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742Y1 - 휴대용 네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742Y1
KR200421742Y1 KR2020060011639U KR20060011639U KR200421742Y1 KR 200421742 Y1 KR200421742 Y1 KR 200421742Y1 KR 2020060011639 U KR2020060011639 U KR 2020060011639U KR 20060011639 U KR20060011639 U KR 20060011639U KR 200421742 Y1 KR200421742 Y1 KR 200421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ase
pillar
portable
moun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2020060011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7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742Y1/ko
Priority to PCT/KR2007/002113 priority patent/WO200714240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6Supports, e.g. poles stabilised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95Volley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네트장치는, 기둥설치부를 가지며 휴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지면에 착지되었을 때 지면에 넓게 접촉되어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이루도록 넓은 평면을 갖는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와;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기둥설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세워지고 결합 후 분리 가능하도록 된 제1기둥 및 제2기둥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에 좌, 우측 끝단부가 분리, 결합되는 네트설치봉과; 소정의 크기를 갖는 그물 형상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네트설치봉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하부를 향해 펼쳐지도록 된 네트와; 로프를 사용하여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기둥지지수단 및 제2기둥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휴대용 네트장치는,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를 평지에 내려 놓으면 넓은 면이 접촉되어 상당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네트가 단단한 재질의 네트설치봉에 고정되며, 긴 네트설치봉은 다소의 탄력을 가지므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네트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네트, 설치, 분리, 결합, 휴대

Description

휴대용 네트장치{THE PORTABLE NET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네트장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베이스와 제1기둥 및 네트설치봉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의 분리,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결합 전 상태
B : 결합 후 상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기둥 20. 제2기둥
30. 제1베이스 31. 기둥설치부
32. 수납공간 33. 홀
34. 받침대 35. 이탈방지그물
36. 손잡이 40. 제2베이스
41. 기둥설치부 42. 수납공간
43. 돌기 44. 받침대
50. 네트설치봉 60. 연결체
70. 네트 71. 설치봉삽입공간
80. 제1기둥지지수단 81. 로프
90. 제2기둥지지수단 91. 로프
92. 탄성체 100. 보강기둥
110. 지퍼
본 고안은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의 운동을 위한 네트를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의 운동을 할 때 네트의 설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네트는 네트설치용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운동장이나 체육관 및 일부 공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네트 설치의 필요성은 운동을 할 수 있는 여건만 충족되면 어디에서나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22755호(2000. 08. 10.출원, 휴대용 조립식 네트) 및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3-0009234호(1993. 05. 27.출원, 휴대용 네트지지장치) 등의 각종 휴대용 네트장치가 안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네트장치는 설치가 어렵고, 설치장소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바람에 쓰러지거나 공이 네트에 걸리면 네트의 설치 상태가 흐트러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종래의 네트장치는 네트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기둥을 땅에 직접 박고 로프 등으로 기둥을 잡아주어 고정하거나 삼각대 형태의 베이스를 땅에 박은 후 베이스에 기둥을 꽂아 고정하도록 된 것이었다.
따라서 기둥이나 삼각대 형태의 베이스를 지면에 박아서 고정하는 작업이 요구되어 설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족구나 배드민턴 등의 운동을 하기에 상대적으로 환경이 좋은 콘크리트 바닥 등에서는 사용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 삼각대 형태의 베이스를 콘크리트 바닥에 착지시키는 것 만으로는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없어 공이 네트에 걸리면 네트의 설치 상태가 흐트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네트장치를 사용하여 네트를 설치하면 네트의 중앙부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는 네트를 단순히 좌, 우측의 기둥에 걸어놓는 형태의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네트의 처짐 현상을 다소 해소하기 위하여 네트의 상부를 로프에 연결하고 이 로프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도록 된 경우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기둥의 강한 고정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의 네트장치에 적용해서는 네트의 처짐 현상을 다소 해소할 수 있을 뿐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 바닥에서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며, 네트의 처짐현상이 없는 휴대용 네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휴대용 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네트의 좌, 우측에 대응되어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제1기둥 및 제2기둥이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는 지면에 넓게 접촉되어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이룸으로써 설치의 용이성과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네트의 상부가 단단한 재질의 네트설치봉에 고정됨으로써 네트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는 제1기둥지지수단 및 제2기둥지지수단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휴대용 네트장치는, 기둥설치부를 가지며 휴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지면에 착지되었을 때 지면에 넓게 접촉되어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이루도록 넓은 평면을 갖는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를 갖는다.
또,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기둥설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세워지고 결합 후 분리 가능하도록 된 제1기둥 및 제2기둥을 갖는다.
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에 좌, 우측 끝단부가 분리, 결합되는 네트설치봉을 갖는다.
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그물 형상으로서 상단부가 네트설치봉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하부를 향해 펼쳐지도록 된 네트를 갖는다.
또,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가 네트가 고정된 방향 및 네트의 전, 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를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에 고정하는 로프를 갖는 제1기둥지지수단 및 제2기둥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네트의 설치 상태가 바람에 의해 흐트러지지 않음은 물론 네트에 걸리는 공에 의해서도 흐트러지지 않는 견고한 설치상태를 얻으려는 목적을 갖는다.
네트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기 위해서는 네트의 좌, 우측에 대응되어 설치 되는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견고한 설치 상태를 얻기 위하여 제1기둥(10)이나 제2기둥(20)을 지면에 박아서 사용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설치에 어려움이 있고,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는다.
또, 삼각대 형태의 베이스를 펼쳐놓고 그 위에 제1기둥(10)이나 제2기둥(20)을 꽂아 사용하는 형태도 만족한 수준의 견고함을 얻지는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기둥설치부(31, 41)를 가지며 휴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지면에 착지되었을 때 지면에 넓게 접촉되어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이루도록 넓은 평면을 갖는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를 구비한다.
또,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은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기둥설치부(31, 41)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세워지고 결합 후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제1베이스(30)나 제2베이스(40)를 평지에 착지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상당히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제1베이스(30)나 제2베이스(40)는 휴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소의 무게를 갖는다.
본 고안은 네트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네트의 상부가 단단한 네트설치봉(5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설치봉(50)은 낚시대 등과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 고,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상부에 좌, 우측 끝단부가 분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네트설치봉(50)을 낚시대와 같은 길이조절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점차 그 직경이 가늘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낚시대와 같은 길이조절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네트설치봉(50)은 도 1과 같이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네트설치봉(50)이 2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에 어느 한 방향이 결합되어 있고 다른 한 방향이 연결체(6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네트설치봉(50)은 그 특성상 상당한 길이로 펼쳐져 설치되기 때문에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약간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네트(70)에 공이 걸리더라도 충격이 일부 흡수되어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는 크게 흔들리지 않으므로 견고한 설치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네트(70)는 종래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그물 형상의 것으로서, 상단부가 네트설치봉(5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하부를 향해 펼쳐진다.
이러한 네트(70)의 상부가 네트설치봉(50)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네트(70)의 상부 소정의 지점만이 네트설치봉(50)에 고정되도록 구현(도시하지 않음)할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네트(70)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 설치봉삽입공간(71)에 네트설치봉(50)이 삽입되어 모든 부분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하부를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에 고정하는 것 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견고함을 얻을 수 없다.
즉, 족구, 배구, 배드민턴 등의 운동을 위해서는 제1기둥(10)이나 제2기둥(20)의 상단부 높이가 비교적 높다.
따라서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하부를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에 견고하게 고정하더라도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상부가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제1베이스(30)나 제2베이스(40)가 지면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다면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상부도 만족할 만한 견고함을 얻을 수 있겠으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휴대 가능하도록 된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를 통해서는 그와 같은 고정력은 얻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상부가 적어도 네트 고정방향 및 네트의 전, 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상부를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에 고정하는 로프(81, 91)를 갖는 제1기둥지지수단(80) 및 제2기둥지지수단(9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기둥지지수단(80) 및 제2기둥지지수단(90)의 로프(81, 91)와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사이에는 도 2와 같이 스프링이나 고무줄 등의 탄성 체(82, 92)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로프(81, 91)와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사이에 탄성체(82, 92)가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공이나 강한 바람이 네트에 걸리더라도 탄성체(82, 92)의 작용에 의해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가 크게 흔들리지 않으므로 더욱 견고한 설치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설치하려 할 때 제1베이스(30)와 제2베이스(40)를 평지에 착지시켜 놓고 제1베이스(30)와 제2베이스(40)의 기둥설치부(31, 41)에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을 각각 결합한다.
도면에서는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기둥설치부(31, 41)에 형성된 홀에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을 꽂으면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1기둥(10)과 제2기둥(20)이 세워진 후 제1기둥(10)의 상부와 제2기둥(2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네트설치봉(50)을 결합하되 네트설치봉(50)이 네트(70)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봉삽입공간(71)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설치봉(50)을 설치하면 네트(70)의 하부는 아래로 펼쳐지고 상부는 네트설치봉(5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기둥지지수단(80) 및 제2기둥지지수단(90)의 로 프(81, 91)를 사용하여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상부를 각각 잡아준다.
네트(70)의 측면은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나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에 고정하되 팽팽하게 펴질 수 있도록 당겨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를 지면에 안착시키는 것일 뿐 박아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 네트설치봉(50)에 의해 네트(70)가 설치됨에 따라 네트(70)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네트(70)의 처짐 방지가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고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제1베이스(30)와 제2베이스(40)가 네트설치봉(5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네트(70)가 설치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길게 펼쳐져 설치된 네트설치봉(50)이 탄력을 갖게 되므로 네트(7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1베이스(30)와 제2베이스(40)에 약하게 전달되어 견고함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네트(70)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등 견고한 설치상태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이 네트(70)에 걸리거나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설치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는 견고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일측이 제1기둥(10) 밑 제2기둥(20)에 연결된 네트설치봉(50)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지면에 착지되어 네트설치봉(50)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보강기둥(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기둥(100)을 구비할 경우 네트설치봉(50)의 길이가 길더라도 네트(7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더욱 견고한 설치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네트(70)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되 지퍼(110)에 의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필요한 크기에 맞추어 복수 개의 부분을 분리,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족구의 경우와 배구의 경우는 네트의 높이가 다른데 이와 같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네트(70)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운동을 하는 인원 수나 장소의 크기에 맞추어 네트(70)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족구의 경우는 네트의 높이가 낮고 배구나 배드민턴의 네트 높이는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는 제1기둥(10) 및 제2기둥(20)과 네트설치봉(50) 등의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32, 42)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는 도 3과 같이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베이스(30)와 제2베이스(40)에 각종 구성요소를 수납 후 결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가 간편하다.
도 3의 A는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제1베이스(30)에 형성된 홀(33)에 제2베이스(40)에 형성된 돌기(43)가 삽입되면 결합되고, 돌기(43)가 홀(33)에서 이탈되면 결합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에는 네트(5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전, 후진 가능하도록 된 받침대(34, 44)를 구비하여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가 네트(70) 설치방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크기는 작을수록 휴대가 용이하지만 상대적으로 고정력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
고정력이 약해지면 네트에 공이 걸리거나 강한 바람이 불 때 제1베이스(30)나 제2베이스(40)의 뒤쪽이 네트(70)가 설치된 방향으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네트(70)가 설치된 방향으로 전, 후진 가능하도록 된 받침대(34, 44)를 구비하여 받침대(34, 44)로 지탱해주면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의 뒤쪽이 들리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35는 수납공간(35)에 수납된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그물이다.
또, 36은 이동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다.
본 고안의 제1베이스(30) 및 제2베이스(40)는 지면에 넓게 접촉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에 돌이나 물통 등을 올려놓으면 지면과의 마찰력이 매우 높아져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수납공간(32, 42)을 갖는 경우 수납공간(32, 42)을 통해 돌이나 물통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네트장치는,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를 평지에 내려 놓으면 넓은 면이 접촉되어 상당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네트의 상부가 단단한 재질의 네트설치봉에 의해 고정되며, 긴 네트설치봉은 다소의 탄성을 가지므로 네트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네트가 단단한 네트설치봉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네트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제1기둥지지수단 및 제2기둥지지수단의 로프와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사이 또는 로프와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사이에 탄성체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욱 견고한 설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Claims (6)

  1. 조립에 의해 운동용 네트를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네트장치에 있어서,
    기둥설치부를 가지며 휴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지면에 착지되었을 때 지면에 넓게 접촉되어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이루도록 넓은 평면을 갖는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기둥설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세워지고 결합 후 분리 가능하도록 된 제1기둥 및 제2기둥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에 좌, 우측 끝단부가 분리, 결합되는 네트설치봉과;
    소정의 크기를 갖는 그물 형상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네트설치봉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하부를 향해 펼쳐지도록 된 네트와;
    상기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가 네트가 고정된 방향 및 네트의 전, 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상부를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에 고정하는 로프를 갖는 제1기둥지지수단 및 제2기둥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네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지지수단 및 제2기둥지지수단의 로프와 제1기둥 및 제2기둥의 사이 또는 로프와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사이에는 탄성체가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네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제1기둥 밑 제2기둥에 연결된 네트설치봉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지면에 착지되어 네트설치봉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보강기둥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네트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되 지퍼에 의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필요한 크기에 맞추어 복수 개의 부분을 분리,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네트장치.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는 제1기둥 및 제2기둥과 네트설치봉 등의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호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에 각종 구성요소를 수납 후 결합할 수 있도 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네트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에는 네트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전, 후진 가능하도록 된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어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가 네트가 설치된 방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네트장치.
KR2020060011639U 2006-05-01 2006-05-01 휴대용 네트장치 KR200421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39U KR200421742Y1 (ko) 2006-05-01 2006-05-01 휴대용 네트장치
PCT/KR2007/002113 WO2007142407A2 (en) 2006-05-01 2007-04-30 The portable ne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39U KR200421742Y1 (ko) 2006-05-01 2006-05-01 휴대용 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742Y1 true KR200421742Y1 (ko) 2006-07-18

Family

ID=3880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639U KR200421742Y1 (ko) 2006-05-01 2006-05-01 휴대용 네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21742Y1 (ko)
WO (1) WO20071424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61A (ko) 2019-11-07 2021-05-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256A (en) * 1988-11-04 1992-08-18 Logan Kenneth A Ball game and net therefor
US4993719A (en) * 1990-07-25 1991-02-19 Hernandez Tirso R Portable self-contained volleyball net
US5326109A (en) * 1993-04-26 1994-07-05 Robl Daniel P Portable net holding assembly
US5885176A (en) * 1997-11-26 1999-03-23 Wong; Ryan T. Portable volleyball net and st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61A (ko) 2019-11-07 2021-05-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2407A3 (en) 2008-01-24
WO2007142407A2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0690C2 (ru) Самоустойчивая стойка
US10543413B2 (en)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JP3195344B2 (ja) ネット支持構成物
US4415163A (en) Portable volleyball apparatus
US4521016A (en) Ball game apparatus
US9039573B2 (en) Waterfall pit trampoline
KR20160117325A (ko) 골프 연습 텐트
US80706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ick release base for baseball and softball
US4913428A (en) Portable net tightening post assembly
US20170157485A1 (en) Rebound net arrangement
KR200421742Y1 (ko) 휴대용 네트장치
KR100890352B1 (ko) 휴대용 조립식 배드민턴 네트.
US7056241B1 (en) Volleyball net support system
US6155937A (en) Telescoping net pole
US20150057114A1 (en) Kit for adapting a tennis court of one size to a court of smaller size
US7341070B1 (en) Shelter support and method
CN216222871U (zh) 一种空间大小可变的球类训练装置
WO2010026378A1 (en) A kit of parts for assembly into sports equipment and methods of making sports equipment therefrom
KR960006670Y1 (ko)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US20160089587A1 (en) Football Goal
KR102223179B1 (ko) 이동식 운동용 네트장치
KR101696078B1 (ko) 휴대용 네트장치
KR101735961B1 (ko) 휴대용 네트지지장치
KR200257053Y1 (ko) 운동경기용 이동식 네트지주
KR200279116Y1 (ko) 이동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족구 네트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