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108A -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108A
KR20080092108A KR1020070035545A KR20070035545A KR20080092108A KR 20080092108 A KR20080092108 A KR 20080092108A KR 1020070035545 A KR1020070035545 A KR 1020070035545A KR 20070035545 A KR20070035545 A KR 20070035545A KR 20080092108 A KR20080092108 A KR 20080092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kin patch
release sheet
adhering
medicinal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히토 하타나카
유키오 소
Original Assignee
산쇼카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쇼카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쇼카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003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108A/ko
Publication of KR2008009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61F13/023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 A61F13/024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the application or handling support layer being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부착제라는 것은 피부의 여드름, 주름, 거칠음, 얼룩, 주근깨, 그 외의 치료나 경감용에 이용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부직포나 발포 플라스틱 등에 일정량 도포된 부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이라고 불리우는 기제를 부직포에 도포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겔 타입은 건조되기 쉬우므로 장시간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탄화수소, 탄소수 10 내지 탄소수 25의 에스테르 및 약효 성분이 혼합된 기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 제조 방법{SKIN PATCH, METHOD FOR ADHERING A SKIN PATCH, AND METHOD FOR PREPARING A SKIN PATCH}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4는 도 3의 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부 부착제 2 : 박리 시트
3 : 기제 4 : 커버재
5 : 피부 6 : 표면제
본 발명은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부착제라는 것은 피부의 여드름, 주름, 거칠음, 얼룩, 주근깨, 그외의 치료나 경감용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피부의 치료는 종래부터 연고나 크림을 도포하는 방법이 주류였다. 이 연고나 크림 중에 약효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포제는 손이나 의복에 부착되거나, 또 그 부분에 먼지 등 다른 것이 부착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한, 일정량 도포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하다.
따라서, 부직포나 발포 플라스틱 등에 일정량 도포된 부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이는 미리 필요량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도포하는 일도 없고, 또한 부직포 등에 의해 커버되므로 의복에 부착되거나 다른 것이 부착되는 결점도 없다.
이 종류의 부착 시트라도 약효 부분이 그대로 접착력을 갖는 것과, 약효 이외의 부분이 접착력을 갖는 것이 있다. 그러나, 약효 이외의 부분이 접착력을 갖는 것은 전체 면적이 커지므로 문제이다. 따라서, 주류는 약효 부분이 그대로 접착력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이라고 불리우는 기제를 부직포에 도포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하이드로겔이라는 것은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염을 가교시킨 것이며, 이 중에 약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그 자체가 접착력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하이드로겔 타입은 건조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기제를 부직포 등에 도포한 것은 투명성이 없으므로 피부가 보이지 않는다. 즉, 피부의 상태나 변화가 부직포 등을 박리하기까지 불명확하다. 이는 효 과의 정도나 박리 시기 등을 알기 어렵다.
또한, 부직포가 존재하므로 매우 눈에 띄게 된다. 이것도 하나의 결점이다.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 결과,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를 완성한 것이며, 그 특징으로 하는 바는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탄화수소, 탄소수 10 내지 탄소수 25의 에스테르 및 약효 성분이 혼합된 기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한 점에 있다.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라는 것은 이소프렌이나 부타디엔과 같은 디엔 화합물과 스티렌의 블럭 공중합체를 말한다. 또한, 잔존하는 이중 결합은 물을 첨가하여 포화되어도 포화되지 않아도 좋다. 특히, 스티렌·부타디엔·블럭 공중합체의 수첨물(SEBS)이나 스티렌·이소프렌·블럭 공중합체의 수첨물(水添物)이 우수했다. 이는 상온에서 고체이고, 물에는 불용성이고 유지류(油脂類)에는 가용성이다.
탄화수소는 액상인 것이 보통이지만,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바세린 등이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점성이 작은 액체(유동 파라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점도로서는 동점도(動粘度)에서 40 ㎟/s 내지 350 ㎟/s 정도이다. 이는 상기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용해하고, 접착성(점착성)과 약효 성분 용해성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탄소수 10 내지 탄소수 25의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팔미틴산 이소프로필(C15H31C00CH(CH3)2),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C13H27C00CH(CH3)2) 등이다. 상온에서 액체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유지류에 가용인 것이다. 이를 혼합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며, 이를 혼합함으로써 피부로부터의 박리가 원활하게 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이 좋았다. 에스테르의 첨가량에 따라서 점착력의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약효라는 것은 이 피부 부착용 시트의 기능 그 자체이며, 부착하는 목적이다. 즉, 미백, 주름 방지, 노화 방지, 항염증, 항균, 보습, 항산화, 슬리밍(slimming), 클렌징, 혈행 촉진 등의 효과가 있다.
약효 성분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유분으로서는 아보가드유, 동백나무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참깨유, 피마자유, 잇꽃유, 호호바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이 있고,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말티톨, 히알루론산 등이 있고, 혈행 촉진제로서는 캡사이신, 카페인, 니코틴산 토코페롤 등이 있다. 또한 그 외에 비타민 A,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테트라헥실데칸산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초산 d1-α-토코페롤, L-멘톨, 캠퍼, 유황, 염화 피리독신을 들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약효가 있는 엑기스로서, 황벽나무 엑기스, 감초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해초 엑기스, 인삼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감초 엑기스 등이 있다.
또한, 어깨 결림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나 해열제, 그외의 습포약, 또는 심장약 등과 같이 약제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이 약효 성분은 상기 성분이 용해되어도 용해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수용성 액체나 고체, 유용성 액체나 고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존 안정성 때문에 산화 방지제를 혼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BHT 등이다. 이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이다. 또한, 향료나 정유 등을 혼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향수와 같은 것에도 사용할 수 있고, 알로에 테라피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미유, 페퍼민트유, 라벤다유 등이 있다.
이들 성분의 혼합량(함유량)은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25 중량% 내지 60 중량%, 탄화수소 40 중량% 내지 70 중량%, 에스테르 0.5 중량% 내지 15 중량%, 약효 성분 0.5 중량%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모두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그 합계치이다.
박리 시트라는 것은 플라스틱 시트,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재질로서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제가 바람직하다. 시트 형상체는 인쇄나 착색을 실시해도 좋다.
상기 박리 시트는 피부에 피부 부착제를 도포한 후, 박리 제거하는 것으로서 1 종의 대지(臺紙)이다. 이는 투명해도 착색된 것이라도 좋지만, 박리할 때 피부로의 점착 정도를 잘 알 수 있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제의 도포 두께는 한정하지는 않지만, 0.05 mm 내지 1 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대지를 제거하여 피부에는 기제만을 남기는 방법으로 한 것이 본발명의 큰 특징이다. 또한, 병이나 튜브에 들어있는 도포제와 비교하여 도포량이나 도포 두께가 일정하다.
또한, 이 박리 시트를 박리 제거하면 기제가 노출되지만, 이 때 표면의 점성을 억제하므로 표면제를 설치해도 좋다. 표면제라는 것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의 박리 처리제가 바람직하다. 이 표면제가 박리 시트와 기제 사이에 있으면 기제 표면에 점착성이 거의 없어 의복 등에 부착되지 않고, 또한 오염 등도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부착하기 전에 기제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커버재(필름이나 시트)를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버재는 부착하기 전에 박리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제를 상기 박리 시트에 도포하여 제조한다. 도포 방법은 점도를 조정(가열 등에 의해)하여 도포하는 것이 간단하다. 물론, 상온에서도 점착성이 남아 있지 않으면 피부에 부착할 수 없다. 또한, 커버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커버재에 기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박리 시트를 부착해도 좋다.
또한, 표면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제조 방법이 유용하다.
우선, 커버재에 약효 성분을 도포하고, 그 약효 성분 상에 표면제를 도포하며, 마지막에 박리 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이다.
피부로의 부착 방법은 커버재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를 박리하여 피부에 부착한다. 수십초 내지 3 분 정도(일례) 방치한 후, 박리 시트를 박리한다. 이것으로 완성된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다음과 같은 성분을 혼합기 내에서 혼합한다.
1. SEBS(스티렌·부타디엔 블럭 공중합체
의 수첨물) 스티렌분 약 35 % 20.0 중량%
2. 유동 파라핀 71.5 중량%
3.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3.0 중량%
4. 비타민 E 5.0 중량%
5. BHT 0.5 중량%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50 ℃ 내지 100 ℃로 가열해도 좋다.
이 기제를 박리 시트(플라스틱 시트)상에 얇게(0.5 mm 정도) 도포하고, 그 위에 커버 필름을 재치(載置)하여 완성한다. 이를 실시예 1로 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량이 다른 것(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의 숫자는 중량%이다.
또한,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비교예로 했다.
Figure 112007027733733-PAT00001
상기 표 1에서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탄화수소,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가 부족해도 발명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박리 시트(2)에 기제(3)가 도포되고, 기제(3) 상에 커버 필름(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사용법은 커버 필름(4)을 박리하고, 피부에 부착한다. 잠시 두고 박리 시트(2)를 박리한다. 이것으로 완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1)를 피부(5)에 부착하고, 박리 시트(2)를 박리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표면제(5)가 존재하는 예이다. 표면제는 박리 시트(2)와 기제(3)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제조 방법은 커버재(4)에 약효 성분(3)을 도포하고, 그 약효 성분 상에 표면제(6)를 도포하며, 마지막으로 박리 시트(2)를 부착하는 방법이다.
도 4는 도 3의 예를 피부(5)에 부착하고, 박리 시트(2)를 박리하는 것을 도시한다. 박리 시트(2)를 박리하면 표면제(6)가 기제(3)를 커버하고 있으므로, 손으로 만져도 점착성은 없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탄화수소에 탄소수 10 내지 탄소수 25의 에스테르를 혼합하고 있으므로, 점착력이 적절하고, 부주의하게 벗겨져 떨어뜨리는 일이 없고, 박리할 때에는 비교적 용이하게 피부를 아프게 하지 않고 박리할 수 있다.
(2) 본 피부 부착제는 기제뿐이고, 부직포 등의 담체(擔體)가 없어 투명하므로 육안으로 피부의 상태가 보인다. 따라서, 부착하는 장소를 알기 쉽다.
(3) 투명하므로 각전(角栓)의 용해 상태, 피지의 침출 정도, 기포의 정도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4) 투명하므로 눈에 띄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면 집안에서도 여성에게는 큰 문제이다.
(5) 투명하므로 반대로 착색이 가능하다.
(6) 부직포 등이 없으므로 버리는 것이 적다. 또한, 비용 절감이 된다.
(7) 부직포와 같은 담체(지지체)가 없으므로 피부에 위화감이나 당김이 없다.
(8) 수성 겔과 같이 사용하기 전에 밀폐할 필요가 없다.
(9) 점조(粘稠)한 액상이므로 모공 등에 자유롭게 침투하여 용해한다.
(10) 부직포 등이 없고 기제뿐이므로 휘발 면적이 크다. 따라서, 휘발 성분은 잘 증발한다. 이 때문에 향료 등이 적게 든다.

Claims (6)

  1.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탄화수소, 탄소수 10 내지 탄소수 25의 에스테르 및 약효 성분이 혼합된 기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박리 시트와 약효 성분 사이에 표면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효 성분의 박리 시트와 반대측에 커버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25 중량% 내지 60 중량%, 탄화수소가 40 중량% 내지 70 중량%, 에스테르가 0.5 중량% 내지 15 중량%, 약효 성분이 0.5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제.
  5. 제 1 항에 기재된 피부 부착제를 약효 성분이 피부에 부착되도록 부착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약효 성분을 피부에 잔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6. 커버재에 약효 성분을 도포하고, 그 약효 성분 위에 표면제를 도포하며, 마지막으로 박리 시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제의 제조 방법.
KR1020070035545A 2007-04-11 2007-04-11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KR20080092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45A KR20080092108A (ko) 2007-04-11 2007-04-11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45A KR20080092108A (ko) 2007-04-11 2007-04-11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08A true KR20080092108A (ko) 2008-10-15

Family

ID=401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45A KR20080092108A (ko) 2007-04-11 2007-04-11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1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7277B2 (en) Disruptable adhesive layer for fluid activated debonding
US8946499B2 (en) Systems, methods and materials for delivery and debonding on demand
KR100402632B1 (ko) 피부에 확고히 국소 부착되고 편안하게 떼어지는 접착제
Czech et al.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medical applications
EP2773304B1 (en) Disruptable adhesive layer for fluid activated debonding
JP2007119405A (ja) 皮膚貼付剤
US20130078421A1 (en) Scent emitting patch and/or bandage
KR20080014461A (ko)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US9452178B1 (en) Acne formulations, treatments, and pressure sensitive patches for delivery of acne formulations
CN104955426B (zh) 用于治疗眼睑疾病的含有氯倍他索的贴剂
KR20070057890A (ko) 피부 냉각 조성물
DE19957234A1 (de) Pharmazeutisches Pflaster enthaltend ätherische Öle
KR20160003267A (ko) 피부 마스킹재
JP2001506637A (ja) 皮膚作用又は経皮作用を有する極めて柔軟な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TWI660751B (zh) 貼附劑
KR20080092108A (ko) 피부 부착제, 피부 부착제의 부착 방법 및 피부 부착제의제조 방법
JP5485495B2 (ja) 貼付剤
KR101842976B1 (ko) 점착성 탄력 미용 밴드
KR20100004168A (ko) 피부 접착성과 인장 강도가 개선된 피부 미용 패치
JP2887548B2 (ja) 使用性の改善された含水性皮膚外用貼付剤
JP2005008627A (ja) 貼付剤
CN217593198U (zh) 水凝胶贴附剂和贴身产品
JP3197332U (ja) 皮膚の痒み止め用貼付剤
JPH1149660A (ja) 水賦活にきびパッチ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4346042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