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952A -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952A
KR20080091952A KR1020070035092A KR20070035092A KR20080091952A KR 20080091952 A KR20080091952 A KR 20080091952A KR 1020070035092 A KR1020070035092 A KR 1020070035092A KR 20070035092 A KR20070035092 A KR 20070035092A KR 20080091952 A KR20080091952 A KR 2008009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image
communication terminals
flow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862B1 (ko
Inventor
김석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8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우 모션(flow motion)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갖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갖는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하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과정과, 상기 촬영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과정, 및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전송된 상기 영상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flow motion)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특별한 촬영 기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동영상을 촬영 및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휴대폰, 이동통신 단말기, 플로우모, flow motion, 카메라

Description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filming flow mo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카메라 설정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갖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추가로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함으로서, 원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손쉽게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기기들과 용이하게 근거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을 근거리 네트워크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플로우 모션(Flow??motion) 기법이란, 한 번에 한 장씩의 사진을 찍어내는 카메라를 일렬(일정한 궤도)로 피사체의 주변에 설치를 해 놓고, 각각의 카메라가 동시에, 혹은 아주 약간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촬영 한 후, 그 각각의 찍힌 영상들을 이용하여 마치 한대의 영화 카메라가 그 궤도를 회전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촬영 기법을 말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카메라가 구비되어야 하며, 각각의 카메라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들을 모두 획득하여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일반인이 촬영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은 카메라를 갖는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하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과정과, 상기 촬영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과정, 및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전송된 상기 영상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flow motion)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은방법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촬영 요청 신호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10)은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100m, 100s)들 및 근거리 통신망(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들(100m, 100s)은 마스터(master)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마스터 단말기; 100m)와, 슬레이브(slave)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슬레이브 단말기; 100s)들로 구분된다.
마스터 단말기(100m)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은 근거리 통신망(50)에 접속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구비한다. 마스터 단말기(100m)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은 조회(inquiry) 및 연결(connection) 과정을 통해 상호 간에 근거리 통신망(5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단말기(100m)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이 블루투스 규격(protocol)에 준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마스터 단말기(100m)는 근거리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 기(100s)들을 제어하며 플로우 모션 촬영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에게 동기화 신호(카메라 설정 정보,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모든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의 카메라 설정(예컨대 해상도 등)과 시간 정보를 동기화시키고, 촬영 신호(촬영 시각 정보, 촬영 타이밍 정보)를 전송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슬레이브 단말기(100s)는 마스터 단말기(100m)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특히 마스터 단말기(100m)로부터 촬영 신호가 전송되면 피사체(20)를 촬영하며,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한 후, 마스터 단말기(100m)로 전송한다. 도 1에는 4 대의 슬레이브 단말기(100s)가 근거리 통신망(50)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거리 통신망(50)이 지원하는 한 보다 많은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슬레이브 단말기(100s)로 근거리 통신망(50)에 더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50)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마스터 단말기(100m)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이 모두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50)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Wireless Fidelty) 등 제어 신호(예컨대, 동기화 신호, 촬영 신호 등)와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상호 전송될 수 있는 통신망(50)이라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10)은 마스터 단말기(100m)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이 근거리 통신망(50)을 통해 제어 신호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며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단말기(100m)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이 모두 동일한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기(도 2의 100)를 이용하는 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110), 근거리 통신부(120),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10)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변형 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는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Wavelet, mpeg2, mpeg4, H.263, 및 H.264 등 다양한 코덱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 규약을 소정 범위 내의 다른 근거리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모듈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근거리 통신부(120)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120)에 의해 근거리 통신장치가 검색되는 범위는 10m 이내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부(120)가 활성화되면 10m 이내의 근거리 통신장치가 검색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장치가 검색되면, 근거리 통신부(120는 검색된 근거리 통신장치의 부가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된 부가정보는 해당 장치의 종류(예컨대, 핸드폰, MP3, PMP), 근거리 통신 접속 신호 강도 레벨, 해당 장치의 등록여부 등이다. 또한, 해당 장치의 등록 여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페어링(pairing)이 되었는지 여부이다. 이때, 페어링(pairing)된 장치는 별도의 주소(BD_Addr)획득 과정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프리뷰 영상으로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 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과,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플로우 모션 영상이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촬영 준비부(192) 및 영상 생성부(194)를 포함한다.
촬영 준비부(192)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100m)인 경우, 촬영 준비부(192)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 촬영 순서를 설정한다. 또한, 촬영 준비부(192)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촬영 준비가 완료되면 촬영 신호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레이브 단말기(100s)인 경우, 촬영 준비부(192)는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설정(예컨대 해상도 등)을 변경하고, 촬영 준비 완료 신호를 마스터 단말기(100m)로 전송한다. 또한, 촬영 신호가 수신되면 영상의 촬영을 수행한다.
영상 생성부(194)는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마스터 단말기(100m)인 경우, 영상 생성부(194)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생성부(194)는 생성된 플로우 모션 영상을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에게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레이브 단말기(100s)인 경우, 영상 생성부(194)는 촬 영된 영상 데이터를 마스터 단말기(100m)로 전송한다. 이때, 영상 생성부(194)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앞서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인코딩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구성도 더욱 명료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카메라 설정 동기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m, 100s)들이 근거리 통신망(5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과정이 수행된다(S10). 전술하였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망(50)을 형성하는 경우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이 페어링(pairing)되어 근거리 통신망(50)을 형성하는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근거리 통신망(5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m, 100s)들 중,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마스터 단말기(100m)로 설정한다. 마스터 단말기(100m)는 근거리 통신망(50)을 형성하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 기(이하, 슬레이브 단말기; 100s)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적으로 가장 앞선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마스터 단말기(100m)로 지정하여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00s)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터 단말기(100m)가 설정되면, 자동적으로 근거리 통신망(50)에 연결되어 있는 나머지 이동통신 단말기(100s)들은 슬레이브 단말기(100s)로 설정된다.
이어서, S11 과정에서 사용자는 도 1과 같이 피사체(20)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을 배치한다. 즉, 시간적으로 가장 앞선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위치에 마스터 단말기(100m)를 배치하고, 일렬 또는 일정한 궤도로 나머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을 배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망(50)이 형성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들를 배치하는 과정이 수행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선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을 배치한 후 근거리 통신망(50)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처럼,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이 상호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정확한 촬영 위치에 모두 배치되면,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의 촬영 순서를 설정하는 S12 과정이 수행된다.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표시부(150)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5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키 입력부(16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의 촬영 순서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촬영 순서 설정의 편의를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GIS(global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GPS 수신기를 구비하고, 마스터 단말기(100m)가 GIS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지도상에 배치된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을 선택하며 촬영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터 단말기(100m)는 먼저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GPS 좌표 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지도 상에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따른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마스터 단말기(100m)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순서의 입력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기(100m) 의 촬영 준비부(192)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먼저 카메라 설정 정보를 동기화하는 S13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정 정보는 촬영 시 각각의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설정 정보로, 해상도, 노출 정도, 셔터(Shutter) 속도,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S131 과정에서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에게 카메라 정보(예컨대, 가능한 해상도 정보 등)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S132 과정에서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의 촬영 준비부(192)는 구비된 카메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여 마스터 단말기(100m)로 전송한다.
이어서 S133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의 카메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선정한다. 여기서 최적의 카메라 설정 정보란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이 공통적으로 설정 가능한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해상도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최적의 해상도란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이 촬영 가능한 해상도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슬레이브 단말기(100a)의 최고 해상도가 1024 X 768이고, 제 2 슬레이브 단말기(100b)의 최고 해상도가 1120 X 840인 경우, 제 1 슬레이브 단말기(100a)는 1120 X 840의 해상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해상도가 낮은 1 슬레이브 단말기(100a)의 해상도를 최적의 해상도로 선정하게 된다.
이처럼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촬영할 수 있는 동일한 최적의 해상도가 선정되고, 마찬가지로 최적의 노출 정도, 최적의 셔터 속도 등 모든 카메라 설정 정보들이 최적으로 선정되면, S134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선정된 카메라 설정 정보를 모든 슬레이브 단말기(100s)로 전송한다.
이에 S135 과정에서 카메라 설정 정보를 수신한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의 촬영 준비부(192)는 수신한 카메라 설정 정보에 따라 구비된 카메라 모듈(110)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시간 정보를 동기화 하는 S14 과정을 수행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동일한 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정보 동기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된 시간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시간 정보를 동기화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시간 정보를 동기화하는 과정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기(100m)의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하여 다른 슬레이브 단말기(100s)의 시간을 임시로 조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동기화된 가상의 시계를 생성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기화 과정(S13 및 S14)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기(100m)의 촬영 준비부(192)는 표시부(150)나 오디오 처리부(140)의 스피커 등을 통해 촬영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알람을 표시한다.
이에 S15 과정에서 촬영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한 사용자가 촬영 명령을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촬영 타이밍을 함께 입력한다. 여기서 촬영 타이밍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로우 모션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모든 카메라가 동시에 영상을 촬영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과, 모든 카메라가 약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순 차적으로 촬영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동일한 피사체(20)에 대해 동시에 촬영하게 되므로, 모든 카메라는 동일한 촬영 신호에 반응하여 동일한 시각에 해당 피사체(20)를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모든 카메라들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피사체(20)를 촬영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카메라들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촬영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시간 간격을 촬영 타이밍이라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촬영 타이밍을 '0s'로 설정한 경우, 시간 간격이 없게 되므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동시에 피사체(20)를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촬영 타이밍을 '50ms'로 입력한 경우, 시간 간격이 50ms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먼저 마스터 단말기(100m)가 피사체(20)를 촬영하게 되면, 이후로 50ms 마다 다음의 슬레이브 단말기(100s)가 순차적으로 피사체(20)를 촬영하게 된다.
S15 과정에서 사용자가 촬영 타이밍 정보와 함께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 S16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는 촬영 시각 정보와 촬영 타이밍 정보를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3:20:20'에 촬영 명령을 입력한 경우, 마스터 단말기는 약간의 지연 시간(예컨대, 1초)을 포함하여 촬영 시각 정보(예컨대, '13:20:21')를 설정하고, 이를 촬영 타이빙 정보와 함께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로 동시에 전송한다. 이때, 지연 시간은 ms나 ns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이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에게 촬영 시각 정보 및 촬영 타이밍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근거리 통신망(50)에서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이나 브로드캐스트(broadcast)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마스터 단말기(100m)는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으로 촬영 시각 정보 및 촬영 타이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차적으로 촬영 신호가 전송되므로, 멀티캐스트 방식보다 지연 시간을 길게 하여 촬영 시각 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이어서, S17 과정에서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은 전송된 촬영 시각 정보와, 촬영 타이밍 정보에 대응하여 피사체(20)를 촬영하게 된다. 즉, 촬영 타이밍 정보가 '0s'인 경우, 상기 예시된 촬영 시각 정보('13:20:21')에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은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반면에, 촬영 타이밍 정보가 '50ms'인 경우 촬영 시각 정보('13:20:21')가 되면 마스터 단말기(100m)가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후 50ms가 경과될 때마다, 다음의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이 순차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촬영이 완료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은 S18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을 마스터 단말기(100m)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송에 앞서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의 영상 생성부(194)는 영상 처리부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코딩이 완료되면,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의 영상 생성부(194)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마스터 단말기(100m)로 전송한다.
S18 과정을 통해 마스터 단말기(100m)에 모든 영상 데이터들이 수신되면, S19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의 영상 생성부(194)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영상 생성부(194)는 S12 과정에서 설정된 촬영 순서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다수의 정지 영상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플로우 모션 영상의 생성이 완료되면, S20 과정에서 마스터 단말기(100m)의 영상 생성부(194)는 생성된 플로우 모션 영상을 각 슬레이브 단말기(100s)들에게 전송한다.
이에, 근거리 통신망(50)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은 생성된 플로우 모션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별한 촬영 기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처음에 촬영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지막에 촬영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나머지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지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통해 동영상과 연결되는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는 특별한 촬영 기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동영상을 촬영 및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2)

  1. 카메라를 갖는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하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과정과,
    상기 촬영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 과정, 및
    상기 영상 전송 과정에서 전송된 상기 영상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flow motion)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및 Wi??Fi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과정에서 전송되는 상기 촬영 신호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신호는,
    촬영 시각 정보와, 촬영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과정은 상기 촬영 신호를 전송하기에 앞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촬영 순서를 설정하는 순서 설정 과정 및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촬영 설정을 동기화 하는 동기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과정은,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카메라 설정을 동기화 하는 과정 및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시간 정보를 동기화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설정을 동기화 하는 과정은,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카메라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정보로부터 최적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최적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영상 전송 과정은,
    인코딩 과정을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압축한 후 전송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플로우 모션 영상을 모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플로우 모션 영상 전송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방법.
  10. 카메라를 구비하고, 촬영 요청 신호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수신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과,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플로우 모션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터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모션 촬영 시스템.
KR1020070035092A 2007-04-10 2007-04-10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34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092A KR101341862B1 (ko) 2007-04-10 2007-04-10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092A KR101341862B1 (ko) 2007-04-10 2007-04-10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52A true KR20080091952A (ko) 2008-10-15
KR101341862B1 KR101341862B1 (ko) 2013-12-20

Family

ID=4015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092A KR101341862B1 (ko) 2007-04-10 2007-04-10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8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79B1 (ko) * 2013-04-05 2014-08-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메라 및 그 활용 방법
KR20150083215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데이터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9398315B2 (en) 2010-09-15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source video clip onlin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8648A (ja) * 2002-05-13 2004-02-12 Fuji Photo Film Co Ltd 特殊効果画像の作成方法及びカメラ並びに画像サーバ
JP4370143B2 (ja) 2003-10-21 2009-11-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8315B2 (en) 2010-09-15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source video clip online assembly
KR101427779B1 (ko) * 2013-04-05 2014-08-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메라 및 그 활용 방법
KR20150083215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데이터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862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73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554127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lasses
JP2007274359A (ja) 機能設定システム、設定機、機能設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1958976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无线终端设备
KR20050094693A (ko) 휴대단말기의 동영상효과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JP2013225850A (ja) 映像通信装置、映像通信サーバー及び映像通信のための映像処理方法
JP2019016891A (ja) 撮像装置及び画像転送方法
KR101341862B1 (ko) 플로우 모션 영상 촬영 방법 및 시스템
US10397462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for synchronous shooting
US11076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KR100629442B1 (ko) 카메라를 장착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와이드화상 촬영 방법 및 장치
CN115514882A (zh) 一种分布式拍摄方法,电子设备及介质
CN115514883A (zh) 跨设备的协同拍摄方法、相关装置及系统
JP2013187826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4692138B2 (ja) 携帯端末からのパン&チルト機能搭載型ネットワークカメラ画像の閲覧方法及びパン&チルト機能搭載型ネットワークカメラ
JP4295948B2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3250079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動作制御方法
JP7218164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91219B2 (ja) システム
CN112352465B (zh) 通信设备、通信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20150050909A (ko) 촬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촬영 단말기와 통신하는 그룹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JP714938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
CN113934388B (zh) 同步显示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11178343B2 (en) Combining images from different devices according to a determined wipe shape
JP2018142865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