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149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149A
KR20080090149A KR1020070033302A KR20070033302A KR20080090149A KR 20080090149 A KR20080090149 A KR 20080090149A KR 1020070033302 A KR1020070033302 A KR 1020070033302A KR 20070033302 A KR20070033302 A KR 20070033302A KR 20080090149 A KR20080090149 A KR 2008009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lectrode
pdp electrode
parts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952B1 (ko
Inventor
박찬석
고준
김동완
이성훈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07003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9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a) 전극용 금속분말; b) 흑색 유리 프릿; c) 흑색안료; d) 감광성 유기성분; e)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종래의 흑색층과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PDP 전극을 일체화된 전극으로 형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2단계 공정을 1단계로 줄임에 따라 PDP 전극제조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흑색안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PDP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전극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PDP, 전극, 흑색층, 도전층, 페이스트, 유리프릿, 흑색안료, 알루미늄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A paste for producing PDP electrode}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흑색층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에 대한 상부기판 구조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흑색층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예에 대한 상부기판 구조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실시예에 대한 상부기판 구조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부기판 구조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형광층 20: 유전체층
30: 보호층 40: 블랙 스트라이프
100: 상부기판 110: 투명기판
120: 스캔 전극 121: 투명전극(스캔 전극측)
122: 흑색층(스캔 전극측) 123: 버스전극(스캔 전극측)
124: 일체형 버스전극(스캔 전극측) 130: 유지 전극
131: 투명전극(유지 전극측) 132: 흑색층(유지 전극측)
133: 버스전극(유지 전극측) 134: 일체형 버스전극(유지 전극측)
200: 하부기판 210: 어드레스 전극
220: 격벽
본 발명은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흑색층과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PDP 전극을 일체화된 전극으로 형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2단계 공정을 1단계로 줄임에 따라 PDP 전극제조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흑색안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PDP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전극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PDP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있어서, 대형화, 고밀도화, 고정밀화, 및 고신뢰성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가지 패턴 가공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다양한 패턴 가공 기술에 적합한 각종의 미세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에 대한 연구와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하, 'PDP'라 칭함)은 액정 패널과 비교할 때에 응답속도가 빠르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현재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종래에 이러한 PDP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판을 이루는 유리 등의 투명기판 상에 ITO등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콘트라스트 향상 및 버스전극을 이루는 금속라인의 반사광을 제거하기 위해 유리프릿과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흑색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별도로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분말과 유리프릿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로 형성시킨 버스전극(도전층)을 형성하는 2층 구조를 2회의 인쇄공정을 통하여 형성시켜 PDP 상부기판을 제조하였다. 도 2는 PDP 패널의 각 셀(cell)과 셀을 구분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를 구분하여 형성한 구조(이 경우 흑색층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거나 그 두께를 얇게 하여 전도가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이고, 도 3은 이와 같은 블랙 스트라이프와 흑색층을 한번에 형성한 구조로 이 경우에는 상기 흑색층은 투명전극 간의 절연을 위하여 절연재질이어야 하므로 그 두께를 얇게 하여 버스전극과 투명전극간의 전도가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2층 구조의 형성을 위하여 공정비용이 높으며, 흑색층과 도전층의 결합에 따른 문제로 인하여 제품물성에 악영향을 미쳐 불량률이 높으며, PDP 전극 형성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흑색층과 도전층이 일체화된 PDP 버스전극, 스캔전극, 및 유지전극을 형성하는데 특히 적합하여 PDP 전극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흑색안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PDP 전극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전극 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별도의 설비 증가 없이 기존의 포토리소그라피 설비를 사용하여 PDP 전극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흑색층과 도전층이 일체화된 PDP 전극을 형성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흑색안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PDP 전극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전극 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PDP 전극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PDP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전극용 금속분말;
b) 흑색 유리 프릿;
c) 흑색안료;
d) 감광성 유기성분;
e) 소결조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
b) 상기 건조된 기판을 노광하여 현상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소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PDP 전극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PDP 전극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PDP 전극은 흑색층과 도전층이 일체화된 버스전극, 스캔전극 또는 유지전극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a) 전극용 금속분말; b) 흑색 유리 프릿; c) 흑색안료; d) 감광성 유기성분; e)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a) 전극용 금속분말 40 내지 80 중량부; b) 흑색 유리 프릿 1 내지 10 중량부 ; 흑색안료 1 내지 10 중량부; d) 감광성 유기성분 7 내지 40 중량부; e) 소결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서 상기 a) 금속분말은 종래 PDP 버스전극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성분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인 예로는 0.05 내지 10 ㎛의 은(Ag)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금속분말은 은(Ag)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가의 은(Ag)분말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PDP 버스전극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은(Ag)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시 알루미늄 분말과 은(Ag)분말은 1:6 내지 1:9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전기저항성과 비용절감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혼합시 알루미늄 분말은 입경이 1.5 내지 5 ㎛인 구형의 분말이 좋으며, 은(Ag) 분말은 입경이 0.05 내지 5 ㎛인 구형의 분말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페이스트의 단가 및 안정성과 미세 패턴이 요구되는 전극의 형성이 용이하며, 형성된 PDP 전극의 전기저항 및 기판과의 밀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금속 분말의 Tap density가 적어도 4 g/cm3 이상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Tap density가 적어도 5 g/cm3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PDP 전극의 소결성 및 전기저항을 더욱 좋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은(Ag) 분말은 입경이 0.05 내지 0.2 ㎛인 은(Ag) 분말을 총 은(Ag)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 페이스트의 분산성 및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은(Ag) 분말의 입도분포는 D10=0.1 내지 0.7 ㎛, D50=0.5 내지 2.0 ㎛, D90=1.4 내지 5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있어서 금속분말은 전체 페이스트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전극의 전기저항, 기판과의 밀착성, 소결성 및 전극패턴 현상성에 있어서 모두 좋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b) 흑색 유리 프릿은 기재와의 밀착성 및 소성강도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흑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흑색층과 도전층(금속층)이 일체화된 PDP 전극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흑색 유리 프릿은 흑도(색상 L*)가 표준 백색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보정한 색채계(미놀타(minolta) CR 300)을 사용하여 측정시 수치가 30 이하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수치가 20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L*은 순순 흑색을 0으로, 순수 백색을 100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써 0에 가까울수록 순수한 검은색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일체화된 PDP 전극의 흑도를 42 이하가 되게 하고, 페이스트의 전기적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색 유리 프릿은 연화온도(Ts)가 300 내지 500 ℃인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화온도(Ts)가 350 내지 450 ℃인 것이 좋다. 상기 흑색 유리 프릿은 망목수식이온(알칼리, 알칼리토류)을 함유하며 V, Cr, Mn, Fe, Co, Ni 등의 전이원소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예로 1) V2O5-P2O5계 또는 2) CuO-MnO계 흑색 유리프릿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1)V2O5-P2O5계로는 V2O5-P2O5-ZnO-BaO 유리프릿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V2O5 35 내지 50 몰%, P2O5 25 내지 35 몰%, ZnO 5 내지 15 몰%, BaO 5 내지 15 몰%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여기에 선택적으로 Li2O, 또는 R2O3 (여기서 R은 금속성 원소이다) 0 내지 15 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V2O5 와 P2O5의 합계가 유리 프릿의 적어도 70 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2) CuO-MnO계 흑색 유리프릿으로는 CuO-MnO-Bi2O3-BaO 유리프릿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CuO 1 내지 15 몰%, MnO 1 내지 15 몰%, Bi2O3 40 내지 80 몰%, BaO 1 내지 10 몰%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여기에 ZnO 0 내지 15 몰% 또는 R2O3 0 내지 15 몰%(여기서 R은 금속성 원소이다)를 선택적으로 더욱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b) 흑색 유리 프릿은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기재와의 밀착성 및 양호한 전기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c) 흑색안료는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흑색안료는 종래 PDP 전극의 흑색층의 형성에 사용되었던 흑색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예로는 Cu-Co-Mn계 또는 Cobalt 계열 흑색안료이다. 또한 상기 흑색안료의 평균입도는 0.1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 다. 이 경우 페이스트의 분산성과 정밀한 구조의 PDP 전극 형성에 더욱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c) 흑색안료는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흑도 및 전기저항을 양호하게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b) 흑색 유리 프릿과 c) 흑색안료는 1:1.5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페이스트로 형성된 전극의 흑도가 42 이하로 얻어질 수 있거나, 비저항이 15 uΩ㎝이하로 얻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일체화된 PDP 전극의 흑도, 기재와의 밀착성 및 전기저항을 동시에 양호하게 하며, 페이스트의 단가를 저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d) 감광성 유기성분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적용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ⅰ) 유기바인더; ⅱ) 가교성 모노머; ⅲ)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소성전 페이스트 성분의 결합 및 현상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좋으며,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 방향족 단량체, 및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는 고분자 내의 수소 결합을 통해 고분자의 탄 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구체적으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비닐초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총 단량체에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고분자의 탄성 특성, 중합시 겔화의 방지, 및 중합도 조절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좋다.
상기 방향족 단량체는 기재와의 밀착성과 안정적인 패턴을 형성시키는 작용을 하며, 구체적으로 스티렌,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리레이트, 2-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또는 4-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총 단량체에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기재와의 밀착성, 패턴의 접착력, 형성된 패턴의 직진성, 안정적인 패턴 구현, 소성 공정시 용이한 제거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좋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와 방향족 단량체 이외에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아크릴 단량체는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와 극성을 조절하는 작용 을 한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내열성, 기재와의 친밀성 등을 고려하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총 단량체에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단량체들을 중합하여 제조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 방향족 단량체, 및 아크릴 단량체의 겔화를 방지하고 적절한 휘발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용매하에서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프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터핀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메틸아미노 포름알데히드, 메틸에틸케톤, 부틸카비톨, 부틸카비톨 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또는 에틸락테이트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량체들을 용매의 존재하에서 중합하여 얻어진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현상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바인더는 감광성 유기성분의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미세전극패턴의 형성에 적합하고, 작 업성이 좋아지며, 소성시 패턴의 엉김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페이스트에 광경화성을 부여하고 현상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프탈산, 이타콘산, 말레산 숙신산 등의 다염기산과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감광성 유기성분에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미세전극패턴의 형성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는 광반응을 개시시키는 성분으로 구체적인 예로서,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인계 화합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크산톤,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계 화합물; 또는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스이미다졸, 2,2-비스(2,4,6-트리시아노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스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감광성 유기성분의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도가 저하되고, 낮은 감도로 인해 정상적인 패턴형상의 구현이 힘들어지고 패턴의 직진성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보존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경화도로 인해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고 형성된 패턴외의 부분에 잔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광성 유기성분은 기판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현상마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300 내지 1000인 가교성 올리고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가교성 올리고머는 글리세린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GPTA)인 것이 좋으며, 사용량은 감광성 유기성분의 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감광성 유기성분은 기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d) 감광성 유기성분은 7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페이스트의 안정성, 현상성 및 작업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e) 소결조제는 페이스트 성분의 소결을 돕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소결조제는 종래 전극형성용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소결조제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인 일예로는 실버아세테이트(silver acetate)와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실버 성분을 포함하는 소결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소결조제는 본 발명의 페이스트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부착력 개선, 소결성 개선 및 양호한 전기저항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유기 소결조제로서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경우 니트로셀룰로오스의 급격한 발열로 인해 유기물의 완전연소를 돕고, 금속 분말의 소결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전극형성용 페이스트는 필요에 따라 통상의 첨가제인 착색제, 염료, 분산제, 찰흔 방지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속도 증진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통상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함량인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개별공정의 특성에 따른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상기 기재한 필수성분과 임의의 성분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배합하고 이를 블렌더 또는 3축 롤 등의 혼련기로 균일하게 분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PDP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PDP 전극을 제공하는 바, 이러한 PDP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4에 그 일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전극이 없는 구조의 PDP의 경우에는 a) 상기 기재의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투명기판 위에 도포하는 공정; b)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가 도포된 투명 기판을 노광하여 현상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패턴이 형성된 투명기판을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PDP를 제조하는 방법은 PDP 전극의 흑색층과 도전층이 일체화된 PDP 전극으로서 1회의 인쇄 또는 코팅공정으로 PDP 버스전극을 제조한다.
상기 투명기판은 PDP 상판이며, 페이스트의 도포는 통상적인 페이스트 인쇄방법 또는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크린 인쇄 및 테이블코팅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 위에 페이스트가 도포된 후 건조, 노광, 현상 및 소성의 일련의 전극형성은 PDP 전극형성시 사용되는 공지의 공정들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PDP 전극 제조방법은 종래 흑색층과 도전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2개의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2회의 공정을 거쳐 PDP 전극을 형성하는 것에 비추어 포토리소그래피 설비를 사용하여 별도의 설비증가 없이 PDP 전극을 형성하며 흑색층과 도전층의 일체화된 PDP 전극을 형성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흑색안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PDP 전극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전극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전극을 가지는 PDP 전극의 제조에 있어서는, a) 투명기판에 스캔 전극 또는 유지 전극 형성을 위한 투명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b) 상기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된 투명기판에 상기 기재의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공정; c)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가 도포된 투명기판을 노광하고 현상하여 버스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버 스전극 패턴이 형성된 투명기판을 소성하여 스캔 전극 또는 유지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도 상기 투명기판은 PDP 상판이며, 상기 인쇄는 통상적인 페이스트 인쇄 및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도포는 스크린 인쇄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 위에 페이스트가 인쇄한 후 건조, 노광, 현상 및 소성의 일련의 전극형성은 PDP 전극 형성시 사용되는 공지의 공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PDP 전극은 구체적인 일예로, 투명기판(110)의 하면에 스캔 전극(120)과 유지 전극(130)이 형성된 상부기판(100)과, 어드레스전극(210)과 격벽(220)이 형성된 하부기판(200)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120) 또는 유지 전극(130)은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명도(흑도)가 최대로 42이고, 비저항이 최대로 15 uΩ㎝,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저항이 최대로 10 uΩ㎝인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 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PDP 전극은 상기 스캔 전극(120) 또는 유지 전극(130)이 상기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 층과 투명기판(110) 사이에 상기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 층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더 큰 폭의 투명전극(121, 131) 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스캔 전극 또는 유지 전극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의 향상과 금속라인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버스전극의 상부에 흑색층을 가지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버스전극과 흑색층의 2층 구 조를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명도(흑도)가 최대로 42이고, 비저항이 최대로 15 uΩ㎝,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저항이 최대로 10 uΩ㎝인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1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흑색층의 기능은 반사방지 및 형광체에서 발산된 빛의 투과를 막는 것이고, 버스전극의 기능은 전기 신호의 전달에 있으므로 이를 동시에 만족하는 조건인 흑도가 최대로 42이고, 비저항이 최대로 15 uΩ㎝인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 층으로 도 5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를 구성하는 경우에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2층 구조를 1층 구조로 구성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도가 40이하이고, 비저항이 10 uΩ㎝이하인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층으로 이를 구성하는 것이 콘트라스트 및 전기전도도 측면에서 좋다.
또한 근래에 개발되어지고 있는 투명전극이 없는 구조의 PDP의 경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4394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캔 전극과 유지전극을 1셀 내에 구비하는데, 이 경우의 스캔 전극 및 유지 전극은 투명전극이 없이 흑색층과 금속층만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게 되며, 본 발명의 경우는 도 4에 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스캔 전극 또는 유지 전극을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명도(흑도)가 최대로 42이고, 비저항이 최대로 15 uΩ㎝인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 층만으로 형성하여 1층 구조로서 상기 2층 구조가 가지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투명전극이 없는 PDP 전극의 경우에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도가 40이하 이고, 비저항이 10 uΩ㎝ 이하인 전도성 흑색계열 물질 층으로 이를 구성하는 것이 콘트라스트 및 전기전도도 측면에서 좋다.
여기서 상기 투명기판은 공지의 PDP 전극 제조에 적용되는 유리를 포함한 다양한 투명재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전극은 ITO를 포함한 다양한 투명전극용 재질이 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메타크릴산(MA) : 벤질아크릴레이트(BA) :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 30 : 20 : 10 : 40의 중량비율로 중합하여 제조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중량평균분자량 25,000) 18 중량부, 가교성 모노머 단량체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8 중량부, 광개시제로 벤조페논 4 중량부, 금속분말로서 입도분포가 D10=0.43 ㎛, D50=1.48 ㎛, D90=1.98 ㎛이고 Tap density가 5 g/cm3인 구형의 은(Ag) 분말 60 중량부, V2O5-P2O5-ZnO-BaO-Li2O가 각각 45:30:10:5:10의 몰%로 포함하며, 흑도(색상 L*)가 표준 백색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보정한 색채계(미놀타(minolta) CR 300)을 사용하여 측정시 30이며, 연화온도(Ts)가 400 ℃인 유리 프릿 6 중량부, 평균입도가 0.6 ㎛인 Cu-Co-Mn계 흑색안료 3 중량부, 소결조제로 실버아세테이트 0.22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혼련기로 분산시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금속분말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은(Ag) 분말 52.5 중량부, 평균입경이 2.0 ㎛인 구형의 알루미늄 분말 7.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금속분말로서 은 분말 54 중량부와 평균입경이 2.0 ㎛인 구형의 알루미늄 분말 6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은 분말 52 중량부와 알루미늄 분말 8.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은 분말 50 중량부와 알루미늄 분말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 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은 분말 48 중량부와 알루미늄 분말 1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유리 프릿 3 중량부, 흑색안료 1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유리 프릿 12 중량부, 흑색안료 3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전기저항, 소결성, 흑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유리 기판상에 15 ㎛ 두께로 스크린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전면 인쇄한 후, 건조로에서 110 ℃에서 10분간 건조시켜 후, 건조된 시험편을 노광량 200, 400 mJ/cm2로 각각 UV 조사 한 후, 4 중량%의 Na2CO3 수용액으로 현상하고 순수(DI water)로 세척한 후, 상기 과정으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10 ℃/분으로 580 ℃까지 승온시키고, 580 ℃에서 10분간 유지시켜 소성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험편으로 전기저항은 패턴의 막두께와 저항값을 통하여 계산하였으며, 흑도(색상 L*)는 소성물질을 표준 백색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보정한 색채계(미놀타(minolta) CR 3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소결성은 소성후 표면 및 단면을 SEM 측정을 통해서 조직 관찰하여, 기포가 발생하고 표면과 단면 상태 치밀하지 않은 경우는 불량, 기포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표면과 단면 상태가 치밀하지 않은 경우는 미흡, 기포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표면과 단면 상태가 치밀한 경우는 양호로 나타내었다.
비저항(uΩcm) 소결성 흑도
실시예 1 10 양호 38
실시예 2 10 양호 38
실시예 3 10 양호 40
실시예 4 15 양호 40
비교예 1 40 미흡 50
비교예 2 20 미흡 50
비교예 3 50 불량 35
비교예 4 50 양호 5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소결성이 양호하고, 비저항이 15 uΩcm 이하이며, 흑도가 42 이하로서 PDP 버스전극의 흑색층과 도전층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4는 금속분말을 은(Ag)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고가의 은(Ag)분말의 사용을 줄여 페이스트의 단가를 현저히 낮추면서도 전기저항, 소결성 및 흑도 모든 면에서 은(Ag)분말만을 사용한 것과 대등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알루미늄 분말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소결성 및 흑도가 좋지 않았으며, 특히 전기저항이 너무 높아 도전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었으며, 비교예 3의 흑색안료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흑도는 양호하였으나 소결성이 나쁘고, 전기저항이 너무 높아 도전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었으며, 비교예 4의 유리프릿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전기저항이 높고 흑도가 너무 나빠 흑색층의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흑색층과 도전층을 일체화된 PDP 전극으로 형성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흑색안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PDP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포토리소그래피 설비를 사용하여 별도의 설비증가 없이 PDP 전극을 형성하며, PDP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PDP 제조에 따른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a) 전극용 금속분말;
    b) 흑색 유리 프릿;
    c) 흑색안료;
    d) 감광성 유기성분;
    e) 소결조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a) 전극용 금속분말 40 내지 80 중량부;
    b) 흑색 유리 프릿 1 내지 10 중량부;
    c) 흑색안료 1 내지 10 중량부;
    d) 감광성 유기성분 7 내지 40 중량부;
    e) 소결조제 0.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P 전극은 흑색층과 도전층이 일체화된 PDP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유리 프릿은 흑도(색상 L*)가 표준 백색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보정한 색채계(미놀타(minolta) CR 300)을 사용하여 측정시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유리 프릿은 V2O5-P2O5계 또는 CuO-MnO계 흑색 유리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은 1.5 내지 5 ㎛의 알루미늄 분말 및 ⅱ) 입경이 0.05 내지 5 ㎛ 은(Ag) 분말을 1:6 내지 1:9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은 Tap density가 적어도 5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은(Ag) 분말은 입경이 0.05 내지 0.2 ㎛인 것을 총 은(Ag)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안료는 입도가 0.5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유리 프릿과 흑색안료가 1:1.5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유기성분은
    ⅰ) 유기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ⅱ) 광중합성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부; 및
    ⅲ)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가 불포화 카르본산 20 내지 70 중량%; 방향족 단량체 10 내지 40 중량%; 및 아크릴 단량체 20 내지 60 중량%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조제가 실버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14. a) 제 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PDP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
    b) 상기 건조된 기판을 노광하여 현상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소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PDP 전극 형성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스크린 프린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PDP 전극은 흑색층과 도전층이 일체화된 PDP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전극 형성방법.
  17. 제 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으로 형성된 PDP 전극.
KR1020070033302A 2007-04-04 2007-04-0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KR101318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302A KR101318952B1 (ko) 2007-04-04 2007-04-0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302A KR101318952B1 (ko) 2007-04-04 2007-04-0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49A true KR20080090149A (ko) 2008-10-08
KR101318952B1 KR101318952B1 (ko) 2013-10-17

Family

ID=4015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302A KR101318952B1 (ko) 2007-04-04 2007-04-0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9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8384B2 (ja) 1998-07-31 2009-03-18 東レ株式会社 感光性導電ペースト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電極の製造方法
KR100927611B1 (ko) * 2005-01-05 2009-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US7326370B2 (en) * 2005-03-09 2008-0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ack conductive thick film compositions, black electrod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KR100899622B1 (ko) * 2005-08-11 2009-05-27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패턴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 및 기능성 패턴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952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9463B2 (ja) 光硬化型導電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931139B1 (ko) 내열성 흑색 안료 슬러리 및 이를 이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3538408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986312B2 (ja) 黒色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黒色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1432839A (zh) 在二层结构汇流电极形成中使用的光固化性导电性糊剂、以及光固化性黑色糊剂和等离子体显示器面板
KR101311098B1 (ko) 도전 페이스트 및 도전 패턴
JP514368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電極形成用スラリー組成物
JP3548146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黒色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3189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JP4954647B2 (ja) 感光性ペーストと該感光性ペーストから形成された焼成物パターンを有す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42207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슬러리 조성물
KR20100075218A (ko) 전극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극
KR101113464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전면 기판
KR200800901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90044854A (ko) 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
JP4771598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129319A (ja) 光硬化型組成物、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90037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5246808B2 (ja) 導電ペースト及び導電パターン
KR20130019379A (ko) 광경화성 조성물
JP543844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電極形成用感光性ペースト
JP3858005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基板
KR100785539B1 (ko)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것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소성물 패턴
KR101314533B1 (ko)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
KR100721096B1 (ko) 흑색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판구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