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051A -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051A
KR20080095051A KR1020070039359A KR20070039359A KR20080095051A KR 20080095051 A KR20080095051 A KR 20080095051A KR 1020070039359 A KR1020070039359 A KR 1020070039359A KR 20070039359 A KR20070039359 A KR 20070039359A KR 20080095051 A KR20080095051 A KR 20080095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service
list
lists
service li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156B1 (ko
Inventor
안희중
박시우
우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3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156B1/ko
Priority to CN200880013304A priority patent/CN101682350A/zh
Priority to JP2010503959A priority patent/JP2010525652A/ja
Priority to PCT/KR2008/001596 priority patent/WO2008130101A1/en
Publication of KR2008009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핫키가 눌러지면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전화번호부 모드로 연결되며, 여기에서 착신자를 검색 및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핫키, 피쳐코드, 영상통화, 음성통화, 감성통화

Description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BY USING HOT K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발신 단말기 101: 키입력부
103: 표시부 105: 데이터 처리부
107: 데이터베이스 200: 착신 단말기
300: 발신측 교환기 400: 착신측 교환기
500: 발신측 서버 600: 착신측 서버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에게 간단한 키 조작으로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 3세대 이동통신망 (예를 들면, W-CDMA망 또는 HSDPA망)이 구축되면서, 기존의 음성통화 서비스에만 국한되었던 것을 탈피해 통화자 간 영상을 통해 얼굴을 직접 보면서 통화하는 영상통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제 3세대 이동통신망의 가입자들을 먼저 선점하기 위해 더욱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특수 기능의 서비스들은 이를 테면, 음성/영상통화 통화 중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통화내용을 녹음하고,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서로 이모티콘, 이미지, 플래시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주고 받음으로써 통화에 더욱 재미와 흥미를 더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음성분석을 통해 상대방의 상태 및 감정까지도 표시해주는 감성통화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더욱더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만약 이동통신사에서 제공되는 이러한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어려운 키 조작을 요한다거나 각각의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피쳐코드(feature code)들을 일일이 직접 입력해야 한다면 호 접속 시간도 길어질 뿐만 아니라 각 피쳐코드에 대한 암기를 사용자의 기억력에 의존하거나 아니면 해당 매뉴얼을 찾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이동통신사에서 신규서비스가 개발되었을 경우,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직접 사업장을 방문하여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해 업데이트하거나 업데이트로 대체할 수 없을 경우엔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는 불편과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인 이동통신사는 신규서비스가 추가될 때마다 신규 단말기의 라인업을 해야함으로써, 이에 따른 노동과 시간 및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음성/영상통화 시 제공되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들을 하나의 핫키에 묶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간단한 키 조작으로 쉽고 빠른 통화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hot key)를 구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 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피쳐코드를 독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독출된 피쳐코드를 이용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후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기록으로부터 착신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후 메뉴버튼을 누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통화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발신 단말기로서 키입력부(101), 데이터 처리부(103), 표시부(105) 및 데이터베이스(107)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전용키, hot key)를 구비하며, 상기 핫키를 누르면 특수 기능의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단말기 내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그 자체로 하나의 독립된 어플리케이션, 팝업(pop-up) 또는 티커(tic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통통신사에 서 새로운 통화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통화서비스 리스트에 기능이 추가, 삭제 및 변경되었을 경우, 신규 단말기의 라인업 없이도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통신사의 가입자에게 보다 쉽고 빠른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는 상기 키입력부(101)의 핫키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선택될 때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7)에 기저장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를 비교하여 갱신하며 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표시부(105)는 핫키에 의한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단말기 창에 메뉴판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갱신된 통화서비스 존재시 이를 단말기 창에 표시한다. 여기서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란 신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추가 또는 기존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기능의 추가, 삭제 및 변경 모두를 말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7)는 핫키에 의한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에 대한 버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로부터 일련의 과정을 거쳐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를 전송받아 다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를 구비하여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에 대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발신한다. 이때,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는 각각의 통화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피쳐코드(feature code)와 착신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는 영상통화를 위한 영상호 접속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식별자 또는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호 접속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영상통화 식별자는 '*'로 설정하고 음성통화 식별자는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 식별자들이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의 음성/영상통화 식별자에 따라 음성통화를 할 것인지 또는 영상통화를 할 것인지가 결정되고, 각각의 피쳐코드에 따라 다수의 특수 기능의 음성/영상통화서비스 중 해당 피쳐코드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착신번호로 접속되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핫키는 영상통화서비스 리스트와 음성통화서비스 리스트가 하나의 핫키에 통합되거나, 각각의 영상/음성통화서비스 리스트가 각각의 핫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키는 이를 짧게 누를 경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누를 경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로 바로 접속되는 기능을 갖는다.
착신 단말기(200)는 상기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발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호 연결을 완성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200)가 반드시 핫키를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발신측 및 착신측 교환기(300 및 400)는 상기 발신 및 착신 단말기(100 및 200)로부터 발/착신되는 신호 전송을 위해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교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 기지국의 교환기(300 및 400)에 서버(VSCS: 500 및 600)가 연결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측 서버(50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발신측 교환기(300)에 연결되며 상기 발신측 교환기(300)로부터 각 피쳐코드에 따라 라우팅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하여 처리 및 전송한다.
착신측 서버(60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착신측 교환기(400)에 연결되며 상기 착신측 교환기(4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 호 착신신호로 프로그램하여 처리 및 전송한다.
특히, 상기 발신측 서버(500)는 음성통화의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영상통화시 통화 내용을 녹음하거나 또는 통화중 서로에게 이모티콘, 이미지, 플래시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주고 받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착신자의 음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착신자의 감정상태를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좀 더 다양한 멀티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통화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버이다.
또한, 상기 발신측 서버(500)는 통화가 끝난 후 통화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수치로 변환하여, 이를 테면, 사랑 지수 또는 진실 지수와 같은, 상기 결과를 MMS (Multimedia Messesing System)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발신측 서버(5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어 서비스된 통화내용을 인터넷 망을 통하여 해당 사이트의 서버로 전송하며, 그리하여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도 이를 보관, 열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핫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단말기 내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어플리케이션, 팝업(pop-up) 또는 티커(ticker)로 구현함으로써, 이통통신사에서 새로운 통화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기능이 추가, 삭제 및 변경되었을 경우, 보다 쉽고 빠른 다양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능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을 위해 상기 발신측 서버(500)에서 푸쉬(push)방식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핫키에 의해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때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또는, 이러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을 위해 상기 발신측 서버(500)로부 터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선택될 때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와 상기 발신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105)에 기저장되어 있는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를 비교하여 갱신될 사항을 사용자의 단말기 창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05)로 전송한다.
상기 표시부(105)에 갱신될 통화서비스가 표시되면, 이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측 서버(500)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갱신할 수 있다. 이렇게 갱신된 통화서비스는 핫키에 의해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때 반영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는 다시 상기 데이터베이스(107)에 저장된다.
도 4,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도시하며, 여기서 각 도면에 도시된 단말기의 핫키는 특수 기능의 영상통화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핫키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상기 핫키를 영상통화서비스에만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특수 기능의 다양한 음성통화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핫키를 짧게 누르면 다수의 '영상 메세지 서비스'가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이중 '영상 사랑탐지기'서비스를 선택하여 '전화번호부' 모드로 연결되면, 여기서 착신자를 검색 및 선택하 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또한, 단말기의 핫키를 일정시간 보다 길게 누르면 영상편지 녹화 모드로 바로 접속되는 방법이 도시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피쳐코드를 독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독출된 피쳐코드를 이용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쳐코드를 독출한 후 사용자에 의한 직접입력 또는, 전화번호부 검색 및 통화기록부로부터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핫키를 설정시간보다 길게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예를 들면, 영상편지 녹화 모드와 같은 어느 하나로 바로 접속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로써 한번의 키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서비스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창에 착신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 핫키를 누르면 다수의 '영상 메시지 서비스'가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이중 '영상 사랑탐지기'를 선택하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 창에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후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통화버튼을 눌러 '최근 통화 내역'에서 착신번호를 선택한 후 단말기 창의 왼쪽 하단의 메뉴버튼을 누르면 다수의 하위 메뉴 중 '영상 메시지' 목록을 볼 수 있다. 이는 핫키 기능을 갖는 핫키메뉴로서 이를 선택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영상 메시지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이중 '영상 사랑탐지기'를 선택하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기록으로부터 착신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후 메뉴버튼을 누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 5 및 6에서, '*01'은 '영상 사랑탐지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피쳐코드이고, '01012345678'은 착신번호이다. 상기 피쳐코드는 제공되는 영상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영상 콜중진담'은 '*02', '영상 녹화콜'은 '*03', '영상 회의'는 '*04', '영상 립싱크'는 '*05' 식으로 각기 다른 피쳐코드를부여하여 사용자에 의한 호 접속 요청시 착신번호와 함께 전송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특수 기능의 음성/영상통화 시 핫키를 사용하여 쉽고 빠르게 서비스에 접속하는 효과가 있으며, 주기적으로 또는 신규서비스가 개발될 때마다 리스트의 추가 및 보완을 위해 자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능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hot key)를 구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각각의 통화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피쳐코드를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는 영상호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통화 식별자 또는 음성호를 설정하기 위한 음성통화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의 핫키는 이를 짧게 누를 경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설정 시간보다 길게 누를 경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로 바로 접속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특화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피쳐코드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피쳐코드를 이용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코드를 독출한 후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가 푸쉬(push)방식으로 전송한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선택될 때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접속함으로써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팝업(pop-up) 또는 티커(ticker)의 형태로 제공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 후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각각의 통화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피쳐코드로 호 접속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는 영상호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통화 식별자 또는 음성호를 설정하기 위한 음성통화 식별자를 더 포함하여 호 접속하는, 핫키를 통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39359A 2007-04-23 2007-04-23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71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59A KR100871156B1 (ko) 2007-04-23 2007-04-23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200880013304A CN101682350A (zh) 2007-04-23 2008-03-21 使用热键提供各种呼叫业务的移动通信终端及提供各种呼叫业务的方法
JP2010503959A JP2010525652A (ja) 2007-04-23 2008-03-21 ホットキーを利用して多様な通話サービス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器および通話サービス提供方法
PCT/KR2008/001596 WO2008130101A1 (en) 2007-04-23 2008-03-21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using hot key and method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59A KR100871156B1 (ko) 2007-04-23 2007-04-23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51A true KR20080095051A (ko) 2008-10-28
KR100871156B1 KR100871156B1 (ko) 2008-12-05

Family

ID=3987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359A KR100871156B1 (ko) 2007-04-23 2007-04-23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525652A (ko)
KR (1) KR100871156B1 (ko)
CN (1) CN101682350A (ko)
WO (1) WO2008130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4733B1 (en) 2016-06-29 2019-08-07 Unify Patente GmbH & Co. KG Method of providing a recent event list, software product, telecommunications device and system
CN107968879B (zh) * 2017-11-15 2021-05-18 宁波麦博韦尔移动电话有限公司 一种快速拨打视频电话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8761A (ja) * 1989-03-13 1990-09-21 Toshiba Corp 電話システム
JP2001086219A (ja) * 1999-09-10 2001-03-30 Nec Mobile Commun Ltd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1103153A (ja) * 1999-09-29 2001-04-13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JP2002044729A (ja) * 2000-07-27 2002-02-08 Sony Corp 携帯無線端末
JP2003044207A (ja) * 2001-07-26 2003-02-14 Fujitsu Ltd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通信接続方法
JP3905742B2 (ja) * 2001-10-31 2007-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ニュー機能付電子機器
KR100900284B1 (ko) 2002-05-31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JP2004229064A (ja) * 2003-01-24 2004-08-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付加番号表示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4260299A (ja) * 2003-02-24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テレビ電話装置
KR20040088175A (ko) 2003-04-09 2004-10-16 주식회사 팬택 단축키 메뉴 확인을 통한 전화걸기 방법
KR20060078883A (ko) * 2004-12-30 2006-07-05 브이케이 주식회사 휴대폰 사용자가 지정한 핫키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JP2006195002A (ja) * 2005-01-11 2006-07-27 Xing Inc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672529B1 (ko) * 2005-04-2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731619B1 (ko) * 2005-09-26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0101A1 (en) 2008-10-30
CN101682350A (zh) 2010-03-24
KR100871156B1 (ko) 2008-12-05
JP2010525652A (ja)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7400C2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ая база данных контактов с индикатором статуса доступности
US106216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ag from a conversation in a social networking website
KR101879785B1 (ko) 보이는ars에서 웹/앱의 세션 연결과 전화채널을 동기화시켜주는 착신 연결 방법
KR100871156B1 (ko)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296691A1 (en) Method for making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KR20110008171A (ko) 통신 설립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모바일 단말기
KR20150067700A (ko) 다수의 메신저를 통합한 통합 메신저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US95652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ending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 in a voice based networking website
KR100731619B1 (ko)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10166902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14294B1 (ko)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68142B1 (ko) 전화번호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한 앱을 포함하는 내선전화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KR101440527B1 (ko) 음성 안내 절차 없이 고객과 상담원을 직접 연결하는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190100724A (ko) 고객상담센터 연결 방법 및 장치와 운영서버
KR20130022169A (ko) 개인 홈페이지를 이용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361984B2 (en) Method of response management
KR20140110966A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롬프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5603A (ko) 통신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79312B1 (ko) 음성 녹음을 이용한 상대방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KR20020091622A (ko) 이동 통신 가입자 전화 번호 검출 방법
KR20140032679A (ko) 위치기반 통신 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