 때 까지 주행 경로를 재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20)이 새로이 진입하는 도로 구간이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 중 최종 도로 구간인 경우에는 주행 경로를 재탐색하는 것은 불필요한 과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진입한 도로 구간이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주행 경로 중 마지막 도로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690:N]에는, 차량(20)이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간이 변경된 경우로서 주행 경로 재탐색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남은 도로 구간에 대해 도 6의 S630 단계 및 S650 단계, 즉 도 7의 S651 내지 S657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즉, 차량(20)이 이동한 위치로부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능한 경로들을 모두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중 최적 경로를 선택하여 선택된 최적 경로로 내비게이션 주행 안내를 실행한다.
이 때, 탐색된 경로 중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은 도 7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다. 즉, 제어부(150)는 차량(20)이 이동한 위치로부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각 도로 구간에 대해 교통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구간별 가중치를 구간 거리와 곱한 값을 전 구간에 대해 합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산출된 합산값이 최저가 되는 경로를 최적 경로로 선택한다.
도 8a를 다시 참조하면, 차량(20)이 현재 주행 중인 도로 구간을 통과하여 새로운 도로 구간이 나타나는 경우, 즉 다음번 분기점(720)이 나타나면, 제어부(150)는 주행 경로의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주행 중인 도로 구간이 최종 구간이 아닌 경우 상기한 S630 단계 및 S651 내지 S657 단계를 반복하여 남은 도로 구간들에 대해 최적 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에 따라 경로를 변경하여 네비게이션 안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예측된 교통소통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주행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Claims (22)

  1. 교통 정보를 포함한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정보가 메시지 관리를 위한 시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관리 정보, 현재 교통 혼잡상태 정보 또는 예측 교통 혼잡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 상기 현재 또는 예측 교통 혼잡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각각의 위치도로구간에 할당된 링크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제 1위치 값 및 제 2 위치 값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값들에 대응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 중 복수개의 정보들에 따라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현 위치 또는 출발지 중 어느 하나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목적지 또는 경유지 중 어느 하나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도로구간별 혼잡도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상기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에 따라 설정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예측정보는,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가중치와 해당 도로구간의 거리를 각각 곱한 값을 상기 전 도로 구간에 대해 합산한 값으로 산출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가능한 경로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기 주행 예측 정보에 따라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경로 선택 단계에서는, 상기 가능한 경로에 대해 각각 산출된 상기 주행 예측정보가 최저값이 되는 주행 경로를 상기 최적 경로로 선택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예측정보가 최저값이 되는 주행 경로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가능한 경로 중 혼잡도 추이가 감소하는 구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상기 최적 경로로 선택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경로에 따라 주행 중 경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재 산출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는,
    새로운 도로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상기 교통정보가 갱신되는 경우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도로 구간이 상기 제2 위치까지의 최종 도로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최적 경로를 선택하지 않고, 종전의 상기 최적 경로로 주행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
  12. 교통 정보를 포함한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메시지 정보가 메시지 관리를 위한 시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관리 정보, 현재 교통 혼잡상태 정보 또는 예측 교통 혼잡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 상기 현재 또는 예측 교통 혼잡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각각의 위치도로구간에 할당된 링크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교통 혼잡상태 정보 또는 예측 교통 혼잡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교통정보 추출부;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제 1위치 값 및 제 2 위치 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주행 경로 탐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위치값들에 대응 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 중 복수개의 정보들에 따라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현 위치 또는 출발지 중 어느 하나인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목적지 또는 경유지 중 어느 하나인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도로구간별 혼잡도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상기 현재 교통혼잡상태 정보와 예측 교통혼잡상태 정보들에 따라 설정되는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예측정보는, 상기 도로구간별로 기설정된 가중치와 해당 도로구간의 거리를 각각 곱한 값을 상기 전 도로 구간에 대해 합산한 값으로 산출되는 단말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가능한 경로 각각에 대해 산출된 상기 주행 예측 정보에 따라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능한 경로에 대해 각각 산출된 상기 주행 예측정보가 최저값이 되는 주행 경로를 상기 최적 경로로 선택하는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예측정보가 최저값이 되는 주행 경로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능한 경로 중 혼잡도 추이가 감소하는 구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상기 최적 경로로 선택하는 단말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경로에 따라 주행 중 경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전 도로 구간의 주행 예측 정보를 재 산출하는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재탐색이 요구되는 이벤트는,
    새로운 도로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상기 교통정보가 갱신되는 경우인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도로 구간이 상기 제2 위치까지의 최종 도로 구간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최적 경로를 선택하지 않고 종전의 상기 최적 경로로 주행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20070066116A 2007-05-02 2007-07-02 주행 경로 선택 KR10146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40,625 US8626437B2 (en) 2007-05-02 2008-02-29 Selecting route according to traffic information
EP08723503.2A EP2142887B1 (en) 2007-05-02 2008-03-14 Selecting route according to traffic information
PCT/KR2008/001466 WO2008136576A1 (en) 2007-05-02 2008-03-14 Selecting route according to traff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546607P 2007-05-02 2007-05-02
US60/915,466 2007-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895A true KR20080097895A (ko) 2008-11-06
KR101467557B1 KR101467557B1 (ko) 2014-12-10

Family

ID=402856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116A KR101467557B1 (ko) 2007-05-02 2007-07-02 주행 경로 선택
KR1020070067436A KR20080097896A (ko) 2007-05-02 2007-07-05 주행 경로 선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436A KR20080097896A (ko) 2007-05-02 2007-07-05 주행 경로 선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6437B2 (ko)
EP (1) EP2142887B1 (ko)
KR (2) KR101467557B1 (ko)
WO (1) WO20081365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1055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Navigation systems that enhance driver awareness
CN103236170A (zh) * 2013-04-15 2013-08-07 同济大学 一种基于动态路网的交通诱导新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7781B2 (en) 2000-08-28 2003-07-01 Estimo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and processing vehicular traffic data and information and applying thereof
US7620402B2 (en) 2004-07-09 2009-11-17 Itis Uk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ographically locating a mobile device
US7783406B2 (en) 2005-09-22 2010-08-24 Reagan Inventions, Llc System for controlling speed of a vehicle
US20110037619A1 (en) * 2009-08-11 2011-02-17 On Time Systems, Inc. Traffic Routing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GPS and Mobile Data Devices
US10083607B2 (en) 2007-09-07 2018-09-25 Green Driver, Inc. Driver safety enhancement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and GPS
US9852624B2 (en) 2007-09-07 2017-12-26 Connected Signals, Inc. Network security system with application for driver safety system
US9043138B2 (en) 2007-09-07 2015-05-26 Green Driver,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updating of map information
US20110040621A1 (en) * 2009-08-11 2011-02-17 Ginsberg Matthew L Traffic Routing Display System
AU2008316525A1 (en) * 2007-10-26 2009-04-30 Tomtom International B.V. A method of processing positioning data
KR101067424B1 (ko) * 2008-07-28 201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위젯을 이용한 교통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GB0901588D0 (en) 2009-02-02 2009-03-11 Itis Holdings P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journey information
US10198942B2 (en) 2009-08-11 2019-02-05 Connected Signals, Inc. Traffic routing display system with multiple signal lookahead
CN101799300A (zh) * 2010-03-11 2010-08-11 王明海 根据路况进行导航的方法和装置
GB201113112D0 (en) * 2011-02-03 2011-09-14 Tomtom Dev Germany Gmbh Method of generating expected average speeds of travel
JP5384545B2 (ja) * 2011-03-07 2014-0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システム、ナビサーバ、ナビクライアントおよびナビ方法
GB2492369B (en) 2011-06-29 2014-04-02 Itis Holdings Plc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traffic data
CN102610091B (zh) * 2012-03-22 2013-09-25 北京世纪高通科技有限公司 出行服务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WO2013151379A1 (ko) * 2012-04-06 201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단말
CN103632542A (zh) * 2012-08-27 2014-03-12 国际商业机器公司 交通信息处理方法、装置和相应设备
GB201307550D0 (en) 2013-04-26 2013-06-12 Tomtom Dev Germany Gmbh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a recommended navigable stretch
US9330136B2 (en) * 2013-10-08 2016-05-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ystem for proving proactive zone information
CN103714708A (zh) * 2013-12-18 2014-04-09 福建工程学院 一种基于出租车分时段的经验路径的最优路径规划的方法
KR20150111468A (ko) * 2014-03-25 2015-10-06 왕수민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CN104008666B (zh) * 2014-05-08 2016-08-24 中山大学 一种面向兴趣点的指路标志布设方法
US9550495B2 (en) 2015-03-27 2017-01-24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assisting vehicles with changing road conditions
CN104990559B (zh) * 2015-07-27 2018-08-21 福建工程学院 一种基于出租车经验数据的路径推荐方法、系统及客户端
US9989368B2 (en) * 2016-05-15 2018-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closed roads and routes
US9916756B2 (en) * 2016-05-24 2018-03-13 Iheartmedia Management Services, Inc. Broadcast traffic information bounding areas
JP7002676B2 (ja) * 2018-11-14 2022-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CN110070741B (zh) * 2019-05-23 2022-03-01 河南城建学院 用于交通管理的信息处理方法
US11548531B2 (en) * 2019-05-28 2023-01-10 Motional Ad Llc Autonomous vehicle fleet management for reduced traffic congestion
US11781875B2 (en) * 2019-08-21 2023-10-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analyzing connected roads
FR3100630B1 (fr) * 2019-09-05 2021-10-29 Amadeus Validation de la mise en mémoire-cache étendue et du temps de requête
KR102416301B1 (ko) * 2020-10-14 2022-07-01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정 시설에 대한 교통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CN114067592A (zh) * 2021-10-28 2022-02-18 智道网联科技(北京)有限公司 处理交通拥堵事件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631211A (zh) * 2023-05-24 2023-08-22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车联网的紧急车辆道路拥堵疏散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56B1 (ko) 1998-10-08 2002-05-18 김정환 자동차교통정보제공시스템
DE19914041A1 (de) * 1999-03-27 2000-09-2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Information von Autofahrern
MXPA03000171A (es) 2000-06-26 2004-09-13 Stratech Systems Ltd Metodo y sistema para proveer informacion sobre trafico e informacion relacionada.
CN100511324C (zh) * 2001-08-10 2009-07-08 爱信Aw株式会社 导航系统
US6983204B2 (en) * 2002-01-09 2006-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pping travel routes
GB0220062D0 (en) * 2002-08-29 2002-10-09 Itis Holdings Plc Traffic scheduling system
KR100485867B1 (ko) * 2002-11-13 2005-04-28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의 경로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5203B1 (ko) * 2002-12-10 2005-09-20 에스케이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68423B1 (ko) * 2003-02-05 2012-07-25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탐색 방법 및 교통 정보 표시 방법
US7124023B2 (en) * 2003-12-12 2006-10-1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Traffic flow data collection agents
US7680596B2 (en) * 2004-04-06 2010-03-16 Honda Motor Co., Ltd. Route calculation method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20050273250A1 (en) 2004-05-18 2005-12-08 Bruce Hamilt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navigational route selection
US7739029B2 (en) * 2004-09-08 2010-06-15 Aisin Aw Co., Ltd.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traffic ranking and display
KR20060119739A (ko)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간 통과시간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방법 및 장치
GB0520576D0 (en) * 2005-10-10 2005-11-16 Applied Generics Ltd Using traffic monitoring information to provide better driver route planning
US7778769B2 (en) * 2006-11-27 2010-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least-cost routes based on historical fuel efficiency, street mapping and location based services
US20080133120A1 (en) * 2006-11-30 2008-06-05 Romanick Ian D Method for determining and outputting travel instructions for most fuel-efficient rou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1055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Navigation systems that enhance driver awareness
CN103236170A (zh) * 2013-04-15 2013-08-07 同济大学 一种基于动态路网的交通诱导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2887A4 (en) 2012-06-27
EP2142887A1 (en) 2010-01-13
US20080275629A1 (en) 2008-11-06
WO2008136576A1 (en) 2008-11-13
EP2142887B1 (en) 2017-05-03
KR101467557B1 (ko) 2014-12-10
US8626437B2 (en) 2014-01-07
KR20080097896A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557B1 (ko) 주행 경로 선택
KR20080097320A (ko) 주행 경로 선택 방법 및 단말기
US8009659B2 (en) Providing congestion and travel information to users
US9171466B2 (en) On-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8825349B2 (en) On-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604724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探索方法
WO2012089260A1 (en) Method for improved output of address location and application to navigation devices
US20130166187A1 (en) Method of selecting a traffic pattern for use by a navigation system
JP2011209125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637935B2 (ja) 経路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
JP4606979B2 (ja) 道路交通情報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端末機
JP4154301B2 (ja) 交通情報受信装置及び交通情報取得方法
KR20080063631A (ko) 차로별 교통정보의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장치
JP386473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車載装置
KR101370209B1 (ko) 교통 정보 생성 방법 및 그 단말기
JP20061454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041008A (ko) Tpeg 메시지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
KR20090044634A (ko) 분기점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단말기
KR20090047040A (ko) 전용차선과 비전용차선으로 구분된 도로 구간의 정보를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단말기
KR20100031229A (ko)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17

Effective date: 2014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