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511A -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511A
KR20080089511A KR1020087020804A KR20087020804A KR20080089511A KR 20080089511 A KR20080089511 A KR 20080089511A KR 1020087020804 A KR1020087020804 A KR 1020087020804A KR 20087020804 A KR20087020804 A KR 20087020804A KR 20080089511 A KR20080089511 A KR 2008008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se station
signal
antenna
omn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531B1 (ko
Inventor
울프 스캐르비
도날드 스타우드테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8008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ransceiv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갖는 옴니-무선 기지국은 감소된 비용으로 증가된 적용 범위 또는 커패시티를 성취하도록 섹터 신호의 주파수 분할을 사용한다. 각각의 섹터 안테나 유닛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주파수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유닛은 안테나 주파수로부터 여러 개별적인 주파수로 안테나 유닛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신호를 변환시키는 관련된 주파수 컨버터를 갖는다. 각각의 섹터가 동일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할지라도, 각각의 섹터에 관련된 출력 반송파 신호는 여러 주파수 대역에 있다. 결합기는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서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여러 주파수에서 안테나 유닛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킨다. 결합된 안테나 유닛 신호가 여러 주파수에 있기 때문에, 이들이 동일한 안테나 주파수에 있는 것보다 간섭하지 않으며, 결합기에서 보다 적은 신호 손실 및 디그리데이션(degradation)의 결과를 가져온다. 그 후에 반송파 신호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여러 개별적인 주파수로부터 중간 주파수로 기지국 송시신기에서 재저장된다.
Figure P1020087020804
옴니-무선 기지국, 합성 신호, 안테나 유닛 반송파 신호, 주파수 컨버터

Description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BINER LOSS IN A MULTI-SECTOR, OMNI-BASE STATION}
본 발명은 멀티-섹터 무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비 제한적인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멀티-섹터 안테나 시스템에 결합된 옴니 기지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옴니-기지국은 옴니-안테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이며, 섹터 기지국은 다수의(두 개 이상의) 섹터 안테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1A는 옴니-안테나를 갖는 기지국(BS)을 위한 단일 셀 에어리어를 도시한다. 옴니-안테나는 전체 셀 에어리어를 커버하도록 360도 방사한다. 도1B는 세 개의 섹터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BS)을 위한 단일 셀 에어리어를 도시한다. 세 개의 섹터 기지국은 공통 섹터 구성이지만, 몇몇 섹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셀 에어리어는 세 개로 분리되며, 각각의 섹터 안테나는 약 120도의 그의 섹터 에어리어를 커버하도록 방사하는 (옴니-안테나에 비해) 좁은 빔을 갖는다.
기지국 안테나는 타워, 폴, 건물의 꼭대기 또는 측면 등과 같은 높은 위치에 종종 고정되어 적용 범위를 강화시키고 직접적인 무선 신호 전파 경로를 위한 양호 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2A는 타워(12)의 베이스에 위치된 기지국 유닛(14)을 도시한다. 안테나(10)는 타워(12)의 꼭대기에 장착되고 급전 케이블(16),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 등을 통해 기지국 송수신기에 결합된다. 수신된 신호는 급전기(16)를 가로질러 신호 손실이 발생하며, 타워(12)가 높을수록 급전기가 더 길어지고, 손실이 커진다. 급전기에서 이러한 신호 손실을 없애기 위해서, 타워-장착 증폭기(tower-mounted amplifier: TMA)는 기지국 유닛에 급전기를 통해 전송되기 전에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2B는 안테나(10)에 근접한 타워(12)의 꼭대기에 장착된 TMA(18)를 도시한다. 타워 장착 유닛은 마스트 헤드 증폭기(mast head amplifier)라 종종 칭해진다. 타워 장착 증폭기(TMA)라는 용어는 이러한 선-급전기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도록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 도3은 옴니-기지국(20)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안테나(10)는 수신(Rx) 필터(22) 및 전송(Tx) 필터(24)를 포함하는 TMA(18)의 듀플렉스 필터(21)에 결합된다. 듀플렉스 필터는 서로로부터 Tx 및 Rx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동일한 안테나 상에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전송 필터(24)는 급전기(16)에 직접 결합되며, 수신 필터(22)는 저잡음 증폭기(LNA)(26)를 통해 급전기(16)에 결합된다. 급전기(16)는 수신(Rx) 필터(30) 및 전송(Tx) 필터(32)를 포함하는 듀플렉스 필터(28)를 또한 포함하는 기지국(14)에 결합한다. 전송 필터(32)는 송수신기(36)에 결합되며, 수신 필터(30)는 저잡음 증폭기(34)를 통해 송수신기(36)에 결합된다.
안테나 다이버시티는 전송된 무선 신호의 수신(또는 전송)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간 다이버시티, 공간 다이버시티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여러 종류의 다이버시티가 존재한다. 프로마이징 다이버시티 방식(promising diversity scheme)은 시간/공간 코딩 신호를 사용하며,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다이버시티(MIMO)라 칭해진다. 공간 다이버시티는 수신된 무선 신호를 페이딩하는 효과를 감소시킨다. 안테나 다이버시티 시스템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수신 다이버시티의 경우에, 수신된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상에서 수신된다. 다이버시티 안테나로부터 Rx 신호는 강화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 다이버시티 프로세싱을 겪는다. 다이버시티 프로세싱은 예를 들어, 가장 강한 안테나 신호를 선택하는 것 또는 신호를 부가하는 것 및 결과적인 신호를 더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송 다이버시티의 경우에, 전송(Tx) 신호는 전송기가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전송 안테나 상에서 전송된다. 다이버시티 배열체의 안테나는 소위 다이버시티 안테나라 칭해진다. 다이버시티 배열체에서, 급전기 및 그에 관련된 안테나는 다이버시티 브랜치 또는 단순히 브랜치라 칭해질 수 있다.
도4는 다이버시티를 갖는 옴니-기지국(14)의 예를 도시한다. 두 개의 다이버시티 안테나(10a,10b)는 대응하는 TMA(18a,18b)에 결합된다. 각각의 TMA는 기지국(14)에서 저잡음 증폭기 유닛(42a,42b) 및 대응하는 듀플렉스 필터에 대응하는 급전기(16a,16b)에 의해 결합된다. 두 개의 듀플렉스 필터 및 LNA(42a,42b)는 단일 송수신기(36)에 결합된다.
옴니-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단일 송수신기와는 대조적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섹터 기지국은 각각의 섹터에 대해 별도의 송수신기를 갖는다. 세 개의 섹 터는 그 자신의 안테나(101,102,103)를 갖는 각각의 섹터로 유지된다. 각각의 안테나(101,102,103)는 대응하는 섹터 TMA(181,182,183)에 결합된다. 세 개의 급전기(161,162,163)는 개별적인 TMA(181,182,183)를대응하는 기지국 유닛(141,142,143)에 결합시킨다. 각각의 기지국 유닛(141,142,143)은 대응하는 듀플렉스 필터 및 저잡음 증폭 유닛(421,422,423)을 갖는다. 섹터 기지국은 옴니-기지국보다 더 많은 적용 범위를 제공하지만, 더 많은 돈과 전력이 필요로 된다.
옴니-기지국이 섹터 기지국보다 덜 복잡하고 덜 비쌀지라도, 이들은 또한 적은 적용 범위를 제공하므로, 오퍼레이터는 더 많은 옴니-기지국을 설치하여 섹터 기지국이 설치된 경우보다 특정한 지리적인 에어리어를 커버해야만 한다. 이에 응하여, 옴니-기지국이 멀티-섹터 안테나 시스템에 결합되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이 도입된다. 사실, 세 개의 섹터 안테나 시스템이 옴니-기지국과 함께 사용되는 예에서, 세 개의 섹터 안테나 시스템은 약 7-8dB의 신호 이득을 부가한다.
세 개의 기지국(60)의 예는 도6A에 도시된다. 세 개의 섹터는 그 자신의 안테나(101,102,103)를 갖는 각각의 섹터로 유지된다. 각각의 안테나(101,102,103)는 대응하는 섹터 TMA(181,182,183)에 결합된다. 세 개의 급전기(161,162,163)는 개별적인 TMA(181,182,183)를 기지국(14)에 결합시킨다. 기지국(14)은 세 개의 송수신기(36)가 결합된 일반적으로 42로 라벨링된 세 개의 듀플렉스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유닛을 포함한다. 급전 케이블, 듀플렉스 필터 및 송수신기는 고가이기 때문에, (다 이버시티가 각각의 섹터에서 사용되는 경우보다도 더), 스플리터/결합기는 단지 하나의 급전기가 필요로 되도록 사용된다. 도6B는 세 개의 섹터(1,2,3)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하나의 급전 케이블(16) 상에서 스플리터/결합기(44)로 모두 결합된다. 전송 방향에서, 전송 신호는 (저전력으로) 세 개의 동일한 신호로 분리되고 각각의 섹터의 TMA에 제공된다.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의 다른 이득은 하나 이상의 섹터 안테나를 "틸트(tilt)", 예컨대, 다운틸트하는 능력이 있다. 틸팅은 옴니 안테나를 위한 옵션이 아니다.
그러나 스플리터/결합기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되는 급전기 비용 절약은 결합기에서 실질적인 전력 손실에 의해 상쇄된다. 실제로, 상술된 세 개의 섹터 예에서, 세 개의 섹터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성취되는 7-8dB 이득은 결합기에서 5dB 손실에 의해 상쇄된다. 이러한 손실은 이들이 결합기에서 결합될 때 야기되는 세 개의 섹터 수신 신호들 사이의 간섭에 기인한다. 이러한 주파수 오버랩 간섭은 기지국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섹터 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전력은 각각의 섹터에 대해 5dB(즉, 1/3) 보다 적은 전력으로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스플리터에서 세 개의 다른 섹터로 분리된다. 다운링크 전송 손실을 처리하는데 사용 가능한 하나의 방법은 기지국 전송 전력을 간단히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보드(board)에 걸쳐 이동국 전송 전력 레벨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이동국의 전송 전력이 일반적으로 타이트하게 제어되고 제한되기 때문에 업링크에서 옵션이 아니다.
다수의 섹터 안테나 유닛을 갖는 옴니-무선 기지국은 섹터 신호의 주파수 분할을 사용하여 감소된 비용으로 증가된 적용 범위 또는 커패시티를 성취한다. 각각의 섹터 안테나 유닛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주파수 대역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결합된다. "주파수 대역"이라는 용어는 주파수의 범위뿐만 아니라 단일 주파수를 포함한다. 안테나 유닛에서 주파수 컨버터는 그 안테나 주파수로부터 다른 개별적인 주파수로 다수의 안테나 유닛들 중 하나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신호를 변환시킨다. 협대역 필터는 흥미있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필터링한다. 하나 이상의 주파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결합기는 각각의 다수의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하여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다수의 안테나 유닛에 관련되며 결합기에서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반송파 신호는 여러 주파수에서 옴니-기지국에서 회로 소자를 수용함으로써 수신된다.
구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는 다수의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결합기는 다수의 안테나 유닛의 각각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하여 결합된 모든 반송파 신호가 여러 주파수 대역에 관련되거나 결합될 반송파 신호의 단지 일부가 여러 주파수에 있는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파수 컨버터는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로컬 오실레이터(L0)를 포함하며, 제1 혼합 주파수는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섹터 반송파 신호들 중 하나를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시킨다. 협대역 필터는 주파수 변환 출력을 필터링한다. 제2 로컬 오실레이터는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며, 제2 혼합기는 제2 LO 주파수 신호 및 중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변환 출력을 발생시킨다. 협대역 필터 또는 광대역 필터(IF 필터에서 선택성에 의존)는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 출력을 필터링한다. 대안적으로, IF 변환은 변환 이후에 충분한 선택성을 갖는 협대역 필터가 존재한다면 수행될 필요가 없다.
결합기에 결합된 급전기는 합성 신호를 기지국 유닛으로 트랜스포트한다. 회로 소자를 수용하는 옴니-기지국은 합성 신호로부터 다수의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추출한다. 회로 소자를 수용하는 옴니-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혼합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 혼합기 주파수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중간 주파수로 다른 주파수에 관련된 개별적인 반송파 신호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변환시킨다. 비-제한적인 세 개의 섹터 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혼합기는 여러 섹터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여러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컨버터는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포함된다. 다르게, 하나 이상의 주파수 컨버터는 결합기에 포함된다. 주파수 변환의 결과로서 사용되는 다수의 개별적인 여러 주파수 대역이 존재한다면, 이러한 개별적인 여러 주파수 대역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걸쳐 분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걸쳐 고르게 분배된다.
다이버시티 수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섹터는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 및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인 다이버시티 구현은 각각의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기를 포함하여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제1 합성 신호를 생성하며, 각각의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하는 제2 결합기를 포함하여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제2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제1 급전기는 제1 합성 신호를 기지국 유닛에 트랜스포트하며, 제2 급전기는 제2 합성 신호를 기지국 유닛에 트랜스포트한다. 기지국 유닛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혼합기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다이버시티 합성 신호로부터 다수의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다이버시티 반송파 신호를 추출한다. 각각의 기지국 혼합기 주파수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개별적인 다이버시티 반송파 신호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변환시킨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다이버시티 구현에서, 단일 결합기는 각각의 제1 및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데 사용되어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 스플리터/결합기는 하나의 급전 케이블에 섹터를 결합시킨다. 그 후에, 단일 급전기는 각각의 섹터에 대한 두 개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합성 신호를 기지국 수신 회로 소자로 트랜스포트하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혼합기를 사용하여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다이버시티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다이버시티 반송파 신호를 추출한다. 각각의 기지국 혼합기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대응하는 하나의 개별적인 다이버시티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킨다.
옴니-무선 기지국과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 안테나 유닛 상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변환시키는 주파수는 섹터 신호가 주파수 변환 없이 결합될 때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결합기 손실을 허용한다. 결합된 세 개의 섹터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모든 신호가 여러 주파수에 있다면, 약 5dB 전력 손실을 결합기에서 피한다. 그 방법은 더 적은 급전 케이블이 결합기에서 실질적인 손실을 발생시키지않고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단지 단일 급전 케이블은 다이버시티 구현에서뿐만 아니라 비-다이버시티에서 사용될 필요가 있다. 더 효율적인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은 옴니-기지국을 위한 적용 범위 및/또는 커패시티가 섹터 안테나를 사용하여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매력적이다. 실제로, 기존 옴니-기지국은 결합 및 급전 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송수신기로 전송 전에 섹터 수신 안테나 및 주파수 변환을 사용하여 완전한 적용 범위 기지국으로 쉽게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다른 이점은 전력 소비가 더 적은 수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소된다는 것이다.
도1A는 옴니-안테나를 갖는 기지국(BS)을 위한 단일 셀 에어리어;
도1B는 세 개의 섹터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BS)을 위한 단일 셀 에어리어;
도2A는 기지국 타워를 도시하는 도면;
도2B는 타워-장착 증폭기(TMA)를 갖는 기지국 타워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옴니-기지국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4는 다이버시티를 갖는 옴니-기지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섹터 기지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6A는 세 개의 섹터 기지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6B는 스플리터/결합기 및 하나의 급전 케이블을 사용하는 세 개의 섹터 옴니-기지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
도8A는 예컨대, 850MHz 대역에 대한 안테나에서 서브 대역으로 분리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
도8B는 여러 섹터 신호가 급전기 상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대응하는 서브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되는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9A는 5MHz 서브 대역으로 분리된 PCS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
도9B는 세 개의 여러 섹터 신호가 급전기 상에서 PCS 주파수 대역에서 대응하는 서브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된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10은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절차를 약술하는 흐름도;
도11은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
도12는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
도13A 및 도13B는 다이버시티를 갖는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 및
도14는 단일 급전기만을 사용하여 다이버시티를 갖는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
다음 설명에서, 제한의 목적이 아닌 설명의 목적으로, 설명된 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특정한 노드, 기능적인 엔티티, 기술, 프로토콜, 표준 등과 같은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는 후술되는 세부 사항으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예가 여러 섹터 옴니-무선 기지국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반면, 개시된 기술은 또한 다른 유형의 멀티-안테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웃도어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인도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 장치, 기술 등의 상세한 설명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갖는 설명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 개별적인 기능적인 블록은 도면에서 도시된다. 당업자는 이러한 블록의 기능이 개별적인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고,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범용 컴퓨터에 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문형 반도체(ASIC)를 사용하여/하거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7은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70)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다수의"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 이 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는, 세 개의 섹터(S1,S2,S3)가 그 자신의 안테나(101,102,103)를 갖는 각각의 섹터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각각의 안테나(101,102,103)는 타워 장착 증폭기(TMA)(181,182,183)와 같이 비-제한적인 예에서 칭해지는 대응하는 섹터 안테나 유닛에 결합된다. 세 개의 TMA(181,182, 183)는 스플리터/혼합기(62)에 접속되어 하나의 급전기(16)만이 수신 필터(30) 및 저잡음 증폭기(34)를 포함하는 저잡음 증폭기 유닛(42) 및 단일 듀플렉스 필터를 포함하는 옴니-기지국(14)에 TMA 수신 신호를 결합하는데 필요로 된다. 간략성을 위해서, 전송 경로가 생략된다. 각각의 TMA는 그의 개별적인 안테나(101,102,103)에 결합된 수신(Rx) 필터(721,722,723)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신 필터(721,722,723)는 개별적인 증폭기(741,742,743)에 결합되며, 증폭된 출력은 예컨대, 로컬 오실레이터(781,782,783)에 의해서 발생되는 주파수 변환 신호와 혼합되는 대응하는 혼합기(761,762,763)에 결합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주파수 변환 신호는 각각의 섹터에 대해 상이하여 각각의 섹터 신호는 여러 주파수로 변환된다. 각각의 혼합기의 출력은 개별적인 주파수 상에서 중심이 맞춰진 개별적인 협대역(NB) 또는 대역 통과 필터(801,802,803)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어 잡음 및 사용 가능한 대역의 다른 파트로부터 간섭뿐만 아니라 다른 혼합 산물을 제거한다.
각각의 섹터 신호가 단지 설명의 이득을 위해 변환된 주파수로서 도시될지라도, 하나 이상의 섹터 신호는 변환된 주파수일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섹터 신호가 결합되고 옴니-무선 기지국 송수신기 유닛으로 트랜스포트되기 전에 여러 주파수에 있다. 이러한 세 개의 섹터 예에서, 두 개의 섹터 신호는 여러 주파수로 변환된 주파수일 수 있지만, 제3 주파수는 변환된 주파수가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 세 개의 섹터 신호는 또한 여러 주파수에 있다. 여러 주파수는 f1, f2 및 f3로 식별된다. 덜 최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일부 섹터 신호는 여러 주파수에 있지만, 두 개 이상의 섹터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현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신호가 간섭하기 때문에 덜 최적이며 신호-대-잡음비는 결합기에서 감소된다.
필수적이지는 않을지라도, 급전기(16)를 통해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여러 주파수, 예컨대, 더 낮은 주파수로 결합된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기를 희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낮은 주파수로 결합된 신호를 변환시키는 것은 급전기(16)에서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또한 잡음을 감소시킨다.
기지국(14)에서, 급전기(16)는 수신 필터(30) 및 LNA(34)만이 도시되는 듀플렉스 필터 유닛(42)에 접속한다. 듀플렉스 필터 유닛(42)은 옴니-기지국 수신기에 접속되는데, 이들의 일부만이 도시되며 혼합기(821,822,82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멀티-섹터, 옴니-기지국 수신기는 수신된 무선 신호를 다운컨버트하도록 협대역 필터에 의해 이어지는 단계에서 하나의 혼합기를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섹터 수신 신호가 여러 주파수이기 때문에, 세 개의 여러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L01,LO2,L03)가 결합기(62)로부터 합성 신호와 혼합된다. 로컬 오실레이터(841,842,843)는 세 개의 여러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L01,LO2,L03)를 제공한다. 그 후에 각각의 출력은 협대역 중간 주파수(IF) 필터(861,862,863)에서 필텅링되어 대응하는 섹터 수신 신호(Rx1,Rx2,Rx3)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섹터 수신 신호(Rx1,Rx2,Rx3)는 그 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준비한다.
주파수 변환을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이제 예시가 도8A 및 도8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8A는 서브 대역(A-E)으로 분리된 사용 가능한 안테나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이다. 그러나 서브 대역(B)은 옴니-무선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도8B는 사용되는 서브 대역(B)에서 수신된 모든 세 개의 여러 섹터 신호가 급전기를 위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대응하는 서브 대역으로 변환된 주파수인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서브 대역(A,C,E)이 사용된다. 섹터 신호들 중 하나는 변환된 주파수일 필요가 없고 사용되는 서브 대역(B)에서 유지될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경우에, 어떠한 가드 대역(guard band)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가드 대역을 갖는 것은 섹터 반송파 신호들 사이에 간섭의 기회를 감소시킨다.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대역에서 실제 예가 도9A 및 도9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9A는 열두 개의 5MHz 서브 대역(A1,A2,A3,D,B1,B2,B3, E,F,C1,C2,C3)으로 분리된 1850-1910MHz로부터 PCS 주파수 대역을 위한 안테나 주파수의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서브 대역은 1865-1870MHz로부터 5MHz D 대역이다. 세 개의 섹터 예를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 대역(D)에서 모두 수신된 세 개의 여러 섹터 신호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대응하는 급전기 서브 대역 주파수로 변환된 주파수이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9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A1,B3 및 C3이다. 그러나 섹터 신호들 중 하나는 변환된 주파수일 필요가 없고 사용된 서브 대역 D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세 개의 섹터 신호를 분리시키는 가드 대역이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 수신 필터(721,722,723)는 각각 1860-1910MHz로부터 사용 가능한 60MHz 주파수 대역을 통과한다. 그러나 기지국은 1865-1870MHz로부터 5MHz "D" 서브 대역만을 사용한다. 제1 섹터 수신 신호는 1850-1855MHz 사이의 NB 필터1 통과 주파수 및 15MHz(1865-1850=15)에서 LO1 신호 세트를 사용하여 A1 서브 대역으로 쉬프트된 주파수이다. 제2 섹터 수신 신호는 1880-1885MHz 사이의 NB 필터2 통과 주파수 및 15MHz(1880-1865=15)에서 LO2 신호 세트를 사용하여 B3 서브 대역으로 쉬프트된 주파수이다. 제3 섹터 수신 신호는 1905-1910MHz 사이의 NB 필터3 통과 주파수 및 40MHz(1905-1865=40)에서 LO3 신호 세트를 사용하여 C3으로 쉬프트된 주파수이다.
급전기(16)를 통해 세 개의 여러 주파수 대역, A1(1850-1855), B3(1880- 1885), C3(1905-1910)에서 세 개의 섹터 반송파를 반송하는 주파수 멀티플렉싱 신호는 옴니-기지국 수신 회로 소자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수신된 신호는 1850-1910MHz로부터 60MHz 넓은 PCS 대역을 통과하는 수신 필터(30)를 사용하여 필터링된다. LNA(34)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시킨 후에, 증폭된 수신 신호는 세 개의 혼합기(821,822,823)로 전송되며, 급전기(16)를 통해 전송하기 전에 변환된 주파수인 각각의 섹터에 대해서 이러한 예에서 하나이다. 도시된 수신 회로 소자의 목적은 동일한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각각의 섹터 신호를 변환시키는 것이다. IF 다운컨버전은 필터링을 단순화시키며 이후 기저대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한다. 200MHz의 IF로 변환을 성취하기 위해서, LO1는 1652.5MHz로 설정되고; LO2는 1682.5MHz로 설정되며; LO3는 1707.5MHz로 설정된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 혼합기(821)로부터 200MHz 출력은 그 후에 각각의 세 개의 5MHz NB 필터(861,862,863)에 의해 필터링되어 197.5-202.5MHz(200MHz IF를 중심으로 중심이 맞춰짐)로부터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도10은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비-제한적인 예를 개요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1)에서, 각각의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주파수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한다. 여러 안테나 유닛 중 하나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신호는 협대역 필터링 및 안테나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이한 개별적인 주파수로 안테나 주파수로부터 변환된 주파수이다(단계S2).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는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결합된다(단계S3).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되며 결합기에서 결합된 반송파 신호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주파수에 있다. 합성 신호는 기지국 유닛으로 급전기를 통해 트랜스포트된다(단계S4). 각각의 반송파 신호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중간 주파수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신호를 변환시키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합성 신호로부터 추출된다(단계S5).
도11은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90)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주파수 변환이 안테나 유닛 대신 결합기(63)에서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7과 유사하다. 대안적으로, 세 개의 안테나는 세 개의 수신 필터, 세 개의 LNA, 세 개의 주파수 컨버터, 세 개의 협대역 필터 및 하나의 급전기에 결합된 하나의 결합기를 포함하는 하나의 TMA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도12는 주파수 변환이 중간 주파수(IF) 변환, 협대역 필터링 및 대략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RF로 변환을 포함하지만 상이한 주파수 상에 있는,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92)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IF 변환이 결합 전에 주파수에서 섹터 신호를 분리시키도록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기 전에 우선 사용될 수 있는 사용되는 이유는 (a) IF-필터가 RF-필터보다 더 효율적이고, (b) IF 다운-컨버전 및 업-컨버전이 RF-RF 컨버전보다 양호한 공지된 기술이며, (c) 급전기 주파수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희망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기지국에서 로컬 오실레이터 및 혼합기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IF로 여러 주파수를 다운-컨버트한다.
도13A 및 도13B는 다이버시티를 갖는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94)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각각의 섹터 TMA(181,182,183)는 희망한다면 두 개 이상의 다이버시티 브랜치가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두 개의 다이버시티 수신 브랜치(A,B)를 포함한다. 간략성을 위해서, 전송 경로가 생략된다. 각각의 TMA는 개별적인 제2 안테나(101B,102B,103B)에 결합된 수신(Rx) 필터(721B,722B,723B)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제1 안테나(101A,102A,103A)에 결합된 수신(Rx) 필터(721A,722A,723A)를 포함한다.
제1 다이버시티 브랜치에서 각각의 수신 필터는 개별적인 증폭기(741A,742A,743A)에 결합되며, 제2 다이버시티 브랜치에서 각각의 수신 필터는 개별적인 증폭기(741B,742B,743B)에 결합된다. 각각의 제1 브랜치에 대한 증폭된 출력은 예컨대, 개별적인 섹터 로컬 오실레이터(781,782,783)에 의해 발생된 대응하는 제1 혼합기(761A,762A,763A)에 결합된다. 각각의 제2 브랜치에 대한 증폭된 출력은 대응하는 제2 혼합기(761B,762B,763B)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예컨대, 동일한 개별적인 섹터 로컬 오실레이터(781,782,783)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 변환 신호와 혼합된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 주파수 변환 신호는 각각의 섹터에 대한 두 개의 다이버시티 신호가 다른 섹터 신호와 상이한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각각의 신호에 대해 상이하 다. 제1 다이버시티 브랜치에서 각각의 혼합기의 출력은 개별적인 주파수에 중심이 맞춰진 개별적인 협대역(NB) 또는 대역 통과 필터(801A,802A,803A)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어 사용 가능한 대역에서 잡음 및 간섭뿐만 아니라 다른 혼합 산물을 제거한다. 유사하게, 제2 다이버시티 브랜치에서 각각의 혼합기의 출력은 개별적인 주파수에 중심이 맞춰진 개별적인 협대역(NB) 또는 대역 통과 필터(801B,802B,803B)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어 다른 혼합 산물을 제거시킨다. 각각의 섹터에서 두 개의 협대역 필터는 동일한 개별적인 주파수 상에서 중심이 맞혀진다.
각각의 섹터로부터 "A" 다이버시티 브랜치 출력은 제1 결합기(62A)에서 결합되며, 각각의 섹터로부터 "B" 다이버시티 브랜치 출력은 제2 결합기(62B)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의 급전기(16A)만이 여러 주파수(f1A,f2A,f3A)에서 제1 다이버시티 브랜치로부터 옴니-기지국(14)으로 TMA 수신 신호를 결합시키는데 필요로 되며, 하나의 급전기(16B)만이 여러 주파수(f1B,f2B,f3B)에서 제2 다이버시티 브랜치로부터 옴니-기지국(14)으로 TMA 수신 신호를 결합하는데 필요로 된다.
옴니-기지국 유닛(14)은 제1 급전기(16A)를 위한 제1 듀플렉스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유닛(42A) 및 제1 급전기(16B)를 위한 제2 듀플렉스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유닛(42B)을 포함한다. 제1 듀플렉스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유닛(42A)으로부터 출력은 혼합기(821A,822A,823A)에 접속되며, 제2 듀플렉스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유닛(42B)으로부터 출력은 혼합기(821B,822B,823B)에 접속된다. 단일 로컬 오실레이 터(L01)(841)로부터 출력은 혼합기(821A,822A)로 입력과 혼합되어 861A 및 861B에서 개별적인 필터링을 위해 IF 또는 다른 희망하는 주파수(예컨대, 호모다인(homodyne)과 같은 기저대)로 신호를 변환시켜 섹터(1)로부터 다이버시티 수신 신호(Rx1A,Rx1B)를 생성한다. 단일 로컬 오실레이터(LO2)(842)로부터 출력은 혼합기(822A,822B)로 입력과 혼합되어 862A 및 862B에서 개별적인 필터링을 위해 IF 또는 다른 희망하는 주파수로 신호를 변환시켜 섹터(2)로부터 다이버시티 수신 신호(Rx2A,Rx2B)를 생성한다. 단일 로컬 오실레이터(LO3)(843)로부터 출력은 혼합기(823A,823B)로 입력과 혼합되어 863A 및 863B에서 개별적인 필터링을 위해 IF 또는 다른 희망하는 주파수(예컨대, 호모다인(homodyne)과 같은 기저대)로 신호를 변환시켜 섹터(3)로부터 다이버시티 수신 신호(Rx3A,Rx3B)를 생성한다.
도14는 단일 급전기(16)만을 사용하여 다이버시트를 갖는 감소된 결합기 손실을 갖는 멀티-섹터, 옴니-기지국(96)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 세 개의 섹터(S1-S3)가 존재하며, 각각의 섹터는 두 개의 다이버시티 안테나(10A,10B)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이러한 예에서 여러 주파수(개별적인 하나(f1A-f3B))에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그 자신의 TMA(181A-183B의 개별적인 하나)를 갖는다. 이러한 여섯 개의 상이한 주파수 반송파(f1A-f3B)는 단일 결합기(62)에서 결합되고, 단일 급전 기(16)를 통해 옴니-기지국 유닛(14)으로 트랜스포트된다. 각각의 섹터 다이버시티 신호는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 여러 주파수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결합기(62) 또는 급전기(16)에서 직접적으로 간섭하지 않는다. 도13A-13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비해서, 하나 적은 결합기 및 하나 적은 급전기가 사용되며, 이들은 비용을 절감시킨다. 기지국에 할당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단점이 존재할지라도, 각각의 여섯 개의 TMA 신호(f1A-f3B) 사이에 가드 대역이 조금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간섭이 부가될 수 있으므로, 신호-대-잡음비가 감소된다. 게다가, 단일 듀플렉스만이 필터(30)를 수용하고, LNA(34)는 도13A-도13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두 개에 비해, 기지국 유닛(14)에서 필요로 된다. 그 반면, 여섯 개(세 개와 비교됨)의 여러 로컬 오실레이터(841A-843B)는 개별적인 혼합기(821A-823B)에 여섯 개의 여러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LO1A-LO3B)를 제공하는데 필요로 된다.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세히 설명되었을지라도, 청구항은 어떤 특정한 실시예 또는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청구항 범위에 포함되어야만 하는 임의의 특정한 요소, 단계, 범위 또는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암시하는 것으로 판독되지 않아야만 한다. 특허받은 주요 사항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합법적인 보호의 범위는 허용된 청구항 및 그의 등가물에서 언급되는 단어에 의해 한정된다. 어떠한 청구항도 "~하는 수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는 한 35 USC § 112의 문단 6을 실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40)

  1. 각각의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주파수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0)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18)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주파수로부터 여러 안테나 유닛 중 하나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신호를 안테나 주파수와 다른 개별적인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를 위한 주파수 컨버터(76,78); 및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합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결합기(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 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결합된 모든 반송파 신호가 여러 주파수에 관련되는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결합될 일부 반송파 신호가 여러 주파수에 있는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컨버터는: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로컬 오실레이터(LO)(LOIF);
    상기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T신호로 주파수 변환시키는 제1 혼합기(73);
    상기 IF 신호를 필터링하는 협대역 IF 필터(75);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로컬 오실레이터(78);
    주파수 변환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2 LO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는 제2 혼합기(76); 및
    개별적인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 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컨버터는:
    개별적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로컬 오실레이터(LO)(78);
    상기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제1 혼합기(76); 및
    개별적인 주파수로 제1 혼합기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협대역 필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결합기에 결합된 급전기(16), 및
    상기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급전기에 결합된 기지국 유닛(14)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기지국 유닛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혼합기(82)를 포함하며, 각각의 기지국 혼합기는 부가적 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대응하는 하나의 개별적인 반송파 신호로 주파수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제1 기지국 혼합기(82A)는 상기 급전기의 서브 대역들 중 하나의 기저대 또는 중간 주파수로 다운컨버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면, 제2 기지국 혼합기(82B)는 상기 급전기의 서브 대역들 중 다른 것의 기저대 또는 중간 주파수로 다운컨버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른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컨버터(76,78)는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여러 안테나 유닛(18)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컨버터(76,78) 각각은 상기 결합기(63)에 포함된 여러 안테나 유닛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 는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여러 개별적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이 존재한다면, 이러한 개별적인 여러 주파수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걸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이러한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테나 유닛(18)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74)에 결합된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는 수신 필터(72)를 포함하는 타워 장착 증폭기(TMA)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컨버터 및 결합기는 단일 유닛(63,76,78)으로 결합되거나 별도 유닛(62,76,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결합기(62)에 결합된 급전기(16), 및
    상기 합성 신호로부터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급전기에 결합된 기지국 유닛(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유닛은 하나 이상의 혼합기(82)를 갖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은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개별적인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섹터는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18A) 및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1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서 제1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기(62A), 및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서 제2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기(6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제1 결합기에 결합된 제1 급전기(16A);
    상기 제2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제2 결합기에 결합된 제2 급전기(16B); 및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및 제2 급전기에 결합된 기지국 유닛(14)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기지국 유닛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혼합기(82A,82B)를 포함하며, 각각의 기지국 혼합기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대응하는 하나의 개별적인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 록 각각의 제1 및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결합기(62)에 결합된 급전기(16), 및
    상기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18)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급전기에 결합된 기지국 유닛(14)을 더 포함하는데, 각각의 기지국 유닛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혼합기(82)를 포함하며, 각각의 기지국 혼합기는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대응하는 하나의 개별적인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협대역 필터(80)는 상기 결합기(63)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장치.
  24. 각각의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주파수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 안테나(10)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18)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주파수로부터 안테나 주파수와 상이한 개별적인 주파수로 여러 안테 나 유닛들 중 하나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는 결합될 모든 반송파 신호가 여러 주파수에 있는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 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는 결합될 일부 반송파 신호가 여러 주파수에 있는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여러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시키는 단계는:
    제1 로컬 오실레이터(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반송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협대역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제2 LO 주파수 신호 및 상기 필터링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고 주파수 변환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들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적인 주파수로 상기 주파수 변환 출력을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별적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1 로컬 오실레이터(LO)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LO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별적인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 출력을 협대역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급전기를 통해 상기 합성 신호를 기저대 유닛으로 트랜스포트하는 단계, 및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기지국 유닛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유닛에서 적어도 두 개의 기저대 혼합기(82A,82B) 각각이 여러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3. 제 24항에 있어서,
    여러 개별적인 상이한 주파수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개별적인 여러 주파수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이러한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5. 제 24항에 있어서,
    급전기를 통해 상기 혼합 신호를 기지국 유닛으로 트랜스포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대 유닛에서 상기 합성 신호로부터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각각의 섹터는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10A) 및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1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서 제1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제1 결합기(62A)에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서 제2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제2 결합기(62B)에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제1 급전기(16A)를 통해 제1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단계;
    제2 급전기(16B)를 통해 제2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단계; 및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이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기지국 유닛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옴니-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서 상기 합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제1 및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 유닛에 관련된 반송파 신호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급전기를 통해 상기 합성 신호를 트랜스포트하는 단계, 및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중간 주파수 또는 기저대로 여러 주파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 신호로부터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기지국 유닛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안테나를 갖는 여러 섹터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옴니-무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방법.
KR1020087020804A 2006-01-25 2006-12-01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33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178206P 2006-01-25 2006-01-25
US60/761,782 2006-01-25
PCT/SE2006/050533 WO2007086785A1 (en) 2006-01-25 2006-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biner loss in a multi-sector, omni-bas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511A true KR20080089511A (ko) 2008-10-06
KR101336531B1 KR101336531B1 (ko) 2013-12-03

Family

ID=3830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804A KR101336531B1 (ko) 2006-01-25 2006-12-01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06165B2 (ko)
EP (1) EP1977534A4 (ko)
JP (2) JP2009524980A (ko)
KR (1) KR101336531B1 (ko)
CN (1) CN101366198A (ko)
TW (1) TWI443976B (ko)
WO (1) WO2007086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3691B1 (en) * 2004-03-11 2014-1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device, base station and site for reducing the number of feeders in an antenna diversity diversity system.
CN101002404B (zh) 2004-06-15 2012-12-12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天线分集装置和方法
US8873585B2 (en) 2006-12-19 2014-10-2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technologies
WO2008099383A2 (en) * 2007-02-12 2008-08-21 Mobileaccess Networks Ltd. Mimo-adapt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2232625A1 (en) * 2007-12-20 2010-09-29 Triasx Pty Ltd Signal combiner
US8958408B1 (en) 2008-06-05 2015-02-17 The Boeing Company Coded aperture scanning
US8509205B2 (en) * 2008-06-05 2013-08-13 The Boeing Company Multicode aperture transmitter/receiver
US8681664B2 (en) 2008-08-11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50009865A1 (en) * 2008-08-11 2015-01-08 Qualcomm Incorporated Server-initiated duplex transitions
WO2010050960A1 (en) * 2008-10-30 2010-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device with selectable antennas
CN102369678B (zh) 2009-02-03 2015-08-19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基于光纤的分布式天线系统、组件和用于校准基于光纤的分布式天线系统、组件的相关方法
WO2010090999A1 (en) 2009-02-03 2010-08-12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s,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figuring thereof
US9673904B2 (en) 2009-02-03 2017-06-0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s,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for calibration thereof
US8280259B2 (en) 2009-11-13 2012-10-02 Corning Cable Systems Llc Radio-over-fiber (RoF) system for protocol-independent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US8275265B2 (en) 2010-02-15 2012-09-25 Corning Cable Systems Llc Dynamic cell bonding (DCB) for radio-over-fiber (RoF)-based networks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9252874B2 (en) 2010-10-13 2016-02-02 Ccs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WO2012141631A1 (en) 2011-04-14 2012-10-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devices related to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N103609146B (zh) 2011-04-29 2017-05-31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增加分布式天线系统中的射频(rf)功率的系统、方法和装置
EP2702710A4 (en) 2011-04-29 2014-10-29 Corning Cable Sys Llc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DELAY OF COMMUNICATION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AND CORRESPONDING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WO2013051969A1 (en) * 2011-10-04 2013-04-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48986A1 (en) 2012-03-30 2013-10-03 Corning Cable Systems Llc Reducing location-dependent interference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operat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nfiguration,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EP2842245A1 (en) 2012-04-25 2015-03-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WO2012126419A1 (zh) * 2012-05-09 2012-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同步方法、电路及系统
WO2014024192A1 (en) 2012-08-07 2014-02-13 Corning Mobile Access Ltd. Distribution of time-division multiplexed (tdm) management service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CN103715989B (zh) * 2012-09-29 2016-06-22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低噪声降频器以及卫星电视系统
US9455784B2 (en) 2012-10-31 2016-09-2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eployable wireless infrastructures and methods of deploying wireless infrastructures
CN105308876B (zh) 2012-11-29 2018-06-22 康宁光电通信有限责任公司 分布式天线系统中的远程单元天线结合
US9647758B2 (en) 2012-11-30 2017-05-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Cabling connectivity monitoring and verification
EP3008515A1 (en) 2013-06-12 2016-04-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Voltage controlled optical directional coupler
WO2014199380A1 (en) 2013-06-12 2014-12-1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Time-division duplexing (tdd) in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9247543B2 (en) 2013-07-23 2016-01-2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onitoring non-supported wireless spectrum within coverage areas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9661781B2 (en) 2013-07-31 2017-05-2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emote units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install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9385810B2 (en) 2013-09-30 2016-07-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Connection mapping in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US9178635B2 (en) 2014-01-03 2015-11-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eparation of communication signal sub-band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to reduce interference
US9775123B2 (en) 2014-03-28 2017-09-2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dividualized gain control of uplink paths in remote unit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individual remote unit contribution to combined uplink power
US9357551B2 (en) 2014-05-30 2016-05-3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sampling of serial digital data streams from multiple analog-to-digital converters (ADCS), including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525472B2 (en) 2014-07-30 2016-12-20 Corning Incorporated Reducing location-dependent destructive interference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operat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nfiguration,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9730228B2 (en) 2014-08-29 2017-08-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dividualized gain control of remote uplink band paths in a remote unit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combined uplink power level in the remote unit
US9602210B2 (en) 2014-09-24 2017-03-2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Flexible head-end chassis supporting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interconnection of radio interface modules and optical interface modules in an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9420542B2 (en) 2014-09-25 2016-08-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ystem-wide uplink band gain contro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per band gain control of remote uplink paths in remote units
US9729267B2 (en) 2014-12-11 2017-08-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ultiplexing two separate optical links with the same wavelength using asymmetric combining and splitting
US20160249365A1 (en) 2015-02-19 2016-08-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Offsetting unwanted downlink interference signals in an uplink path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9681313B2 (en) 2015-04-15 2017-06-1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Optimizing remote antenna unit performance using an alternative data channel
US9948349B2 (en) 2015-07-17 2018-04-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OT autom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
DE102015011875A1 (de) 2015-09-10 2017-03-16 Kathrein-Werke Kg Einrichtung zum Senden und Empfangen von Mobilfunk-Signalen mittels einer stationären Antenne
US10560214B2 (en) 2015-09-28 2020-02-1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Downlink and uplink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in a time-division duplex (TDD)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10236924B2 (en) 2016-03-31 2019-03-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educing out-of-channel noise in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WDS)
US9985352B2 (en) * 2016-04-21 2018-05-29 The Boeing Company Dynamically allocated broadband multi-tap antenna
JP6616890B2 (ja) * 2016-04-22 2019-12-0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受信システム
US9660345B1 (en) * 2016-05-18 2017-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s on a multifunction platform
US9912061B2 (en) * 2016-05-18 2018-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s on a multifunction platform
KR20210079647A (ko) * 2019-12-20 2021-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US11438769B2 (en) 2020-04-28 2022-09-0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spatial and operational differentiation and optimization in a wireles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69131D1 (en) 1980-06-11 1985-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hase difference compensation between separately recorded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US4715048A (en) * 1986-05-02 1987-12-22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Frequency offset diversity receiving system
JPH0298238A (ja) * 1988-10-04 1990-04-10 Nec Corp 無線通信装置
JPH02260925A (ja) * 1989-03-31 1990-10-2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ダイバシティ受信装置
US5021801A (en) * 1989-09-05 1991-06-04 Motorola, Inc. Antenna switching system
US5627879A (en) * 1992-09-17 1997-05-06 Adc Telecommunications, Inc.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with centralized base stations and distributed antenna units
JP2576388B2 (ja) 1993-11-08 1997-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受信装置
ZA95797B (en) 1994-02-14 1996-06-20 Qualcomm Inc Dynamic sectoriza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5548813A (en) * 1994-03-24 1996-08-20 Ericsson Inc.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for enhanced power efficiency
US5742583A (en) * 1994-11-03 1998-04-21 Omnipoint Corporation Antenna diversity techniques
US5861844A (en) 1994-11-29 1999-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ndant coverage with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3072960B2 (ja) * 1995-05-22 2000-08-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6118984A (en) 1997-04-08 2000-09-12 Acer Peripherals, Inc. Dual conversion radio frequency transceiver
US6411825B1 (en) * 1997-09-09 2002-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JPH11122131A (ja) * 1997-10-11 1999-04-30 Sony Corp 混合装置
SE511423C2 (sv) 1997-11-14 1999-09-27 Radio Design Innovation Tj Ab Gruppantennsystem
GB2332822B (en) * 1997-12-23 2002-08-28 Northern Telecom Lt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deband recei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00013342A (ja) * 1998-06-18 2000-01-14 Omron Corp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3678023B2 (ja) 1998-10-23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装置
JP3335953B2 (ja) * 1999-02-05 2002-10-2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分割多元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
US6519260B1 (en) 1999-03-17 2003-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ed delay priority for comfort noise
JP3717038B2 (ja) * 1999-07-23 2005-11-16 日本放送協会 Ofdm信号の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4151931B2 (ja) * 1999-09-13 2008-09-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制御局
JP3916894B2 (ja) 2001-07-03 2007-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のアダプティブアレーアンテナ用送受信装置
JP2003274296A (ja) * 2002-03-12 2003-09-26 Nippon Hoso Kyokai <Nhk> 放送受信設備及びダイバシティ受信装置
JP2003309480A (ja) 2002-04-15 2003-10-31 Sharp Corp 低雑音コンバータ
ATE517538T1 (de) 2002-12-16 2011-08-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enkung des energieverbrauches in einem cdma- kommunikationsgerät
EP1723691B1 (en) * 2004-03-11 2014-1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device, base station and site for reducing the number of feeders in an antenna diversity diversity system.
US7729726B2 (en) * 2004-03-26 2010-06-01 Nortel Networks Limited Feeder cable reduction
CN101002404B (zh) * 2004-06-15 2012-12-12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天线分集装置和方法
GB0426354D0 (en) 2004-12-01 2005-01-05 Quintel Technology Ltd Sectorisation of cellular radio
FI117684B (fi) 2004-12-02 2007-01-15 Filtronic Comtek Oy Antennipään suodatinjärjestely
CN101185200B (zh) 2005-11-14 2011-07-20 桥扬科技有限公司 用于蜂窝通信和广播的多天线系统
JP4808013B2 (ja) 2005-12-15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動的セル再構成方法及び,これを適用する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80287163A1 (en) 2007-05-17 2008-11-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between a multi-sector, omni-base station configuration and a multi-sector base station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531B1 (ko) 2013-12-03
JP2009524980A (ja) 2009-07-02
US20070173288A1 (en) 2007-07-26
JP2012130021A (ja) 2012-07-05
TWI443976B (zh) 2014-07-01
EP1977534A4 (en) 2013-05-22
CN101366198A (zh) 2009-02-11
EP1977534A1 (en) 2008-10-08
TW200742459A (en) 2007-11-01
US8706165B2 (en) 2014-04-22
WO2007086785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531B1 (ko)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3302340B2 (ja) 移動通信基地局のスマートアンテナシステム用送受信装置
US10389313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KR101493541B1 (ko) 다중 섹터, 옴니-기지국 구성과 다중 섹터 기지국 구성 사이의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136900A1 (en) Radio Relay Device and Method
CA2545517C (en) An antenna diversity system
US10763795B2 (en) Multi-path communication device for sharing feedback path for digital pre-distortion
US10854975B2 (en) Antenna unit, multi-array antenna system and base station thereof
CA2570166A1 (en) Antenna diversity arrangement and method
CN103348600A (zh) 在两个相邻频带中工作的同时接入的双频带终端
US841212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transmit diversity designs
CN110800160A (zh) 天线系统、基站以及通信系统
RU2355079C2 (ru) Система разнесения антенн
KR100607652B1 (ko) 섹터 병합을 위한 기지국 장치 및 그의 송수신 방법
US20110292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Capacity and Coverage of a Multi-Sector, Omni Site
KR19980039204A (ko)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에 의한 이동 통신시스템 소형기지국의 무선주파수회로
KR20000008276A (ko) 액티브 안테나를 적용한 씨디엠에이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기지국 장치
MXPA99006157A (en) Method for integrating antenna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