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124A - 낚시대 받침틀 - Google Patents

낚시대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124A
KR20080090124A KR1020070033247A KR20070033247A KR20080090124A KR 20080090124 A KR20080090124 A KR 20080090124A KR 1020070033247 A KR1020070033247 A KR 1020070033247A KR 20070033247 A KR20070033247 A KR 20070033247A KR 20080090124 A KR20080090124 A KR 2008009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od
fishing rod
length adjusting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941B1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07003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9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보조다리(30)가, 상기 받침틀바디(11)의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편(31)과; 상기 체결편(31)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33)과; 상기 체결편(31)과 상기 길이조절수단(33)의 체결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편(31)의 일측에 구비되는 편심레버(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받침틀바디(11)와 체결되고 상기 받침틀바디(11)와 평행한 체결관체(31a)와, 상기 체결관체(31a)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33)이 연결되는 직교관체(31b)로 이루어지고;상기 길이조절수단(33)이, 상기 직교관체(31b)에 체결되는 지주봉(34)과; 상기 지주봉(34)과 체결되고 상기 지주봉(34)상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보조다리(3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봉(35)과; 상기 길이조절봉(35)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지주봉(34)에 상기 길이조절봉(35)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서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봉(34)의 외주면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34a)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봉(35)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봉(35)의 승하강시 상기 요철(34a)들에 대응되는 구멍(35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36)이, 상기 길이조절봉(35)이 상기 지주봉(34)에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편심레버(37)와; 상기 길이조절봉(35)이 상기 지주봉(34)에 체결된 상태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구멍(35a)에 체결되어서 단부가 상기 요철(34a)들 사이에 대응되는 고정핀(38)으로 이루어지는 낚시대 받침틀을 구비하 였다.
그러므로, 보조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봉(35)이 편심레버(37)에 의하여 1차적으로 고정되고 지주봉(34)의 요철(34a)들 사이에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핀(38)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므로 보조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봉(35)의 체결상태가 매우 견고해지며, 이에 따라 보조다리(3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낚시대 받침틀, 받침틀바디, 지지다리, 낚시대 받침대, 보조다리, 체결편, 편심레버, 길이조절수단, 고정수단

Description

낚시대 받침틀{Fishing pole support prame}
도 1은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다리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다리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낚시대 받침틀 11 ; 받침틀바디
12 ; 지지다리 20 ; 낚시대 받침대
30 ; 보조다리 31 ; 체결편
32,37 ; 편심레버 33 ; 지주봉
33a ; 요철 34 ; 길이조절수단
35 ; 길이조절봉 35a ; 구멍
36 ; 고정수단 38 ; 고정핀
본 발명은 낚시대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대 받침틀이 견고히 고정 되는 낚시대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시대와 낚시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를 구비하여야 하며, 낚시를 실시할시 낚시대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시켜서 안정적으로 낚시대를 받치게 된다.
그런데, 낚시를 위해 원하는 장소에 다수의 낚시대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낚시대를 고정하기 위해 낚시대 받침대를 다수 지면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러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여러 대의 낚시대를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낚시대 받침틀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낚시대 받침틀은, 통상적으로 받침틀바디와, 받침틀바디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받침틀바디상에 결합되어 다수 설치되는 낚시대 받침대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대 받침틀은 낚시대 받침대에 낚시대를 지지하여 낚시를 즐길시 미끼를 물고 도망가려하는 어류의 움직임에 의해 낚시대가 당겨지면서 낚시대를 지지하는 낚시대 받침틀 전체가 전방측으로 쉽게 쓰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낚시대 받침틀의 받침틀바디의 중앙에 보조다리를 더 구비하고, 이를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고정하며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받침틀이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낚시대 받침틀은 보조다리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보조다리의 길이를 조절한 이후에 쉽게 최초와 같은 길이로 복원되 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중에 낚시대 받침틀이 전방으로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낚시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의 비치가 용이하도록 한 낚시대 받침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은, 받침틀바디와, 낚시대를 거치하는 낚시대 받침대와, 상기 받침틀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받침틀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받침틀바디의 중앙에 보조다리가 구비되는 낚시대 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보조다리가, 상기 받침틀바디의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과; 상기 체결편과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체결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편의 일측에 구비되는 편심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체결편이, 상기 받침틀바디와 체결되고 상기 받침틀바디와 평행한 체결관체와, 상기 체결관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이 연결되는 직교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길이조절수단이, 상기 직교관체에 체결되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과 체결되고 상기 지주봉상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보조다리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봉과; 상기 길이조절봉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지주봉에 상기 길이조절봉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서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지주봉의 외주면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길이조절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봉의 승하강시 상기 요철들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길이조절봉이 상기 지주봉에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편심레버와; 상기 길이조절봉이 상기 지주봉에 체결된 상태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구멍에 체결되어서 단부가 상기 요철들 사이에 대응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핀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조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봉이 편심레버에 의하여 1차적으로 고정되고 지주봉의 요철들 사이에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핀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므로 보조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봉의 체결상태가 매우 견고해지며, 이에 따라 보조다리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다리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써, 본 고안 낚시대 받침틀(10)은 내부가 비어있는 단면이 원형형상인 바디(11)가 원호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바디(11)의 단면형상은 원형이외의 사각, 육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의 직경을 전체 직경과 달리하여 즉, 일측보다 타측 단부의 직경을 작게하여서 직경을 달리하는 단부 상호를 연결하여서 하나 이상의 바디(11)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디(11)의 상부에는 도1과 같이 낚시대(미도시)를 지지하는 다수의 낚시대 받침대(20)가 설치되는데, 낚시대 받침대(2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받침대 유지구(21)와, 이를 상방에 장착하는 유지구바디(22)로 구성되며 그 유지구바디(22)가 받침틀바디(11)에 체결되어서 낚시대 받침대(20)가 받침틀바디(11)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틀바디(11)의 양측에는 받침틀바디(11)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다리(12)가 구비되는데, 이는 체결편(13)과, 그 체결편(13)에 결합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지주봉(15), 및 지주봉(15)을 체결편(13)에 고정하는 편심레버(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편(13)은 받침틀바디(11)에 평행하게 체결되는 체결관체(13a)와, 체결관체(13a)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관체(13a)과 직교하는 직교관체(13b)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체결편(13)을 받침틀바디(11)에 체결하고 직교관체(13b)에 지주 봉(15)을 체결한 후, 편심레버(14)를 아래로 누르면 지주봉(15)의 상단이 직교관체(13b)에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다리(12)는 받침틀바디(11)의 일측에 수직으로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받침틀바디(11)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상호 대칭되게 복수로 설치되는 구조로 받침틀바디(11)의 양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틀바디(11)의 중앙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받침틀바디(11)상에 다수 결합된 낚시대 받침대(2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중앙이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조다리(30)가 구비된다.
보조다리(30)는 도2 및 도3과 같이 체결편(31), 편심레버(32), 길이조절수단(33)으로 대분되는바, 체결편(31)은 받침틀바디(11)에 평행하게 체결되는 체결관체(31a)와, 그 체결관체(31a)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직교하는 직교관체(31b)로 이루어진다.
편심레버(32)는 후술할 지주봉(34)에 하측으로 눌릴시 후술할 지주봉(34)에 편심축(37a)이 접촉되면서 지주봉(34)을 고정시킨다.
길이조절수단(33)은 길이조절봉(35), 지주봉(34), 고정수단(36)으로 구성되며, 지주봉(34)은 직교관체(31b)에 체결되며 일측에 요철(34a)이 형성된다.
길이조절봉(35)은 지주봉(3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지주봉(34)에 체결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지주봉(34)에 체결되며 일측에 후술할 고정수단(36)이 체결되는 구멍(35a)이 형성되고, 지주봉(34)을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필요시 지주봉(34)의 전체 길이에 연장되어서 보조다리(3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고정수단(36)은 길이조절봉(35) 일측에 구비된 편심레버(37)와, 고정핀(38)으로 구성되는바, 고정핀(38)은 길이조절봉(35)의 일측 구멍(35a)에 체결되고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며, 구멍(35a)에 체결되어서 도3과 같이 양단부가 지주봉(34)의 요철(34a)에 걸리면서 길이조절봉(35)이 지주봉(34)에 더욱 확실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은, 낚시대 받침틀(10)을 설치시 먼저, 낚시대 받침대(20)의 중앙에 보조다리(30)를 설치하는바, 보조다리(30)는 먼저 체결편(31)의 체결관체(31a)를 그 하부의 직교관체(31b)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받침틀바디(11)에 체결한 후, 직교관체(31b)에 지주봉(34)의 상단을 삽입하고 직교관체(31b) 일측의 편심레버(32)를 하측으로 눌러서 지주봉(34)을 체결한다.
그리고 지주봉(34)의 하단에서 길이조절봉(35)을 삽입한 후 길이조절봉(35)의 일측에 구비된 편심레버(32)를 하측으로 눌러서 길이조절봉(35)을 지주봉(34)에 체결하며, 길이조절봉(35)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35a)에 고정핀(38)을 체결하여서 길이조절봉(35)이 지주봉(34)에 확실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에, 받침틀바디(11)에 낚시대 받침대(20)의 유지구바디(22)를 체결하여서 다수의 낚시대 받침대(20)를 설치한다.
그리고, 받침틀바디(11)의 양측에 지지다리(12)를 설치하는데, 이때 먼저 받침틀바디(11)의 일측에서 체결편(13)의 체결관체(13a)를 그 하부의 직교관체(13b)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받침틀바디(11)에 체결하며, 직교관체(13b)에 지주봉(15)을 체결한 후 직교관체(13b) 일측에 구비된 편심레버(14)를 하측으로 눌러서 편심레버(14)의 편심축이 지주봉(15)의 일측을 누르도록 하여 지지다리(12)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하나의 지지다리(12)를 받침틀바디(11)에 체결된 다리(12)와 대칭되도록 설치하며, 받침틀바디(11)의 타측에도 복수의 지지다리(12)와, 수평유지수단의 체결편(31)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받침틀바디(11) 양측의 지지다리(12)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받침틀바디(11)의 중앙에 구비된 보조다리(30)의 길이조절봉(35) 일측의 편심레버(37)가 지주봉(34)과 해제되고 고정핀(38)이 분리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봉(35)을 상하이동시키면서 도4와 같이 보조다리(30)의 높이를 조절하고 높이가 조절되면 편심레버(37)를 하측으로 눌러서 1차적으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길이조절봉(35)의 구멍(35a)에 고정핀(38)을 체결한다. 이때, 고정핀(38)은 양단부가 지주봉(34)에 형성된 요철(34a)들 사이에 대응되어서 길이조절봉(35)을 2차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받침틀바디(11)가 안정적 고정된 후 낚시대 받침대(20)에 낚시대(미도시)를 거치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낚시를 실시하는 중 어느 하나의 또는 다수의 낚시대가 미끼를 물은 어류의 움직임에 의해 전방측으로 당겨지는데, 이때 낚시대 받침틀(10)은 전방측으로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즉, 낚시대 받침틀(10)의 중앙에는 전방측으로 기울어져서 고정된 보조다리(30)가 구비되므로 낚시대 받침틀(10)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 낚시대 받침틀은 보조다리(30)에 큰 특징이 있는바, 보조다리(30)의 길이를 연장하는 길이조절봉(35)이 조절된 상태가 편심레버(37)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되고, 지주봉(34)의 요철(34a)들 사이에 단부가 대응되는 고정핀(38)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어 조절된 길이조절봉(35)이 지주봉(34)과 더욱 견고하게 체결 및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편심레버(37)가 지주봉(34)에 편심축(37a)이 접촉되어서 길이조절봉(35)을 1차적으로 고정하고, 편심레버(37)가 길이조절봉(35)을 고정한 상태에서 길이조절봉(35)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단부가 지주봉(34)의 요철(34a)들 사이에 지지되는 고정핀(38)에 의해 길이조절봉(35)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대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다리(30)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받침틀에 의하면, 보조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봉(35)이 편심레버(37)에 의하여 1차적으로 고정되고 지주봉(34)의 요철(34a)들 사이에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핀(38)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므로 보조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봉(35)의 체결상태가 매우 견고해지며, 이에 따라 보조다리(3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받침틀바디와, 낚시대를 거치하는 낚시대 받침대와, 상기 받침틀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받침틀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받침틀바디(11)의 중앙에 보조다리(30)가 구비되는 낚시대 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보조다리(30)가,
    상기 받침틀바디(11)의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편(31)과;
    상기 체결편(31)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33)과;
    상기 체결편(31)과 상기 길이조절수단(33)의 체결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편(31)의 일측에 구비되는 편심레버(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받침틀바디(11)와 체결되고 상기 받침틀바디(11)와 평행한 체결관체(31a)와,
    상기 체결관체(31a)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33)이 연결되는 직교관체(3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33)이,
    상기 직교관체(31b)에 체결되는 지주봉(34)과;
    상기 지주봉(34)과 체결되고 상기 지주봉(34)상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보조다리(3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봉(35)과;
    상기 길이조절봉(35)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지주봉(34)에 상기 길이조절봉(35)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서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34)의 외주면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3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봉(35)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봉(35)의 승하강시 상기 요철(34a)들에 대응되는 구멍(3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6)이,
    상기 길이조절봉(35)이 상기 지주봉(34)에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편심레버(37)와;
    상기 길이조절봉(35)이 상기 지주봉(34)에 체결된 상태를 더욱 견고히 고정 하도록 상기 구멍(35a)에 체결되어서 단부가 상기 요철(34a)들 사이에 대응되는 고정핀(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8)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틀.
KR1020070033247A 2007-04-04 2007-04-04 낚시대 받침틀 KR10088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247A KR100884941B1 (ko) 2007-04-04 2007-04-04 낚시대 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247A KR100884941B1 (ko) 2007-04-04 2007-04-04 낚시대 받침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24A true KR20080090124A (ko) 2008-10-08
KR100884941B1 KR100884941B1 (ko) 2009-02-23

Family

ID=4015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247A KR100884941B1 (ko) 2007-04-04 2007-04-04 낚시대 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49Y1 (ko) * 2009-06-04 2011-06-23 민신복 낚싯대용 받침대의 지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27U (ko) 2022-04-18 2023-10-25 손민우 낚싯대 받침대용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49Y1 (ko) * 2009-06-04 2011-06-23 민신복 낚싯대용 받침대의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941B1 (ko) 200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84941B1 (ko) 낚시대 받침틀
KR102189344B1 (ko) 낚싯대 받침대
KR101804281B1 (ko) 모빌랙용 매립형 레일
KR200416638Y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지지대
KR101909178B1 (ko) 앵커볼트 설치용 받침대
KR200430104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0854101B1 (ko) 낚시대 받침틀
JP3176816U (ja) 物干しスタンドのパイプホルダー
KR200376999Y1 (ko)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KR200478238Y1 (ko) 낚시용 좌대
CN216164650U (zh) 一种黄蓝板挂钩支撑结构
KR20090011278A (ko) 의자용 다용도 낚싯대 받침틀 지지장치
KR101000586B1 (ko) 낚시대 받침대용 고정구
KR20090087207A (ko) 라운드형 낚시대 받침틀의 측방 프레임
CN213248706U (zh) 一种适用厨房水槽的置物架
KR200442665Y1 (ko) 신축 갈퀴
CN210151844U (zh) 一种隐藏式水箱的安装架及具有其的卫生设备
CN212156295U (zh) 一种伸缩支撑架
CN219229581U (zh) 弯板窗帘杆
CN215776402U (zh) 可调节置放架
CN219251560U (zh) 一种动感单车安装座
CN210320195U (zh) 一种可调节高度和长度的伸缩式微波炉置物架
CN219069897U (zh) 套环窗帘杆
KR101349601B1 (ko)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