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947A -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947A
KR20080096947A KR1020070041912A KR20070041912A KR20080096947A KR 20080096947 A KR20080096947 A KR 20080096947A KR 1020070041912 A KR1020070041912 A KR 1020070041912A KR 20070041912 A KR20070041912 A KR 20070041912A KR 20080096947 A KR20080096947 A KR 2008009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hard coating
weight
glar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920B1 (ko
Inventor
유중환
윤동신
Original Assignee
요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업기술원 filed Critical 요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4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9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 입경 10 내지 1000 nm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자외선 경화수지,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방현성, 대전방지성, 하드코팅, 실리카 중공 미세구, 자외선 경화 수지, 확산 반사, 내스크래칭성

Description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 {COMPOSITION FOR ANTISTATIC ANTIGLARE HARD COAT, AND A FILM PREPARED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소성 후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먼지 오염 및 눈부심을 방지하는 대전방지성/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이용하여 방현 기능 및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코팅제에 대전방지 기능을 함께 부여한 저비용 고효율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디스플레이는 화질의 선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광의 산란을 통한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방현 처리 및 외부의 환경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전방지 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방현성 처리 방법으로는 대전방지층과 방현층을 따로 제조하는 방법과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 단계에서 기재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조 공정의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각각의 층이 가지고 있는 수지의 접착성, 수축률 및 굴절률을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요철을 형성하기 위하여 특수한 롤을 사용한 경우에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요철부분에 대전방지 재료의 응집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051879호 및 제2006-0135787호에는 기재/대전방지층/하드코팅층/저굴절층의 순서로 도막을 형성하여 대전방지, 내스크리치, 방현 기능을 부여한 디스플레이 코팅제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저층에 위치한 대전방지층이 비교적 두꺼운 하드코팅층에 의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대전 방지 재료를 과량으로 첨가해야 하고 이에 따른 광투과율과 표면 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과 대전 방지 재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금속산화물은 일반적으로 바인더 수지에 비하여 굴절률이 높고 금속산화물을 사용한 대전방지층은 기재필름이나 하드코팅층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율로 이루어져 굴절율차에 의한 간섭무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리카 중공 미세구 및 대전방지제를 동시에 특정 함량으 로 포함하여, 우수한 내스크래치성과 방현성을 구현하고 외부 환경 오염원인 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는 대전방지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코팅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평균 입경 10 내지 1000 nm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용매
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코팅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사용하여 높은 광투과율, 낮은 헤이즈, 및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며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단일층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은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 방지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는 외부광을 산란시키는 기능과 외부 자극에 대한 내스크래치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며, 특히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서는 중공 미세구의 함량 및 크기가 중요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구형이 좀더 바람직하다.
도 1는 실리카 중공 미세구 소성 후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TEM)이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실리카 중공 미세구는 속이 빈 구형 입자이며, 평균 입경이 10 내지 1000 nm이다. 분산성과 방현 특성 측면에서는 균일한 분포를 갖는 입자가 바람직하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700 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100 내지 500 nm이다. 본 발명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평균 입경이 10 nm미만인 경우에는 빛의 확산 산란이 잘 일어나지 않고, 10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백화현상으로 인하여 투명성 및 헤이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실리카 중공 미세구는 중공구의 외벽 두께가 3 내지 20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0 nm이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nm이다.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중공구의 외벽 두께가 3 nm미만에서는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강도가 약해 입자가 깨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200 nm를 초과하면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된다.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중 고형분의 1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은 본 발명의 방현 코팅제에 포함되는 성분 중에서 용매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함량이 고형분의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한 실리카 중공 미세구 입자에 의한 빛의 확산 산란의 효과가 미미하여 광택도가 높아 방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헤이즈가 심하여 화면의 선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는 상용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심물질 제거법(Sacrificial core) 또는 에멀젼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전방지제는 인듐 산화주석(ITO), 안티몬 도핑된 산화주석(ATO), 안티몬 도핑된 산화아연(AZO), 금, 은, 니켈 등의 금속 분말과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알코올 또는 에스테르와 같은 유기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중 고형분의 1내지 3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 고형분에 대하여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 저항값이 증가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헤이즈 및 광투과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화면의 선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는 전체 코팅제 조성물 중 고형분의 55내지 9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6 내지 91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는 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로 피막의 내스크래치성의 관점에서 분자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계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예로서, 관능기가 2개 이상인 자외선 경화 수지로는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폴리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헥사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켐토프로피온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3개 이상이다. 분자내 2개 이상의 아크릴계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개시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광개시제가 라디칼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의 경화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개시제의 라디칼 반응이 촉진되어 코팅제의 보관 안정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2-하이드록실-2-메틸-1-페닐 프로판온,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2-하이드록실-1-(4-(2-하이드록시에토시)페닐)-2-메틸프로판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메턴올,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온, 디페닐포스포릴메시틸 메탄온, 펜닐포스포릴비스(메시틸메탄온), (s)-2-벤질-2-(디메틸아미노)-1-(4-머폴리노펜닐)부탄온, 2-메틸-2-(4-(메틸시오)페닐)-2-머폴리노프로판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예 이외에도 알려진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로는 알코올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및 아미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코올류는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상기 케톤류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논 및 메틸시클로헥산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상기 에스테르류는 초산 메틸, 초산 에틸, 초산 프로필, 초산 브틸, 포름산 에틸, 포름산 프로필, 포름산 브틸 및 유산 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상기 에테르류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이옥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미드류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케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복수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나 에테르류의 용매를 복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코팅성의 조절을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타 성분의 함량에 따라 잔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 분산제, 및 평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각각 종류별로 전체 방현 코팅제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는 BYK chemie Co.의 Anti-Terra-U (불포화 폴리아민) 및 Disperbyk-103 등이 있고, 상기 평활제로는 BYK chemie Co.의 Byk-370 (폴리에스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 및 Byk-371 (폴리에스테르 변성 아크릴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분산제와 평활제도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은 평균 입경 10 내지 1000 nm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0.1 내지 5 중량%, 분산제 0.1 내지 5 중량%, 평활제 0.1 내지 5 중량%, 및 용매 5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전체 고형분의 1 내지 15 중량%, 대전방지제를 전체 고형분의 1 내지 30 중량%,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체 고형분의 55 내지 9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평균 입경 10 내지 1000 nm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드코팅층은 투명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투명기재의 일면에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입자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막이 형성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상기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은 광투과율 90 내지 99%이고, 헤이즈가 2 내지 50이며,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Ω/cm2인 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투과율 92 내지 99%이고, 헤이즈가 5 내지 30% 이며, 연필경도가 4H 이상이고, 표면저항이 106 내지 1010 Ω/cm2인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서 투명기재로는 본 발명의 하드코팅용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투명한 필름 또는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 (PVC), 셀로판,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석영 유리, 또는 소다 유리 등의 유리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 하드코팅 필름의 경화피막, 즉, 하드코팅층은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대전방지 및 방현성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의 경화피막 두께가 0.5 내지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리카 중공 미세구 분산액 제조)
자외선 경화 수지 모노머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크를 분산매 중 고형분 함량 33.3 중량%와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분산매 중 고형분 함량 66.7 중량%, 분산제인 BYK-Dispersant(BYK Gardner GMBH 제품) 3 중량%, 용매인 알코올 11 중량% 및 에테르 11 중량%를 첨가하여 분산매를 제조하였다.
500 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분산액 대비 고형분 함량이 12.9 중량%로 첨가하여 실리카 중공 미세구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방현성 하드코팅제 제조)
자외선 경화 수지 모노머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드를 방현성 하 트코팅제 중 고형분 함량이 72 중량%,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방현성 하트코팅제 중 고형분 함량 23 중량%,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방현성 하드코팅제 중 고형분 함량이 5 중량%, 및 평활제 1 중량%, 용매인 알코올 44 중량% 및 에테르 43 중량%를 빛이 투과되지 않는 용기에 넣고 교반한 후, 광 개시제인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온(2,2-dimethoxy-1,2-diphenylethanone) 1 중량%를 첨가하여 방현성 하드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제조)
방현성 하드코팅제에 ITO 분말을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대비 고형분 함량이 4 중량%로 첨가하여 두 용액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한다.
(UV 경화 피막 제조)
투명 아크릴판에 상기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를 바 코팅(Bar coating)으로 도포하여 50 ℃에서 건조 후, 고압 수은 램프(500 mJ/cm2)를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실시예 2
ITO 분말을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대비 고형분 함량이 8 중량%로 첨가하여 두 용액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ITO 분말을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대비 고형분 함량이 11 중량%로 첨가하여 두 용액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ITO 분말을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대비 고형분 함량이 20중량%로 첨가하여 두 용액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대전 방지 재료를 ATO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대전 방지 재료를 ATO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대전 방지 재료를 ATO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방현성 하드코팅제 중 고형분 함량이 0.5 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방현성 하드코팅제 중 고형분 함량이 10 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신에 일반 실리카 입자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하였다.
비교예 3
실리카 중공 미세 중공구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방현성 하드코팅제 중 고형분 함량이 20 중량%를 혼합하여 코팅제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ITO 분말을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대비 고형분 함량이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ITO 분말을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대비 고형분 함량이 1중량%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제 및 UV 경화 피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정리하였다.
(1) 광 투과율 및 헤이즈
분광광도계(일본, 주식회사 NIPPON DENSHOKU, NDH300A)을 이용하여 전광선 투과율(Total Transmittance)와 헤이즈(Haze)를 측정하였다.
(2) 광택도
광택도 측정기(독일, BYK Gardner)를 사용하여 60°/60°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3) 표면저항
멀티메타(표면저항기 ST-3)에 연결한 평행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연필경도
ASTM D3502 측정법인 연필경도시험기(일본, 주식회사 Yoshimitsu)를 사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리카함량/ 고형분대비 (wt%) 대전방지제 함량/ 고형분대비 (wt%) 광 투과율 (%) 헤이즈 (%) 광택도 연필경도 (H) 표면저항 (Ω/cm2)
실시예 1 5 ITO 4 96.7 6.8 112 4 1010
실시예 2 5 ITO 8 97.1 11.3 89 4 109
실시예 3 5 ITO 11 96.8 13.2 78 4 108
실시예 4 5 ITO 20 93.2 21.1 45 4 108
실시예 5 5 ATO 4 97.4 8.7 102 4 1011
실시예 6 5 ATO 8 96.9 15.7 72 4 1010
실시예 7 5 ATO 11 97.2 19.3 61 4 109
실시예8 0.5 ITO 4 98.9 4.5 125 4 1010
실시예9 10 ITO 4 95.3 24.5 83 4 1010
비교예 1 5 - 97.3 6.1 118 4 1012
비교예 2 5 ITO 4 95.4 1.4 130 4 1012
비교예 3 - ITO 4 97.1 1.8 140 3 1012
비교예 4 20 ITO 4 87.9 48.6 42 5 1012
비교예 5 20 ITO 20 88.8 61.3 16 5 1011
비교예 6 0.5 ITO 1 98.2 1.2 163 3 1012
상기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방현 필름은 광 투과율이 96.7~97.4%로 우수하였고, 헤이즈 4.5~24.5, 연필경도 4H, 및 표면 저항이 108~1011 Ω/cm2를 나타내어 방현기능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대전방지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방현 필름에서는 투과율과 광택도가 낮게 관찰되었으며, 동등한 수준 입경의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동등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 비해서 헤이즈가 높거나, 표면저항값이 크며, 연필경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빛의 산란 효과가 우수한 실리카 중공 미세구 및 대전방지제를 활용하여 108 내지 1011 Ω/cm2의 우수한 표면 저항을 가지며, 전반적으로 광투과율, 광택도, 연필 경도가 우수한 디스플레이 코팅제로서 우수한 물성이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은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포함하여 중공 미세구 입자가 코팅 후 건조 시 고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빛의 산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드코팅제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은 우수한 대전방지, 방현기능, 내스크래치성 등을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제조 공정 단축 및 원가 절감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은 LCD, PDP 및 OLED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평균 입경 10 내지 1000 nm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용매
    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함량은 고형분의 0.1 내지 15 중량%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용 조성물 내에 상기 대전방지제는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광개시제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인듐 산화주석(ITO), 안티몬 도핑된 산화주석(ATO), 안티몬 도핑된 산화아연(AZO), 및 금, 은, 또는 니켈의 금속 분말이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제 및 평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 10 내지 1000 nm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
    대전방지제;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0.1 내지 5 중량%;
    분산제 0.1 내지 5 중량%;
    평활제 0.1 내지 5 중량%; 및
    용매 50 내지 95 중량%
    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전체 고형분의 1 내지 15 중량%, 대전방지제를 전체 고형분의 1 내지 30 중량%,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체 고형분의 55 내지 98 중량%로 포함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며, 광투과율 90 내지 99%이고, 헤이즈가 2 내지 50이며, 연필경도 3H 이상이고, 표면저항이 108 내지 1011 Ω/cm2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경화피막이 단일층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경화피막 두께가 0.5 내지 5 ㎛인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KR1020070041912A 2007-04-30 2007-04-30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KR10089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912A KR100892920B1 (ko) 2007-04-30 2007-04-30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912A KR100892920B1 (ko) 2007-04-30 2007-04-30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947A true KR20080096947A (ko) 2008-11-04
KR100892920B1 KR100892920B1 (ko) 2009-04-09

Family

ID=4028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912A KR100892920B1 (ko) 2007-04-30 2007-04-30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40B1 (ko) * 2009-02-27 2011-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KR20110133264A (ko) * 2010-06-04 2011-12-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179B1 (ko) * 2004-12-24 2006-12-2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재의 코팅 방법
KR20070032228A (ko) * 2005-09-16 2007-03-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포방법 및 도포장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및반사방지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40B1 (ko) * 2009-02-27 2011-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KR20110133264A (ko) * 2010-06-04 2011-12-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920B1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2406B1 (en) Outstandingly abrasion resistant and pollution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KR101862251B1 (ko)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KR101127952B1 (ko)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JP5598892B2 (ja) 積層透明膜
KR102009962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JP5060781B2 (ja) 透明導電膜形成用組成物、透明導電膜及びディスプレイ
EP2433992A1 (e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agent composite, adhesive agent layer, adhes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50070124A (ko)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성 하드코트 수지 조성물
US20200363561A1 (en) Anti-glare film and polarizer with the same
KR100892920B1 (ko)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필름
JPWO2003055950A1 (ja) 塗料組成物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0824325B1 (ko)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JP2008156413A (ja) 塗料と積層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膜付き基材
JP200524793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479152B (zh) 一种高硬度防眩膜
KR20090073619A (ko) 대전방지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방현필름
KR101855987B1 (ko) 금속산화물 유기 나노분산액,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광학부재
KR20090008516A (ko) 다양한 크기의 나노 분말을 사용한 난반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과 이 조성물을 사용한 물품
JP4426193B2 (ja) 導電性ハードコート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JP2005316426A (ja) 帯電防止層と低屈折率層とを有する反射防止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080100511A (ko) 폴리스티렌 입자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KR101385031B1 (ko) 하드코팅필름
JP4498680B2 (ja) ハードコート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KR101367527B1 (ko) 표면 형상이 제어된 가교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
JP2012247667A (ja) 反射防止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硬化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