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131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31A
KR20080095131A KR1020070039528A KR20070039528A KR20080095131A KR 20080095131 A KR20080095131 A KR 20080095131A KR 1020070039528 A KR1020070039528 A KR 1020070039528A KR 20070039528 A KR20070039528 A KR 20070039528A KR 20080095131 A KR20080095131 A KR 2008009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iding
camera
guide plat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315B1 (ko
Inventor
장창용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315B1/ko
Priority to TW096139641A priority patent/TWI384835B/zh
Priority to US11/923,417 priority patent/US8452354B2/en
Priority to GB0721418A priority patent/GB2448786B/en
Priority to CN2007101940353A priority patent/CN101296446B/zh
Publication of KR2008009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에 중첩 배치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제1 바디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열린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시에 상기 제2 바디가 반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상기 제1 바디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도 곡선형 궤적을 그리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바디를 폭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 바디가 폭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및 슬라이딩 유도부)를 채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 돌기를 통해 케이블이 연장하는 형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지지 링크를 중심으로 하여 그 동작 상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들로서,
도 8은 단말기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 9는 단말기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 10은 단말기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바디 200: 제2 바디
310: 가이드 레일 320: 가이드 돌기
330: 가이드 플레이트 340: 이탈 방지부
350: 가이드 프레임 360, 460, 560: 슬라이딩 유도부
440: 선회 링크 540: 지지 링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바디에 대하여 다른 바디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하나의 바디를 개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사이즈 및 무게를 가지면서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구적으로 하나의 바디(body)만으로 이루어진 형태{바(bar) 타입}와,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는 상기 2 이상 바디들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폴더(folder)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vel) 타입 등}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슬라이드(slide) 타입 등}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의 바디 상에 적층 배치되는 다른 바디는 상기 하나의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서는 상기 하나의 바디의 일 부분은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은 위와 같이 직선적으로만 이루어지기에 사용자에게 단조로움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률적인 슬라이딩 경로의 채용은 상기 바디들의 활용 가능한 부분에 대한 새로운 탐구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직선형 이동 경로와 다른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에 중첩 배치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제1 바디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열린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시에 상기 제2 바디가 반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상기 제1 바디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는 제1 바디(100)와, 닫힌 위치(도 1 및 2의 배치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100) 상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200)를 포함한다.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100)의 제2 바디(200)가 적층 되지 않은 부분은 노출부(110)라 칭해질 수 있고, 상기 노출부(110)는 제2 바디의 외면(20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제1 바디(100)의 일 부분에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 경우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바디들(100 및 20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져서 노출부(11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역시 포함한다.
상기 노출부(110)에는 푸싱(pushing) 방식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12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키 버튼(120)으로서 전송(SEND), 종료(END) 등의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기능키들이 예시되어 있다. 키 버튼(120)에 인접하여서는 마이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30)가 배치된 면과 인접하는 면, 다시 말해서 제1 바디(1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버튼(1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버튼(140)은 볼륨 조절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바디(200)의 외면(202){제1 바디(10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디스플레이(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0)를 시각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형태를 가질 것이다. 도 1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210)이 전화를 걸기 위해 사용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2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알려주는 알림 영역(211)과, 입력되는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번호 영역(212)과, 상기 발신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숫자 영역(212) 및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21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10)에 인접해서는 리시버(220)가 배치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10)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잠겨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키 버튼(120) 중 어느 하나(활성화 키 버튼)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210)를 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숫자 아이콘들을 터치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하고 키 버튼(120) 중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됨에 따라 통화 상대방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이크(130)를 통해 자신의 음성 등을 상대방에 전송하고 리시버(220)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 등을 수신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키 버튼(120)을 눌러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터치 스크린(210)의 터치 조작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성을 키 버튼(120)을 통해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터치 스크린(210)을 통해서는 스타일러스(stylus,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자, 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0)의 배면 또는 외면(102)에는 본체의 각 전자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외면(102) 중 배터리(150)가 장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1 카메라(160)와 플래쉬(1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60)는 키 버튼(120) 또는 사이드 버튼(14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하고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6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다. 상기 제1 카메라(160)와 근접하게 미러(mirror, 미도시)를 배치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미러에 자신을 비춰보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바디(200)를 폭 방향(W)으로 일정 수준 이동시킨 상태(중간 위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 바디(200)가 폭 방향(W)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열린 위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바디(200)를 폭 방향(W)으로 밀어줌에 따라, 제2 바디(200)는 폭 방향(W)으로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반원형 경로(P)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바디(200)는 최종적 으로 폭 방향(W)으로 가장 멀리 이동된 열린 위치에 놓이나(도 4), 그 이동 중에 길이 방향(L)으로도 노출부(110)에서 가장 멀어지는 중간 위치(도 3)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0)는 길이 방향(L)으로 노출부(110)에서 최대로 멀어지게 되는 중간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상기 중간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멈춤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200)가 중간 위치에 배치된 상태는 자석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2 바디(200)가 상기 중간 위치에 놓인 경우에, 제1 바디(100)의 내면(101)의 노출되는 부분{노출부(110)와 제2 바디(200) 사이의 부분}에는 제2 카메라(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90)는 앞선 제1 카메라(160, 도 2)와는 거의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2 카메라(190)가 사용자를 향한 채로 키 버튼(120) 등을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자신의 얼굴 등을 보면서 셀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카메라(190)가 배치되는 부분은 제2 바디(200)가 폭 방향(W)으로 직선 슬라이딩하는 경우에는 사용될 수 없는 영역이나, 본 발명에 따라 제2 바디(200)가 반원형 궤적(P)을 그리는 슬라이딩을 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영역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2 바디(200)가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단말기의 제어 유닛(미도시)은 상기 제2 카메라(190) 및 디스플레이(210)가 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사용자는 제2 바디(200)를 중간 위치에 놓이게 하는 조작만으로 바로 셀프 촬영 등의 제2 카메라(190)를 이용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이용 형태와 달리, 상기 추가적인 영역에는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고유 정보, 예를 들어 지문 또는 홍채 등을 인식하는 센서(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버튼이 배열될 수도 있다. 제2 카메라(190)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 또는 상기 키버튼 등은 항시 노출되지 않고 단말기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노출되기에, 사용 빈도는 키 버튼(120)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90)의 경우는 상기 센서 등의 경우보다는 사용 빈도가 높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추가 영역에 센서 등을 배치하고 제2 바디(200)의 외면(202)에 셀프 촬영 등을 위하여 제2 카메라(23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카메라(190 또는 230)는 주로 셀프 촬영 용이고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전송할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하여 셀프 촬영된 이미지)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카메라(160, 도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제1 바디(100)의 내면(101)에는 복수의 키들이 배열되는 키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면(101)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하는 직사각형과 같은 영역을 가짐에 따라, 상기 키패드는 쿼티(QWERTY) 배열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쿼티 배열의 키패드는 중간 위치에서 일부 노출되며, 열린 위치에서 전부 노출된다. 상기 열린 위치에서, 사용자는 쿼티 배열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장문의 글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이메일, 문자 전송 등의 기능을 보다 손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제2 바디(200)가 반원형 궤적을 그리며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 유도부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면들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및 슬라이딩 유도부)를 채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바디(200)의 내면{201, 디스플레이(21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대략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리세스부(recessed portion, 240)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240)에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을 이루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가이드 플레이트(330)가 본딩(bonding)이나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3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0)은 반원형의 형태를 갖도록 가이드 플레이트(330)에 개구 된다. 가이드 레일(310)의 중앙부(313)는 양단부(311 및 312)보다 노출부(1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310)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1 바디(10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320)를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320)의 자유단 측에는 이탈방지부(340)가 장착된다. 이탈방지부(340)는 가이드 레일(310)의 폭을 넘어서 연장되는 면적을 가져서, 가이드 돌기(320)가 가이드 레 일(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이탈방지부(340)는 가이드 돌기(320)가 가이드 레일(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320)에 조립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0)들은 가이드 프레임(350)에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350)을 제1 바디(100)에 결합함에 따라 가이드 돌기(320)들도 제1 바디(100)에 결합 되게 된다.
다시 가이드 플레이트(330)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로서 탄성부재(36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일 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330)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331)에 결합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탄성부재(360)들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360)의 타단부는 가이드 돌기(320)의 자유단 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21)에 결합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60)는 와이어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한번 이상 감겨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닫힌 위치(도 1 참조)에서 가이드 돌기(320)는 가이드 레일(310)의 제2 단부(31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60)는 이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바디(200)를 중간 위치(도 3 참조)로 이동시키면, 가이드 돌기(320)는 가이드 레일(310)의 중앙부(313)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부재(360)는 고정돌기들(321 및 33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신장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제2 바디(200)가 중간 위치를 지나치도록 좀 더 힘을 가하면, 상기 탄성부재(360)에 축적된 탄성력이 발산되면서 제2 바디(200)가 열린 위치(도 4 참조)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로, 가이드 돌기(320)는 가이드 레일(310)의 제1 단부(311)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력을 발산한 탄성부재(360)는 다시 이완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가이드 레일(320)이 반원형 경로를 형성함에 따라 제2 바디(200)가 닫힌 위치에서 중간 위치를 거쳐서 열린 위치로 슬라이딩함에 있어서 반원형 궤적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유도부의 탄성부재(3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이 반자동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닫힌 위치로의 슬라이딩은 위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바디(200)가 중간 위치 등에서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채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슬라이딩 유도부를 채용하는 경우라도, 중앙부(313)의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가이드 레일(310)을 구성한다면 가이드 돌기(320)가 그 부분에 걸려서 제2 바디(200)는 중간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가이드 레일(310)이 별도로 마련된 가이드 플레이트(33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 레일(310)은 제2 바디(200)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바디(200)가 2 개의 커버들이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면, 상기 가이드 레일(310)은 제2 바디(200)의 제1 바디(100)와 마주하는 커버에 형성되면 될 것이다. 또한, 가이드 돌기(320) 역시 가이드 프레임(350)을 개재하지 않고 제1 바디(100)에 직접 형성되거나 조립될 수도 있다.
다만, 별도의 가이드 플레이트(330) 및 가이드 프레임(350)을 형성함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및 슬라이딩 유도부)을 모듈화하여 별도로 생산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립 시에도 상기 모듈화된 슬라이드 모듈 등을 제1 및 제2 바디들(100 및 200)에 각각 조립하기만 하면 되기에, 조립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가이드 돌기(320) 및 이탈방지부(340)를 통해 케이블(C)이 연장하는 형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320)는 내부에 중공 부분(321)이 형성된 중공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 부분(321)은 이탈방지부(340)의 중앙의 중공부와 연결된다. 상기 중공부 및 중공 부분(321)을 통해서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C)이 연장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C)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매체라면 에프피씨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등 어떤 형태를 가지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바디(200)의 제1 바디(100)에 대한 슬라이딩 시에도 그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케이블(C)이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선회링 크(440)를 포함하고 있다. 선회링크(440)의 제1 단부(441)는 가이드 돌기(320)의 자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선회링크(440)의 제2 단부(442)는 가이드 플레이트(33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선회링크(44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이탈방지부(340)와 같이 가이드 돌기(320)가 가이드 레일(3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그들 사이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선회링크(440)와 가이드 플레이트(330)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로서 복수의 자석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들은 선회링크(440)에 배치되는 메인 자석(461)과, 가이드 레일(310)의 양단부(311 및 312)에 각각 인접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330)에 배치되는 단부 자석들(462 및 4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에 대하여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310)에 대한 가이드 돌기(320)의 상대 위치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나아가, 반자동 슬라이딩과 관련하여, 선회링크(440)의 제1 단부(441)가 가이드 레일(310)의 중앙부(313)를 거쳐서 양단부(311 및 312) 중 일 측으로 근접하는 경우에는 메인 자석(461)과 단부 자석들(462 및 463) 중 상기 근접된 단부 측의 자석이 인력을 발생시키는 관계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로, 가이드 레일(310)의 양단부(311 및 312) 중 하나를 향한 선회링크(440)의 남은 구간에서의 상대 회전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선회링크(440)가 제2 바디(200)의 하나의 커버에 장착되는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별도의 가이드 플레이트(330) 및 가이드 프레임(350)은 상 기 슬라이드 모듈(및 슬라이딩 유도부)를 모듈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나아가, 앞선 실시예에 본 실시예에와 같이 자력을 이용하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구현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때는 상기 메인 자석(461)이 가이드 돌기(320)의 자유단에 장착되고, 단부 자석들(362 및 363)은 각각 가이드 레일(310)의 단부들(311 및 312)에 배치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지지 링크(540)를 중심으로 하여 그 동작 상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330)에는 가이드 돌기(320)에 일단이 연결된 선회링크(44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310)은 선회링크(440)의 타단에 대응하여 가이드 플레이트(330)의 일 부분에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330) 중 가이드 레일(310) 및 선회링크(44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는 일 단부측(543)에 인접한 부분(54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링크(540)가 슬라이드 모듈의 일부로서 장착된다. 지지 링크(540)의 다른 단부측(541)은 제1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 링크(540)는 바(bar) 형태로 연장되며 평탄한(fla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부측(541)이 노출부(110)의 하측에 결합 된다면 상기 단부측(5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지지 링크(540)의 일 단부측(543)에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이루는 탄성 부재(560)의 일 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560)는 와이어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으며 대략 S자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560)의 타 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고정돌기(331)에 결합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바디(200)는 중간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이다. 상기 중간 위치에서, 선회링크(440)는 제1 바디(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지지 링크(540)도 대략적으로 선회링크(440)와 평행한 방향을 지향하게 된다. 지지 링크(540)의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며, 지지 링크(540)는 제2 카메라(190)를 가리지 않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에 대하여 열린 위치에 놓이게 된다. 선회링크(440)는 가이드 돌기(32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지지 링크(540)는 타 단부측(54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로, 선회링크(440)와 지지 링크(540)는 제1 바디(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닫힌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진행 과정에서 탄성부재(560)의 변형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중간 위치를 지나 제2 바디(200)가 이동함에 따라 발산된다. 그 결과로, 제2 바디(200)는 중간 위치를 지난 지점부터 열린 위치까지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직선형 궤적이 아닌 반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폭 방향 슬라이딩에 의하여 사용자는 열린 위치에서의 두 개의 바디들 간의 새로운 배치 형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폭 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노출된 부분에 쿼티 배열의 키패드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와이드한 화면을 보면서 문자 입력 등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원형 궤적을 그리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디의 새로운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원형 이동 중에 직선형 이동시에 드러나지 않는 바디의 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부분은 카메라 등의 장착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에 중첩 배치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제1 바디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열린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시에 상기 제2 바디가 반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상기 제1 바디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반원형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시 상기 반원형 경로를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가이드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자유단 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넘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자유단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결합된 채로 상기 다른 하나의 바디에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바디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제2 바디를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지지 하는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중공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중공 부분을 통해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 단부 측에서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가 타 단부 측과 만나도록 상기 제2 바디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바디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제2 바디를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링크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장착되는 메인 자석;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 자석의 인접하는 단부 측과는 각각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 자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자유단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는,
    상기 선회 링크에 장착되는 메인 자석;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와 각각 인접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위치 되어, 상기 메인의 인접하는 단부 측과는 각각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 자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며, 터치 입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단부 측에는 리시버가 장착되고, 마이크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닫힌 위치에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면과 일치하도록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이 배열되고, 상기 키 버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활성화 키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열린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내면에는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쿼티키 형태의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에는 제1 카메라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중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대로 이동된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면의 일 부분에는 제2 카메라가 더 장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 바디의 외면에는 제2 카메라가 더 장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카메라보다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39528A 2007-04-23 2007-04-23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0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28A KR101309315B1 (ko) 2007-04-23 2007-04-23 이동통신 단말기
TW096139641A TWI384835B (zh) 2007-04-23 2007-10-23 行動通訊終端
US11/923,417 US8452354B2 (en) 2007-04-23 2007-10-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B0721418A GB2448786B (en) 2007-04-23 2007-10-3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07101940353A CN101296446B (zh) 2007-04-23 2007-11-26 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28A KR101309315B1 (ko) 2007-04-23 2007-04-23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31A true KR20080095131A (ko) 2008-10-28
KR101309315B1 KR101309315B1 (ko) 2013-09-13

Family

ID=4006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528A KR101309315B1 (ko) 2007-04-23 2007-04-23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9315B1 (ko)
CN (1) CN101296446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27A (ko) *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틸팅 모듈
WO2010067952A2 (ko) * 2008-12-12 2010-06-17 주식회사 세이텍 슬라이딩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구동장치
KR100983780B1 (ko) * 2009-02-06 2010-09-27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WO2010140813A2 (ko) * 2009-06-01 2010-12-09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1051415B1 (ko) * 2008-11-10 2011-07-22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힌지 장치
KR20110131748A (ko)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488778B2 (en) 2007-08-20 2013-07-16 Goog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5649B2 (en) * 2009-04-30 2012-04-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orsion spring
CN101997943B (zh) * 2009-08-26 2014-03-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825122B2 (en) * 2011-09-21 2014-09-02 Htc Corporation Hand-held deivce
CN110138902B (zh) * 2018-02-09 2021-03-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337422A (zh) * 2018-04-28 2018-07-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55874Y (zh) * 2004-10-15 2006-02-01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动滑盖手机
KR100685388B1 (ko) * 2005-10-0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8778B2 (en) 2007-08-20 2013-07-16 Goog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mechanism
KR20100050027A (ko) *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틸팅 모듈
KR101051415B1 (ko) * 2008-11-10 2011-07-22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힌지 장치
WO2010067952A2 (ko) * 2008-12-12 2010-06-17 주식회사 세이텍 슬라이딩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구동장치
WO2010067952A3 (ko) * 2008-12-12 2010-09-23 주식회사 세이텍 슬라이딩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구동장치
KR100983780B1 (ko) * 2009-02-06 2010-09-27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WO2010140813A2 (ko) * 2009-06-01 2010-12-09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WO2010140813A3 (ko) * 2009-06-01 2011-03-31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20110131748A (ko)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315B1 (ko) 2013-09-13
CN101296446A (zh) 2008-10-29
CN101296446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3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845235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2991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US9083104B2 (en) Mobile terminal
KR20120070361A (ko) 이동 단말기
KR10197707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6281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644026B2 (en) Portable terminal
JP2007288436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KR10158714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375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4743B1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1013080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11319A (ko)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7444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75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304B1 (ko)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8713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91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