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298A -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298A
KR20080096298A KR1020070041590A KR20070041590A KR20080096298A KR 20080096298 A KR20080096298 A KR 20080096298A KR 1020070041590 A KR1020070041590 A KR 1020070041590A KR 20070041590 A KR20070041590 A KR 20070041590A KR 20080096298 A KR20080096298 A KR 2008009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rbon dioxide
brown rice
supercritic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은석
최성환
이윤우
주영운
신언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주식회사 유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주식회사 유맥스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4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298A/ko
Publication of KR2008009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4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using super critical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03Solvent extraction of solids with a supercritical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수분을 함유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쌀의 파쇄를 방지하는 동시에 현미에 포함된 지방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현미의 풍미를 개선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현미에 포함된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여 현미 제조 과정 중에 부서지거나 표면의 형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현미가 포함하고 있는 다른 성분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백미의 풍미와 부드러움을 보유한 현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 현미를 처리하였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처리된 현미 내 수분 함량의 감소와 이에 따른 쌀의 파쇄를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초임계 추출, 현미, 이산화탄소, 파쇄, 수분

Description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ithout crushing of rice}
도 1은 50℃에서 압력에 따른 CO2-H2O 이성분계의 몰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추출 전·후의 수분 함량 변화에 따른 현미의 파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산화탄소 실린더 2-1 : 이산화탄소 저장조
2-2 : 이산화탄소 저장조 뷰어 3-1 : 냉각 장치
3-2 : 냉각수 공급 장치 4 : 이산화탄소 공급 펌프
5-1 : 물 저장조 5-2 : 물 저장조 뷰어
6 : 물 공급 펌프 7-1 : 가열 장치
7-2 : 온수 공급 장치 8 : 추출조
9 : 온도계 10 : 압력계
11 : 역압력조정기 12 : 분리조
13-1 : 흡착탑-1 13-2 : 흡착탑-2
14 : 응축기 15 : 항온조
V1 내지 V9 : 밸브
본 발명은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수분을 함유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쌀의 파쇄를 방지하는 동시에 현미에 포함된 지방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아시아 지역에서 주식으로 섭취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식생활에 있어서 쌀의 비중은 절대적이다. 또한, 현대인의 건강유지와 질병에 관련하여 섭생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주식인 쌀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벼는 중량무게 26%의 껍질(왕겨)을 벗겨낸 것이 현미이며, 이에 중량무게 24%의 쌀겨(米糠)와 쌀눈(胚芽)을 추가로 벗겨낸 것이 백미이다. 벼를 기준으로 하여 현미는 중량무게 74%이며, 백미는 중량무게 50%이다. 중량무게 약 24%의 쌀겨와 쌀눈에는 벼가 가지고 있는 영양성분의 약 90%정도가 분포하며, 분석방법, 벼의 종자, 재배 방법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비타민군이 2 - 16 배, 미네랄 성분이 1.3 - 2 배, 섬유소 3.3 배, 단백질 1.3 배에 이르는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다. 현재 우리가 주식으로 섭취하는 백미가 현미로 대체될 경우 쌀겨와 쌀눈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보다 많이 그리고 규칙적으로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 사용되어 온 백미의 관습적인 사용과 백미의 풍미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의 입맛에 현미의 거칠고 부드럽지 못한 질감과 맛은 맞지 않으며, 현재 현미가 널리 섭취되지 못하고 있는 가장 주된 이유이다. 이에, 현미가 백미와 비슷한 질감과 풍미를 갖게 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2003-43495호에는 현미를 발아시킨 기존의 발아현미 제조법을 개량하여 벼를 발아시킨 후 왕겨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바 이는 비타민 등의 영양분과 외형의 손실 없이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킨다고 하였으나 현미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59-78656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미곡의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느 초임계 상태 또는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이용하여 현미의 지방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현미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또 다른 현미의 제조법으로는 일본특허공개 소59-156259에 추출 전 현미 100 g에 5 g의 물을 분무시킨 후 초임계 추출을 시행한 다음 급격한 감압을 통한 가공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공개 2005-58152에는 아임계/초임계 유체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건강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현미 표면의 지방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현 미의 영양분과 외형의 손실 없이 현미의 수분흡수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으나, 아임계/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공정에 별도의 수분첨가 없이 현미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발명은 실시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는 본원 명세서의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바, 50℃에서의 압력에 따른 CO2-H2O 이성분계의 몰분율을 나타낸 도 2로부터 계산한 물의 아임계/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는 약 1.4 g/kg에서 약 3.3 g/kg까지의 값을 가지며, 이는 같은 조건에서의 지방성분의 아임계/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가 4 g/kg에서 8 g/kg까지의 값을 가짐에 비교할 때 상당한 수치이다. 이는 별도의 수분첨가 없이 아임계/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 현미에서 수분의 손실 없이 지방성분만을 선별적으로 추출해내는 것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현미에서 수분이 손실된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로 미곡류는 특정한 수분비율을 가질 때, 조리된 밥의 맛이 최적의 상태가 되는데, 현미의 경우 중량무게 기준으로 15%에서 16% 정도이다. 둘째로 현미에서 수분비율이 감소하면 현미 표면의 쌀겨와 쌀눈의 파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현미 형태의 변화 및 질량감소로 인한 상품가치의 감소 및 상실을 야기하고 또한 쌀겨와 쌀눈에 함유된 영양성분의 상실 등을 야기하게 된다.
상기 대한민국특허공개 2005-58152에는 지방 성분이 추출된 후 흡수도가 증가하여 현미의 취반성을 개선하였다고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현미 표면에 많은 crack을 임의로 발생시켜 수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만들어 현미의 취반성을 개선시 킨 것으로 판단된다. 그 근거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6-604341에 개시되어 있는바 현미 표면에 칼집내기를 하기 위한 장치에서 표면에 많은 crack을 임의로 발생시켜 수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만들어 현미의 취반성을 개선한 예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한 현미의 추출방법은 추출 후 현미 표면에 crack이 발생하거나 잘게 부서지는 등 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흡수도가 개선된 것으로 쌀 낟알의 크기나 형태가 일정치 않아지므로 상품의 가치를 현저히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수분 함량의 변화에 따른 쌀겨와 쌀눈의 파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 처리된 현미들을 체(26 mesh, 0.71 mm)로 걸러서 파쇄된 쌀겨와 쌀눈의 중량무게를 측정한 것이다. 파쇄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되었으며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처리 전후의 수분 함량 변화가 증가할수록 보다 많은 쌀겨와 쌀눈이 파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32187743-PAT00001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5-95907에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낮은 지방질함량을 가지는 곡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60 - 110 ℃ 온도 조건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한다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미곡 또는 현미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60 ℃ 이상의 온도 조건을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쌀의 경우, 왕 등(M.Wang et al, J. Agric . Food Chem., 47 (1999) 411-416)에 따르면 쌀겨에 다량 포함된 단백질(rice bran protein)의 경우 시차주사열량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83.4 ℃에서 변성이 일어난다고 하였으며 상기 특허의 온도 조건은 곡물로부터 지방질을 추출함에 적합한 조건일지는 모르나 품질 저하 문제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일정 수분을 함유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쌀의 파쇄를 방지하는 동시에 현미에 포함된 지방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현미의 풍미를 개선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현미의 지방성분을 추출할 때, 물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수분 함량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쌀의 파쇄를 방지하고 지방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한 추출 공정을 통해 현미 표면의 지방을 선택적으 로 제거하여 현미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현미 표면의 지방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의 적절한 혼합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상태는 온도가 31 내지 60 ℃, 압력이 100 내지 350 bar, 밀도가 0.6 내지 1.0 g/㎤이며 첨가되는 물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량 분율이 0.001 - 0.0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장치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이산화탄소 실린더(1), 이산화탄소 저장조(2-1), 이산화탄소 저장조 뷰어(2-2), 냉각 장치(3-1), 냉각수 공급 장치(3-2), 이산화탄소 공급 펌프(4), 물 저장조(5-1), 물 저장조 뷰어(5-2), 물 공급 펌프(6), 가열 장치(7-1), 온수 공급 장치(7-2), 추출조(8), 분리조(12), 흡착탑(13), 응축기(14), 항온조(15)로 구성된다.
이산화탄소 저장조(2-1)에 저장되어 있던 이산화탄소는 냉각 장치(3-1)를 통하여 과냉각된 액상이 된 후 이산화탄소 공급 펌프(4)를 통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고 가열 장치(7-1)를 통하여 목표 온도에 도달하여 초임계 상태에 도달한 후 추출조(8)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물 저장조(5-1)에 저장된 수분은 물 공급 펌프(6)를 통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고 이산화탄소와 혼합된 후 가열 장치(7-1)를 통하여 목표온도에 도달한 후 추출조(8)로 공급된다. 상기 추출조(8)에는 지방 성분을 추출하고자 하는 현미가 투입되며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의 혼합 용매에 의해 상기 추출조(8)에서 현미에 포함된 지방 성분의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초임계 추출이 끝난 후 현미의 추출된 지방 성분을 함유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역압력조정기(11)를 거치면서 감압되어 기체 상태로 변화하면서 지방 성분 및 수분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분리조(12)에서 추출된 지방 성분과 공급된 수분이 이산화탄소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지방 성분과 수분이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재사용할 수 있도록 활성탄과 molecular sieve가 채워진 흡착탑(13)에서 정제 과정을 거치고, 응축기(14)에서 액상으로 응축되어 이산화탄소 저장조(2-1)로 회수된다.
추출에 사용되는 적절한 물의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량 분율은 각각 200 bar, 50 ℃ 조건에서 0.0022, 300 bar 50 ℃ 조건에서 0.0025 정도로서 이 값들은 시행오차에 의하여 찾아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이산화탄소 내의 물의 몰분율은 압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실제 현미의 경우에는 물과 이산화탄소 외에도 지방 성분들이 함께 존재하는 다성분계 시스템이므로 도 1의 값들과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미에 포함된 수분이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쌀이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출조로 유입되기 이전에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 수분 함량이 포화 상태에 도달할 만큼 물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즉,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물에 대한 용해력을 미리 제거하여 줌으로써 현미 내의 수분이 추출되는 것을 막아 쌀의 파쇄를 방지하고 지방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 출하고자 하였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적절한 물과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질량 유량비는 도 1에 나타낸 이산화탄소에 대한 물의 몰분율을 고려하여 시행 오차로부터 찾아낸 상기 최적조건을 따라 200 bar, 50 ℃ 조건에서는 0.0217:9.86 또는 0.0444:20.20을 사용하였으며, 300 bar, 50 ℃ 조건에서 0.0192:7.50 또는 0.00447:17.88을 사용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현미는 강원도 춘천산 현미이고, 도정한지 1주일 이내의 것을 구매하여 사용했으며 원료의 상태가 변하는 것(지방 성분의 산패, 수분함량의 증감)을 방지하기 위해 구매 즉시 진공포장 상태로 보관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9.86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217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667분(약 11.1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9.86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217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1380분(약 2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20.20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444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736분(약 12.3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20.20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444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 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1225분(약 20.4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9.86 g/min으로 조정한 후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물의 공급 없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667분(약 11.1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9.86 g/min으로 조정한 후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물의 공급 없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1380분(약 23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20.20 g/min으로 조정한 후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물의 공급 없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736분(약 12.3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2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20.20 g/min으로 조정한 후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물의 공급 없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1225분(약 20.4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3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7.50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192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824분(약 13.7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3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7.50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192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1306분(약 21.8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3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17.88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447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626분(약 10.4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추출조에서의 압력은 300 bar, 온도는 50 ℃,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량은 17.88 g/min, 그리고 물 유량을 0.0447 g/min으로 조정한 후 현미 100 g을 내부용적 0.3 L의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물을 상기 명시한 유량대로 공급해주며 1286분(약 21.4시간)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수분 함량 및 지방 함량 측정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추출 처리한 현미의 수분 함량 및 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은 먼저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든 다음 3 g 내외를 샘플로 취한 후, 할로겐 램프를 이용하여 105 ℃ 조건에서 건조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 3회 반복 측정한 다음 평균치를 구한 값을 사용하였다.
지방 함량은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든 다음 n-헥산을 용매로 사용하는 soxhlet 장치를 이용하여 10시간 동안 추출한 지방의 질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각각 3회씩 반복 측정한 다음 평균치를 구한 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 전 후의 지방 함량 및 수분 함량 변화
구분 지방 함량 (wt%) 수분 함량 (wt%)
처리 전 처리 후 처리 전 처리 후
실시예 1 2.23 1.47 16.53 16.42
실시예 2 2.23 1.28 16.53 16.47
실시예 3 2.23 1.45 16.53 16.43
실시예 4 2.23 1.31 16.53 16.62
비교예 1 2.23 1.98 16.53 11.96
비교예 2 2.23 1.74 16.53 10.23
비교예 3 2.23 1.92 16.53 10.36
비교예 4 2.23 1.73 16.53 9.55
실시예 5 2.23 1.52 16.53 16.66
실시예 6 2.23 1.31 16.53 16.58
실시예 7 2.23 1.53 16.53 16.61
실시예 8 2.23 1.17 16.53 16.55
상기 표 1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모든 비교예와 같이 보조용매로 물을 공급하지 않을 경우, 현미 내 수분 함량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반면, 모든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 보조용매로 적절한 유량의 물이 공급될 경우, 현미의 수분 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처리 전후의 수분 함량이 유지됨에 따라 제조된 현미 표면의 미세한 crack이 생기지 않으므로 쌀겨나 쌀눈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의 형태나 가치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현미 특유의 냄새 즉, 지방 성분만을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미 내 지방 함량이 더욱 감소하였으나 장시간 동안 추출 처리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현미 처리 방법은 현미 내 수분 함량을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쌀의 파쇄를 방지하면서 지방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은 현미 표면의 지방 성분을 제거한 기능성 현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추출 용매로 사용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보조 용매로 적정 수준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현미 내 수분 함량을 유지하여 줌으로써 쌀의 파쇄를 방지하면서 지방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추출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주용매로 하고 물을 보조 용매로 사용하여 현미로부터 지방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초임계 상태는 온도가 31 내지 60 ℃이고, 압력이 100 내지 350 bar,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밀도가 0.6 내지 1.0 g/㎤이며 첨가되는 물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량 분율이 0.001 - 0.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KR1020070041590A 2007-04-27 2007-04-27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KR20080096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90A KR20080096298A (ko) 2007-04-27 2007-04-27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90A KR20080096298A (ko) 2007-04-27 2007-04-27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98A true KR20080096298A (ko) 2008-10-30

Family

ID=4015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90A KR20080096298A (ko) 2007-04-27 2007-04-27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4211B (zh) * 2009-01-05 2013-01-23 王艺瑾 超临界多元流体精制稻米工艺及工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4211B (zh) * 2009-01-05 2013-01-23 王艺瑾 超临界多元流体精制稻米工艺及工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4410B2 (en) Whole green coffee bean product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CN102746943A (zh) 一种非转基因大豆油的冷榨制取工艺
CN102524411B (zh) 一种大豆核桃乳及其制备方法
KR100433458B1 (ko) 두유제품 제조방법
KR101343382B1 (ko) 와송을 함유한 양갱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96298A (ko) 쌀 파쇄를 방지하는 초임계 추출 방법
KR20140024944A (ko) 천연물을 이용한 고품질 식혜의 제조방법
KR20090002427A (ko) 상어 연골을 주성분으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및 상어 연골술
KR101932589B1 (ko) 슬라이스 과일 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슬라이스 과일 잼
KR101441052B1 (ko) 생강 두부의 제조 방법 및 생강 두부
KR20090006892A (ko) 초임계 유체 처리 후 도정한 곡물을 이용한 임산부용 밥
KR20090117305A (ko) 고추씨를 함유하는 고춧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2303B1 (ko) 대두 껍질을 포함한 비지와 새싹보리를 이용한 전두부 제조방법
FR2587590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lait de soja
CN103202509A (zh) 一种花生饮品的制备方法
KR101372230B1 (ko) 콩나물 액상액이 함유된 전두부의 제조방법
KR100915916B1 (ko) 천연물질 산수유를 이용한 무간수 한방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884B1 (ko) 감귤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8557B1 (ko)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초임계 유체 기술을 이용한 벼의수확후 관리기술 및 이로부터 생산된 곡물
KR20190059346A (ko) 고농축 생강즙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강즙을 이용한 생강분말의 제조방법
KR102168434B1 (ko) 천연발효식초와 해양심층수를 응고제로 이용하여 제조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2036852B1 (ko) 미네랄 소금을 이용한 액젓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젓
KR101252833B1 (ko)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b Razak et al. The Effect of Soaking Condition on Mung Bean Vigna radiata Towards Water Absorption and Mung Bean Extracted Crude Protein Content
KR20080104892A (ko) 유화제 무첨가 두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