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775A - 용기캡 - Google Patents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775A
KR20080093775A KR1020070037979A KR20070037979A KR20080093775A KR 20080093775 A KR20080093775 A KR 20080093775A KR 1020070037979 A KR1020070037979 A KR 1020070037979A KR 20070037979 A KR20070037979 A KR 20070037979A KR 20080093775 A KR20080093775 A KR 2008009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mensional space
container cap
contain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738B1 (ko
Inventor
차석용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3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7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7Packages for several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은, i) 내용물이 내장되도록 적용된 입체 공간을 가지고, 입체 공간의 내측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캡부, 및 ii) 입체 공간을 밀폐하며, 입체 공간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나사부를 가로지르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용기캡, 격막부, 리드부, 물

Description

용기캡 {BOTTLE CAP}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용기캡의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의 부분 입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용기캡의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미숫가루, 오렌지 주스 가루, 포도 주스 가루 등의 분말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분말들을 물에 섞어서 녹이면 음료수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마시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가루를 오랫동안 보관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루를 일일이 떠서 물에 섞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느 정도 양의 가루를 섞어야 하는지도 잘 모르므로, 맛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내용물을 간단하게 내장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맛있는 음료수를 간단히 제조해 먹을 수 있는 용기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은, i) 내용물이 내장되도록 적용된 입체 공간을 가지고, 입체 공간의 내측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캡부, 및 ii) 입체 공간을 밀폐하며, 입체 공간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나사부를 가로지르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리드부는 박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부는 수지, 금속 또는 종이로 제조될 수 있다. 캡부는 입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단부는 캡부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단부 및 나사부가 상호 이격된 내측 표면에 리드부의 일단이 닿아 있을 수 있다. 리드부의 타단은 나사부에 닿아 있을 수 있다. 리드부는 상단부와 0 보다 크고 50°이하인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입체 공간과 접하는 상단부의 표면에 흡습층이 형성될 수 있다. 리드부는 상단부에 오목하게 대향할 수 있다. 입체 공간의 높이는 상단부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 입체 공간은 원통형일 수 있다. 내용물은 수용성 물질 또는 과일 함유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은, i) 내용물이 내장되도록 적용된 입체 공간을 가지는 캡부, ii) 캡부 내에 형성되어 입체 공간을 구획하고, 개구부를 가지는 격막부, 및 iii) 격막부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적용된 차단막을 포함한다.
차단막은,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차단부, 및 제1 차단부를 둘러싸면서 격막부에 부착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은 제2 차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는 입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입체 공간의 내측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격막부는 상단부 및 나사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1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용기는 용기캡(100) 및 용기 본체(미도시)를 포함하고, 용기 본체에 포함된 병목부(미도시)는 용기캡(100)과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한다. 용기캡(100)은 용기 본 체(미도시)의 병목부와 결합되어 거래되거나 용기캡(100)만 별도로 거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캡(100)만 따로 판매하는 경우, 생수가 담긴 생수병에서 원래 부착된 캡을 제거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100)만 씌워서 음료수를 만들어 마실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캡(100)은 캡부(10) 및 리드부(20)를 포함한다. 캡부(10)는 입체 공간(105)을 가진다. 입체 공간(105)은 원통형일 수 있다. 캡부(10)의 외형은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으나 그 내부는 용기 본체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캡부(10)에는 내용물(M)이 내장된다. 내용물(M)은 예를 들면 수용성 물질, 즉 물에 녹을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M)로서 레몬 등의 과일 함유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레몬 등을 압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기캡(100)은 냉장 보관이 필요하다. 내용물(M)로서 비수용성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내용물(M)은 액체 또는 고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M)로서 발포용 타블렛(tablet), 오렌지 주스용 가루, 포도 주스용 가루, 커피 믹스 또는 한방 가루 등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용기(미도시)에 함유된 물에 오렌지 주스용 가루 또는 포도 주스용 가루를 혼합함으로써 주스를 제조하여 마실 수 있다.
캡부(10)는 내측 표면(107)을 포함한다. 내측 표면(107)은 내용물(M)과 직접 닿아 있는 제1 내측 표면(1071)과 나사부(103)가 형성된 제2 내측 표면(1073)을 포함한다. 나사부(103)는 용기캡(100)이 결합되는 용기 본체의 병목부 외측 표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시킨다.
캡부(10)는 상단부(101)를 포함한다. 상단부(101)는 입체 공간(105)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킨다. 상단부(101)는 나사부(103)와 이격되어 있고, 이격 공간에는 내용물(M)이 내장된다. 상단부(101)의 표면, 즉 입체 공간(105)과 접하는 표면에는 흡습층(109)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M)로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분말은 시간 경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덩어리 형태로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이 덩어리화되지 않도록 흡습층(109)을 이용하여 내용물(M) 주변의 수분을 흡수한다. 흡습층(109)으로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건조 성능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리드부(20)는 입체 공간(105)을 밀폐하여 내용물(M)을 내장한다. 리드부(20)는 입체 공간(105)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용기캡(100)이 용기 본체의 병목부와 결합하는 경우, 리드부(20)의 일부는 용기캡(100)의 내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리드부(20)의 다른 일부는 찢어져서 내용물(M)을 누출시킨다. 즉, 리드부(20)는 일단(201) 및 타단(203)을 가진다. 일단(201)은 제1 내측 표면(1071)에 닿아 있고, 타단(203)은 나사부(103)에 닿아 있다. 따라서 일단(201)은 용기캡(100)이 용기 본체의 병목부와 나사 결합되어도 찢어지지 않고 여전히 제1 내측 표면(1071)에 붙어 있다. 따라서 리드부(20)가 완전히 떨어져 나가지 않아 용기 내의 물에 함께 섞이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확보된다.
한편, 리드부(20)의 타단(203)은 나사부(103)에 닿아 있고, 리드부(20)가 나사부(103)를 가로지르므로, 용기 본체의 병목부와의 나사 결합시 타단(203) 주변이 찢어진다. 더욱이, 리드부(20)는 박막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캡(100)과 병목부가 나사 결합시 타단(203) 주변이 쉽게 찢어지면서 내용물(M)을 용기 본체 내부로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리드부(20)는 수지, 금속 또는 종이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나사 결합 이외의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는 쉽게 파손되지 않으므로, 외부로 내용물(M)이 누출될 가능성이 없으며, 부스러기가 발생할 염려도 없다.
리드부(20)는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상단부(101)와 각도(θ)를 이룬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상단부(101)와 평행인 면과 리드부(20) 사이의 각도(θ)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도(θ)는 0 보다 크고 5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리드부는 상단부(103)에 오목하게 대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용물(M)을 내장시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는 입체 공간(105)의 높이(h)와 상단부(101)의 직경(D)을 나타낸다. 여기서, 높이(h)는 직경(D)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공간(105)의 높이(h)를 어느 정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양의 내용물(M)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내용물(M)의 양은 용기캡(100)이 결합될 수 있는 용기의 부피에 맞게 설정된다. 즉, 용기캡(100)이 용기의 부피에 맞는 적절한 양의 내용물(M)을 내장하므로, 내용물(M)을 물에 혼합하면 항상 맛있는 음료수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용기캡(100)을 너무 긴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은 설계 구조 및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각도(θ)가 너무 큰 경우, 리드부(20)의 길이가 커지는 동시에 용기캡(100)이 길어지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전술한 범위의 각도(θ)가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용기캡(100)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용기캡(100)이 용기(500)의 병목부(50)에 결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용기캡(100)이 용기(500)의 병목부(5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용기 본체(500) 내에는 예를 들면 물(W)이 담겨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캡(100)을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서 용기캡(100)을 병목부(50)에 결합할 수 있다. 병목부(5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나사부(501)를 이용하여 용기캡(100)을 돌리면서 병목부(5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아직 리드부(20)가 나사부(501)에 닿지 않으므로, 내용물(M)은 용기캡(100)의 내부에 그대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캡(100)을 계속 돌리면 리드부(20)가 나사부(501)에 닿으면서 찢어진다. 따라서 내용물(M)은 찢어진 틈을 통하여 용기 본체(500)의 물(W)로 중력에 의해 떨어지면서 물(W)과 혼합된다. 한편, 리드부(20)의 일단(201)(도 1에 도시)은 용기캡(100)에 그대로 붙어 있으므로, 리드부(20)가 떨어져서 물(W)에 섞일 가능성은 없다.
마지막으로, 내용물(M)을 물(W)과 좀더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 밀폐된 용기를 흔들어서 내용물(M)과 물(W)을 좀더 잘 섞을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내용물(M)로서 오렌지 주스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오렌지 주스를 제조하여 마실 수 있다. 그리고 인삼 분말 또는 커피 믹스를 사용하여 인삼액 또는 커피를 제조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캡(200)을 부분적으로 자른 배면 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4는 용기캡(200)에서 나사부(103)가 형성된 부분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용기캡(200)의 구조는 도 1의 용기캡(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캡(200)은 캡부(10), 격막부(30), 및 차단막(40)을 포함한다. 캡부(10)는 내용물(미도시)이 내장되는 입체 공간(105)을 가진다. 캡부(10)의 외부 표면에는 파지홈(111)이 형성되어 용기캡(200)을 손으로 열거나 닫는 경우, 손이 파지홈(111)과의 마찰력에 의해 잘 미끄러지 않도록 해 준다.
격막부(30)는 캡부(10) 내에 형성된다. 격막부(30)는 상단부(101)와 나사부(미도시) 사이에 위치한다. 격막부(30)는 나사부(103)와 이격되므로, 나사부(103)와 간섭되지 않는다. 격막부(30)는 입체 공간(105)을 구획하여 내용물(미도시)을 내장한다. 격막부(30)에는 개구부(301)(점선 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단막(40)을 떼어내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차단막(40)은 격막부(30)에 부착된다. 차단막(40)은 제1 차단부(401), 제2 차단부(403), 및 파지부(405)를 포함한다. 제1 차단부(401)는 개구부(301)에 대응 하고, 제2 차단부(403)는 제1 차단부(401)를 둘러싸면서 격막부(30)에 부착된다. 파지부(405)는 제2 차단부(40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파지부(405)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겨서 차단막(40)을 격막부(3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40)을 이용하여 개구부(301)를 개폐할 수 있다. 차단막(40)의 접착 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용기캡(200)의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5는 내용물(M)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차단막(40)을 벗기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용기캡(200)을 용기 본체(500)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용기캡(200)을 용기 본체(500)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도 2 및 도 3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405)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서 차단막(40)을 격막부(3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차단막(40)이 격막부(30)로부터 떨어지면서, 격막부(30) 내의 내용물(M)이 외부로 노출된다. 차단막(40)은 격막부(30)로부터 완전히 떼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이 외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용기캡(200)을 용기 본체(500) 위에 화살표 방향으로 빠르게 씌운다. 따라서 내용물(M)은 아직 격막부(30) 내에 위치하며, 용기캡(200)은 병목부(50) 위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캡(200)을 병목부(50)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해 내용물(M)은 용기(500) 내의 물(W)로 떨어진다. 용기를 완전히 밀폐시킨 후 흔들면, 내용물(M)을 물(W)에 완전히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수 등을 간편하게 제조하여 마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캡은 내용물을 내장하므로, 용기 본체에 간단히 결합하여 내용물을 물에 섞으면 원하는 음료수를 제조하여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더욱이, 용기캡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용기캡의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6)

  1. 내용물이 내장되도록 적용된 입체 공간을 가지고, 상기 입체 공간의 내측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캡부, 및
    상기 입체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입체 공간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를 가로지르는 리드부
    를 포함하는 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박막형으로 형성된 용기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수지, 금속 또는 종이로 제조된 용기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입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나사부와 이격된 용기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상기 나사부가 상호 이격된 내측 표면에 상기 리드부의 일단 이 닿아 있는 용기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의 타단은 상기 나사부에 닿아 있는 용기캡.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상단부와 0 보다 크고 50°이하인 각도를 이루는 용기캡.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공간과 접하는 상기 상단부의 표면에 흡습층이 형성된 용기캡.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상단부에 오목하게 대향하는 용기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공간의 높이는 상기 상단부의 직경 이상인 용기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공간은 원통형인 용기캡.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수용성 물질 또는 과일 함유물인 용기캡.
  13. 내용물이 내장되도록 적용된 입체 공간을 가지는 캡부,
    상기 캡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입체 공간을 구획하고, 개구부를 가지는 격막부, 및
    상기 격막부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적용된 차단막
    을 포함하는 용기캡.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격막부에 부착된 제2 차단부
    를 포함하는 용기캡.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제2 차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캡.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입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 공간의 내측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격막부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나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용기캡.
KR1020070037979A 2007-04-18 2007-04-18 용기캡 KR10145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79A KR101459738B1 (ko) 2007-04-18 2007-04-18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79A KR101459738B1 (ko) 2007-04-18 2007-04-18 용기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3483A Division KR101479301B1 (ko) 2014-02-27 2014-02-27 용기캡 및 그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75A true KR20080093775A (ko) 2008-10-22
KR101459738B1 KR101459738B1 (ko) 2014-11-12

Family

ID=4015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979A KR101459738B1 (ko) 2007-04-18 2007-04-18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7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056Y2 (ja) * 1989-06-30 1995-05-10 三菱化学株式会社 吸収性保温容器
FR2686064B1 (fr) * 1992-01-15 1995-04-21 Remy Deslandes Conteneur pour la consommation d'une dose de produit liquide.
KR20000017465U (ko) * 1999-02-26 2000-09-25 장상운 용기 뚜껑 장치
US20050178677A1 (en) * 2004-02-16 2005-08-18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assembly having an overcap with a storage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738B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491B1 (en) Self contained additive reservoirs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US20080116086A1 (en) Bottle cap type additive container
US20120168461A1 (en) Reuseable housing for flexible pouch with fitment
US20070240999A1 (en) Bottle having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ITTV20030058A1 (it) Capsula monodose in plastica per caffe' in polvere e simili.
CN108639558A (zh) 一种一体式储物式瓶盖
RU2234445C2 (ru)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упаковк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жидкого или пастообразного вещества, и пленочный пакет,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ый элемент
JP2007076738A (ja) 粉末栄養素混合容器
AU2006237711B2 (en) Closure arrangement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CN108190230A (zh) 一种具有存储腔的组合瓶盖
KR101479301B1 (ko) 용기캡 및 그 사용 방법
GB2298180A (en) Container with two compartments
KR20080093775A (ko) 용기캡
JP2004099177A (ja) 飲用物包装用パウチ
CN207482531U (zh) 旋转注入式功能饮料瓶盖
CN211663814U (zh) 一种瓶盖及饮料瓶
JP2005289416A (ja) 原料等をキャップに付属させた瓶型の飲料容器
FR2885356A1 (fr) Receptacle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qu'il contient a l'interieur d'un recipient a goulot
KR2007006515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CN207932279U (zh) 一种具有存储腔的组合瓶盖
GB2382068A (en) Drinks container closure with rotatable spout
JP4920835B2 (ja) 飲料容器
KR960006493Y1 (ko) 이종(異種)의 물질보관을 위한 용기를 내장하는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29

Effective date: 2014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