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828A -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828A
KR20080093828A KR1020070038073A KR20070038073A KR20080093828A KR 20080093828 A KR20080093828 A KR 20080093828A KR 1020070038073 A KR1020070038073 A KR 1020070038073A KR 20070038073 A KR20070038073 A KR 20070038073A KR 20080093828 A KR20080093828 A KR 2008009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
clogging
blockage
dry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7475B1 (ko
Inventor
김양환
고석호
오창훈
김성규
윤주한
허선일
배상훈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475B1/ko
Priority to CN2007103001491A priority patent/CN101289799B/zh
Priority to US12/104,679 priority patent/US7891113B2/en
Priority to AU2008201743A priority patent/AU2008201743B2/en
Priority to DE102008019563A priority patent/DE102008019563A1/de
Publication of KR2008009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환경요인으로부터의 영향이 있더라도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감지 확인방법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 단계에서의 막힘정보에 따라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또는 필터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 및 필터의 막힘정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CLOGGING DEGREE DECIDING METHOD FOR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이 구현되는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5은 도 4의 감지회로의 실시예이다.
도 6 및 7은 감지회로의 출력파형 그래프들이다.
도 8은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오프 그래프이다.
도 9는 배기덕트의 직경과, 건조기의 사용횟수에 따른 막힘정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0은 배기덕트의 직경에 따른 린트필터의 막힘정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1은 인가전압의 변화에 따른 산정된 막힘정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2는 배기덕트의 직경에 따른 평균오프시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의 메인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서브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히터 43: 송풍팬
80: 감지회로 72: 모터
90: 마이컴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환경요인으로부터의 영향이 있더라도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세탁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감싸며, 세척수가 집수되는 터프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과 연결되어 세척수 또는 상기 세제통의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세탁행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끝단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 및 배수호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드럼속에 빨랫감과 세척수를 넣고 드럼이 회전될 때 빨랫감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세척수와의 마찰에 의하여 세탁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이 부가되어 세탁 뿐만이 아니라, 빨래감을 열풍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 세탁기는, 다시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응축식은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를 송풍팬에 의하여 드럼측으로 보내어 드럼내의 빨랫감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빨래를 건조시킨 드럼내의 공기는 고온다습한 상태가 되며 터브와 연통된 배기구로 이동된다. 이때, 배기구의 일측에는 차가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이 부설되어 상기 고온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다시 송풍팬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식은 드럼내의 빨래감에 히터와 송풍팬에서 발생된 열풍을 통과시킨 후 상기 열풍을 세탁기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그대로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는 터프와 연결되는 주름진 호스로 연결되며,이 배기구는 유아나 애완동물등이 세탁기 내에 갇히었을 때 숨구멍의 역활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식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건조시 빨랫감에서 린트(미세한 보푸라기)가 발생하게 된다. 린트는 세탁기 내의 드럼에서 열풍을 따라 순환하여 배기구를 따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세탁 후 빨랫감으로부터 발생되는 린트가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에 쌓이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린트를 수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탁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린트가 배기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구 내에 린트 필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배기구가 연결되는 외벽을 관통하도록 되 므로, 외벽을 관통하는 배기구의 초기 상태(설치시)를 확인하는 절차를 전혀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기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사양을 충족시키는지를 설치자가 임의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의류 건조기 사용시마다 필터 청소를 권고하고 있으나, 청소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으로 인해 거의 필터 청소를 소홀히 하게 되어, 건조를 수행함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가 심해져서, 건조시간이 증가하게 되거나 전력소비가 증가하게 되며, 그 막힘 정도가 심할 수록 미세한 린트가 필터에 포집되지 않고 부유하다가 의류 및 건조기 내부에 달라붙어 의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건조기 외부로 건조작용을 수행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자체에 린트가 적층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러한 배기구의 막힘을 확인하는 것을 상당히 곤란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배기구의 막힘만을 판단하거나 확인할 뿐이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배기구 또는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와 함께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의 공기유로의 상태를 표시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보를 건조 동작의 수행 또는 이사 및 청소 등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에 인가되는 전원 등이 가변되는 경우와 같이 외부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건조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본 발명은 배기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배기식 건조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 내 측에 배치되어 포가 수용되는 드럼(10)과, 드럼(10)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 유로(20)와, 흡입 유로(20) 상에 설치된 히터(30)와, 드럼(10)을 통과한 공기가 캐비닛(1) 외부로 배기되도록 설치된 배기 유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기식 건조기가 설치되는 경우, 배기 유로(40)에 결합되어 건물의 내벽(60) 등을 관통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외부 배기덕트(50)가 설치된다.
송풍팬(43)은 흡입 유로(20)와 배기 유로(40) 중 일측에 설치되며, 이하에서는 배기 유로(4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은 베이스 팬(2)과, 베이스 팬(2)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 본체(3)와, 캐비닛 본체(3)의 전면에 설치된 캐비닛 커버(4)와, 캐비닛 본체(3)의 배면에 설치된 백 패널(7)과, 캐비닛 본체(3)의 상면에 설치된 탑 커버(8)와, 캐비닛 커버(4)의 상단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 커버(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가 드럼(10)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5)이 형성됨과 아울러 포 출입홀(5)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캐비닛 커버(4)의 상단에는 컨트롤 패널(9)이 설치된다. 이 컨트롤 패널(9)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9a)와, 건조기의 상태(예를 들면, 건조 진행 상태, 건조 진행 정도, 건조 남은 시간, 건조 모드의 선택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9b)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 커버(4)의 후방에는 드럼(10)의 선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11)가 장착된다.
백 패널(7)의 전방에는 드럼(10)의 후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 포터(12)가 장착된다. 리어 서포터(12)에는 흡입 유로(20)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10)의 입구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 유로(20)와 드럼(10)의 입구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3)이 형성된다.
드럼(1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포가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전후방향로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원형 통으로서, 후면 개구부가 드럼 입구부를 형성하고, 전면 개구부가 드럼 출구부를 형성한다. 드럼(10)은 회전시 포가 들어 올렸다가 낙하될 수 있도록 내둘레면에 리프트(14)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흡입 유로(20)는 하단이 히터(30)의 후단과 연통하고 상단이 리어 서포터(12)의 연통홀(13)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입 덕트에 의해 형성된다.
히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2)의 상면에 설치되고 흡입 유로(20) 즉, 흡입 덕트(20)와 연통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배열된 발열 코일로 구성되어, 발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히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및 히터 케이스가 가열되어 히터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 저습의 공기로 가열시킨다.
배기 유로(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드럼 출구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배기되는 공기 중의 실밥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린트 필터(41)가 장착된 린트 덕트(42)와, 린트 덕트(42)와 연통되고 송풍팬(43)이 내장되는 팬 하우징(44)과, 팬 하우징(44)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타단이 캐비닛(1)의 외부로 연장된 배기파이프(46)에 의해 이 루어진다. 이 배기 파이프(46)에는 캐비닛(1)의 외부로 배기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 덕트(50)가 연결된다. 이 외부 배기 덕트는 캐비닛(1)의 외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인도하는 것으로, 건물 내벽(60)을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 유로는 흡입유로(20)와, 드럼(10)의 내부 공간, 배기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 유로의 막힘은 배기유로(40)의 린트필터(41)와, 외부 배기덕트(50)에서 주로 발생한다. 배기유로(40)의 린트필터(41)의 막힘에 따른 공기 흐름의 방해 정도는 외부 배기덕트(50)의 막힘에 따른 공기 흐름의 방해 정도에 비하여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기식 건조기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드럼(10)의 내부로 포를 투입한 후, 도어(6)를 닫고, 컨트롤 패널(9)을 조작하여 배기식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배기식 건조기는 히터(30)를 온시키고, 모터(72)를 구동시킨다.
히터(30)의 온시 히터(30)는 내부를 가열하고, 모터(72)의 구동시, 벨트(70)와 송풍팬(43)은 회전된다. 벨트(70)의 회전시 드럼(10)은 회전되고, 드럼(10) 내의 포는 리프트(14)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송풍팬(43)의 회전시, 캐비닛(1) 외부의 공기는 송풍팬(43)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백커버(7)의 공기 흡입홀(7a)로 흡입되어, 캐비닛(1)과 드럼(10)의 사이로 흡입된다. 캐비닛(1)과 드럼(10)의 사이의 공기는 히터(30)로 유입되어 가열됨에 따라 고온 저습하게 바뀌고, 이후 흡입 유로(20)와 리어 서포터(12)의 연통홀(13)을 통해 드럼(10)의 내부로 흡입된다.
드럼(10)으로 흡입된 고온 저습한 공기는 드럼(10)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서 포와 접촉되어 다습하게 변하고, 이후, 배기 유로(40)로 배기된다.
배기 유로(40)로 배기되는 공기는 배기 파이프(46)를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 배기덕트(5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이 구현되는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건조기는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히터(30)에 공급되도록 하되,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하에서, '온도조절부재'로 통칭될 수도 있다)과, 마이컴(90)의 제어명령에 의해 온/오프됨으로써 히터(30)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SW)와, 입력부(9a)와, 표시부(9b)와, 히터(30)와, 송풍팬(43)과, 모터(72)와,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온/오프에 따라 히터(30)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회로(80)와, 감지회로(80)로부터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동작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90)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용전원으로부터 마이컴(90) 및 입력부(9a) 및 표시부(9b) 등에 사용되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정도의 기술에 불과하다.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는 일종의 온도에 따른 조절부로서, 히터(30)의 측면 또는 근방에 장착되어, 히터(30)의 온도 또는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소정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온상태를 유지 하고, 과열온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오프상태로 변하여 히터(30)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제1서모스탯(TS1)은 제2서모스탯(TS2)을 보완하기 위해, 한번 오프 상태로 되면 온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은 예를 들면, 히터(30)에 연결되는 흡입유로(20)에 장착된다.
또한, 스위치(SW)는 릴레이와 같은 소자로 구성되어, 마이컴(90)의 온 제어에 따라 건조 수행 중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마이컴(90)의 오프 제어에 따라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입력부(9a)는 사용자로부터 건조 동작 등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마이컴(90)으로 인가하게 된다.
또한, 표시부(9b)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건조 동작에 대한 입력과, 건조 동작의 진행 정도, 남은 시간뿐만 아니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 막힌 부분 등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유로는 흡입유로(20), 드럼(10) 내부, 배기유로(40) 및 외부 배기덕트(50)를 포함하며, 특히, 배기유로(40) 내의 린트필터(41)와 외부 배기덕트(50)를 지칭할 수도 있다.
감지회로(80)는 노드(N1), (N2)에 각각 연결되어, 히터(30)를 포함하는 직렬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즉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 감지회로(80)는 연결선(80a)와 (80b)에 의해 노드(N1) 및 (N2)에 각각 연결된다. 감지회로(80)는 마이컴(90)이 장착된 컨트롤 패널(9)에 장착되므로, 이 연결선(80a), (80b)는 드럼(10)과 캐비닛 본체(3) 간의 내부 공간 또는 캐비닛 본체(3)의 내측면을 따라 진행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감지회로(80)은 히터(30) 또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물론, 스위치(SW)에 의해서도, 히터(30)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지만, 이 스위치(SW)는 마이컴(9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므로, 마이컴(90)이 스위치(SW)이 온 상태일 때, 감지회로(8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 스위치(SW)이 마이컴(90)에 의해 오프 상태일 때, 마이컴(90)은 감지회로(8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고려하지 않게 된다.
감지회로(80)는 이 전원공급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마이컴(90)에 인가하여, 마이컴(90)이 히터(30)의 전원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감지회로(80)의 입력단은 도 5와 달리, 제1서모스탯(TS1)과 상용전원 사이와, 히터(30)와 스위치(SW)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상용전원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과, 히터(30) 및 스위치(SW)로 이루어진 직렬회로에서, 상용전원의 공급에 따라 히터(30) 양단의 전위차가 가장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감지회로(80)는 항상 히터(30)가 포함되는 부분의 전위차를 감지하도록 연결된다.
마이컴(90)은 기본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부(9a)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히터(30)와, 스위치(SW)와, 모터(72)를 제어하고, 모터(72)의 제어를 통하여 송풍팬(43)을 제어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컴(90)은 이러한 제어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이 저장부는 예를 들면, EEPROM이 사용될 수 있다.
마이컴(90) 및 감지회로(80)는 상술된 컨트롤 패널(9)의 후면에 장착된다.
또한, 마이컴(90)은 감지회로(8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에 의한 전원 공급 및 차단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다.
도 5은 도 4의 감지회로의 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회로(80)는 노드(N1)로부터의 입력전압 중에서 양(+)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다이오드(D1)와, 노드(N1)로부터의 입력전압을 감압하는 저항(R1)과, 포토 커플러(PC)의 입력단(I1, I2)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에 포함된 노이즈 방지하는 다이오드(D2)와 캐패시터(C1)와, 입력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포토 커플러(PC)와, 포토 커플러(PC)의 출력단(O1)에 연결되어 포토 커플러(PC)의 온/오프에 따라 마이컴(90)에 직류 전압인 기준전압(Vref) 이하의 상이한 전압 파형을 제공하는 저항(R2)과 캐패시터(C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준전압(Vref)은 마이컴(90)이 구비되는 회로에서 마이컴(90)의 구동전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 기준전압(Vref)을 생성하는 전압공급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며, 이러한 기준전압(Vref)의 생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용이하게 인식되는 기술이다.
특히, 저항(R1)은 상용전원이 예를 들면 AC 240V인 경우, 노드(N1)과 (N2) 간의 전위차는 240V 정도이기때문에, 이 전압이 그대로 포토 커플러(PC)에 인가될 경우, 포토 커플러(PC)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 입력전압을 수십 V 이내로 감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포토 커플러(PC)는 노드(N1)와 (N2) 간에 전위차가 있으면, 즉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온된 경우, 이 전위차에 대응하는 전압이 입력단에 인가되며, 이 전압이 교류전압이므로, 내부의 포 토 다이오드가 이 전압의 주기에 따라 발광하고, 이에 수광부인 트랜지스터가 온/오프되어, 마이컴(90)에는 구형파가 인가된다. 노드(N1)와 (N2) 간에 전위차가 없으면, 즉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1 또는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오프된 경우, 감지 회로(80)의 입력단은 동전위가 되어 내부의 포토 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게 되어, 수광부인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며, 이에 마이컴(90)에는 기준전압(Vref)에 근접한 직류 전압 파형이 지속적으로 인가된다.
도 6 및 도 7은 감지회로의 출력 파형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온 상태인 경우, 히터(30)에 교류인 상용전원이 인가되므로, 노드(N1)와 (N2)는 이 상용전원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압차가 야기되어, 이 전압차에 따라 포토 커플러(PC)가 온되되, 교류전압이므로, 상용전원의 주기에 대응하여 포토 커플러(PC)는 온/오프를 반복하여, 마이컴(90)에는 기준전압(Vref)보다 작은 구형파가 인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서모스탯(TS1), (TS2)이 오프 상태인 경우, 히터(3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노드(N1)와 (N2)는 동전위가 되어, 포토 커플러(PC)가 항상 오프되며, 이에 기준전압(Vref)에 근접한 직류 전압(예를 들면, high 신호)이 마이컴(90)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마이컴(90)은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파형에 따라 제1 및 제2서모스탯(TS1), (TS2)의 오프 상태로 인한 히터(30)로의 전원 차단 시간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오프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의 마이컴에서 인식하는 온/오프 그래프들이다. 도 8에서, R은 배기덕트(50)의 직경을 의미하며, 그 숫자의 단위는 inch이다. 즉, 직경이 R(2.0), R(2.3), R(2.625), R(2.88), R(3.0)일 때, 도 6 및 도 7과 같은 감지회로(8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컴(90)이 인식하는 히터(30)에 대한 전원공급상태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직경이 넓을 수록, 공기 유로의 상태(막힘 정도)가 약한 것이고, 직경이 좁을 수록, 공기 유로의 상태(막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전원공급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 듀티비(x'/y')와, 오프 듀티비(z'/y')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오프 듀티비(z'/y')에 대해서 설명된다.
먼저, R(2.0)의 오프 듀티비는 0.48(온 듀티비는 0.52)이고, R(2.3)의 오프 듀티비는 0.32(온 듀티비는 0.68)이고, R(2.625)의 오프 듀티비는 0.26(온 듀티비는 0.74)이고, R(2.88)의 오프 듀티비는 0.13(온 듀티비는 0.87)이고, R(3.0)의 오프 듀티비는 0(온 듀티비는 1)이다. 즉, 직경이 감소될 수록 오프 듀티비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온 듀티비는 감소된다. 따라서, 마이컴(90)은 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현재 공기 유로의 막힘 정도(특히, 린트 필터(41)의 막힘 또는 배기 덕트(50)의 막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오프 듀티비 막힘 정도 막힌 부분
0~0.30 - -
0.30~0.45 하(약함) 린트 필터
0.45~0.60 중(중간) 린트 필터(심한정도 막힘)/배기 덕트(중간정도 막힘)
0.60~ 상(심함) 배기 덕트
마이컴(90)은 상술된 온/오프 듀티비 등으로 이루어진 막힘정도를 포함하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은 건조기의 건조 동작 횟수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건조기(1)가 최초로 설치되거나, 이사 등에 의해 재설치된 경우, 마이컴(90)은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를, 더 정확하게는 배기덕트(50)의 초기막힘정도를 저장하고, 이후에 건조 동작의 수행에 따른 막힘정도를 추가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마이컴(90)이 저장하는 초기막힘정도(D0)이고, 이후의 막힘정도는 D1, D2, ..., Dn-1, Dn으로 저장된다.
도 9는 배기덕트의 직경과, 건조기의 사용횟수에 따른 막힘정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50)의 직경(R)(단위 inch)에 따라 초기막힘정도의 산정 기준인 온듀티비(D0', D0")가 상이하며, 건조기의 건조횟수(N)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서서히 악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적은 건조횟수(N)에서,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는 많이 변화되지 않으나,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는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심해지게 된다. 예를 들면, 배기덕트(50)의 직경(R)이 2.5inch일 경우, 건조 횟수(N)가 8이면, 초기막힘정도(D0')와, 현재 막힘정도(D8) 간의 차이(d)는 일반적으로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를 나타낼 것이다. 물론, 이 차이(d)가 상대적으로 크고, 그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 또는 이사 등에 의한 배기덕트(50) 환경의 변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0은 배기덕트의 직경에 따른 린트필터의 막힘정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힘이 전혀 없는 린트필터(41)의 그래프(S1)와, 막힘이 있는 린트필터(41)의 그래프(S2) 간에는 배기덕트(50)의 직경(즉, 초기막힘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온듀비티의 차이가 있다. 즉, 온듀티비(R1) 내지 (R2) 구간에서의 린트필터(41)의 필터막힘기준 듀티비(R1')와, 온듀티비(R2) 내지 (R3) 구간에서의 린트필터(41)의 막힘판단 기준(R2')과, 온듀티비(R3) 이상에서의 린트필터(41)의 필터막힘기준 듀티비(R3')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렇게 서로 상이한 초기막힘정도에 따라 린트필터(41)의 필터막힘기준 듀티비(R1', R2', R3')이 적용되어야 린트필터(41)의 막힘상태 또는 막힘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된다.
마이컴(90)은 다수의 초기막힘정도에 대응하는 필터막힘기준 듀티비를 예를 들면, 룩업 테이블과 같은 형태로 저장한다.
도 11은 인가전압의 변화에 따른 산정된 막힘정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건조기(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가변될 때, 직경(R 2.0), (R 2.625)(즉,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또는 초기막힘정도)이 동일하게 유지되더라도, 마이컴(90)에서 산정하는 온듀티비의 값이 상이하게 된다. 즉, 저전압보다는 고전압에서 제1 또는 제2서모스탯(TS1), (TS2)에서, 더욱 빈번하게 오프되게 된다. 히터(30)의 발열량은 인가전압에 의존하게 되는데, 정격전압보다 낮은 전압 하에서는 히터(30)의 발열량이 적고, 정격전압보다 높은 전압 하에서는 히터(30)의 발열량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동일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하에서, 저전압에서의 온듀티비가 정격전압에서의 온듀티비보다 높게 나타나고, 고전압에서의 온듀티비는 낮아져서, 공기유로의 상태를 잘못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온듀비티가 B 이상인 경우를 공기유로가 막히지 않은 정상 상태로 판단되고, 온듀티비가 A 이상 B이하에서 공기유로가 중간 정도 막힌 상태이고, 온듀티비가 A 미만에서 공기유로가 막힌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R(2.625)에서 인가전압의 크기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잘못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가전압에 변동이 있는 환경 하에서, 표1과 같이 일정한 온/오프 듀티비를 기준으로 사용할 경우, 정확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막힘진행상태)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도 12의 특징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도 12는 배기덕트의 직경에 따른 평균오프시간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오프시간은 직경(R)(초기막힘정도)을 어느 정도 나타내고 있다. 이 평균오프시간은 도 8에서 도시된, 모든 오프시간(z')을 합하여 오프 횟수로 나눔으로써, 산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E이상인 경우에는, 직경이 증가됨에 따라 평균오프시간이 감소되므로, 마이컴(90)은 평균오프시간에 따라 직경을, 즉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온도조절부재의 평균오프시간은 히터(30)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전압변동에 둔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전압 변동이 있는 환경하에서도, 정확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온도조절부재의 평균오프시간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심하여질수록 길어지게 되는데, 유입되는 풍량이 작아질 수도 천천히 식고, 커질 수도 빨리 식기 때문이다. 또한, 평균오프시간에 대응하는 평균온시간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평균오프시간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직경이 E이하에서는, 직경이 감소되더라도 평균오프시간이 감소되는 구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E이하의 구간에서는 평균오프시간으로만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하게 되면, E이상의 구간과 비교하여, 동일한 평균오프시간이더라도 상이한 직경(공기유로의 막힘정도)을 지니고 있으므로, 마이컴(90)이 직경을 잘못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평균오프시간이 F인 경우, 직경(D)와, 직경(D')로 공기유로의 상태가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컴(90)은 온/오프 듀티비와, 평균오프시간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를 판단하여야 한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의 메인 순서도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11)에서, 마이컴(90)은 감지되어 저장된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저장된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가 있으면 단계(S1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2)에서, 마이컴(90)은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D0 내지 Dn) 중에서 최후에 저장된 2개의 막힘정도(Dn)과, (Dn-1) 간의 차이가 필터막힘판단 기준(Dr) 이상인 경우, (A)로 진행한다. 즉, 막힘정도(Dn)과 (Dn-1) 간의 차이는 현재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Dn)가 이전보다 심해진 정도를 나타내며, 이 정도가 필터막힘판단 기준(Dr) 이상인 경우, 보다 정확하게 린트필터(41)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를 판단할 필요가 있게 되어, (A)로 진행한다. 하기에서 (A)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단계(S13)에서, 마이컴(90)은 건조 동작을 수행하면서, 또는 건조 동작을 완료하여, 온도조절부재의 평균오프시간을 산정한다. 이에, 평균오프시간이 제1기준값(G)(도 12에 기재됨)보다 큰 경우, 마이컴(90)은 단계(S14)로 진행한다. 또한, 평균오프시간이 제1기준값(G)이하이면, 단계(S16)로 진행한다.
단계(S14)에서, 마이컴(90)은 평균오프시간이 제2기준값(F)보다 크면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8)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마이컴(90)은 산정된 평균오프시간이 제2기준값(F)보다 큰 것으로, 공기유로(즉,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9b)에 이 막힘정도를 표시한다. 즉, 평균오프시간이 제2기준값(F)보다 큰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힘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단계(S16)에서, 마이컴(90)은 산정된 평균오프시간이 제1기준값(G)이하인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힘이 적거나 없는 상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온도조절부재의 온듀티비를 이용하게 된다. 마이컴(90)은 온듀티비를 산정하고, 산정된 온듀티비가 배기덕트(50)의 막힘판단기준(Cr)(예를 들면, 0.40)과 비교하여, 막힘판단기준(Cr)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12의 좌측 부분(E를 기준으로 함)인 막힘정도로 판단하여 단계(S15)로 진행한다. 산정된 온듀티비가 막힘판단기준(Cr) 이상인 경우, 도 12의 우측 부분(E를 기준으로 함)인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7)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마이컴(90)은 현재의 공기유로의 막힘정도가 정상이거나 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로, 표시부(9b)를 통하여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가 정상이거나 약한 것으로 표시한다.
단계(S18)에서, 마이컴(90)은 산정된 평균오프시간이 제2기준값(F)이하인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힘이 적거나 없는 상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온도조절부재의 온듀티비를 이용하게 된다. 마이컴(90)은 온듀티비를 산정하고, 산정된 온듀티비가 배기덕트(50)의 막힘판단기준(Cr)과 비교하여, 막힘판단기준(Cr)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12의 좌측 부분(E를 기준으로 함)인 막힘정도로 판단하여 단계(S15)로 진행한다. 산정된 온듀티비가 막힘판단기준(Cr) 이상인 경우, 도 12의 우측 부분(E를 기준으로 함)인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마이컴(90)은 현재의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가 D'이하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즉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가 중간인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한다.
단계(S20)에서, 마이컴(90)은 단계(S13) 내지 (S19)에서 판단된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를 저장한다. 이 막힘정도는 상술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보에 포함된다.
상술된 순서도에서, 다양한 평균오프시간과 온/오프 듀티비를 사용할 경우, 보다 배기덕트(50)의 막힘정도를 다양한 단계들로 판단하고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3의 서브 순서도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31)에서, 마이컴(90)은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보를 판독한다.
단계(S32)에서, 마이컴(90)은 막힘정보로부터 초기막힘정도를 판독하고, 이 초기막힘정도에 대응하는 필터막힘기준 듀티비를 판독한다.
단계(S33)에서, 마이컴(90)은 초기막힘정도(Do)와, 현재의 막힘정도(Dn) 간의 차이와 필터막힘기준 듀티비를 비교하여, 만약 차이가 더 크면 단계(S3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5)로 진행한다.
단계(S34)에서, 마이컴(90)은 린트필터(41)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한다.
단계(S35)에서, 마이컴(90)은 린트필터(41)가 막히지 않은 것으로, 즉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9b)를 통하여 표시한다.
상술된 순서도에서, 다양한 필터막힘기준 듀티비가 적용될 경우, 린트필터(41)의 막힘 정도를 보다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에 대하여 기술한다.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막힘감지 확인방법의 예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감지 확인방법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 단계에서의 막힘정보에 따라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또는 필터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 및 필터의 막힘정도를 제공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막힘정보는 건조기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포함하되, 표시 단계는 최후에 저장된 2개의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가 필터막힘 판단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저장된 막힘정도에 따라 현재의 필터에 대한 막힘정도에 대한 판단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막힘정보는 배기덕트의 초기막힘정도를 포함하고, 확인방법은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초기막힘정도에 대응하는 필터막힘기준 듀티비와, 초기막힘정도와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여, 필터의 막힘정도 및 막힘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확인 방법은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현재의 공기유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5항에 따른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보가 없는 경우 수행되도록 하여, 건조기가 처음 설치된 경우에 배기덕트의 막힘정도에 대한 확인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초기 배기덕트의 상태를 제공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6항에 따른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건조기의 건조 동작 중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시간을 제1 및 제2기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확인하여, 외부 전원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온/오프 시간이 사용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7항에 따른 제1기준시간은 제2기준시간보다 크도록 하여, 공기유로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에 따른 복수 단계의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1비교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와 기준 온/오프 듀티비를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확인하여, 온/오프 시간에 따른 판단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막힘정도의 오인을 방지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제2비교단계가 제1비교단계에서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시간이 제2기준시간 이하 및 제1기준시간과 제2기준시간 사이인 경우, 수행되어, 전원의 가변 상황하에서 정확한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의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출원시 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된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은 건조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건조 동작 중에 온도조절부재의 오프시간을 산정하는 제1산정 단계와, 산정된 온/오프시간의 크기가 제1영역에 속한 경우, 건조 동작 중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제2산정 단계와,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와, 산정된 온/오프시간의 크기가 제1영역에 속하지 않은 경우, 산정된 온/오프시간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전원의 가변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1항에 따른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이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제1판단단계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적어도 2단계 이상의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막힘정도의 진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3항에 따른 제2산정단계는 산정된 온/오프시간의 크기가 제1영역 내의 제2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제3판단단계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3단계 이상의 막힘정도 또는 막힘상태의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4항에 따른 확인방법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5항에 따른 확인방법은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따라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제4판단단계를 포함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6항에 따른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건조기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포함하되, 제4판단단계는 최후에 저장된 2개의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가 필터막힘 판단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7항에 따른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를 포함하고, 제4판단단계는 초기막힘정도에 대응하는 필터막힘기준 듀티비와, 초기막힘정도와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8항에 따른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초기막힘정도이다.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와 함께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의 공기유로의 상태를 표시 및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의 막힘 정보를 건조 동작의 수행 또는 이사 및 청소 등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에 인가되는 전원 등이 가변되는 경우와 같이 외부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공기유로의 막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 단계에서의 막힘정보에 따라 배기덕트의 막힘정도 또는 필터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막힘정보는 건조기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포함하되, 표시 단계는 최후에 저장된 2개의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가 필터막힘 판단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막힘정보는 배기덕트의 초기막힘정도를 포함하고, 확인방법은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초기막힘정도에 대응하는 필터막힘기준 듀티비와, 초기막힘정도와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확인 방법은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보가 없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건조기의 건조 동작 중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시간을 제1 및 제2기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기준시간은 제2기준시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1비교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와 기준 온/오프 듀티비를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비교단계에서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시간이 제2기준시간 이하 및 제1기준시간과 제2기준시간 사이인 경우, 제2비교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0. 건조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건조 동작 중에 온도조절부재의 오프시간을 산정하는 제1산정 단계와;
    산정된 온/오프시간의 크기가 제1영역에 속한 경우, 건조 동작 중의 온도조절부재 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제2산정 단계와,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와;
    산정된 온/오프시간의 크기가 제1영역에 속하지 않은 경우, 산정된 온/오프시간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막힘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판단단계는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적어도 2단계 이상의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제2산정단계는 산정된 온/오프시간의 크기가 제1영역 내의 제2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제3판단단계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 도 확인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확인방법은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확인방법은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에 따라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제4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건조기의 온도조절부재의 온/오프 듀티비를 포함하되, 제4판단단계는 최후에 저장된 2개의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가 필터막힘 판단기준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공기유로의 막힘정도는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를 포함하고, 제4판단단계는 초기막힘정도에 대응하는 필터막힘기준 듀티비와, 초기막힘정도와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필터의 막힘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공기유로의 초기막힘정도는 배기덕트의 초기막힘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KR1020070038073A 2007-04-18 2007-04-18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KR10086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73A KR100867475B1 (ko) 2007-04-18 2007-04-18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CN2007103001491A CN101289799B (zh) 2007-04-18 2007-12-16 烘干机堵塞程度的检测方法
US12/104,679 US7891113B2 (en) 2007-04-18 2008-04-17 Clogging degree deciding method for dryer
AU2008201743A AU2008201743B2 (en) 2007-04-18 2008-04-18 Clogging degree deciding method for dryer
DE102008019563A DE102008019563A1 (de) 2007-04-18 2008-04-18 Verstopfungsgradentscheidungsverfahren für einen Trock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73A KR100867475B1 (ko) 2007-04-18 2007-04-18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28A true KR20080093828A (ko) 2008-10-22
KR100867475B1 KR100867475B1 (ko) 2008-11-10

Family

ID=3987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73A KR100867475B1 (ko) 2007-04-18 2007-04-18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91113B2 (ko)
KR (1) KR100867475B1 (ko)
CN (1) CN101289799B (ko)
AU (1) AU2008201743B2 (ko)
DE (1) DE102008019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KR100638936B1 (ko) * 2005-03-31 200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1253150B1 (ko) * 2006-04-17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A2599353C (en)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599375C (en) * 2006-09-06 2011-06-21 Lg Electronics Inc.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US8146265B2 (en) * 2007-04-18 2012-04-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of dryer
KR101589478B1 (ko) * 2009-10-05 2016-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677612B1 (ko) * 2009-10-29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U2012372144B2 (en) * 2011-12-08 2014-12-04 Lg Electronics Inc. Me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29241B1 (ko) 2012-12-07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215175B2 (en) 2020-04-17 2022-01-04 Poolside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ool systems
US11307600B2 (en) 2020-05-01 2022-04-19 Poolside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temperatures of pool systems
US11208822B2 (en) 2020-05-01 2021-12-28 Poolside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ool systems
US11523968B2 (en) 2020-10-27 2022-12-13 Poolside Tech, LLC Methods for determining fluidic flow configurations in a pool system
US11221637B1 (en) 2021-01-14 2022-01-11 Poolside Tech, LLC Intelligent control of simple actuato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3132A (ja) * 1989-01-27 1990-08-13 Sanyo Electric Co Ltd 暖房機
US5291667A (en) 1990-04-26 1994-03-0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Electronic control of clothes dryer
JP3322602B2 (ja) * 1997-02-25 2002-09-09 松下電工株式会社 生ごみ処理装置
US5860224A (en) * 1997-06-02 1999-01-19 Larson; Eric K. Testing for blocked dryer vent
JP2000246000A (ja) * 1999-03-02 2000-09-12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CA2390660C (en) 2002-06-13 2007-10-16 Camco In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0506593B1 (ko) 2003-08-12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건조기의 필터 막힘 판별 방법
CN1724799A (zh) * 2004-07-19 2006-01-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冷凝式衣物烘干机及其过滤器检测方法
KR20060036726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1864B1 (ko) 2005-12-22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735963B1 (ko) 2006-09-06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A2599353C (en)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783229B1 (ko) 2006-12-26 200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CA2610133C (en) 2006-12-26 2010-09-21 Yang-Hwan Kim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835362B1 (ko) 2007-03-19 2008-06-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9799A (zh) 2008-10-22
DE102008019563A1 (de) 2008-11-27
CN101289799B (zh) 2010-12-22
US7891113B2 (en) 2011-02-22
AU2008201743B2 (en) 2010-08-19
AU2008201743A1 (en) 2008-11-06
KR100867475B1 (ko) 2008-11-10
US20080313923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475B1 (ko)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KR100872234B1 (ko) 건조기의 막힘감지방법
CA2599353C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872218B1 (ko) 건조기의 제어장치
KR100872233B1 (ko) 건조기
CA2610133C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US8146265B2 (en) Display device of dryer
CA2610132C (en) Dryer with safety function
KR100872217B1 (ko) 건조기의 표시장치
KR100735963B1 (ko) 건조기
KR100783229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0872216B1 (ko) 건조기의 표시장치
KR100819594B1 (ko) 건조기의 안전 장치
KR100844618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KR100819596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0819595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0844609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