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455A - 논두렁 구조체 - Google Patents

논두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455A
KR20080095455A KR1020070039956A KR20070039956A KR20080095455A KR 20080095455 A KR20080095455 A KR 20080095455A KR 1020070039956 A KR1020070039956 A KR 1020070039956A KR 20070039956 A KR20070039956 A KR 20070039956A KR 20080095455 A KR20080095455 A KR 2008009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nel
partition panel
bol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826B1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3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8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rra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논두렁 구조체가 제공된다. 제공된 구조체는 논과 논의 경계 지중 및 논과 수로의 경계 지중에 소정간격을 두고 입설되며 그 상부 양측에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구비된 고정편이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고정바가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홈 마련된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경계 지면에 입설된 상태에서 그 하부가 상기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볼트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고정공이 천공된 다수의 구획패널과, 상기 볼트고정공과 상기 고정편의 볼트결합공에 설치된 상태에서 너트고정되어 상기 고정편과 상기 구획패널을 결합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구획패널에 설치되고 다수의 수위조절공이 천공된 개폐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구획패널은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패널 또는 합성수지패널이 적용된다.

Description

논두렁 구조체{a ridge between rice fiel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에 있어, 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에 있어, 개폐패널이 설치된 구획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의 제 1설치상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논두렁 구조체 2, 2' : 지주
3, 3' : 구획패널 4 : 고정볼트
5 : 개폐패널 21 : 고정편
22, 22' : 고정홈 23 : 고정바
31 : 중공부 32 : 볼트고정공
33, 33' : 실링부재 34 : 설치공간
41 : 너트 51 : 설치부재
52 : 수위조절공 100 : 논
200 : 수로 300 : 농로
400 : 경계 지중
본 발명은 논두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논두렁은 벼농사에 있어서 작업자의 논 관리작업을 위한 보행통로가 되는 동시에 논에 물을 가두어 두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방을 일컫는다. 근래에 들어서는 벼농사의 기계화에 따라 거의 모든 논 관리작업이 기계에 의해 수행되므로 논두렁의 기능은 물을 가두어 두는 기능과 함께 논과 논을 구획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논두렁은 대개가 흙을 재료로 하여 축조되므로, 유지보수 및 제초 작업을 위해 노동력을 비롯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하면,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흙이 논바닥을 통해 유실되므로 작업자는 수시로 논바닥의 흙을 끌어올려 보수작업을 해야 하고, 들쥐나 두더지 등으로 인한 피해로 논두렁 측면에 구멍이 생겨 논물이 누수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흙을 이용해 축조된 논두렁에는 잡초가 자생하므로 제초작업을 해 주어야 하는데, 벼에 미치는 간접적인 피해를 감안할 때 제초제 사용도 제한되며, 논두렁의 폭이 보통 30cm 내지 40cm 정도임에 따라 예초기 사용도 용이하지 않아 제초작업이 특히 요구되는 논두렁 측면의 경우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05218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덮개를 구성하여 논두렁을 덮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상기 발명의 경우 논두렁의 치수가 통일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논두렁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 및 보관이 불편한 취약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발명은 기존 흙으로 된 논두렁을 덮는 구조임에 따라서, 논두렁이 차지하는 면적만큼은 작물을 재배할 수 없기 때문에 작물재배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다르게, 합성수지재 블록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논두렁을 구축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는데, 그 대표적인 일례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335789호에서는 지면에 묻히는 기부와 이 기부의 중앙에서 상부로 직립형성된 방벽을 포함하는 논두렁 구축용 블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선 등록고안의 블록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미리 성형되는데, 땅속에 묻히는 기부의 폭을 65~70cm로 형성하고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은 연결편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농지크기에 따라 블록들을 연결하여 논두렁을 구축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선 등록고안은 콘크리트로 제조됨에 따라서 그 내구성이 우수하고 들쥐 등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땅속에 묻히는 기부의 폭이 65~70cm에 달함에 따라 이러한 기부의 면적만큼은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이 기부에 의해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면적은 논 전체면적에 대하여 상당히 넓은 면적을 차지함에 따라서 그만큼 작물의 재배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선 등록고안의 블럭은 작물의 재배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상기한 선 등록고안은 블록 자체가 상당한 부피를 지니는 구조이고 이러한 블록을 콘크리트로 제조함에 따라서, 그 설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크레인과 같은 장비가 필요함과 아울러 다수의 노동인원이 필요하므로 논두렁의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논두렁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을 가두어 두는 기능과 함께 논과 논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논 전체면적에 대하여 최소면적을 차지하도록 구성하여 작물의 재배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논두렁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정 강도를 충족하면서도 그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시공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논두렁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논과 논의 경계 지중 및 논과 수로의 경계 지중에 소정간격을 두고 입설되며, 그 상부 양측에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구비된 고정편이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고정바가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홈 마련된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와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경계 지면에 입설된 상태에서 그 하부가 상기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볼트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고정공이 천공된 다수의 구획패널;
상기 볼트고정공과 상기 고정편의 볼트결합공에 설치된 상태에서 너트고정되어 상기 고정편과 상기 구획패널을 결합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구획패널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위조절공이 천공된 개폐패널; 을 포함하는 논두렁 구조체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구획패널은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패널, 합성수지패널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개폐패널은 H빔 형태의 설치부재에 의해 상기 구획패널에 마련된 설치공간에 슬라이드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구획패널의 일단과 타단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논두렁 구조체(1)는 다수의 지주(2)와, 다수의 구획패널(3)과, 고정볼트(4) 및 개폐패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2)는 금속제(녹에 강한 금속재(알루미늄 등)) 또는 합성수지재, 예컨대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주(2)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07031029860-PAT00001
"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지주(2)의 상부 양측에는 다수의 볼트결합공(211)이 구비된 고정편(21)이 용접방식(지주가 금속제인 경우) 또는 인서트사출방식(지주가 합성수지재인 경우)으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지주(2)의 내측면, 예컨대 상기 고정편(21)의 하부 근접된 위치의 내측면에는 고정홈(2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홈(22)에는 고정바(23)의 일단이 삽입방식(삽입후 용접하거나 별도의 클램프로 고정할 수도 있음.)으로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바(23)는 상기 고정홈(22)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주(2)의 내측면 상에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에 있어, 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2')는 그 단면이 "
Figure 112007031029860-PAT00002
"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2')는 별도로 볼트결합공(211)을 갖는 고정편(21)을 결합하지 않고 그 내면에 볼트결합공(211')이 직접 천공됨과 아울러 이러한 볼트결합공(211')의 하부에는 고정바(23)를 삽입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2')이 마련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구획패널(3)은 소정의 폭, 예컨대 상기 지주(2)와 지주(2)의 설치간격과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 두께는 5~ 10cm 내외로 설계된다. 이와 같은 구획패널(3)은 그 내부에 강도보강 및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수의 중공부(31)가 가로방향으로 마련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한 볼트 결합공(211,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고정공(32)이 천공된다. 이때, 상기 구획패널(3)은 그 구성재질로써,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 또는 합성수지재(강화 플라스틱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가 적용되는데,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를 이용하여 구획패널(3)을 제조할 경우에는 기존 시멘트블록과는 다르게 발암물질을 배제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화학적/물리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503742호에 개시된 "무석면 압출성형식 건축자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성형품"을 이용하여 구획패널(3)을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패널(3)의 일단과 타단, 즉 구획패널(3)들이 상호 맞닿는 일단과 타단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33,33')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실링부재(33,33')는 합성수지재(강화 플라스틱)를 그 구성재질로 하며, 그 단면이 "
Figure 112007031029860-PAT00003
"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구획패널들이 맞닿아 생기는 틈에 삽입방식으로 설치하거나, 그 단면이 "
Figure 112007031029860-PAT00004
"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구획패널들이 맞닿는 양단에 끼움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형태의 이음공간을 실링처리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4)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편(21)의 볼트결합공(211)과 상기 볼트고정공(32)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고정편(21)과 상기 구획패널(3)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고정볼트(4)에는 상기 구획패널(3)이 견고하게 고정편(21)에 결합고정되도록 너트(41)가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 및 너트(41)는 녹슬지 않는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에 있어, 개폐패널이 설치된 구획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패널(5)은 상기 구획패널(3')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개폐패널(5)이 설치되는 구획패널(3')은 수로와 접하는 경계 지중에 설치된 구획패널(3) 중 어느 하나의 구획패널(3')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개폐패널(5)은 H빔형태의 설치부재(51)에 의해 상기 구획패널(3')에 마련된 설치공간(34)에 슬라이드결합되는데, 이러한 개폐패널(5)에는 다수의 수위조절공(52), 예컨대 논의 내부수위가 높아지면 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수위조절공(52)이 천공된다. 이때, 상기 개폐패널(5)의 구성재질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패널을 적용하거나 가벼운 합성수지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의 설치상태 및 이에 따른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의 제 1설치상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논두렁 구조체(1)는 다수의 지주(2)를 논(100)과 논(100)의 경계 지중 및 논(100)과 수로(200)의 경계 지중(400 : (境界 地中)에 소정간격(통상 2m ~ 5m)을 두고 입설하되, 이러한 지주(2)의 입설작업에 앞서 지주(2) 및 구획패널(3)이 설치될 경계 지중(400)을 소정 깊이만큼 파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각 지주(2)는 그 상부에 설치된 고정편(21) 및 고정홈(2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경계 지중(400)에 입설된다. 이후, 각 지주(2)의 고 정홈(22)에 고정바(23)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주(2)와 지주(2)의 사이에 구획패널(3)을 설치한다. 이때에는 구획패널(3)에 천공된 볼트고정공(32)과 고정편(21)의 볼트결합공(211)을 통해 고정볼트(4)를 너트(41)고정함으로써 구획패널(3)들을 지주(2)에 고정하는데, 각 구획패널(3)의 하부는 고정바(22)에 의해 지지고정되며, 이와 동시에 각 구획패널(3)들이 맞닿는 부위에는 실링부재(도면에 미도시됨.)가 설치된다. 이때, 개폐패널(5)이 설치되어 있는 구획패널(3')은 도 4b에서와 같이 수로와 접하는 경계 지중에 설치한다. 이후에는 지주(2)와 구획패널(3)의 일부분(구획패널의 높이에 대하여 2/5에 해당하는 부분)이 지중에 입설되도록 흙으로 덮는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논두렁 구조체(1)의 시공작업이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의 논두렁 구조체(1)는 두께가 5~10cm 내외로서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패널 또는 합성수지패널로 구성되는 구획패널(3)이 논두렁의 기능, 즉 물을 가두어 두는 기능과 함께 논과 논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작물의 재배면적을 확충할 수 있고 그만큼 작물재배량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논두렁 구조체(1)는 안정성과 내구성을 공유하며 두께를 최소화한 구획패널(3)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하고, 그 교체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구획패널(3')에 슬라이딩결합된 개폐패널(5)은 필요에 따라 구획패널(3')에서 분리하여 농기계를 논으로 진입시킬 경우 진입로를 형성할 수 있고, 논에 물대기 또는 물빼기를 할 경우에는 물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는 친환경적이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강도 및 내구성을 충족하는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패널을 구획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논두렁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논 전체면적에 대하여 최소면적을 차지함에 따라 작물의 재배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조체는 지주에 구획패널을 볼트로 고정하여 시공됨에 따라 그 연결구조가 간편하여 시공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논과 논의 경계 지중 및 논과 수로의 경계 지중에 소정간격을 두고 입설되며, 그 상부 양측에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구비된 고정편이 설치되고, 그 내측면에는 고정바가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홈 마련된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와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경계 지면에 입설된 상태에서 그 하부가 상기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볼트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고정공이 천공된 다수의 구획패널;
    상기 볼트고정공과 상기 고정편의 볼트결합공에 설치된 상태에서 너트고정되어 상기 고정편과 상기 구획패널을 결합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구획패널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위조절공이 천공된 개폐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패널은 무석면 압출성형시멘트패널, 합성수지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패널은 H빔 형태의 설치부재에 의해 상기 구획패널에 마련된 설치공간에 슬라이드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패널의 일단과 타단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조체.
KR1020070039956A 2007-04-24 2007-04-24 논두렁 구조체 KR10088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956A KR100883826B1 (ko) 2007-04-24 2007-04-24 논두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956A KR100883826B1 (ko) 2007-04-24 2007-04-24 논두렁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455A true KR20080095455A (ko) 2008-10-29
KR100883826B1 KR100883826B1 (ko) 2009-02-17

Family

ID=4015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956A KR100883826B1 (ko) 2007-04-24 2007-04-24 논두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2484A (zh) * 2013-03-19 2013-06-05 周景学 一种拦水堤埂装置
KR20210107479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공간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조립식 경계엣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150Y2 (ja) 1979-07-13 1985-08-16 真岡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組立式コンクリ−ト畦畔
JPH0220450U (ko) * 1988-07-28 1990-02-09
KR0138955Y1 (ko) * 1996-08-13 1999-04-01 김병순 논두렁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2484A (zh) * 2013-03-19 2013-06-05 周景学 一种拦水堤埂装置
CN103132484B (zh) * 2013-03-19 2015-08-19 周景学 一种拦水堤埂装置
KR20210107479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공간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조립식 경계엣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826B1 (ko) 200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JPH0587005U (ja) 排水・保水装置
CN103938582B (zh) 组合式水稻田围堰埂
KR100883826B1 (ko) 논두렁 구조체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1036257B1 (ko) 논두렁 보호장치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100027677A (ko) 법면보호블록
JP4783132B2 (ja) 緑化ユニット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20190101950A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CN107509404B (zh) 积木式功能埂
KR200450076Y1 (ko) 논두렁 보호 조립체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CN219033094U (zh) 一种水利河道生态护坡构件
KR100647840B1 (ko) 공동주택의 조경 식생담장 구조
KR200310028Y1 (ko) 텃밭 유니트 및 이를 경사 벽체로 이용한 간이 건축물
KR200271898Y1 (ko) 법면보호블록
KR100647838B1 (ko) 건축물 또는 건축단지의 조경 식생담장구조
KR200335789Y1 (ko) 논두렁 구축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