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959A -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959A
KR20200103959A KR1020190022206A KR20190022206A KR20200103959A KR 20200103959 A KR20200103959 A KR 20200103959A KR 1020190022206 A KR1020190022206 A KR 1020190022206A KR 20190022206 A KR20190022206 A KR 20190022206A KR 20200103959 A KR20200103959 A KR 2020010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weeks
feed
thistle
estrad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264B1 (ko
Inventor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주)에코인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인베스트 filed Critical (주)에코인베스트
Priority to KR102019002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26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은 β-에스트라디올 유도에 의한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중증 병변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를 완화시키고, 지방간 증후군 및 계란 생산 감소에 대하여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가금류 산업 분야에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 for ameliorating fatty liver haemorrhagic syndrome comprising Taraxacum coreanum and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본 발명은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 출혈성 증후군(liver hemorrhagic syndrome, LHS)으로도 알려진 지방간 출혈 증후군(fatty liver haemorrhagic syndrome, FLHS)은 산란계의 대표적인 대사 질환이다. 상기 증후군은 계란 생산 향상을 위해 고 에너지 또는 초과 에너지 식이를 채택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FLHS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분명하지 않지만, 증가된 복부 지방과 계란 생산이 감소하고 사망률이 높은 명백한 지방간의 다발 출혈이 그 특징적인 증상이다. 더운 날씨, 낮은 식이 칼슘 섭취 또는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를 포함한 다른 요인들도 FLHS과 관련되어 있다.
민들레(Dandelion)는 약 2,000 종으로 이루어진 다년생 식물로 세계적으로 널리 자라고 있다.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는 한반도와 중국 일부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민들레 종이다. 뿌리, 잎, 꽃 및 꽃대를 포함한 흰민들레 종의 전체 부위는 설사 방지, 발열 완화, 이뇨 및 항 염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흰민들레는 꽃과 잎에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키코르산(chicoric acid), 하이드로신남산(hydrocinnamic acid)과 같은 폴리페놀; 및 루테올린(luteolin)과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포함하고, 뿌리에 타라크사신(taraxacin), 이눌린(inulin), 타라크산틴(taraxanthin), 피토스테롤(phytosterol) 및 페놀 화합물을 포함한다. 선행기술(Choi JM,et al., J Cancer Prev 2012, 17, 251-256)에서는 TC가 ONOO--유도성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CJ)는 국화과(Asteracc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야생에서 광범위하게 자란다. 전세계 250 ~ 300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13종과, 돌연변이 6종이 서식한다. 엉겅퀴는 아피제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미리세틴(myricetin), 캠페롤(kaemferol), 펙톨리나린(pectolinarin) 등을 포함한 많은 양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염증, 항암, 항-돌연변이 및 항균, 신경계 보호 및 면역계 자극의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지질 과산화의 억제와 간에서의 글루타치온의 증가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핵심 구성 요소인 히스피둘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hispidulin-7-o-neohesperidoside)에서 비롯된다.
산란계에서 FLHS의 방지를 위하여, 유기 셀레늄과 비타민 E 또는 에톡시퀸(ethoxyquin)과 같은 영양 또는 화학적 산화방지제를 사료 첨가제로서 공급하지만, FLHS의 발생은 계란 생산 감소로 이어지는 여전히 큰 문제이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8-0085079호 (2018년07월26일)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93783호 (2008년10월22일)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61108호 (2011년06월09일)
지금까지 천연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여 산란계에서 FLHS를 치료하는 임상 시험은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천연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여 산란계에서 FLHS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지방간 유도 산란계에 있어서 TC 및 CJ 혼합 분말의 항-FLHS 효과를 확인하고, 사료에 첨가하는 가장 적절한 용량을 선택하여 처리함으로써 FLHS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및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가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1:10 ~ 10:1(w/w)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10 ~ 200 메쉬의 분말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산란 조류는 산란계, 육용 종계 및 칠면조 종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방간 출혈 증후군은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산란 조류의 사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1:10 ~ 10:1(w/w)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10 ~ 200 메쉬의 분말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산란 조류는 산란계, 육용 종계 및 칠면조 종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방간 출혈 증후군은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산란 조류의 사료에 5.0 ~ 40.0 g/kg 사료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여 공급하는 경우에, β-에스트라디올 유도에 의한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중증 병변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이 약화되고, 지방간 증후군 및 계란 생산 감소에 대한 우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은 가금류 산업 분야에서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산란율(egg production rate)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 ***: 각각 p<0.05, p<0.01,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aaa: 각각 p<0.05와 p<0.001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ALT 활성(ALT activity)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 ***: 각각 p<0.05, p<0.01,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aa, aaa: 각각 p<0.05, p<0.01 및 p<0.001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AST 활성(AST activity)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 ***: 각각 p<0.05, p<0.01,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aa: 각각 p<0.05 및 p<0.01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ALP 활성(ALP activity)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 ***: 각각 p<0.05, p<0.01,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는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총 빌리루빈(T-BIL) 농도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 ***: 각각 p<0.05, p<0.01,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aa, aaa: 각각 p<0.05, p<0.01 및 p<0.001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T-CHOL) 농도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aa, aaa: 각각 p<0.05, p<0.01 및 p<0.001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TG) 농도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 ***: 각각 p<0.05, p<0.01, p<0.001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aa, aaa: 각각 p<0.05, p<0.01 및 p<0.001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SOD 활성(SOD activity)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p<0.05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a: p<0.05에서 FL-1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3주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간 각 용량의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에 첨가 또는 비첨가한 3주(FL-1) 또는 9주(FL-2) 동안의 2 mg/kg β-에스트라디올에 의한 혈청 GPX 활성(GPX activity)의 변화이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 p<0.05에서 대조군(C)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은 산란계의 간 병변의 육안 관찰 사진이다. A: 대조군; B: 2 mg/kg β-에스트라디올로 3주간 처리됨; C: 2 mg/kg β-에스트라디올로 9주간 처리됨; D: β-에스트라디올 3주간 처리 후 3주 동안 TC 및 CJ 혼합물을 10 g/kg으로 사료에 첨가함. 부검은 β-에스트라디올 처리 시작 후 9주에 수행되었다.
도 11은 산란계의 간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관찰 사진이다. A: 대조군; B: 2 mg/kg β-에스트라디올로 3주간 처리됨; C: 2 mg/kg β-에스트라디올로 9주간 처리됨; D: β-에스트라디올 3주간 처리 후 3주 동안 TC 및 CJ 혼합물을 10 g/kg으로 사료에 첨가함. 부검은 β-에스트라디올 처리 시작 후 9주에 수행되었다(배율 400 X).
본 발명은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및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는 한반도와 중국 일부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민들레 종이다. 본 발명에서는 흰민들레의 꽃, 줄기, 잎과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채취 후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쇄함으로써 10 ~ 20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CJ)는 국화과(Asteracc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야생에서 광범위하게 자란다. 본 발명에서는 엉겅퀴의 꽃, 줄기, 잎과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채취 후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쇄함으로써 10 ~ 20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1:10 ~ 10:1(w/w) 비율, 바람직하게는 8:2 ~ 4:6(w/w)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산란 조류는 산란계, 육용 종계 및 칠면조 종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며, 상기 지방간 출혈 증후군은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산란 조류의 사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료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흰민들레 및 엉겅퀴의 혼합 비율, 흰민들레 및 엉겅퀴의 분말 입자 크기, 산란 조류의 종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특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흰민들레 및 엉겅퀴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 사료에 첨가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혼합 상태로 5.0 ~ 40.0 g/kg 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 g/kg 사료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β-에스트라디올 유도성 지방간 출혈 증후군 증상을 나타내는 산란계에 공급한 결과, β-에스트라디올의 3주 처리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의 중증 병변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이 약화되었고, 지방간 증후군 및 계란 생산 감소에 대한 우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가장 우수한 개선 효과는 흰민들레 및 엉겅퀴 혼합물(6:4, w/w)을 산란계에 5.0 또는 10.0 g/kg 사료로 공급한 군에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및 방법
(1) 기재
한국 강원도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 각 TC 및 CJ의 꽃, 줄기, 잎과 지하 깊은 뿌리를 제외한 표면 뿌리를 포함한 전체 부분을 수집하였고 수집 후 즉시 3회 물로 세척하였다. 실외에서 자연풍과 자연광 하에서 완전히 말려서 분쇄기(QCG Systems, USA)로 분쇄하여 입자 크기 8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TC 및 CJ의 분말 혼합물을 6:4(w/w)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분말 혼합물을 5.0, 10.0, 20.0 및 40.0 g/kg 사료의 용량으로 산란계용 사료(San-Ran Ace, Daeju Co., Korea)에 첨가하였다.
(2) 동물과 처리
33-35주된 하이라인 브라운(Hy-line brown)의 산란계 42 마리를 사용하였다. 동물을 사육장(사육장 당 2 마리)에 넣고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주었다. 동물을 16 시간/8 시간의 명암 주기, 18-22 ℃의 온도, 40-60 %의 습도에서 동물 방에 유지하였다.
산란계는 C, FL-1, FL-2, M-5, M-10, M-20 및 M-40을 포함한 7개 군으로 나뉘었고, C군은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FL-1(fatty liver-1, 지방간-1) 군은 β-에스트라디올 2 mg/kg bw로 주당 2회 근육 주사로 3주 동안 처리되었다. FL-2(fatty liver-2, 지방간-2) 군은 β-에스트라디올 2 mg/kg bw로 주당 2회 근육 주사로 9주 동안 처리되었다. M-5, M-10, M-20 및 M-40 각 군을 β-에스트라디올 3주 처리 직후에 TC 및 CJ 혼합물(6:4(w/w)로 각각 5.0, 10.0, 20.0 및 40.0 g/kg 사료로 3주 동안 처리하였다. 6 마리의 산란계를 각 군에 배정하여, 3주의 지방간 유도 기간, 3주의 혼합물 처리 기간 및 3주의 혼합물 비처리 기간을 포함한 총 9주 동안 관찰하였다.
콘오일(corn oil)에 용해된 β-에스트라디올(Sigma Aldrich Co.)을 가슴 근육에 2 mg/kg bw로 주 2회 3주간 주사하여 지방간을 유도하였다. 동물 실험은 호서대 동물 복지 윤리위원회(HTRC-15-47(1))의 승인을 받았다. 하기 표 1에 산란계의 지방간에 대한 TC+CJ 혼합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군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3) 임상 증상, 체중, 사료 섭취량 및 산란율 관찰
β-에스트라디올 또는 TC 및 CJ 혼합물에 의해 유도된 임상 증상은 9주의 실험 기간 동안 매일 검사하였다. 체중과 사료 섭취량을 매일 측정하고, 체중 증가량을 β-에스트라디올 처리 기간, TC 및 CJ 처리 기간 및 혼합물 비처리 기간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남아있는 사료량과 생산 계란 수를 매일 같은 시간에 날마다 측정하였다.
(4) 혈액 수집 및 혈액 생화학 분석
혈액을 매주 날개 정맥에서 채취하여 혈액 응고시켜 원심분리(3,000 x g에서 15 분)한 후 혈청을 분리하였다.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칼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T-Bil),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h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을 각각의 특정 키트를 사용하여 자동화된 임상 화학 분석기(Ciba-Corning Diagnostics Corp., Medfield, USA)에 의해 측정하였다.
(5) 항산화 효소 분석
혈청 내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와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GPX)의 효소 활성을 각 ELISA 키트(Bioassay Technology Laboratory, Shanghai, China)로 측정하였다.
(6) 육안 관찰 및 조직병리학적 관찰
모든 동물은 이산화탄소 가스로 마취시키고 혈액 샘플링을 하였다. 이후 검시 전에 채혈하고 희생되었다. 간을 육안 검사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중성 완충 10 % 포르말린에서 절편하였다. 고정 조직을 파라핀에 도입시켜 마이크로절편을 만들고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7)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STATISTICA 프로그램 버전 7.0(StatSoft Com.)을 사용하여 p<0.05의 유의수준으로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로 분석하였다.
2. 결과
(1) 임상 증상, 체중 증가 및 일일 사료 섭취량
3주 또는 9주 동안의 β-에스트라디올의 처리 또는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3주 동안의 TC 및 CJ 혼합물의 처리에 의한 특별한 임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FL-1, FL-2와 모든 TC 및 CJ 혼합물 군(M-5, M-10, M-20 및 M-40) 간에 체중 증가 및 일일 사료 섭취량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FL-1 및 FL-2 군에 비해 TC 및 CJ 혼합물의 3주간 5, 10 및 20 g/kg 처리에 의해 총 체중 증가 또는 일일 체중 증가가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표 2).
하기 표 2에 산란계에서 β-에스트라디올 주사 후 TC 및 CJ 혼합물 처리에 의한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n=6)이다. 대조군에는 9주간(W0 ~ W8) 산란계용 상업적 사료를 제공하였다. FL-1 군은 3주간(W1~W3)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을 주당 2회 근육 주사하였으며, 9주간(W1~W9) 산란계용 상업적 사료를 제공하였다. FL-2 군은 9주간(W1 ~ W9)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을 주당 2회 근육 주사하였으며, 산란계용 상업적 사료를 제공하였다. M-5, M-10, M-20 및 M-40 군은 3주간(W1~W3)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을 주당 2회 근육 주사한 후, 3주간(W4~W6) TC+CJ 혼합물의 각 용량이 첨가된 산란계용 상업적 사료를 제공하였고, 이후 3주간(W7~W9) 혼합물 비처리 기간을 거쳤다.
Figure pat00002
(2) 산란율
매일의 산란율은 하루 생산된 계란의 합계 수치를 군 당 동물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였다. 실험 중 비처리 동물(대조군)의 평균 산란율은 77.72 ± 0.24 %였다.
주 2회 2 mg/kg bw/day β-에스트라디올을 근육 내 주사한 결과, 2주(W2)부터 산란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β-에스트라디올 처리 3주(W3)에 30.95 ± 22.42 %로 감소하였다. β-에스트라디올 처리가 9주간 지속된 경우에는 산란율이 27.86 ± 17.53 %로 낮아졌으며 처리 6주(W6)에 가장 낮았다. β-에스트라디올 처리가 3주에 중단된 경우에 감소된 계란 생산은 중단 후 3주(W6)까지 회복되지 않았고, 이후 약간 증가했지만 여전히 낮은 산란율을 보였다. TC+CJ 분말 5, 10, 20 및 40 g/kg 사료을 처리한 경우에, 산란율의 회복에 있어서 TC+CJ 혼합물의 5 또는 10 g/kg 사료에 의해 가장 좋은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회복 효과는 혼합물 처리 후 1주부터 나타났으며, TC+CJ 혼합 처리 3주(W6)에서는 거의 대조군 수준을 나타내었고, TC+CJ 분말 처리의 중단 후에도 보다 더 개선되었다(도 1).
(3) 혈액 생화학 파라미터
ALT, AST, T-Chol 및 T-BIL은 비처리 대조군에 비해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의 주사 군에서 3주(W3)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후 β-에스트라디올의 중단 후 6주까지도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β-에스트라디올을 9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ALT, AST 및 T-Chol의 증가가 유지되었다.
TC 및 CJ의 혼합물(5, 10 또는 40 g/kg 사료)은 FL-1 군과 비교하여 W7, W8 또는 W9에서 ALT와 AST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2 및 도 3). T-Chol의 경우 TC 및 CJ 혼합물(20, 40 g/kg 사료)은 W6, W7, W8에서 더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TC 및 CJ 혼합물의 5 및 10 g/kg 사료 군에서는 W9에 FL-1 군보다 더 낮은 T-Chol를 나타냈다(도 6). β-에스트라디올의 처리에 의한 증가된 T-BIL은 W5에 TC 및 CJ 혼합물의 20 및 40 g/kg 사료 용량에 의해, 그리고 W9에 TC 및 CJ 혼합물의 모든 용량에 의해 감소되었다(도 5).
ALP의 유의한 증가는 β-에스트라디올 처리 후 W4에서 관찰되었고, 처리 중단 후 6주까지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다. TC 및 CJ 혼합물 5와 10 g/kg 사료 군에서는 W5 내지 W9에서 FL-1 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도 4).
TG는 β-에스트라디올 처리 시작 주(W1)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지만 β-에스트라디올 처리가 중단되면 정상 범위로 돌아갔다. TC 및 CJ 혼합물은 FL-1 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7).
(4) 항산화 효소
SOD와 GPX는 β-에스트라디올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W9까지 낮게 유지되었다. TC 및 CJ 혼합물 5 및 10 g/kg 사료 군에서는 혼합물 공급 시작 주부터 감소된 SOD 및 GPX가 회복되었고, TC 및 CJ 혼합물의 5 또는 10 g/kg 사료 군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8 및 도 9).
(5) 육안 관찰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 관찰
간 조직은 3주 β-에스트라디올 처리 및 β-에스트라디올 처리 중단 후 6주까지 다수 출혈을 동반한 고도 창백, 부종 및 조직 약화 현상을 보였다.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을 9주 동안 연속적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간 조직은 심하게 창백해졌고, 조직 약화가 더 심해졌으며 가장자리가 거의 파열되었다. TC 및 CJ 혼합물의 처리로 손상된 간 조직은 날카로운 모서리와 탄력성을 지닌 정상적인 색에 가깝게 개선되었다(도 10).
2 mg/kg bw의 β-에스트라디올 처리로 간 조직 및 간세포에서 지방의 대량 침투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간세포에 작거나 큰 지방적(fat droplet)이 있거나, 세포질 및 팽창된 간세포를 채운 지방의 거대 액포로 나타났다. TC 및 CJ 혼합물은 지방 침투를 감소시키고 액포 크기를 감소시켜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1).
3. 요약
지방간 출혈 증후군(fatty liver haemorrhagic syndrome, FLHS)은 주로 층상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산란계, 육용 종계, 칠면조 종계 등에서 발견되는 대사 장애이며, 계란 생산이 크게 감소하고 급사 등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 및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CJ) 전초의 건조 분말 혼합물(6:4, w/w)의 산란계에서의 β-에스트라디올 유도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계에 3주간 β-에스트라디올을 2mg/kg bw으로 근육 내 주사한 후, 상기 혼합물을 사료 첨가제로서 5.0, 10.0, 20.0 또는 40.0 g/kg 사료 용량으로 3주 동안 공급하였다. 산란율은 1주에 78.0 %에서 45.2 %로 감소하였고, 3주 또는 9주( 확인 요망 ) 동안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을 주 2회 근육 주사한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2 mg/kg bw β-에스트라디올의 처리에 의해 혈청 ALT, AST, ALP, 총 콜레스테롤, 총 빌리루빈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증가와 혈청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GPX)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TC 및 CJ 혼합물을 사료 첨가제로서 보충함으로써 β-에스트라디올의 3주 처리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의 중증 병변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이 약화되었다. 지방간 증후군 및 계란 생산 감소에 대한 가장 우수한 개선 효과는 TC 및 CJ 혼합물(6:4, w/w)을 산란계에 5.0 또는 10.0 g/kg 사료로 공급한 군에서 나타났다.

Claims (11)

  1.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및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가 1:10 ~ 10:1(w/w)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가 10 ~ 200 메쉬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조류가 산란계, 육용 종계 및 칠면조 종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출혈 증후군이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6.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산란 조류의 사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란 조류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개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가 1:10 ~ 10:1(w/w)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가 10 ~ 200 메쉬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조류가 산란계, 육용 종계 및 칠면조 종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출혈 증후군이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및 엉겅퀴가 산란 조류의 사료에 5.0 ~ 40.0 g/kg 사료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 방법.
KR1020190022206A 2019-02-26 2019-02-26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KR10221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06A KR102212264B1 (ko) 2019-02-26 2019-02-26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06A KR102212264B1 (ko) 2019-02-26 2019-02-26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59A true KR20200103959A (ko) 2020-09-03
KR102212264B1 KR102212264B1 (ko) 2021-02-04

Family

ID=7245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206A KR102212264B1 (ko) 2019-02-26 2019-02-26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26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219A (ko) * 2003-05-19 2006-02-28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JP2008184383A (ja) * 2007-01-26 2008-08-14 Oriza Yuka Kk 高脂血症及び/又は脂肪肝の治療・予防剤
KR20080093783A (ko) 2007-04-18 2008-10-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930146B1 (ko) * 2004-05-19 2009-12-07 헤르만 로스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및 그 용도
KR20110061108A (ko) 2009-12-01 2011-06-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흰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57928B2 (ja) * 2012-05-29 2017-07-05 上野製薬株式会社 肝臓への脂肪蓄積抑制剤
KR20180085079A (ko) 2016-12-27 2018-07-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524363A (ja) * 2015-07-15 2018-08-30 ユニゲ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肝臓の治療および肝臓の健康維持のための組成物、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KR20200014565A (ko) * 2018-08-01 2020-02-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219A (ko) * 2003-05-19 2006-02-28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KR100930146B1 (ko) * 2004-05-19 2009-12-07 헤르만 로스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및 그 용도
JP2008184383A (ja) * 2007-01-26 2008-08-14 Oriza Yuka Kk 高脂血症及び/又は脂肪肝の治療・予防剤
KR20080093783A (ko) 2007-04-18 2008-10-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흰민들레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10061108A (ko) 2009-12-01 2011-06-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흰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57928B2 (ja) * 2012-05-29 2017-07-05 上野製薬株式会社 肝臓への脂肪蓄積抑制剤
JP2018524363A (ja) * 2015-07-15 2018-08-30 ユニゲ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肝臓の治療および肝臓の健康維持のための組成物、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KR20180085079A (ko) 2016-12-27 2018-07-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4565A (ko) * 2018-08-01 2020-02-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월간양계, "산란계의 지방간증 증상과 대책", 2001년 8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264B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zalah et al. Rosemary leaves as a dietary supplement for growth in broiler chickens
Ali et al. Effect of strain, type of natural antioxidant and sulphate ion on productive, physiological and hatching performance of native laying hens
Safamehr et al. Effect of nettle (Urtica dioica) medicinal plant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s,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Al-Kassie The effect of anise and rosemary on broiler performance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Shirzadegan Reactions of modern broiler chickens to administration of cinnamon powder in the diet.
Oloruntola et al.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cuna leaf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
Abou-Zeid et al. Effect of dietary propolis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in broiler chickens
KR101198944B1 (ko) 사료 첨가제
Alba et al. Effects of Withania coagulans fruit powder and vitamin C on growth performance and some blood components in heat stressed broiler chickens
KR102212264B1 (ko) 흰민들레 및 엉겅퀴를 포함하는 지방간 출혈 증후군 완화용 사료 첨가제
Noleto-Mendonça et al.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histomorphometry of broilers fed diet supplemented with guava extract standardized in phenolic compounds
KR20100111570A (ko) 약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유해세균 억제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Bahrami Babaheydari et al. Effect of wood betony (Stachys lavandulifolia Vahl) extract on some serum biochemical changes and acute stress response in juvenil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Oh et al. Effects of dietary persimmon peel and its ethanol extract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liver lipids in the late stage of egg production in laying hens
Mousa et al. Effect of dietary natural feed additives to minimize negative role of peroxide hydrogen in broiler.
Chacrabati et al. Comparison of broiler performance using Plantain (Plantago lanceolata L.), Bio-Sel-E and commercial diet.
Krauze et al.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on selected indices of blood metabolic profile and rearing efficiency turkey hens
Atapattu et al. Effect of dietary chilli powder on growth performance and serum cholesterol contents of broiler chicken
Sulaiman et al. Response of broiler chicken to inovo administration of different levels of rosemary oil (Rosmarinus officinalis)
Al-Khaldani et al. Effect of adding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with or without probiotic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biochemical blood characteristics for broiler
Ismail et al. Impa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ifferent levels of thyme and its essential oils on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metabolic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 chickens
Elnaggar et al. Impact Of Ginseng (Panax Ginseng)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And Antioxidative Status Of Japanese Quail
El-Maaty et al. Performance of hybrid chickens as influenced by phytogenic extracted meal-supplemented diet as antibiotic alternatives during summer
Kumar et al. The fenugreek as a phytogenic feed additive in poultry feed-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