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99Y1 -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99Y1
KR200376999Y1 KR20-2004-0035441U KR20040035441U KR200376999Y1 KR 200376999 Y1 KR200376999 Y1 KR 200376999Y1 KR 20040035441 U KR20040035441 U KR 20040035441U KR 200376999 Y1 KR200376999 Y1 KR 200376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oss
bars
b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재
Original Assignee
이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재 filed Critical 이흥재
Priority to KR20-2004-0035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2Posts; Revolvably-mounted posts ; 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on the posts, e.g. coin- or time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양쪽 지주대 중간에 각각 횡지지대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횡지지대는 길다란 형상의 바가 한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면서 중간부분이 축으로 연결되어 각각 원호운동 가능 하도록 구성된 교차 막대부가 바의 종단부에 인접한 다른 교차 막대부의 바의 종단부에 축으로 연결되어 길게 구성된 것으로 이 횡지지대에 의해 양쪽 지주대의 간격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되고 고정되게 하여 배드민턴 네트를 양쪽 지주대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와 철거가 가능하고 네트를 팽팽하게 고정시킬수 있어 휴대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PORTABLE BADMINTON NET POLE}
본 고안은 비사용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시에는 간편한 동작만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배드민턴 네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네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배드민턴 경기를 할 수는 있으나 배드민턴 경기를 활기차게 정상적으로 하려면 네트를 설치해야 하며, 네트를 팽팽하게 설치하려면 양측 지주대가 상호간에 평행을 유지하며 지면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세워져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배드민턴 네트의 지주대를 땅에 묻거나 또는 지주대의 하부에 육중한 물체를 올려놓는 등 거의 지정된 장소에서만 네트를 설치하여 배드민턴 경기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를 휴대하여 설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일부 배드민턴 네트 설치용 지주대를 이동하여 설치 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런 것들도 설치 및 해체 하는데 많은 수고와 시간이 걸리거나 지주대가 배드민턴 경기를 지속하는 동안 계속 네트를 팽팽하게 지탱해 주는데는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배드민턴 네트를 설치할 수 있는 길이가 정해져 있어서 경기를 할 장소가 일정규격 미만인 경우에는 아예 네트를 설치할 수가 없어서 정상 배드민턴 경기장 규격보다 좁은 장소에서는 간편하게 배드민턴 경기를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드민턴 네트와 지주대 등을 간편하게 휴대 및 운반할 수 있게 하고 설치와 해체도 간단한 동작만으로 신속히 되도록 하며 좁은 장소에서도 쉽게 배드민턴 네트를 적당한 크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부담없이 장소에 별로 구애받지 않고 짧은 시간에도 배드민턴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쉽게 배드민턴 네트를 설치 할 수 있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지주대 사이에 위치하여 지주대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횡지지대를 구비하는데 횡지지대 자체의 길이를 자유롭게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지주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면서도 지주대 설치 후에는 지주대가 견고히 세워져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네트를 거는 양측의 지주대(1), 양측 지주대(1) 사이에 지주대(1)의 중간 부분에 마주보는 한쌍의 길다란 바(6)(7)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교차핀 구멍(26)에 바 교차핀(8)을 삽입하여 연결하여 각각의 바(6)(7)가 각각 원호운동할 수 있게 된 교차막대부(4)를 형성하고, 각각의 교차막대부(4)의 각각의 바(6)(7)의 종단부 구멍(9)에 종단부 연결핀(21)을 삽입하여 길게 연결한 횡지지대(3)를 형성하고 횡지지대(3)의 지주대(1)와 접하는 바(6)(7)의 종단부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구멍(23)과 지주대(1)에 형성된 횡지지대 연결구멍(14)에 지주대 연결핀(24)이나 지주대 연결볼트(36)를 삽입하므로써, 횡지지대(3)로써 양측 지주대(1)를 연결하여 양측 지주대(1)의 간격을 원활히 조절하고, 지주대 연결볼트(36)와 지주대 조임너트(37) 또는 횡지지대 고정장치(10)등의 횡지지대(3) 고정 수단을 통하여 지주대(1)의 간격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횡지지대를 완전히 접었을때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횡지지대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횡지지대를 절반쯤 폈을때의 일부 상태도이고, 도 4는 도3에서 A- A"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3에서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와 같은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3에서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지주대 받침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의한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시된 것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면 임의의 장소에 양쪽으로 지주대(1)가 세워지고 이 지주대(1) 상부에 네트(5)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배드민턴 경기를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네트(5)의 무게와 네트(5)쪽으로 당기는 힘에 의하여 지주대(1)가 각각 네트(5)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지주대(1) 사이에 양측 지주대(1)의 중간에 연결되어 설치된 횡지지대(3)의 지지력에 의하여 양측의 지주대(1)는 네트(5)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호 평행을 유지하면서 네트를 팽팽하게 지탱하는 것이다. 이 횡지지대(3)는 도 3,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기다란 바(6)(7)를 바(6)(7)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교차핀 구멍(26)에 삽입된 바 교차핀(8)에 의해 한쌍의 바(6)(7)가 각각 원호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교차막대부(4)를 여러개 연결시켜서 구성하는 것이다.여기서 교차핀 구멍(26)이나 바 교차핀(8)의 단면은 원형으로 바(6)(7)의 원호운동을 원활히 하는 형상이다.
도4에는 바 교차핀(8)이 바(6)(7)의 교차핀 구멍(26)에 삽입된 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교차막대부(4)는 바(6)(7)의 종단부 구멍(9)에 끼워진 종단부 연결핀(21)을 통하여 인접된 다른 교차막대부(4)와 연결된다. 여기서도 종단부 구멍(9)이나 종단부 연결핀(21)의 단면은 원형으로서 바(6)(7)의 원호운동 동작을 원활히 하는 것이다.
또한 양측 지주대(1)에 연결되는 교차막대부(4)의 바(6)(7)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교차막대부(4)의 바(6)(7)의 길이의 절반 정도 되며, 도5는 도3에서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지주대(1)와 횡지지대(3)의 바(6)(7)가 지주대 연결핀(24)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3과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주대 연결핀(24)이 지주대(1)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지주대 연결몸체(38)에 천공되어 있는 횡지지대 연결구멍(14)과 바(6)(7)의 종단 부분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구멍(23)에 삽입되어 바(6)(7)가 원호운동 가능한 상태로 지주대(1)와 연결 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지주대 연결구멍(23),지주대 연결핀(24)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횡지지대(3)는 각각의 바(6)(7)가 지주대 연결핀(24)으로 지주대(1)와 교차막대부(4), 종단부 연결핀(21)에 의해 교차 막대부(4) 상호간을 연결하여, 결과적으로 양쪽 지주대(1)를 연결하고, 바(6)(7)의 바 교차핀(8), 지주대 연결핀(24), 종단부 연결핀(21)에 의해 각각의 바(6)(7)가 모두 원호운동이 가능하므로 도 1,도 2,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지지대(3)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게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양쪽 지주대(1)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대로 줄였다 늘였다 할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횡지지대(3)는 거의 최대한 길게 늘여진 상태이고 도 2에 도시된 횡지지대(3)는 가장 짧게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에 도시된 횡지지대(3)는 중간쯤 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 도시된 상태는 본 고안의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를 사용하여 배드민턴 경기를 할 수 있게된 상태이고, 도2에 도시된 상태는 본 고안의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를 접어서 휴대하기 좋게 한 상태이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횡지지대(3)를 길게 늘여 양측 지주대(1)를 멀리 이격시켜 세워 놓은 상태에서 횡지지대(3)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횡지지대(3)는 자유롭게 길이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양측 지주대(1)는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횡지지대(3)를 고정시켜야 하는데 도 6에는 횡지지대를 고정시키는 일실시예가 도 5와 대비되게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지주대(1)의 중간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몸체(38)가 약간 길게 되어 있어 횡지지대 연결구멍(14)이 지주대(1)에서 약간 멀리 떨어져 있는데 이 횡지지대 연결구멍(14)과, 횡지지대(3)의 지주대(1)와 만나는 바(6)(7)의 종단부분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구멍(23)에, 도 5에 도시된 지주대 연결핀(24) 대신에 볼트 머리 반대쪽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주대 연결볼트(36)가 삽입된다. 이 지주대 연결볼트(36)에 끼워져서 나사조임 가능한 지주대 조임너트(37)를 풀어서 느슨하게 하면 바(6)(7)의 원호운동이 자유로우므로 사용자는 횡지지대(3)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서 지주대(1)의 간격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주대(1) 간격을 조절하고 나서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그 상태에서 지주대 조임너트(37)를 돌려서 조이게 되면 지주대(1)에 형성되어 횡지지대 연결구멍(14)을 갖고 있으며 탄성있는 지주대 연결몸체(38)가 바(6)(7)가 끼워져 있는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바(6)(7)를 압착하게 된다. 이렇게 압착된 바(6)(7)는 지주대 연결몸체(38)와 바(6)(7)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과 바(6)(7) 상호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원호운동을 할 수가 없게 되어 횡지지대(3)는 움직이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지주대(1)의 간격은 고정된다.
여기서 지주대 연결몸체(38)를 압박하여 바(6)(7)를 압착시키는 방법으로는 볼트를 이용하는 방법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가능한 것이다.
도 3과 도 7에는 횡지지대(3)를 고정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횡지지대(3)를 고정시키기 위한 횡지지대 고정장치(10)의 작용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나타낸다.
도 7은 도3에서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지지대 고정장치(10)는 횡지지대 고정바(27), 고정핀(28), 조임너트(15) 그리고 지주대(1)와 횡지지대 고정바(27)를 연결시키는 고정장치 연결핀(1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장치 연결핀(17)의 단면이나 횡지지대 고정바(27)에 형성된 고정장치 연결구멍(35)은 원형이어서 횡지지대 고정바(27)가 원호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횡지지대 고정장치(10)의 횡지지대 고정바(27)는 고정장치 연결핀(17)에 의해 고정장치 연결구멍(35)을 통하여 지주대(1)에 연결되고, 고정핀(28)과 조임너트(15)에 의해 횡지지대(3)의 바(6)(7)와 연결된다.
여기서 바(6)(7)의 종단부 구멍(9)에 끼워져 있는 고정핀(28)은 조임너트(15)가 끼워지는 쪽의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조임너트(15)로 나사조임이 가능하다.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횡지지대(3)를 원하는 길이만큼 늘인후 횡지지대 고정바(27)를 움직여 횡지지대 고정바(27)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멍(16)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6)(7)의 종단부 구멍(9)에 삽입되어 돌출된 고정핀(28)의 나사부분이 삽입되도록 하고서, 조임너트(15)로 조이면 고정핀(28)과 조임너트(15) 사이에 위치한 횡지지대 고정바(27)가 압착되어 바(6)(7)가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횡지지대(3)는 그 상태에서 길이가 줄거나 늘어날 수가 없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28)은 바(6)(7)의 종단부 구멍(9)에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교차핀 구멍(26)에 삽입되어 있어도 작용에 있어서 무방한 것이다.
이렇게 지주대(1)의 양측 방향에 설치된 횡지지대 고정장치(10)의 조임너트(15)를 조이고 나면 네트(5)의 무게가 지주대(1)를 기울어지게 하려 해도 횡지지대(3)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주대는 네트(5)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횡지지대 고정장치(10)는 지주대(1)의 한쪽에만 설치하여도 기능을 발휘할 수는 있으나 확실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측 지주대(1) 측에 모두 설치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이렇게 지주대(1)가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세워지고 고정되면 사용자는 그 간격에 맞게 네트(5)를 지주대(1)에 설치하여 배드민턴 경기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주대(1)가 네트(5)의 직각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 공지된 것이 있으나 여기서는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방식을 일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지주대(1)가 네트(5)의 직각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은 도 1,도 8,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지주대 받침부(20)에 의하여 방지하게 된다
도 8,도 9는 지주대 받침부(2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인데 도 9는 도 8에서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 받침부(20)는 지주대 받침다리(2), 받침다리 조절판(11), 받침다리 조절핀(13), 받침다리 연결핀(18)등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대로 지주대(1)와 받침다리 조절판(11)은 용접등 완전한 고착의 수단에 의해 상호간에 완전히 부착되던지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일체화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받침다리 조절판(11)은 받침다리 조절판(11)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조절판 구멍(31)에 삽입되는 받침다리 연결핀(18)에 의해 지주대 받침다리(2)와 연결되는데 지주대 받침다리(2)의 받침다리 연결구멍(30)과 조절판 구멍(31)에 받침다리 연결핀(18)이 삽입된다. 그러므로 지주대 받침다리(2)는 조절판 구멍(31)과 받침다리 연결핀(18)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동작이 원활하도록 받침다리 연결핀(18)의 단면, 받침다리 연결구멍(3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받침다리 조절판(11)에는 외곽쪽으로 다수개의 받침다리 조절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지주대를 원하는 높이로 세우고자 할때 지주대 받침다리(2)의 상부에 위치한 받침다리 조절핀(13)을 잡아당겨서 받침다리 조절핀(13)이 받침다리 조절판(11)의 받침다리 조절구멍(12)에서 이탈된 후 지주대 받침다리(2)를 적당한 위치로 벌린 후 받침다리 조절핀(13)을 놓아서 해당되는 위치의 받침다리 조절구멍(12)과 지주대 받침다리(2)에 형성된 받침다리 조절핀 구멍(33)에 받침다리 조절핀(13)이 삽입되게 하면 지주대 받침다리(2)는 해당위치에서 원호운동이 불가능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양측의 지주대 받침다리(2)를 서로 대칭이 되게 적당한 위치로 벌려 고정시켜 놓으면 지주대(1)는 네트(5)의 직각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다리 조절핀(13)과 지주대 받침다리(2)의 받침다리 조절핀 구멍(33) 부근의 지주대 받침다리(2)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19)은 받침다리 조절핀(13)의 작용을 원활히 하는 것으로 지주대 받침다리(2) 위치 이동시 잡아 당겨졌던 받침다리 조절핀(13)이 지주대 받침다리(2)의 위치가 정해진 후에는 다시 받침다리 조절구멍(12)과 받침다리 조절핀 구멍(33)에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다리 조절핀(13)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배드민턴 경기를 끝내고 나서 지주대 받침다리(2)를 완전히 위쪽으로 올려 지주대(1)의 상부쪽으로 접어서 받침다리 조절핀(13)으로 고정시키면 본 고안의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의 지주대(1)의 길이가 아주 짧아지는 결과가 되어 휴대하기에 아주 편리해 지는 것이다.
여기서 지주대 받침다리(2)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받침다리 조절핀(13) 대신에 조임나사를 사용하는 등 공지의 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작용에 있어서는 무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는 사용시는 간단하게 지주대(1)의 간격을 적당히 조정하고 고정시켜서 배드민턴 경기를 하고, 사용치 않을 때는 간단하게 양쪽 지주대(1)를 모아서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장소나 시간에 별로 구애받지 않고 부담없이 배드민턴 경기를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2 : 횡지지대를 완전히 접었을때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횡지지대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횡지지대를 절반쯤 폈을때의 일부 상태도
도 4 : 도 3에서 A- A"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 도 3에서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 도 5와 같은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 : 도 3에서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지주대 받침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9 : 도 8의 D-D'선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대 2 : 지주대 받침 다리
3 : 횡지지대 4 : 교차 막대부 5 : 네트 6,7 : 바 10 : 횡지지대 고정장치 11 : 받침다리 조절판 13 : 받침다리 조절핀 20 : 지주대 받침부

Claims (4)

  1. 양측 지주대(1)를 포함하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로서,
    상기 양측 지주대(1) 사이에 지주대(1)의 중간 부분에, 마주보는 한쌍의 길다란 바(6)(7)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교차핀 구멍(26)에 바 교차핀(8)을 삽입하여 연결하여 각각의 바(6)(7)가 각각 원호운동할 수 있게된 교차막대부(4)를 형성하고, 각각의 교차막대부(4)의 각각의 바(6)(7)의 종단부 구멍(9)에 종단부 연결핀(21)을 삽입하여 교차막대부(4)를 길게 연결한 횡지지대(3)를 형성하고, 횡지지대(3)의 지주대(1)와 접하는 바(6)(7)의 종단부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구멍(23)과 지주대(1)에 형성된 횡지지대 연결구멍(14)에 지주대 연결핀(24) 또는 지주대 연결볼트(36)를 삽입하므로써, 횡지지대(3)로써 양측 지주대(1)를 연결하여 양측 지주대(1)의 간격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지주대(1) 또는 횡지지대(3)에 횡지지대(3)의 바(6)(7)의 원호운동을 중지시켜, 횡지지대(3)를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양측 지주대(1) 간격을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2. 제1항에 있어서
    횡지지대(3)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지주대(1)의 중간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몸체(38)에 천공되어 있는 횡지지대 연결구멍(14)과 횡지지대(3)의 지주대(1)와 접하는 바(6)(7)의 종단부에 형성된 지주대 연결구멍(23)에, 지주대 연결볼트(36)를 삽입하여 지주대 연결볼트(36)와 나사결합하는 지주대 조임너트(37)를 조이는 등의 지주대 연결몸체(38)나 바(6)(7)를 압박하는 수단으로써 바(6)(7)를 압착하여 바(6)(7)의 원호운동을 방지하므로써 횡지지대(3)를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3. 제1항에 있어서
    횡지지대(3)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횡지지대 고정바(27)와 고정핀(28), 고정구멍(16)을 구비하여 고정구멍(16)에 삽입된 고정핀(28)에 의해 횡지지대(3)의 바(6)(7)의 원호운동을 정지시켜 횡지지대(3)를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 하부에 지주대(1)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주대 받침다리(2), 받침다리 조절판(11),받침다리 연결핀(18)을 구비하여 지주대 받침다리(2)를 원호운동 시켜서 적당한 넓이로 벌려놓고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지주대(1)를 쓰러지지 않게 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KR20-2004-0035441U 2004-12-14 2004-12-14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KR200376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441U KR200376999Y1 (ko) 2004-12-14 2004-12-14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441U KR200376999Y1 (ko) 2004-12-14 2004-12-14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99Y1 true KR200376999Y1 (ko) 2005-03-14

Family

ID=4367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441U KR200376999Y1 (ko) 2004-12-14 2004-12-14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68A (ko) * 2015-07-03 2017-01-11 유병훈 휴대용 네트장치
KR101735961B1 (ko) 2015-11-27 2017-05-15 유병훈 휴대용 네트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68A (ko) * 2015-07-03 2017-01-11 유병훈 휴대용 네트장치
KR101696078B1 (ko) 2015-07-03 2017-01-13 유병훈 휴대용 네트장치
KR101735961B1 (ko) 2015-11-27 2017-05-15 유병훈 휴대용 네트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218B2 (en)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JPH0626689Y2 (ja) 折り畳み式キヤンプル−ム
AU2005211415B2 (en) Suspended storage shelf
US4116446A (en) Game net support apparatus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200376999Y1 (ko) 휴대용 배드민턴 네트 고정대
KR200428765Y1 (ko) 거푸집 지지대
KR20160096558A (ko) 해먹 시스템
JP2009189265A (ja) ペット遊戯装置
US5951417A (en) Cam tensioned volleyball net support system
KR200156322Y1 (ko) 회화용 이젤
KR100884941B1 (ko) 낚시대 받침틀
KR200341656Y1 (ko) 구기용 네트 세트
KR200230102Y1 (ko) 조립식 배드민턴용 네트
KR20090087207A (ko) 라운드형 낚시대 받침틀의 측방 프레임
JP3847082B2 (ja) 支柱
KR200421742Y1 (ko) 휴대용 네트장치
KR950001364Y1 (ko) 다용도 간이 네트
CN221006102U (zh) 一种用于伪装网的张网器
CN110735559A (zh) 一种地基建设用便于拆卸的隔离防护装置
KR940008023Y1 (ko) 편심 절첩식 파라솔
JP2733649B2 (ja) 家具等用転倒防止具
KR960002752Y1 (ko) 휴대용 네트지지장치
JP3534003B2 (ja) 筐体転倒防止架台
KR200232277Y1 (ko) 간이용 보드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