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783A -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783A
KR20080093783A KR1020070037989A KR20070037989A KR20080093783A KR 20080093783 A KR20080093783 A KR 20080093783A KR 1020070037989 A KR1020070037989 A KR 1020070037989A KR 20070037989 A KR20070037989 A KR 20070037989A KR 20080093783 A KR20080093783 A KR 2008009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white dandelion
methanol
column chromatography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숙
이우송
박호용
한종민
안소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3783A/ko
Publication of KR2008009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민들레를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흰민들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NF-κB 활성, 단핵구의 흡착,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의 발현 또는 동맥병변 형성과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흰민들레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분획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NF-κB 활성 억제,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 억제,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에서 VCAM-1 및 ICAM-1의 발현 억제, 고지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이한 Ldlr 적중 마우스의 동맥병변 형성 억제 및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의 산화, NF-κB 활성화,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에서 VCAM-1 및 ICAM-1의 발현, 동맥병변 형성 및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심장순환계 질환, 흰민들레, 루테올린,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Description

흰민들레를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Fraction of Taraxacum coreanum Nakai, preparing method and use thereof}
도 1, 3, 6 및 8은 흰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각각 분획물의 HPLC 분석 데이타이다.
도 2, 4 및 7은 흰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각각 분획물을 PDA(photo diode array) 검출기를 사용하여 시간, 흡광도 및 파장을 각각 X, Y 및 Z 축으로 설정하고 3D로 다시 화합물을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흰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에서의 각 화합물의 농도를 구하기 위한 표준곡선을 나타낸다.
도 9는 대식세포(RAW264.7 세포) 및 혈관내피세포(HUVECs)의 독성에 대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의 NF-κB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A는 알카라인 포스페테이즈 분석한 데이타이고, B는 루시페레이즈 분석한 데이타임).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의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A는 TNF-α의 자극 없이 정상적인 혈관내피세포인 경 우 단핵구의 부착이 매우 적은 것을 나타냄, B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 단핵구가 많이 부착되어 것을 나타냄, C는 100 ㎍/㎖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처리시 단핵구의 부착정도를 나타냄, D는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 플로로미터로 측정한 형광값을 나타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의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에서 VCAM-1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A는 TNF-α의 자극 없이 정상적인 혈관내피세포인 경우 VCAM-1의 발현이 적은 것을 나타냄, B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VCAM-1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냄, C는 100 ㎍/㎖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처리시 VCAM-1의 발현정도가 줄어들어 것을 나타냄, D는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 플로로미터로 측정한 형광값을 나타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의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에서 ICAM-1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A는 TNF-α의 자극 없이 정상적인 혈관내피세포에서의 ICAM-1의 발현을 나타냄, B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ICAM-1의 발현이 활성화된 것을 나타냄, C는 100 ㎍/㎖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처리시 ICAM-1의 발현이 감소함을 나타냄, D는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 플로로미터로 측정한 형광값을 나타냄).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을 처리한 Ldlr 적중 마우스의 심장 박편조직 절개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을 처리한 Ldlr 적중 마우스에 동맥경화 병변 원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A는 대조군(HFHC) 및 0.2%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투여군으로부터 얻은 대동맥동의 염색 사진(원배율, 40×)이며, B는 오일-레드 오 (Oil-red O)에 의해 염색된 대동맥동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C는 대동맥동 영역에 대한 오일-레드 오의 염색된 영역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각 군의 오일-레드 오에 의해 염색된 대동맥동 병변 영역을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한 후 나타낸 그래프임).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을 처리한 Ldlr 적중 마우스에 동맥경화 병변 근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A는 대조군(HFHC) 및 0.2%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투여군으로부터 얻은 대동맥동의 염색 사진(원배율, 40×)이며, B는 오일-레드 오에 의해 염색된 대동맥동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C는 대동맥동 영역에 대한 오일-레드 오의 염색된 영역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각 군의 오일 레드 오에 의해 염색된 대동맥동 병변 영역을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한 후 나타낸 그래프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을 처리한 Ldlr 적중 마우스에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A는 대조군(HFHC) 및 0.2%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투여군으로부터 얻은 대동맥동 절편을 마우스 대식세포에 대한 래트 단일클론 항체(MOMA-2)로 염색한 사진(원배율, 40×)이고, B는 오일-레드 오로 염색된 영역에 대한 MOMA-2로 염색된 영역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각 군의 MOMA-2 염색된 대동맥동 병변 영역을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한 후 나타낸 그래프임).
흰민들레를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성인병 증가와 아울러 동맥경화 등 혈관장애질환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콜레스테롤 증가, 특히 높은 LDL-콜레스테롤은 죽상동맥경화와 관련된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와 생합성 저해를 통한 혈장 LDL량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Principles in Biochemistry, lipid biosynthesis, 770-817, 3rd Edition, 2000 Worth Publishers, New York; Steinberg, N. Engl. J. Med., 1989, 320, 915-924).
최근에는 죽상경화(atherosclerosis)의 요인으로 혈액내 LDL 산화물의 생성이 주요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Circulation, 1995, 91, 2488-2496;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7, 17, 3338-3346), 특히 LDL의 과산화와 구조변형을 통해 생성된 HM-LDL(highly modified LDL)의 대식세포(macrophage)로의 유입에 따른 거품세포(foam cell) 생성이 밝혀짐에 따라 LDL 퍼옥사이드의 생성요인과 제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Curr. Atheroscler. Res., 2000, 2, 363-372).
혈관벽내에 플라그(plaque) 형성과 파열은 심근경색 발병에 주요한 요인이며, 동맥경화는 혈관벽의 손상에 대한 만성 염증과정으로, 손상 기작보다는 오히려 방어기작으로 제시되고 있다(Circ. Res. 2001, 89, 298-304).
현재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부콜(probucol), N,N'-디페닐렌디아민(N,N'-diphenylenediamine),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와 BHT(butylated hydroxytoluene)는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산화정도를 약화시키며 병변형성을 감소시켜 항산화력은 우수하나, 부작용이 많아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 환자에 있어서 지질 강하제와 함께 LDL 항산화제의 병행투여 요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어서, 부작용이 적고 항산화력이 우수한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 전국 각지의 들판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흰민들레의 건초는 전통약물로서 오랫동안 이뇨제, 항염치료에 이용되어져 왔다(안덕균, 한국본초도감, 134-135, 1998). 1970년대에 흰민들레의 화학적 성분에 대한 연구로는 아브시스산(abscisic acid)과 필수 오일(essential oils)에 관한 연구보고가 있었으며(김재길, 원색천연약물대사전(상권), 77, 1974; 중약대사전(4), 2414-2420, 1985),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항암제 성분인 타락신산(taraxinic acid)이 알려져 있다(Biol. Pharm. Bull., 2002, 25, 1446-1450). 그 이외에는 흰민들레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근연식물로 흰민들레, 좀민들레, 서영민들레, 산민들레 등이 있으며, 이들의 천초를 일반적으로 포공영(Taraxaci Herba)이라 한다. 포공영의 주성분으로 타락사 신(Taraxacin), 여러지방산, 이눌린(Inul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베타-아미린(β-Amyrin)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민들레를 탕제로 사용할 경우 동의보감, 중약대사전 등에 나타난 한의학적 약리작용으로는 청열해독, 이담, 이뇨, 급성유선염, 결막염, 기관지염 등의 염증 치료, 항진균 효과, 건위작용,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흰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이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있음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흰민들레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및 루테올린 화합물이라는 것은 알려진 바 없으며, 특히 이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루테올린 등 페놀릭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흰민들레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그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이 동맥병변 형성억제 및 동맥병변내의 주요한 병변 구성물질 중 하나인 대식세포의 침착억제를 통한 항동맥경화 효능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고지혈증, 동맥경화 치료제를 천연물에서 탐색하던 중,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루테올린 등 페놀릭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흰민들레의 분획물이 동맥경화 질환모델동물인 Ldlr 적중 마우스에 식이와 병행 투여하여 동맥병변의 형성을 억제하는 항동맥경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흰민들레 분획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흰민들레 분획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흰민들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흰민들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NF-κB 활성, 단핵구의 흡착,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의 발현 또는 동맥병변 형성과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흰민들레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민들레 분획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민들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흰민들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NF-κB 활성, 단핵구의 흡착,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의 발현 또는 동맥병변 형성과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흰민들레 분획물을 제공한다.
흰민들레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하거나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메탄올 및 아세톤을 이동상 용매로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분획물은 메탄올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다이아이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흰민들레 분획물은 동맥병변 형성억제 및 동맥병변내의 주요한 병변 구성물질 중 하나인 대식세포의 침착억제를 통한 항동맥경화 효능을 나타냈다.
동맥경화 초기 병변의 특징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부착분자인 VCAM-1(vascular adhesion molecule-1), ICAM-1(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및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이 발현된다는 것인데, 이들은 전사인자인 NF-κB(nuclear factor-κB)에 의해 유도된다. 또한, NF-κB로 인해 혈관벽 내에 플라그(plaque)의 형성 및 파열이 일어난다. NF-κB는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이나 사이토카인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활성화 된다. 이러한 NF-κ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발표되어 있다(Breuss 등, Circulation 105:633-638, 2002; Monaco 등, PNAS, 101:5634-5639, 2004).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은 마우스의 대식세포(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NF-κB의 활성 및 사람의 혈관내피세포(HUVEC)에서 단핵구의 흡착, VCAM-1 및 ICAM-1 활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의 산화에 의해 유발 및 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와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흰민들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을 이동상 용매를 메탄올,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아세톤으로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3개의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흰민들레 분획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흰민들레는 통상적으로 구할 수 있는 흰민들레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특별한 처리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다이아이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는 메탄올:물이 1:3~5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흰민들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심장순환계 질환은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심근경색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흰민들레 분획물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 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흰민들레 분획물일 경우 10 ~ 2,0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500 ㎎/㎏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흰민들레 분획물의 경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000 ㎎/㎏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흰민들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심장순환계 질환은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심근경색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분획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로의 용도시 측정된 독성 범위내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흰민들레 분획물을 함유하는 식품으로는 흰민들레 분획물를 주성분으로 만든 즙, 차, 젤리, 쥬스 등의 식품 및 기호품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흰민들레의 알코올 및 열수 추출물 제조 및 흰민들레로부터 루테올린과 루테 올린-7-글루코시드의 추출, 분리 및 정제
< 실시예 1> 흰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 제조
대한민국 강원도에서 구입한 건조된 흰민들레 1 ㎏을 세척하고, 이를 95% 에탄올 12 ℓ에 넣어 상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농축하여 흰민들레 에탄올 추출물(93 g)을 얻었다.
< 실시예 2> 흰민들레의 열수 추출물 제조
흰민들레 70 g을 세척한 후, 증류수 1 ℓ를 가하고 3 시간씩 2 회 열수 추출하였다. 그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농축하여 흰민들레 열수 추출물 18 g을 얻었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 용액에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으로 처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0.15 g), 부탄올 추출물(1.14 g) 및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3> 흰민들레로부터 페놀릭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는 분획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의 메탄올 추출물(93 g)을 다이아이온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Ø10 × 60 ㎝, Mitsubishi Chemical Co.)로 분리하였다. 이때, 이동상 용매는 메탄올 : 물 = 1 : 4(5 ℓ), 메탄올(10 ℓ), 그리고 아세톤(5 ℓ)로 용출시켜 3 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때, 2번 분획(메탄올 분획, 7.4 g)에서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활성(10 ㎍/㎖에서 64% 저해)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흰민들레로부터 루테올린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3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은 2번 분획(7.4 g)을 클로로포름, 메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 Merck, Art 9385, 칼럼 크기 : Ø 5 x 30 ㎝)로 분리하였다. 이 때, 이동상 용매를 클로로포름 : 메탄올 : 물 = 95 : 5 : 1 → 40 : 10 : 1 (v/v) 로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용출하여 3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상기 수득된 분획 중 1번 분획(2.1 g)을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칼럼(Ø 1.5 x 50 ㎝) 을 이용하여 7개 분획으로 분리하였으며, 이 중 7번째 분획(230 ㎎)을 다시 두 번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Ø 5 x 30 ㎝)로 분리하였다. 이때, 클로로포름 : 메탄올 : 물 = 95 : 5 : 1 (v/v)인 용매로 용출시켜 4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상기 수득된 분획 중 두 번째 분획(145 ㎎)을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Ø 3 x 15 ㎝)를 수행하여 메탄올 : 물 = 70 : 30 (v/v)인 용매로 용출시켰으며, 이때 루테올린 12 ㎎을 얻었다.
또한 상기 첫 번째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수득된 분획 중 1번 분획(2.1 g)에는 카페익산, 아피제닌 및 디오스메틴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2-1번 분획(2.1 g)에서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사용)를 사용하여 2-1-1~7가지 분획으로 나누고, 이중 2-1-6번 분획(190 ㎎)을 30% 메탄올을 전개용매로하여 셉-팩 C18 카트리지(30 × 20 ㎜)를 사용하여 2-1-6-1번 분획을 얻고, 다시 준분취 HPLC(semipreparative HPLC)를 이용하여 메탄올 : 1% 초산 수용액 = 7 : 3 (v/v)인 용매로 용출하여 카페익산(8 ㎎)을 분리하였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 2-1-7-1번 분획(40 ㎎)은 전개용매를 메탄올 : 1% 초산 수용액 = 6 : 4 (v/v)로하여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Ø150 × 30 ㎜)를 실행하여 2-1-7-1-1번 분획(20 ㎎)을 얻고, 다시 준 분취 HPLC를 이용하여 메탄올 : 0.1% 초산 수용액 = 4 : 6 (v/v)인 용매로 용출하여 아피제닌(2 ㎎) 및 디오스메틴(2 ㎎)을 분리하였다.
< 실시예 5> 흰민들레로부터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3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은 2번 분획(7.4 g)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 Merck, Art 9385, 칼럼 크기 : Ø 5 x 30 cm)로 분리하여 얻은 3개의 분획 중 2번 분획(1.3 g)을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으로 전개시킨 후, 41~45번 분획(15 mg)을 분리하였으며, 다음으로 이 분획을 메탄올 : 0.1% 초산 수용액 = 30 : 70 (v/v)용출 용매로 하여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루테올린-7-글루코시드(7 ㎎)을 얻었다.
< 실험예 1>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화합물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4 및 5에서 얻은 물질은 VG 고분해능 GC/MS 분광기(VG high resolution GC/MS spectrometer, Election Ionization MS, Autospec-Ultima)를 사용하여 분자량 및 분자식을 결정하였으며, 선광도는 편광기(Jasco DIP-181 digital pola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핵자기공명(NMR) 분석(Bruker AMX 500) 을 통하여 1H-NMR, 13C-NMR, 호모-코지(HOMO-COSY), HMQC(1H-Detected heteronuclear Multiple-Quantum Coherence), HMBC(Heteronuclear Multiple-Bond Coherence), DEPT(Distortionless Enhancement by Polarization) 스펙트럼을 얻고, 분자구조를 결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으며, 발표된 문헌의 것과 비교 분석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루테올린(J. Agric. Food Chem., 2005, 53, 6117-6125),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루테올린-7-글루코시드(J. Agric. Food Chem., 2005, 53, 6117-6125)로 동정하였다.
Figure 112007029494009-PAT00001
1) 물성 : 노란색 고체
2) 분자량 : 286
3) 분자식 : C15H10O6
4) EIMS, m/z 286 [M]+
5) 1H-NMR (CD3OD, 300 ㎒) δ 7.36 (2H, m), 6.89 (1H, d, J = 9 Hz), 6.52 (1H, s), 6.42 (1H, d, J = 2.4 Hz), 6.19 (1H, d, J = 1.8 Hz).
6) 13C-NMR (CD3OD, 75 ㎒) δ 183.8, 166.4, 166.1, 163.2, 159.4, 151.0, 147.0, 123.7, 120.3, 116.7, 114.1, 105.3, 100.1, 95.0.
Figure 112007029494009-PAT00002
1) 물성 : 노란색 고체
2) 선광도 : [α]D20 -76.6°(c = 0.2, 메탄올)
3) 분자량 : 448
4) 분자식 : C21H20O11
5) EIMS, m/z 448 [M]+, 286 [M-GluA]-
6) 1H-NMR (DMSO, 300 ㎒) δ 7.44 (2H, m), 6.90 (1H, d, J = 8.1 ㎐), 6.79 (1H, d, J = 2.4 ㎐), 6.75 (1H, s), 6.44 (1H, d, J = 2.1 ㎐), 5.08 (1H, d, J = 6.6 ㎐). 3.78-3.15 (6H, m).
7) 13C-NMR (DMSO, 75 ㎒) δ 181.9, 164.5, 162.9, 161.1, 156.9, 149.9, 145.8, 121.3, 119.2, 115.9, 113.5, 105.3, 103.1, 99.9, 99.5, 94.7, 77.1, 76.3, 73.1, 69.5, 60.6.
< 실험예 2> 카페익산 , 아피제닌 디오스메틴의 구조결정
실시예 4에서 얻은 카페익산은 1H-NMR 스펙트럼으로 δ 7.51에서 1개의 양성자를 확인하였고, δ 6.76에서 하나의 양성자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문헌의 값과 비교하여 화학식 3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Figure 112007029494009-PAT00003
백색분말; C9H8O4; EI-MS m/z: 180 [M]+; 1H-NMR (CD3OD, 300 ㎒): δ 7.51 (1H, d, J = 15.9 ㎐), δ 7.02 (1H, d, J = 1.8 ㎐), δ 6.92 (1H, dd, J = 8.7, 2.4 ㎐), δ 6.76 (1H, d, J = 7.8 ㎐), δ 6.21 (1H, d, J = 15.9 ㎐). 13C-NMR (CD3OD, 75 ㎒): δ 171.1, 149.4, 146.9, 146.8, 127.8, 122.8, 116.5, 115.7, 115.1.
실시예 4에서 얻은 아피제닌은 1H-NMR 스펙트럼으로 δ 7.83에서 2개의 양성자를 확인하였고, δ 6.57에서 하나의 양성자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문헌의 값과 비교하여 화학식 4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Figure 112007029494009-PAT00004
노란색 분말; C15H10O5; HREI-MS m/z: 270.0528 (calcd. for C15H10NO5 [M]+: 270. 0528); 1H-NMR (CD3OD, 300 ㎒): δ 7.83 (2H, m), δ 6.91 (2H, m), δ 6.57 (1H, s), δ 6.43 (1H, d, J = 1.8 ㎐), δ 6.18 (1H, d, J = 1.8 ㎐). 13C-NMR (CD3OD, 75 ㎒): δ 180.8, 166.2, 163.2, 162.8, 159.5, 129.4, 126.2, 123.2, 117.0, 103.7, 100.3, 95.2.
실시예 4에서 얻은 디오스메틴은 1H-NMR 스펙트럼으로 δ 7.56에서 2개의 양성자를 확인하였고, δ 6.88에서 하나의 양성자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문헌 의 값과 비교하여 화학식 5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Figure 112007029494009-PAT00005
노란색 분말; C16H12O6; HREI-MS m/z: 300.0634 (calcd. for C16H12NO6 [M]+: 300.0637); 1H-NMR (CD3OD, 300 ㎒): δ 7.56 (2H, m), δ 6.93 (1H, d, J = 9.5 ㎐), δ 6.88 (1H, s), δ 6.48 (1H, s), δ 6.17 (1H, s). 13C-NMR (CD3OD, 300 ㎒): δ 183.8, 166.1, 165.9, 163.2, 159.4, 152.6, 148.2, 125.0, 120.0, 113.9, 113.3, 112.7, 104.5, 100.2, 95.0, 56.5.
< 실험예 3> HPLC 를 이용한 흰민들레 추출물의 정량 분석
HPLC는 Shimadzu 10AVP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펌프 시스템은 Shimadzu LC-10ADVP system with binary pumps를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Cosmosil C18-MS-Ⅱ, 150 mm × 4.6 mm, 5 μm를 사용하였다. 검출기는 Shimadzu SPD-M10AVP photodiode-array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A: 0.1% 초산 수용액, B: 아세토니트 릴을 사용하여 유속은 분당 1 ㎖이며, 하기 표 1과 같은 분석 조건을 사용하였다.
시간(분) 용매 A(%) 용매 B(%)
0 90 10
20 80 20
30 75 25
40 65 35
50 60 40
60 55 45
70 50 50
Figure 112007029494009-PAT00006
실험예 3-1: 흰민들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HPLC 분석
표준물질을 상기 표 1의 조건을 사용하여 카페익산은 10.88 분, p-쿠마린산은 12.53 분,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는 22.27 분, 루테올린은 37.77 분, 아피제닌은 43.04 분 및 디오스메틴은 44.09 분에 검출되었다. 또한, PDA(photo diode array) 검출기를 사용하여 시간, 흡광도 및 파장을 각각 X축, Y축 및 Z축으로 설정하여 3D로 다시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2: 흰민들레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의 HPLC 분석
상기 실시예 3의 분획물을 10 ㎎/㎖의 농도로 HPLC를 실시하여, 카페익산,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루테올린, 아피제닌 및 디오스메틴 순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DA(photodiode array) 검출기를 사용하여 시간, 흡광도 및 파장을 각각 X축, Y축 및 Z축으로 설정하여 3D로 다시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3: 흰민들레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의 HPLC 분석
상기 실시예 3의 분획물 내의 각각의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화합물의 표준곡선을 구하였다. 카페익산 및 루테올-7-O-글루코시드는 330 ㎚에서 측정하였고, 루테올린, 이피제닌 및 디오스메틴은 250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파장 표준곡선 피크면적 R2 성분(%) (w/w)
카페익산 330 ㎚ y = 60,220,954 x + 164,371 2,175,106 1.0000 0.33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330 ㎚ y = 19,640,362 x + 358,054 1,783,480 0.9997 0.73
루테올린 250 ㎚ y = 23,062,535 x - 174,149 2,781,282 0.9933 1.28
아피제닌 250 ㎚ y = 18,725,966 x + 47,960 333,780 0.9965 0.15
디오스메틴 250 ㎚ y = 20,129,415 x + 52,929 233,133 0.9963 0.09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테올린은 1.28%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다음으로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0.73%, 카페익산 0.33%, 아피제닌 0.15%, 디오스메틴 0.09%로 검출되었다. p-쿠마린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3-4: 흰민들레 열수 추출물과 이의 부탄올 ,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 추출물의 정성 및 정량 분석
상기 실시예 2의 열수 추출물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고, 그 결과를 도 6, 7, 8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파장 표준곡선 피크면적 성분(%) (w/w) 40 ㎍/㎖처리시 LDL 저해농도(%)
열수 추출물 루테올린 250 ㎚ y = 23,062,535 x - 174,149 228,993 0.17 20.4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330 ㎚ y = 19,640,362 x + 358,054 419,541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루테올린 250 ㎚ y = 23,062,535 x - 174,149 9,063,065 4.01 79.5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330 ㎚ - - -
부탄올 루테올린 250 ㎚ y = 23,062,535 x - 174,149 5,522,511 2.47 77.8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330 ㎚ y = 19,640,362 x + 358,054 2,131,561 0.90
물 분획 - - - - - 3.8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열수 추출물을 HPLC한 경우,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는 22.31 분에 검출되었고, 루테올린은 37.62 분에 검출되었다. 상기 열수 추출물의 결과는 PDA 검출기를 사용하여 도 7로 다시 확인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열수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추출물에서는 루테올린 및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가 추출되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에서는 루테올린만이 추출 되어졌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획 추출물의 LDL 항산화 활성을 조사해본 결과 열수 추출물은 20.4%(40 ㎍/㎖)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낸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에서 각각 97.5, 95.8%(40 ㎍/㎖)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 루테올린 및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의 함량에 비례하여 LDL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 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의 항산화 활성
본 발명의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의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Cu2 +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의 산화를 유도(Cu2 +-mediated LDL-oxidation)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때 생성된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산물인 디알데하이드(dialdehyde)를 TBA(thiobarbituric acid)법으로 측정하여,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Packer, L. Ed. (1994) Methods in Enzymology Vol. 234, Oxygen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Part D. Academic press, San Diego).
사람의 혈장 300 ㎖를 초원심분리기로 100,000×g에서 24 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에 부유된 고밀도 지질단백질(VLDL)/킬로마이크론(chylomicron)층을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의 비중을 1.063 g/㎖로 맞춘 후, 100,000×g에서 24 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다시 상층에 부유된 저밀도 지질 단백질 25 ㎖(1.5~2.5 ㎎ 단백질/㎖)를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한 저밀도 지질 단백질 20 ㎕(단백질 농도, 50-100 ㎍/㎖)를 10 mM 인산완충용액(phosphate-buffered saline, PBS) 210 ㎕와 혼합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의 용액을 각각 10 ㎕씩 첨가하였다.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를 DMSO(dimethylsulfoxide)에 녹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기 전에 여러 농도로 희석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용매만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프로부콜(probucol)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용액에 0.25 mM CuSO4 10㎕를 첨가하여 37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2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TCA) 용액 1 ㎖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0.05 N NaOH 용액에 녹인 0.67% TBA 용액 1 ㎖를 첨가하고 10 초간 교반시킨 후 95 ℃에서 5 분 동안 가열하여 발색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고 얼음물로 용액을 냉각하였다. 이 용액을 30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으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로 54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발색 반응으로 생성된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의 양을 구하였다.
한편, 테트라메톡시프로판(말론알데하이드 비스(디메틸아세탈)) [tetramethoxypropane malonaldehyde bis(dimethylacetal)]의 저장용액을 이용하여 0~10 n㏖ 말론디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PBS 표준용액을 250 ㎕씩 만들었다.
이 표준용액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색시켜 54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말론디알데하이드의 표준곡선을 구하였다.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실시예 3의 분획물,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를 사용한 상기 실험에서 말론디알데하이드의 양은 이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IC50(μM)
흰민들레꽃 열수추출물 24% at 40 ㎍/㎖
흰민들레꽃 에탄올추출물 51% at 40 ㎍/㎖
흰민들레꽃 메탄올 추출물 70% at 40 ㎍/㎖
흰민들레 줄기 및 뿌리 열수추출물 20% at 40 ㎍/㎖
흰민들레 줄기 및 뿌리 에탄올추출물 59% at 40 ㎍/㎖
흰민들레 줄기 및 뿌리 메탄올추출물 67% at 40 ㎍/㎖
흰민들레 줄기 및 뿌리 메탄올추출물의 다이아이온 HP-20 2번 분획 100% at 40 ㎍/㎖ 64% at 10 ㎍/㎖
루테올린 4.0
루테올린-7-O-글루코시드 0.8
카페익산 78% at 40 ㎍/㎖
아피제닌 53% at 40 ㎍/㎖
디오스메틴 49% at 40 ㎍/㎖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흰민들레 열수 및 알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 및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화합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다이아이온 HP-20 2번 분획, 루테올린 및 루테올린-7-글루코시드는 저밀도 지질 단백질이 산화되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실험예 5> 대식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에서 염증유발인자 생성 억제 활성 분석
동맥경화 초기 병변의 특징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부착분자인 VCAM-1(vascular adhesion molecule-1), ICAM-1(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및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이 발현된다는 것인데, 이들은 전사인자인 NF-κB(nuclear factor-κB)에 의해 유도된다. 또한, NF-κB로 인해 혈관벽 내에 플라그(plaque)의 형성 및 파열이 일어난다. NF-κB는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이나 사이토카인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NF-κ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발표되어 있다(Breuss 등, Circulation 105:633-638, 2002; Monaco 등, PNAS, 101:5634-5639, 2004). 이에, 본 실험 예에서는 마우스의 대식세포(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NF-κB의 활성 및 사람의 혈관내피세포(HUVEC)에서 단핵구의 흡착, VCAM-1 및 ICAM-1 활성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분획물이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예 5-1: 대식세포와 혈관 내피세포에서의 세포독성 실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ATCC)는 10% 우태아혈청(FBS, Hyclone), 2 mM L-글루타민, 100 units/㎖ 페니실린,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DMEM 배지(Gibco)를, 혈관 내피세포(HUVEC)는 EGM-2 혼합배지를 사용한다. 각각 분석용 배지를 이용하여 시험약물과 대조군(DMSO)에 대하여 웰내의 농도가 1, 5, 10, 20, 50, 100 ㎍/㎖이 되도록 미리 준비해 두었다. 이때 DMSO의 농도가 각각의 배지에 대하여 0.1%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웰당 배지와 세포를 5×104 세포/100 ㎕ 씩 분주하고, 37℃, 습윤한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에 해당하는 웰에는 세포를 첨가하지 않았고, 24시간이 지난 후 각 웰에서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각각의 웰에 약물처리배지를 200 ㎕ 씩 첨가하였다. 다시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에 5~10 ㎎/㎖의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용액(Sigma-Aldrich Co., USA)을 10 ㎕ 씩 첨가한 후 4시간 반응시킨 후, 용해 용액을 넣어 12시간 이상 충분히 반응시켜 생성된 포마잔 (formazan)의 생성을 균등하게 하고, 이어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Bio-Rad Co.,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59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0~100 ㎍/㎖의 모든 시료가 처리된 대식세포와 혈관내피세포들은 거의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분획물에 의한 세포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2: NF -κB 활성 측정
본 발명을 위해 흰민들레의 여러 분획 중 NF-κB와 직접 연관이 있는 산화질소(nitric oxide)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및 세포내 축적억제에 대한 스크리닝을 실시한 결과, 가장 우수한 억제효과를 보인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에 실시예 3의 분획물의 산화질소 및 활성 산소종의 생성 억제효과와 더불어 그 작용기작으로 NF-κB 활성을 저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8개의 κB element가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를 갖고 있는 대식세포에서 리포터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알카라인 포스페테이즈 분석법에 의한 NF-κB 활성저해효과는 배양된 대식세포에 2 시간 정도 실시예 3의 분획물을 표시된 농도로 처리한 후, 24 시간 동안 LPS로 자극시켰다(대조군은 LPS처리하지 않음). 이어 배양배지 100 ㎕와 동량의 알카라인 포스페테이즈 완충액을 넣어 10분간 시킨 다음 알칼라인 포스페테이즈 기질을 넣어 반응시킨 후, NF-κB 활성을 측정하였다. 루시페레이즈 분석법을 이용한 NF-κB 활성저해효과는 대식세포에 NF-κB reporter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넣은 후, 2 시간 정도 실시예 3의 분획물을 표시된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LPS로 2 시간 활성화시킨 후, 루시페레이즈 분석 시약으로 처리하고, 루미노미터로 측정하였으며, Student's t-test로 통계를 분석하였다(*P<0.01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함).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만을 처리했을 경우 비처리군에 비해 최대 3배 정도의 알칼라인 포스페테이즈의 양이 측정되었으며(도 10A), 루시페레이즈 분석법에서도 LPS만을 처리했을 경우 비처리군에 비해 최대 5배 정도의 NF-κB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B). 이로 보아,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 시 NF-κB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여졌는데, 최대농도에서 50~70% 정도의 NF-κB 억제효과를 보이고 있어, 이는 실시예 3의 분획물내에 포함되어 있는 NF-κB 활성저해 물질들의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실험예 5-3: 혈관내피세포에서의 단핵구의 흡착 실험
먼저 혈관내피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60% 정도의 군집도로 균등하게 깔아준다. 24 시간 정도 지난 후 부착된 혈관내피세포가 80% 정도의 군집도로 자라게 되면, 실시예 3의 분획물(10~100 ㎍/㎖)을 높은농도 순으로 2 시간 정도 전처리를 한다. 이후 TNF-α(10 ng/㎖) (대조군은 처리하지 않음)로 8시간 세포가 활성화시킨 후, 미리 준비한 형광염색약인 2,7-bis(2-carboxyethyl)-5(6)-carboxyfluorescein acetoxymethylester(BCECF-AM)으로 표지된 단핵구인 THP-1(2 x 105 개/웰)을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 골고루 넣어 주었다(한 샘플당 4웰 실시). 1 시간 정도 반응 후, PBS로 3번 세척하여 비특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단핵구(THP-1 세포)를 떼어낸 후,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플로로메터(spectrofluorometer, Perkin-Elmer, Brussels, Belgium)로 여기/방출(excitation/emission) 파장이 485 nm/530 nm에서 측정한다. Student's t-test로 통계를 분석하였다(*P<0.01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함).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는 실시예 3의 분획물에 의한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11A에서 TNF-α의 자극없이 정상적인 혈관내피세포인 경우 단핵구의 부착이 매우 적은 것을 볼 수 있으며, 도 11B에서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 단핵구가 많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1C에는 100 ㎍/㎖의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처리시 단핵구의 부착 정도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도 11D에는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플로로메터로 측정한 형광값으로서,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 최대농도(100 ㎍/㎖)에서 35% 정도로 단핵구가 혈관내피세포에 부착되는 것을 막아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4: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세포간 부착물질의 발현 측정
먼저 혈관내피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60% 정도의 군집도로 균등하게 깔아준다. 24 시간 정도 지난 후 부착된 혈관내피세포가 80% 정도의 군집도로 자라게 되면, 실시예 3의 분획물을 다양한 농도(5, 10, 20, 50, 그리고 100 ㎍/㎖ 정도)로 2 시간 정도 전처리하였다. 이후 TNF-α(10 ng/㎖) (대조군은 처리하지 않음)로 8시간 정도 세포를 활성화시켜 세포간 부착물질을 발현시킨 후, PBS(pH 7.4)로 3번 세척하였다. 세포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1% paraformaldehylde로 30분 정도 고정시키고, 다시 PBS 용액으로 3번 세척하였다. 비특이적인 항원 항체반응을 줄여주기 위해 blocking solution(0.2% FBS)으로 1 시간 정도 반응시킨 후, 형광물질인 fluorescein 5-isothiocyanate(FITC)가 부착된 세포간 부착물질 각각에 특이적인 1차 항체(ICAM-1, VCAM-1 antibody)로 1 시간 정도 염색하였다. 이 후 PBS로 3번 세척한 후,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플로로메터로 여기/방출 파장 485 ㎚/530 ㎚에서 측정하였고, 형광부착 현미경(BX-61, Olympus, Japan)을 이용하여 평균적인 형광값을 보이는 웰에서 사진을 얻었다. 그 결과를 도 12 및 13에 나타내었다.
도 12은 실시예 3의 분획물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 VCAM-1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12A에 TNF-α의 자극없이 정상적인 혈관내피세포인 경우 VCAM-1의 발현이 적어 형광정도가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도 12B에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혈관내피세포가 활성화되어 VCAM-1의 발현이 증가되어 형광 정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2C에는 100 ㎍/㎖의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시 VCAM-1의 발현 정도가 줄어들어 형광 정도도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12D에는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플로로메터로 측정한 형광값으로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VCAM-1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100 ㎍/㎖의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처리할 경우 VCAM-1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41%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3은 실시예 3의 분획물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 ICAM-1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13A는 TNF-α의 자극없이 정상적인 혈관내피세포인 경우 ICAM-1의 발현이 적어 형광 정도가 거의 없는 것을 나타내며, 도 13B에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혈관내피세포가 활성화되어 ICAM-1의 발현이 증가되어 형광 정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볼 수 있다. 또한, 도 13C에는 100 ㎍/㎖의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시 ICAM-1의 발현정도가 줄어들어 형광 정도도 줄어드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D는 형광측정이 가능한 스펙트로플로로메터로 측정한 형광값으로서,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ICAM-1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100 ㎍/㎖의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처리할 경우 ICAM-1의 발현이 음성대조군(TNF-α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 실험예 6> 마우스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4 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s free) ICR 마우스로서 암컷 12 마리와 숫컷 12 마리(암수 각각 3 마리/용량군)를 온도 22±3 ℃, 습도 55±10%, 조명 12L/12D의 동물실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 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주)제일제당, 마우스 및 랫트용)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섭취 시켰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을 0.5% 트윈 80을 용매로 하여 50 ㎎/㎖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04 ㎖(100 ㎎/㎏), 0.2 ㎖(500 ㎎/㎏), 0.4 ㎖(1,000 ㎎/㎏)씩 경구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 당일은 투여 후 1, 4, 8 및 12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 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투여 7 일째에 동물을 치사시켜 해부한 후 육안으로 내부 장기를 검사하였다. 투여 당일부터 1 일 간격으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과 루테올린-7-글루코시드는 모든 마우스에서 1,000 ㎎/㎏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이 적어도 1,0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 실험예 7> 항동맥경화 효능 확인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질환모델동물인 Ldlr 적중 마우스에 식이와 병행 투여하여 항동맥경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인 수컷 Ldlr 적중 마우스(8 주령)는 Jackson Lab.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실험동물은 2 주간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건강상태가 양호한 10 주령의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Western diet containing 0.15% cholesterol, Dyets. Co.)를 섭취하는 동맥경화질환 대조군(high fat, high cholesterol, 이하, HFHC)(n=10)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실시예 3의 분획물을 보충한 2 개 시험군(각 n=10)으로 나누었고, 이들에게 8 주간 실험 식이를 제공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5±2 ℃), 항습(50±5 %), 및 12 시간 간격(light on 07:00~19: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고, 동물들은 3~4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식이섭취량 및 체중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0, 1, 2, 4, 6, 8 주에 후안와정맥총으로부터 모세혈관 튜브를 사용하여 채혈한 후 EDTA를 사용하여 응고를 방지하였다.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채혈 후 30 분 이내에 3,000 rpm(4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고, 분석시까지 -70 ℃에 보관하였다.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3 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혈액을 채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고, 각 실험동물의 동맥 병변은 적출한 후 즉시 액체질소로 급냉시켜 -70 ℃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7-1: 동맥 병변 분석
생쥐 심장 대동맥 내에 형성된 동맥 병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Paigen 등의 방법(Atherosclerosis, 68:231, 1987)을 약간 변형하여 각 개체의 심장을 심실에서부터 대동맥궁 쪽으로 10 ㎛의 간격으로 대동맥동이 노출될 때까지 냉동 박편 절단하였다. 도 14A 및 14B와 같이 세 부위의 동이 잘 노출된 부위의 박편 조직을 골라 오일-레드 오를 사용하여 리피드 염색을 수행하였다.
HFHC 군과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의 동맥 병변 형성 억제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을 위해 대동맥동 부위를 동맥과 먼 부분인 원부위와 동맥과 가까운 근부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5과 도 15 및 16에 나타내었다.
HFHC 군 (n=10)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 (n=10) *P
대동맥동 병변(원부위)
병변의 크기, ㎛2×103 93.8±38.1 56.2±29.7 0.01235
병변/총 대동맥동의 비율 17.2±6.7 10.9±4.4 0.01232
대동맥동 병변(근부위)
병변의 크기, ㎛2×103 114.8±41.0 68.2±52.7 0.02020
병변/총 대동맥동의 비율 18.8±4.6 10.9±5.2 0.00110
MOMA-2 염색/오일 레드 O 염색, % 81.5±15.6 46.1±18.2 0.00009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HFHC 군에서는 대동맥동의 전체 병변이 93.8±38.1 ㎛2×103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에서는 56.2±29.7 ㎛2×103으로 나타나,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에 의해 병변의 크기가 약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체 대동맥에 대한 병변 크기로 나누어 계산해 보면 HFHC 군과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이 각각 17.2±6.7%와 10.91±4.4%로,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에 의해 37%의 병변 형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맥경화 병변 근부위를 박편 절단 한 후 오일-레드 오로 염색한 결과, 대조군(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이한 대조군, 이하 "HFHC"로 표시함)의 동맥에서는 지질이 선명한 진홍색으로 염색이 되었고,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에서는 HFHC에 비해 비교적 적은 양의 지질이 확인되어,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에 의해 정상적인 병변 형성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맥경화 병변 근부위를 박편 절단한 후 오일-레드 오로 염색한 결과, HFHC 대조군에서는 원부위에 비해 지질이 약간 증가한 양상을 보였으나,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에서는 원부위와 유사하게 지질의 양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근 부위에서의 전체 병변은 HCHF 군과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에서 각각 114.8±41.0 ㎛2×103과 68.2±52.7 ㎛2×103로 나타나 실시예 3의 분획물을 처리함으로써 많은 양의 병변 형성을 억제하였는데, 전체 대동맥동에 대한 병변으로 나누어 계산해보면 역시 40% 정도의 병변 형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은 동맥경화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에 7-2: 동맥 병변내 침착된 대식세포의 측정 및 분석
대식세포의 병변조직내 침착 확인을 위한 면역염색을 위하여, 항-마우스 대식세포 항체(MOMA-2, MCA519, Serotec)를 1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Cy2가 결합되어 있는 항-래트 IgG 항체(Abcam ab6952)를 2차 항체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항체(MOMA-2)를 1:50 정도의 희석농도로 박편 조직내 분포되어 있는 대식세포와 1 시간 정도 반응시켜 결합시키고, 이후 PBS로 3 회 수세하였다. 형광을 띠는 2차 항체와 30 분 정도 반응시킨 후, 결합된 2차 항체의 형광 활성을 형광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y, Olympus, BX61)으로 관찰하였고, 검출된 형광의 양을 계산하여 동맥 병변에 침착된 대식세포의 양으로 환산하였다. 이때 Cy2는 녹색을 띠는 형광으로 MOMA-2에 의해서 검출된 대식세포의 양을 정량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2차 항체에 결합되어 있다. 동맥 병변에는 침착된 대식세포와 콜레스테롤이 주요한 병변 구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동맥 내피세포 안쪽으로 유입된 대식세포의 양을 조사하기 위해 동맥 병변 조직을 면역 조직화학법을 수행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HFHC군의 동맥 내벽에서 가장 선명한 녹색형광이 검출되었고,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에서는 비교적 적은 비율의 형광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분획물이 동맥 병변 생성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보였다. 각 개체의 병변 내 대식세포의 형광 활성을 평균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구해 본 결과, HFHC 군과 비교할 때, 실시예 3의 분획물 처리군은 HFHC군과 비교하여 24%의 대식세포 침착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분획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NF-κB 활성 억제,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 억제,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에서 VCAM-1 및 ICAM-1의 발현 억제, 고지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이한 Ldlr 적중 마우스의 동맥병변 형성 억제 및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밀도 지질 단백질의 산화, NF-κB 활성화,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 중에서 VCAM-1 및 ICAM-1의 발현, 동맥병변 형성 및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흰민들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NF-κB 활성, 단핵구의 흡착, 혈관내피세포의 세포간 부착물질의 발현 또는 동맥병변 형성과 동맥내막에 대식세포의 침착을 억제하는 흰민들레 분획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민들레 분획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메탄올 및 아세톤을 이동상 용매로 순차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민들레 분획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메탄올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민들레 분획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다이아이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민들레 분획물.
  6. 흰민들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을 이동상 용매를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3개의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흰민들레 분획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이온교환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다이아이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민들레 분획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는 메탄올:물이 1:3~5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민들레 분획물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순환계 질환은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따른 흰민들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순환계 질환은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식품 조성물.
KR1020070037989A 2007-04-18 2007-04-18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80093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89A KR20080093783A (ko) 2007-04-18 2007-04-18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89A KR20080093783A (ko) 2007-04-18 2007-04-18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83A true KR20080093783A (ko) 2008-10-22

Family

ID=4015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989A KR20080093783A (ko) 2007-04-18 2007-04-18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3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959A (ko) 2019-02-26 2020-09-03 (주)에코인베스트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959A (ko) 2019-02-26 2020-09-03 (주)에코인베스트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ng et al. Brazilein from Caesalpinia sappan L. antioxidant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ity and anthelmintic activities against Hymenolepis nana and Anisakis simplex
Chao et al. Inhibitive effects of mulberry leaf-related extracts on cell adhesion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aortic endothelial cells
KR101682697B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254658B1 (en) Remedies for the treatment of nerve diorders
KR100704299B1 (ko) 신규한 퀴놀린계 화합물, 및 지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3468A (ko) 전나무 메탄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777970B2 (ja) 新規なアビエタンジテルペノイド系化合物、及び榧抽出物、またはそれから分離したアビエタンジテルペノイド系化合物またはテルペノイド系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心臓循環系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10504A (ko) 고삼 추출물, 이의 가용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3450A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823155B1 (ko) 신규한 카테콜릭 잔톤 계열 화합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카테콜릭 잔톤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8273935A (ja) 脂肪蓄積阻害剤および脂肪蓄積抑制方法
KR100772495B1 (ko) 비자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아비에탄디터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8373B1 (ko) 상표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또는 바이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20080093783A (ko)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836189B1 (ko) 어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계열 화합물인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89716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58263B1 (ko) 신규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 및 선퇴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TW201023862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extracts containing kinsenoside for inhibiting activation of macrophage, inhibiting formation of osteoclasts, inhibiting function of osteoclasts, and/or activating osteoblasts and uses of the same
KR100811864B1 (ko)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제 및 약학적 조성물
KR100629314B1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디아릴헵타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75253B1 (ko) 신규 아비에탄 디터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06226B1 (ko) 콩뿌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