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527A - 인버터 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527A
KR20080094527A KR1020070053077A KR20070053077A KR20080094527A KR 20080094527 A KR20080094527 A KR 20080094527A KR 1020070053077 A KR1020070053077 A KR 1020070053077A KR 20070053077 A KR20070053077 A KR 20070053077A KR 20080094527 A KR20080094527 A KR 2008009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current
termi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274B1 (ko
Inventor
박주홍
Original Assignee
(주)매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그플러스 filed Critical (주)매그플러스
Publication of KR2008009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트랜지스터에 모니터 전류를 제공하는 모니터 전류 공급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 상태에서 도통되는 단자들간의 단자 전압을 상기 모니터 전류를 기초로 측정하고, 상기 단자 전압을 소정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단자에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제어부; 일단이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 단자 사이의 노드로부터 분기된 지로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성분에 의해 스위칭되고, 턴온시 상기 모니터 전류를 바이패스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는 전류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전류량을 추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IC에 의해 제공되는 소량의 전류량을 보충하여 별도의 전압원으로부터 모니터 전류를 보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검출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 IC 하나로 복수의 인버터용 트랜지스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스위칭 신호의 노이즈 등에 따른 고주파 성분에 따른 불완전한 측정에 대비하여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하고 이에 따라 지연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정 확한 검출이 가능한 시간으로 검출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인버터, IGBT

Description

인버터 회로{INVERTER CIRCUIT}
도 1은 종래 3상 모터 제어용 인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모터구동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의 부분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인버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 소자로 이용되는 트랜지스터의 턴온 상태에서 과전류가 도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차단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버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나, 3상 모터의 제어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3상 모터 제어용 인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모터구동장치의 회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모터구동장치는 3상 모터(1), 인버터(3), 전류검출부(5), 및 제어부(7)를 가진다.
3상 모터(1)는 저항(R1~R3) 및 인덕터(L1~L3)를 포함하는 고정자(11)와 내부 회전자(12)를 가진다. 3상 모터(1)의 각 위상단자는 인버터(3)에 연결되어 있으며, 여자상전류가 유입되어 인덕터(L1~L3)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내부 회전자(12)를 회전시킨다.
인버터(3)는 6개의 스위치용 트랜지스터(Q1~Q6)를 갖는다. 2개가 직렬로 한 쌍을 이루어 3상 모터(1)의 위상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외부 Vdc의 플러스 단자에 다른 하나는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인버터(3)로부터 3상 모터(1)에 공급되는 여자상전류는 전류검출부(5)에 의해 검출되고, 각 트랜지스터(Q1~Q6)의 베이스단자는 제어부(7)로부터 입력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전류검출부(5)는 여자상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어부(7)가 회전자의 초기 위치, 전류(communitation) 할 것인지의 여부 등을 결정하는데 판단 근거를 제공한다.
제어부(7)는 2상 여자 방식에 따라 인버터(3)를 구동한다. 즉, 인버터(3)의 3개의 상부 트랜지스터(Q1~Q3) 중 어느 하나를 턴온하고, 턴온된 상과 다른 상을 갖는 하부 트랜지스터(Q4~Q6) 중 하나를 턴온한다. 이와 같은 여자방식에 따라, 다름의 표1과 같이 6개의 전류방향을 기호화할 수 있다.
기호 전류의 방향
IU U -> V
IV V -> W
IW W -> U
-IU V -> U
-IV W -> V
-IW U -> W
[표1]
여기서, 화살표는 위상단자(U,V,W) 사이의 전류 반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U->V"는 3상 모터(1)의 U 위상단자에 유입된 여자상전류가 V 위상단자로 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7)는 인버터(3)의 스위치용 트랜지스터(Q1~Q6)를 스위칭하는 한편, 전류검출부(5)로부터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3)의 트랜지스터(Q1~Q6)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그런데, 이러한 2상 여자 제어 방식에서 비정상적인 동작들 예컨대, 암 쇼트(arm short)가 일어나는 경우,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Q1~Q6)를 파손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Q1~Q6)가 파손되면 해당 트랜지스터만 교체하면 될 것이지만, 기판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모듈화되어 있어, 파손된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부품 하나를 교체하면 충분한 경우에도 완제품 혹은 기판을 교체해야만 한다면 고객 만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암 쇼트 등의 발생으로 트랜지스터에 비정상적인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인버터 회로 내의 트랜지스터마다 전류계를 직렬로 연결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효용이 없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트랜지스터에 고속으로 스위치 신호가 인가될 때, 상승 에지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의 오버슈트. 고주파 성분으로 인해 트랜지스터가 불안정하게 턴온되어, 전기적 신호(예컨대, 전류, 전압 등)의 체크 및 이를 기초로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위치용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측정하여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발생할 수 있는 오버슈트,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 등에 영향을 받지않고 트랜지스터의 도통 전류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스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트랜지스터에 모니터 전류를 제공하는 모니터 전류 공급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 상태에서 도통되는 단자들간의 단자 전압을 상기 모니터 전류를 기초로 측정하고, 상기 단자 전압을 소정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단자에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제어부; 일단이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 단자 사이의 노드로부터 분기된 지로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성분에 의해 스위칭되고, 턴온시 상기 모니터 전류를 바이패스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니터 전류 공급부는,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원과; 풀업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원과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상기 모니터 전류를 공급받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전류 공급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도통되는 단자 중 하나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되는 직렬 노드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단자 전압을 추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방전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 전류를 공급하는 소스에 의해 충전되어 충전 전압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도통 단자들 중 하나에 대해 소정의 전압만큼 클 때에만 상기 모니터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충전용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의 부분적인 회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는 도1에 개시된 인버터 회로의 트랜지스터 6개 중 임의의 하나(이하, "제1 트랜지스터"라 한다)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에 부속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2에 개시된 인버터 회로의 부분적인 회로도는 도1에 개시된 6개의 트랜지 스터에 대해 동일하게 반복 확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2에 개시된 인버터 회로는 제1 트랜지스터(Q1), 모니터 전류 공급부(10), 충전용 캐패시터(C2,C3), 스위칭 제어부(20), 바이패스 캐패시터(C1), 및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1에 개시된 트랜지스터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는 것으로 그 용도 및 동작 방법은 도1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채택한 트랜지스터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이나, 다른 종류의 트랜지스터로 대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소정의 기준전위단에 연결되어 있고, 콜렉터는 도1과 같이 DC 전압원(Vcc)에 연결되는 지로와 모니터 전류 공급부(10)와 연결되는 지로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콜렉터와 에미터간에는 프리휠링 다이오드(Df)가 연결되어 있다.
모니터 전류 공급부(10)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턴온 상태에서 제1 트랜지스터(Q1)에 흐르는 전류를 추정하기 위한 모니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트랜지스터(Q1)의 턴온시 흐르는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간 단자 전압을 구함으로써 추정되며, 콜렉터-에미터간 단자 전압은 모니터 전류를 측정하여 추정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전류 공급부(10)는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원(Is), 풀업 저항(R2)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원(Vcc), 캐소드 단자가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 및 다이오드(D)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되는 저항(R1)을 포함하고 있다.
전류원(Is)과 전압원(Vcc)으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전류가 모니터 전류를 형성하고, 모니터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콜렉터와 에미터가 도통될 때 저항(R1), 다이오드(D),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순차적으로 흐르게 된다. 모니터 전류 공급부(10)의 구체적인 연결 구성 관계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충전용 캐패시터(C2,C3)는 모니터 전류가 형성되는 노드와 기준전위단 사이에 연결되어 후술되는 제2 트랜지스터(Q2)에 병렬 연결된다.
충전용 캐패시터(C2,C3)는 모니터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위까지 전류원(Is)과 전압원(Vcc)에 의해 충전된다. 즉,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에미터간 전압(VCE)이 2[V]이고 다이오드(D)의 도통 전압을 0.7[V] 라고 할 때, 충전용 캐패시터(C2,C3)는 약 2.7[V]로 충전되고, 그 후 모니터 전류가 제공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모니터 전류의 공급 시작 시간은 충전용 캐패시터(C2,C3)가 충전될 때까지 지연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암 쇼트가 발생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 예컨대 500A에서 700A로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에미터간 전압(VCE)이 예컨대, 7[V]로 증가하게 된다. 정상적인 턴온 상태에서 2.7[V]의 전위가 유지되도록 충전되어 있는 캐패시터(C2,C3)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에미터간 전압(VCE)보다 0.7[V] 높은 전위를 갖도록 즉, 7.7[V]의 전위가 되도록 다시 충 전된다. 이렇게 높아지는 전압은 후술하는 스위칭 제어부(20), 구체적으로 비교기(22)에 입력되어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에미터간 전압(VCE)을 추정하는데 이용되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통 전류의 레벨을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스위칭 제어부(20)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 IC로 구현된다. 스위칭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상 모터 내의 회전자의 초기 위치에 따라 구동 방법이 결정되며, 또한 모니터 전류를 기초로 추정되는 콜렉터-에미터간 단자 전압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부가적인 스위칭 제어부(20)의 동작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터-에미터간 단자 전압을 추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비교기(22)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비교기(22)의 + 단자는 모니터 전류가 저항(R1)을 통해 기준전위단으로 흐를 때 형성되는 전압, 즉 충전용 캐패시터(C2,C3)가 유지하는 유지 전압이 입력되도록 저항(R1) 및 충전용 캐패시터(C2,C3)의 일측에 연결되고, 이 입력 전압이 - 단자에 입력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Vref)과 비교되어 그 비교 결과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교기(22)의 출력 전압은 콜렉터-에미터간 단자 전압이 과도한지의 여부, 즉 과도한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된다. 만약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정될 때 스위칭 제어부(20)는 제1 트랜지스터(Q1)에 대한 스위칭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미리 결정된 임의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22) 및 전류원(Is) 등은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IC에 포함될 수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버 IC 내의 내부 구성 연결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결 구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지되어 있는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IC에 의해 공급되는 모니터 전류는 대용량의 IGBT를 병렬로 연결하여 동작하기에 부족한 수준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전압원(Vcc)과 풀업 저항을 이용하여 모니터 전류를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대해 IGBT는 많은 전류를 요하므로 전류 버퍼(30)를 개재할 수 있으며, 이는 트랜지스터의 종류 및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바이패스 캐패시터(C1)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게이트로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 성분이 제1 트랜지스터(Q1)에 입력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1 트랜지스터(Q1)의 안정적인 스위칭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제2 트랜지스터(Q2)는 그 베이스 단자가 바이패스 캐패시터(C1)에 연결되어, 바이패스되는 고주파 성분에 의해 스위칭 된다. 특히, 제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단자가 모니터 전류가 형성되는 노드와 접속되어 있어, 제2 트랜지스터(Q2)의 턴온에 따라 충전용 캐패시터(C2,C3)의 충전 전하가 제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거쳐 기준전위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제 도2에 도시된 인버터 회로의 동작과 그 특유의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위칭 제어부(20)가 스위칭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인버터 회로의 트랜지스터들, 즉 도2의 제1 트랜지스터(Q1)가 제어된다.
그런데, 스위칭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신호에 고주파의 노이즈가 있을 때, 혹은 스위칭 신호의 천이시 발생할 수 있는 오버슈트 등에 따른 고주파 성분이 발생할 때, 이러한 신호 성분이 제1 트랜지스터(Q1)가 아닌 바이패스 캐패시터(C1)에 의해 바이패스 되어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이 경우, 충전용 캐패시터(C2,C3)에 충전되어 있던 전기적 에너지가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방전된다.
고주파 성분이 사라지고 스위칭 신호가 안정되면,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에미터 단자들이 도통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고주파 성분이 사라짐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고, 충전용 캐패시터(C2,C3)는 전류원(Is) 및 전압원(Vcc)에 의해 다시 충전되기 시작한다. 그 충전량은 캐패시터의 유지 전압과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 전압간의 전위에 의해 결정된다.
즉, 다이오드(D)의 도통 전위가 0.7[V]라고 하면, 충전용 캐패시터(C2,C3)가 콜렉터 단자의 전위보다 적어도 약 0.7[V] 만큼 큰 전위로 충전될 때까지 모니터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로 흐를 수 없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Q1)가 제2 트랜지스터(Q2)와 거의 동시에 턴온되더라도 비교기(22)에 의한 단자 전압의 측정 시간이 다소 지연되어 불완전한 측정 동작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즉, 충전용 캐패시터(C2,C3)의 시상수에 의해 단자 전압의 측정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암 쇼트 등이 발생하여 제1 트랜지스터(Q1)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면 콜렉터 단자 전압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모니터 전류는 더 이상 흐를 수 없게 된다. 즉, 충전용 캐패시터(C2,C3)의 유지 전압이 증가한 제1 트랜지스터(Q1)의 단자 전압을 추종하여 0.7[V] 만큼 더 커지지 않는다면 모니터 전류는 당연히 흐를 수 없다.
따라서, 전류원(Is)과 전압원(Vcc)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는 모니터 전류로 공급되지 못하고, 대신 충전용 캐패시터(C2,C3)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충전은 충전용 캐패시터(C2,C3)의 전위가 콜렉터 단자의 전위보다 적어도 약 0.7[V] 만큼 크게 될 때까지 진행되고, 이 전위는 비교기(22)의 + 단자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200[A]의 전류가 공급되다가 암 쇼트로 인하여 700[A]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콜렉터 단자 전압이 2[V]에서 7[V]로 증가하게 되면, 충전용 캐패시터(C2,C3)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 전압은 2.7[V]에서 7.7[V]로 증가되어야 모니터 전류가 제1 트랜지스터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비교기(22)는 + 단자의 입력 전압과 허용 가능한 소정의 레벨인 기준 전압(Vref) 예컨대, 3.5[V]를 지속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충전용 캐패시터(C2,C3)의 유지 전압이 과도 전류로 인하여 증가하다 3.5[V]를 초과할 때 출력 전압의 부호를 천이한다.
이러한 출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스위칭 제어부(20)는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트랜지스터(Q1)에 대한 스위칭 제어를 조정함으로써 트랜지스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는 전류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전류량을 추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2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IC에 의해 제공되는 소량의 전류량을 보충하여 별도의 전압원(Vcc)으로부터 모니터 전류를 보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로 병렬로 연결되는 대용량의 IGBT 등의 트랜지스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스위칭 신호의 노이즈 등에 따른 고주파 성분에 따른 불완전한 측정에 대비하여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하고 이에 따라 지연시간을 제공함으로써, 검출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스위치용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측정하여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발생할 수 있는 오버슈트,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 등에 영향을 받지않고 트랜지스터의 도통 전류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스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가 제공된다.

Claims (5)

  1. 스위칭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트랜지스터에 모니터 전류를 제공하는 모니터 전류 공급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 상태에서 도통되는 단자들간의 단자 전압을 상기 모니터 전류를 기초로 측정하고, 상기 단자 전압을 소정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단자에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제어부;
    일단이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 단자 사이의 노드로부터 분기된 지로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성분에 의해 스위칭되고, 턴온시 상기 모니터 전류를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전류 공급부는,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원과; 풀업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원과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상기 모니터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전류 공급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도통되는 단자 중 하나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되는 직렬 노드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단자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방전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 전류를 공급하는 에너지원에 의해 충전되고, 충전 전압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도통 단자 들 중 하나의 단자 전압에 비해 소정의 전압만큼 클 때에만 상기 모니터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충전용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KR1020070053077A 2007-04-19 2007-05-31 인버터 회로 KR100885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8164 2007-04-19
KR1020070038164 2007-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527A true KR20080094527A (ko) 2008-10-23
KR100885274B1 KR100885274B1 (ko) 2009-02-26

Family

ID=4015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077A KR100885274B1 (ko) 2007-04-19 2007-05-31 인버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2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617B2 (ja) * 1987-10-27 1998-02-10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JPH065984B2 (ja) * 1987-11-20 199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の保護回路
JPH02262826A (ja) * 1989-02-06 1990-10-25 Hitachi Ltd 静電誘導形自己消弧素子の過電流検出方法および装置、それを用いた駆動回路とインバータ装置
KR100585325B1 (ko) * 2003-11-11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의 과전압 방지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274B1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1561B (zh) 包含开关元件的电力电路的故障检测装置
US11686781B2 (en) Transistor bridge failure test
US9059709B2 (en) Gate drive circuit for transistor
US10079536B2 (en) Rectifier, alternator using same and power supply using same
EP3767315A1 (en) Short circuit detection and protection for a gate driver circuit and methods of detecting the same using logic analysis
US7586727B2 (en) Inrush current limiting switching circuit for power supply
US10205314B2 (en) Rectifier including MOSFET and hold circuit that boosts gate voltage of MOSFET, and alternator using the same
JP2015519035A (ja) 故障検出を有する電気モータの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トローラ
CN108173418B (zh) 半导体装置和电力转换设备
KR20170041852A (ko) 자기 소호형 반도체 소자의 단락 보호 회로
US9584046B2 (en) Gate drive circui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transistor
EP3076549A1 (en) Gate drive circuit and intelligent power module
CN108336942B (zh) 三相电机驱动电路
JP4930866B2 (ja) 電力用素子の故障検出装置
US20060044045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provided with power switch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3009508A (ja) 電力用半導体装置
CN108684213B (zh) 半导体模块、在半导体模块中使用的开关元件的选定方法以及开关元件的芯片设计方法
US10666039B2 (en) Electronic fuse circuit, corresponding device and method
KR100885274B1 (ko) 인버터 회로
Goswami et al. Brushless DC motor based E-rickshaw controller design
Jeong et al. Effective resistor selection method for over current protection when using sense IGBT solution
KR102470390B1 (ko) Ipm 소손 감지 장치
KR20140052138A (ko) 전류 검출용 션트저항을 포함하는 전동기용 인버터장치
US20230231549A1 (e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drive control device, and power conversion device
CN117677859A (zh) 用于检测用于对电动车辆或混合动力车辆中的电驱动装置通电的逆变器中的半导体开关元件的短路的方法和设备;具有这种设备的逆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