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60Y1 -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60Y1
KR200459160Y1 KR2020100009828U KR20100009828U KR200459160Y1 KR 200459160 Y1 KR200459160 Y1 KR 200459160Y1 KR 2020100009828 U KR2020100009828 U KR 2020100009828U KR 20100009828 U KR20100009828 U KR 20100009828U KR 200459160 Y1 KR200459160 Y1 KR 200459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nsion
rope
fixed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250U (ko
Inventor
윤강호
Original Assignee
(주)로프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프캠프 filed Critical (주)로프캠프
Priority to KR2020100009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6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1Stays or guy-r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포스트에 로프의 일단을 다수 방향으로 고정시켜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놀이용 네트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된 기초블럭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센터 고정부재와; 로프의 타단을 사방으로 벌려서 고정시키기 위해, 사방에 위치된 기초블럭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호 분리된 복수 개의 고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가장자리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포스트가 기초블럭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장력의 변화시 쉽게 고정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방 고정된 고정플레이트가 2개로 분리됨으로써 고정 개소를 축소할 수 있고, 고정플레이트에 수직 절곡된 조절판이 양측으로부터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동일 고정상태에서 기초블럭을 회전시켜 서로 다른 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고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 FIXING APPARATUS OF PLAY NET }
본 고안은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가 중앙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기초 블록에 대한 고정플레이트의 결합이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하며,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케이블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로프를 조합하여 사용되는 놀이용 네트는 중앙에 포스트를 설치하고 사방으로 로프를 당겨 기초에 고정으로 형성된 턴버클 고정구에 로프를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놀이용 네트는 네트 중앙을 지지하는 포스트와 기초의 결합의 경우, 기초에 부착된 돌출봉에 대해 포스트를 끼워넣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포스트는 한 지점에 고정되게 되고, 이로 인해 사방에서 지지되는 로프의 장력이 놀이에 의해 변경된 경우 등 포스트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상황에도 포스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놀이용 네트는 사방으로 펼쳐진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기초블럭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조절판이 용접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절판이 외력에 의해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크고,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놀이용 네트에 사용되는 고정플레이트는 6개의 앙카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기초블럭에 고정되는 바, 6개의 앙카볼트가 정확하게 매설되지 못하게 되면 고정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체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 고안은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고정플레이트에 체결된 턴버클의 너트를 모두 해체한 이후, 다시 다른 체결공에 대해 턴버클의 고장력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에 의해 장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관리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포스트가 중앙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세 조정이 가능한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초 블록에 대한 고정플레이트의 결합이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케이블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포스트(4)에 로프(72)의 일단을 다수 방향으로 고정시켜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놀이용 네트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센터 고정부재(8)와; 로프(72)의 타단을 사방으로 벌려서 고정시키기 위해, 사방에 위치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고정된 돌출판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장자리 지지부재(3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터 고정부재(8)는 기초블럭(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십자형상의 하부판(12)과, 그 하부판(12)의 중앙상면에 용접되어 입설되고, 상기 포스트(4)가 삽입되는 삽입봉체(14)로 이루어진 센터 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판(12)의 상면에 중첩되며 그 모서리부에 각각 기초블럭(32)에 고정되기 위한 앙카볼트(24)가 체결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상기 삽입봉체(14)를 상방으로 관통시키면서 삽입봉체(14)와의 간극만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절개된 봉체 유동공(26)이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장자리 지지부재(30)는 어느 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앙카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와, 그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고 통공(42)과 절개홈(43)이 형성됨으로써 그 체결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는 조절판(40)으로 이루어진 돌출판재(34)와;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중앙몸체에 체결된 장력조절로드(51,52)가 구성되고, 어느 한 장력조절로드(51)의 일단이 고장력볼트(80)로 조절판(40)에 형성된 통공(42) 또는 절개홈(43)에 고정되게 된 턴버클(50)과; 상기 장력조절로드(52)의 일단과 로프(72)를 연결시키는 고정고리(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판(40)에 형성된 절개홈(43)은 상기 턴버클(50)의 고장력볼트(8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로프(72)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절판(40)에 형성된 통공(42)은 안전로프나 고장력볼트(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조절판(40)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판재(34)는 어느 한 단부로부터 상기 조절판(40)까지의 길이와, 반대측 다른 단부로부터 상기 조절판(40)까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43)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포스트가 중앙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장력의 변화시에도 쉽게 고정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사방 고정된 고정플레이트가 2개로 분리됨으로써 고정 개소를 축소하여 기초 블록에 대한 고정플레이트의 결합이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고정플레이트의 양단으로부터 조절판까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함으로써 동일한 고정상태에서 기초블럭의 회전만으로 다단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구성된 센터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구성된 가장자리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고정플레이트를 이용한 장력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다른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a 및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다른 고정플레이트를 이용한 장력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구성된 센터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2)는 포스트가 삽입되는 센터플레이트를 직접 고정하지 않고, 가압판으로 눌러서 유동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서 중심의 위치를 관리자가 임의대로 조절 가능하고, 고정플레이트를 각각 이분하여 3개의 앙카볼트만으로도 고정되며, 조절판을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절곡함으로써 그 지지력이 우수하고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케이블의 다단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된 장치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2)는 포스트(4)에 로프(72)의 일단을 다수 방향으로 고정시켜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놀이용 네트에서, 중앙에 위치된 기초블럭(32:도 3 참조)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센터 고정부재(8)와, 로프(72)의 타단을 사방으로 벌려서 고정시키기 위해 사방에 위치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호 분리된 복수 개의 돌출판재(34)로 이루어진 가장자리 지지부재(30)로 구성된다.
이 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고정부재(8)는 센터 플레이트(10)와 가압 플레이트(20)로 대별되며, 센터 플레이트(10)는 기초블럭(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십자형상의 하부판(12)과, 그 하부판(12)의 중앙상면에 용접되어 입설되고, 포스트(4)가 삽입되는 삽입봉체(14)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압플레이트(20)는 하부판(12)의 상면에 중첩되며 그 모서리부에 각각 기초블럭(32)에 매설된 앙카볼트(24)가 삽입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삽입봉체(14)를 상방으로 관통시키면서 삽입봉체(14)와의 간극(A)만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절개된 봉체 유동공(26)이 형성된다.
즉, 가압플레이트(20)의 하면은 하부판(12)의 상면을 가압하는 바, 중심의 조절 필요시 삽입봉체(14)를 핸드 햄머나 망치 등으로 톡톡 치게 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체 유동공(26)과 삽입봉체(14)의 간극차(A) 만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구성된 가장자리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를 구성하는 로프(72)를 포스트(4)로부터 펼쳐지게 고정하기 위한 가장자리 지지부재(30)는 로프(72)를 기초블럭(32)에 고정시키고, 로프(7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 가장자리 지지부재(30)는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앙카볼트(24)로 기초블럭(3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38)이 형성된 제 1, 2 고정 플레이트(36,44)와, 그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고 통공(42)과 체결홈(43)이 형성됨으로써 그 체결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는 조절판(40)으로 이루어진 돌출판재(34)가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고정된다.
즉, 기초블럭(32)의 상면에는 미리 앙카볼트(24)가 매설되어져 있으며, 그 앙카볼트(24)는 상호 분리된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체결공(38)을 관통하여 너트(25)와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는 각각 마주보게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측면에 각각 절곡된 조절판(40)도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그 공간을 통해 턴버클(50)의 일단이 위치되고, 별도의 고장력 볼트(80)를 통해 턴버클(50)의 일단은 조절판(40)에 결합되게 되는 바, 고장력 볼트(80)는 와셔(32)와 복수 개의 너트(25)를 통해 체결 가능하다.
턴버클(50)은 양단 내부에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된 중앙몸체(54)와, 그 중앙몸체(54)의 양단으로 진입 및 진출하면서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가 중앙몸체(54)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장력조절로드(51, 52)로 이루어진 공지의 턴버클이다.
바람직하게, 제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측면에 각각 절곡된 조절판(40)은 일정간격으로 장력조절로드(51)에 고정된 고장력볼트(80)가 걸리는 절개홈(43)이 다수 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각각 통공(42)이 형성되는 바, 다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43)은 장력조절로드(51)에 고장력볼트(80)를 체결한 상태에서,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그 고장력볼트(80)를 걸고자 하는 절개홈(43)에 고장력볼트(8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절개홈(43)은 고장력볼트(80)가 진출입 가능하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그 고장력볼트(8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조절판(40)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통공(42)은 안전로프(74)의 체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를 고정시키기 위해 기초블럭(32)에 매설된 다수의 앙카볼트(24)는 그 위치가 정확하게 매설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은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가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3개의 앙카볼트(24) 매설 위치만 정확하면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길이방향 측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조절판(40)은 용접 공정이 아니고 판금공정을 거쳐 절곡되므로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접시보다 강한 지지력을 갖는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는 그 일단에 각각 “「”자 형상으로 꺾여진 리브(46a,46b)가 각각 형성되는 바, 그 리브(46a,46b)는 대향면(48a, 48b)에 밀착되어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 간의 간격을 보다 쉽게 유지하면서 기초블럭(32)에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가 고정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로드(52)의 일단과 로프(72)를 연결시키는 고정고리(70)가 구비된 바, 고정고리(70)는 로프(72)와 턴버클(50)을 연결하는 공지의 고리이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고정플레이트를 이용한 장력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2)는 로프(72)의 장력을 턴버클(50)을 통해 조절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턴버클(50)을 통한 장력 조절은 수나사와 암나사의 이동길이가 제한적이므로 가능한 장력 조절범위도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
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2)는 턴버클(50)과 더불어, 돌출판재(34)를 통해 추가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절 가능한 장력조절범위가 매우 넓어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2)는 돌출판재(34)를 통한 장력조절시 돌출판재(34)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장력볼트(80)와 너트(24)를 장력조절로드(51)로부터 해체하지 않아도 신속한 장력조절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은 턴버클의 장력조절로드(51)에 고장력볼트(80)가 체결된 상태에서 그 장력조절로드(51)를 돌출판재(34)의 조절판(40)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홈(43) 중 어느 한 절개홈(4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장력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예시된 조절판(40)에는 전후단에 각각 통공(42)이 형성되고, 그 통공(42)들 사이에는 3개의 절개홈(43)이 형성되는 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형성된 절개홈(43)에 고장력볼트(80)가 고정된 상태에서 로프(72)의 장력이 감소되면, 고장력볼트(80)를 두 번째나 세 번째 후방에 형성된 절개홈(43)으로 당겨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하여 로프(72)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다른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a 및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다른 고정플레이트를 이용한 장력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포함된 다른 돌출판재(34)는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앙카볼트(24)를 이용하여 기초블럭(32)에 고정되는 수단으로써, 상기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로프(72)를 기초블럭(3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돌출판재(34)는 앙카볼트(24)를 해체하여 전후단을 회전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는 바, 그 돌출판재(34)는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 상에 절곡되어 입설된 조절판(40)에 안전로프(74)와 고장력볼트(80)가 결합되는 통공(42)과 절개홈(43')이 구성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절개홈(43')은 그 형상이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으로부터 조절판(40)까지의 길이(예컨대, B)와, 타단으로부터 상기 조절판(40)까지의 길이(예컨대, C)가 서로 상이하므로 포스트(4) 측에 가장 가까운 절개홈(43')에 고장력볼트(80)가 결합된다고 해도,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양단으로부터 조절판(40)까지의 거리차로 인해 서로 다른 장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절개홈(43')이 3개가 형성된 돌출판재(34)의 경우에는 돌출판재(34)의 회전으로 인해 복수의 서로 다른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총 6단계의 조절 가능한 서로 다른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3개의 절개홈(43')만을 구성하여도 총 6개의 절개홈(43')을 구성한 것과 동일한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2 :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4 : 포스트
8 : 센터 고정부재 10 : 센터 플레이트
12 : 하부판 14 : 삽입봉체
16 : 지지발판 20 : 가압 플레이트
22 : 체결공 24 : 앙카볼트
26 : 봉체 유동공 30 : 가장자리 지지부재
32 : 기초블럭 34 : 돌출판재
40 : 조절판 42 : 통공
43 : 절개홈 50 : 턴버클
51 : 장력조절로드 70 : 고정고리
72 : 로프 80 : 고장력볼트

Claims (6)

  1.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십자형상의 하부판(12)과, 그 하부판(12)의 중앙상면에 용접되어 입설되고, 포스트(4)가 삽입되는 삽입봉체(14)로 이루어진 센터 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판(12)의 상면에 중첩되며 그 모서리부에 각각 기초블럭(32)에 고정되기 위한 앙카볼트(24)가 체결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상기 삽입봉체(14)를 상방으로 관통시키면서 삽입봉체(14)와의 간극만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절개된 봉체 유동공(26)이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20)로 이루어진 센터 고정부재(8)와;
    사방에 위치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고정된 돌출판재(34)에 의해 로프(72)의 타단이 고정되는 가장자리 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지지부재(30)는,
    어느 한 기초블럭(32)의 상면에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앙카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와, 그 제 1, 2 고정플레이트(36,44)의 측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고 통공(42)과 절개홈(43)이 형성됨으로써 그 체결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는 조절판(40)으로 이루어진 돌출판재(34)와;
    중앙몸체(54)를 중심으로 한 쌍의 장력조절로드(51,52)가 구성되고, 상기 중앙몸체(54)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판재(34)에 가까운 장력조절로드(51)의 일단이 고장력볼트(80)로 조절판(40)에 형성된 통공(42) 또는 절개홈(43)에 고정되게 된 턴버클(50)과;
    상기 중앙몸체(54)를 기준으로 상기 로프(72)에 가까운 장력조절로드(52)의 일단과 로프(72)를 연결시키는 고정고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40)에 형성된 절개홈(43)은 상기 턴버클(50)의 고장력볼트(8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로프(72)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40)에 형성된 통공(42)은 안전로프나 고장력볼트(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조절판(40)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재(34)는 어느 한 단부로부터 상기 조절판(40)까지의 길이와, 반대측 다른 단부로부터 상기 조절판(40)까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43)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KR2020100009828U 2010-09-17 2010-09-17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KR200459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28U KR200459160Y1 (ko) 2010-09-17 2010-09-17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28U KR200459160Y1 (ko) 2010-09-17 2010-09-17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50U KR20120002250U (ko) 2012-03-27
KR200459160Y1 true KR200459160Y1 (ko) 2012-04-19

Family

ID=4617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28U KR200459160Y1 (ko) 2010-09-17 2010-09-17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023Y1 (ko) * 1984-04-16 1985-12-17 김상규 체력단련용 스카이네트
JPS6278966U (ko) * 1985-11-05 1987-05-20
KR960006670Y1 (ko) * 1993-12-03 1996-08-03 강철순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JP3669416B2 (ja) * 1999-11-29 2005-07-06 インタープレイ デザイン アンド マニファクチュアリング,インク 吊り下げ手段を備えたネット状の遊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023Y1 (ko) * 1984-04-16 1985-12-17 김상규 체력단련용 스카이네트
JPS6278966U (ko) * 1985-11-05 1987-05-20
KR960006670Y1 (ko) * 1993-12-03 1996-08-03 강철순 구기운동의 네트 설치용기둥
JP3669416B2 (ja) * 1999-11-29 2005-07-06 インタープレイ デザイン アンド マニファクチュアリング,インク 吊り下げ手段を備えたネット状の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50U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58065A1 (de) Verstellbare Aluminium Dachhaken mit Einrastfunktion zur Befestigung von Solarmodulen und Solarthermieanlagen auf Dächern und Schrägdächern
KR101885992B1 (ko)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DE10056177B4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plattenförmige Fassadenelemente
KR200459160Y1 (ko) 놀이용 네트 고정장치
JP2005155264A (ja) 仮設部材支持用具
DE102012216938A1 (de) Flansch für einen Turm einer Windkraftanlage
KR100779427B1 (ko) 거푸집의 주밴드용 고정장치
JP2013096197A (ja) 連結構造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KR101170065B1 (ko) 막 구조물의 막 견인 장치
JP2017160678A (ja) 柱脚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柱脚構造の建て方工法
US20070062019A1 (en) Assembly for joining structural components without welding
JP2009250018A (ja) 親綱支柱
AT506699B1 (de) Richtschnurhalter
DE19906571C2 (de) Montageplatte für Funktionselemente
KR20040037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기구
US20060118770A1 (en) Connection system between electrically welded panels and supporting poles particularly for enclosures
KR102516806B1 (ko)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KR100654301B1 (ko) 차음 펜스용 브래킷
KR200384365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90013065U (ko) 건물 기둥용 거푸집 지지체
JP2016188493A (ja) 連結部材及びフェンス
JP6481831B2 (ja) ホールダウン金物
DE3843336C1 (ko)
KR20050091956A (ko) 임시반력철물을 이용한 케이블장력 도입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