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670Y1 -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 Google Patents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670Y1
KR960006670Y1 KR2019930026188U KR930026188U KR960006670Y1 KR 960006670 Y1 KR960006670 Y1 KR 960006670Y1 KR 2019930026188 U KR2019930026188 U KR 2019930026188U KR 930026188 U KR930026188 U KR 930026188U KR 960006670 Y1 KR960006670 Y1 KR 960006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net
column
support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785U (ko
Inventor
강철순
Original Assignee
강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순 filed Critical 강철순
Priority to KR2019930026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670Y1/ko
Publication of KR950016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제1도는 본 고안의 네트설치용 기둥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네트설치용 기둥에 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도는 배구에 적합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도는 족구 혹은 테니스에 적합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둥 2a, 2b : 상하부기둥의 구멍
3 : 고정핀 4 : 도르레
5 : 권취드럼 6 : 기둥받침판
7 : 기둥지지부재 8 : 고정용팩
9 : 구멍 10 : 걸고리
11 : 네트 11a, 11b : 네트의 상하부끈
12a, 12b : 끈과팩
본 고안은 각종구기, 예를들면 배구, 배드민턴, 족구, 테니스등과 같은 네트가 필요한 구기운동에 사용되는 구기운동의 네트설치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으로서 휴대및 설치를 간편하게 하여, 필요시 어느장소에서든 그리고 어느 구기운동에서든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구기운동에 사용되는 네트설치용기둥은 각각의 운동에 적합하게 그리고 소정의 규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구기운동을 할 경우 고정된 기둥에 소정의 높이로 네트를 설치하여 운동을 행하여 왔던 것이다.
한편, 근래 레저붐이 활발해지면서 야외 등지에서도 구기운동을 자주하게 되는데, 이때 네트를 설치할만한 기둥이 없음에 따라 막대기둥을 이용하여 네트를 설치하거나 혹은 막대기에 네트대용으로서 끈을 설치하여 운동을 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가설치된 기둥에 네트를 설치할 경우 네트가 무겁기때문에 네트설치가 어렵고, 네트가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볼이 네트에 닿거나 혹은 운동자가 네트를 건드릴 경우, 기둥이 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네트대용으로 끈을 설치할 경우 기둥이 쓰러질 염려는 없으나 네트에 대하여 볼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감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네트상부 혹은 하부의 어느쪽으로 넘어 갔는지를 모름).
이와같이 운동을 한 경우 운동자의 느낌(기분)이 좋지 못했던 것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의 결함을 감안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어느장소에서든 가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한 네트설치용 기둥을 제안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도면을 토대로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네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기둥중 일측의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조로 되는 양측기둥은 통상의 권취드럼(5)만 있고 없는 차이만 있을뿐,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 구조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일축의 기둥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중 1은 기둥이다.
이 기둥(1)은 파이프형상으로된 상하부기둥(1a)(1b)으로 되며, 상부기둥(1a)의 하단이 하부기둥(1b)내에 끼워져 늘어나고 줄어들기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기둥(1a)에는 다수개의 구멍(2b)이 뚫려지고, 하부기둥에는 하나의 구멍(2b)이 뚫려져 고정핀(3)에 의해 상부기둥(1a)이 적절한 높이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한 하부기둥(1b)에 뚫린구멍(2b)에 상부기둥(1a)에 뚫린 구멍(2a)들중 어느하나의 구멍(2a)이 일치되었을때 고정핀(3)을 끼우므로서 상부기둥(1a)의 위치가 고정되므로서 높이가 임의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기둥(1a)의 상부에는 도르레(4)가 설치되어 네트(11)의 상부끈(11a)이 자연스럽게 권취드럼(5)에 감기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은 공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기둥(1b)의 하부에는 기둥(1)을 보호유지하는 기둥 받침판(6)이 설치된다.
이 기둥받침판(6)의 상부면에는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편향된 위치)에 기둥지지부재(7)가 세워져 설치되며, 이 기둥지지부재(7)는 그 하부에 받침구(7a)가 다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 받침구(7a)위에 코일스프링(7b)이 부착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받침구(7a)와 코일스프링(7b)의 외경은 상기한 하부기둥(1b)내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둥받침판(6)의 둘레부에는 고정용팩(8)이 끼워지기 가능한 구멍(9)이 복수개 뚫어져 있다.
그리고 하부기둥(1b)의 상부에는 양측 2개소에 걸고리(10)가 형성되어 별도의 끈(12a)과 팩(12b)으로서 기둥(1)의 유지가 보강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하부기둥(1b)의 상하부에 설치된 네트 하부끈(11b)을 결속하는 결속용고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 효과를 실제 사용상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 제2도및 제3도(a)는 상부기둥이 완전히 길게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예로서 배구용으로 적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네트(11)를 설치시에는 먼저 기둥받침판(6)을 적절한 장소(지면위)에 놓고 고정용 팩(8)을 구멍(9)에 끼워 박아 기둥 받침판(6)을 고정시킨다.
그후 하부기둥(1b)의 하단을 기둥지지부재(7)에 끼워 고정하고, 동시에 필요한 구기종목에 맞도록 상부기둥(1a)의 높이를 조절하여 네트(11)를 친다.
예를 들어 배구에 적합하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상부기둥(1a)을 상방으로 길게 인출시켜 하부기둥(1b)의 구멍(2b)에 상부기둥(1a)의 구멍(2a)중 맨하부의 구멍(2a)이 일치되게 한 후 고정핀(3)을 끼워 고정시키고 네트(11)를 설치하면 된다.
네트(11)를 설치할 때에는 통상의 설치방법으로 네트(11)의 상부끈(11a)을 도르레(4)에 걸어맞추고, 그 끝부를 권취드럼(5)에 결속시켜 돌려 감으면 되고, 네트(11)의 하부끈(11b)은 결속용 고리(13)에 당겨서 결속하면 네트(11)는 팽팽히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기둥(1)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때는 지면에 별도의 팩(12b)을 박아 고정한 후 걸고리(10)와 팩(12b)간에 별도의 끈(12a)을 설치하면 기둥(1)의 고정은 더욱 견고해지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돌과 같은 중량제(14)를 기둥 받침판(6)위에 올려 높으므로서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제3도 참조).
따라서, 이와같이 설치사용함에 있어서는 기둥받침판(6)이 고정용 팩(8)에 의해 둘레부가 지면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견고히 고정되어 네트(11)의 설치가 가능하며, 특히 기둥(1)이 끼워지는 기둥지지부재(7)가 기둥받침판(6)에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게 설치되고 있음에 따라 이와같이 편향된 만큼의 여분의 자리에 돌과 같은 중량제(14)를 올려놓을 수 있음에 따라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중 볼이 네트(11)에 닿거나 혹은 운동자가 네트(11)를 건드렸을 경우에는 그 힘이 기둥(1)에 전달되어 기둥(1)이 중심을 잃어 쓰러질 우려가 있는데 이때는 기둥받침판(6)에 세워져 설치된 기둥지지부재(7)에 있어서 코일스프링(7b)이 외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적절히 대응하므로서 기둥(1)이 쓰러질 염려가 최소화 되는 것이다.
즉, 기둥(1)이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지지부재(7)는 그 상부에 용접에 의해 코일스프링(7b)이 부착 설치되는 관계로 예로서 기둥(1)이 흔들릴 경우, 코일스프링(7b)이 흔들리는 힘에 적절히 탄성적으로 대응하여 완충역할을 하므로서 기둥(1)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구를 하다가 족구 혹은 테니스등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네트(11)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는데, 이때는 고정핀(3)을 빼고 상부기둥(1a)을 적절히 낮추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고안은 상부기둥(1a)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성인은 물론 아동들에게도 적절한 높이로 조절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완료후 휴대운반하여야 할 때에는 기둥(1)으로 부터 네트(11)를 풀은후, 기둥 받침판(6)에서 기둥(1)을 빼내어 분리시키고, 상부기둥(1a)은 하부기둥(1b)내로 완전히 끼워넣어 길이를 축소시킨후 휴대하면 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가 간편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은 기둥(1)을 늘어나고, 줄어들기 가능하게 형성하고, 별도의 기둥받침판(6)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므로서 어느 장소에든 구애됨이 없이 이동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도르레(4)가 설치되고, 그 중간부에 권취드럼(5)과 결속용 고리(13)가 설치되어 네트(11)를 팽팽히 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된 공지의 네트 설치용 기둥(1)에 있어서, 기둥(1)은 상하부 기둥(1a)(1b)으로 분리되어 늘어나고 줄어 들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부 기둥(1a)(1b)에는 각각 구멍(2a)(2b)을 뚫어 이 구멍(2a)(2b)에 고정핀(3)이 끼워 지므로서 기둥(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하부기둥(1b)의 하부에는 고정용팩(8)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기둥받침판(6)을 형성하되, 이 기둥받침판(6)의 상부에는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탄성코일스프링(7b)을 갖는 기둥지지부재(7)가 세워져 설치되어 이 기둥지지부재(7)에 상기한 기둥(1)이 끼워져 세월질 수 있도록 하며, 하부기둥(1b)의 상부 양측에는 걸고리(10)를 설치하여 별도의 팩(12b)과 끈(12a)에 의해 기둥(1)을 보강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운동의 네트설치용 기둥.
KR2019930026188U 1993-12-03 1993-12-03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KR960006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188U KR960006670Y1 (ko) 1993-12-03 1993-12-03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188U KR960006670Y1 (ko) 1993-12-03 1993-12-03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785U KR950016785U (ko) 1995-07-20
KR960006670Y1 true KR960006670Y1 (ko) 1996-08-03

Family

ID=1936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188U KR960006670Y1 (ko) 1993-12-03 1993-12-03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60Y1 (ko) * 2010-09-17 2012-04-19 (주)로프캠프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13Y1 (ko) * 2023-01-27 2023-05-02 김영철 지지브라켓을 구비한 펜스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60Y1 (ko) * 2010-09-17 2012-04-19 (주)로프캠프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785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676B2 (en)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EP0595815B1 (en) Net support structure
US6261207B1 (en)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US6099419A (en) Interchangeable ball-practice trainer
US6287220B1 (en)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4521016A (en) Ball game apparatus
US80706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ick release base for baseball and softball
US5685788A (en) Shock-absorbable ball practice device
KR960006670Y1 (ko)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US6264570B1 (en) Practice sports net
US8172707B2 (en) Net holding standard using basketball rim
KR200279116Y1 (ko) 이동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족구 네트지주
KR200421742Y1 (ko) 휴대용 네트장치
KR102357503B1 (ko) 이동식 운동용 네트장치
JP3892830B2 (ja) 競技用ネット
US6200235B1 (en) Swing set soccer goal net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wing set into a soccer goal
JP3486134B2 (ja) 競技用ネット
JP2636899B2 (ja) 競技用支柱支持装置
US4927142A (en) Supporting device for net posts in tennis courts
KR950001364Y1 (ko) 다용도 간이 네트
US6402631B1 (en) Swing set golf net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wing set into a golf ball backstop
JPH0410862Y2 (ko)
JP3221858B2 (ja) 回転梯子及び遊戯運動具
KR900009768Y1 (ko) 트램폴린 (Trampolin) 의 안전장치
AU659134C (en) Net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