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358A - 리버싱 밸브 - Google Patents

리버싱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358A
KR20080089358A KR1020087015341A KR20087015341A KR20080089358A KR 20080089358 A KR20080089358 A KR 20080089358A KR 1020087015341 A KR1020087015341 A KR 1020087015341A KR 20087015341 A KR20087015341 A KR 20087015341A KR 20080089358 A KR20080089358 A KR 2008008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liminary control
reversing valve
supply
pist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죄히티그
Original Assignee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8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servo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16K31/4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혼합 헤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리버싱 밸브에 관한 것이다. 리버싱 밸브는 유체-공급부(14) 및 유체-배출부(16)가 그 내부에 제공된 하우징(12) 그리고 차단 부재(18)를 구비하며, 차단 부재(18)는 이 차단 부재가 시트(20)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급부(14)와 배출부(16) 사이의 흐름 경로가 폐쇄되도록 그리고 이 차단 부재가 시트(20)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경우에는 공급부(14)와 배출부(16) 사이의 흐름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체-배출부(16)의 영역에 있는 시트(20)와 상호 작용하며, 이 경우 차단 부재(18)는 피스톤(38)을 구비하고, 피스톤의 양측에는 유체로 채워질 제 1 작동 챔버(24) 및 제 2 작동 챔버(22)가 제공되어 있다. 소형의 구동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도 기능적으로 신뢰할만한 리버싱 과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위칭 부재(28)를 갖춘 예비 제어단(28, 30, 40, 44)이 제공되며, 예비 제어단은 공급부(14) 및 배출부(16)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작동 챔버(22, 24)에 연결되어 있다. 예비 제어단은, 상기 스위칭 부재(28)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피스톤(38)의 양측 작동 챔버에 공급부(14)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그리고 스위칭 부재(28)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피스톤(38)의 제 2 작동 챔버(22)에는 공급부(14)의 압력이 인가되고, 제 1 작동 챔버(24)에는 배출부(16)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형성되었다.

Description

리버싱 밸브 {REVERSING VALVE}
본 발명은 특히 혼합 헤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리버싱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는 예를 들어 도우징 기계에서 다수의 혼합 헤드가 작동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항상 단 하나의 혼합 헤드만이 작동을 위해서 선택된다. 다른 혼합 헤드들은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폐쇄된다.
오작동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리버싱 밸브에서는 절대적인 밀봉이 기본 전제 조건이 된다. 상황에 따라 리버싱 밸브에서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혼합 헤드에서 양적인 손실이 야기되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재차 부품이 폐기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밸브 시트를 향하여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는 밸브 부재의 형태로 된 스위칭 장치가 제공되었다. 밸브 부재를 밸브 시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기에 연결된 유입구로부터 혼합 헤드에 연결된 배출구까지 이르는 흐름 경로가 중단된다. 밸브 부재를 시트로부터 들어 올리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흐름 경로가 개방됨으로써, 결국 도우징 장치로부터 유래하는 재료가 혼합 헤드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리버싱 밸브 내부의 압력이 부분적으로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밸브 부재를 위해서는 크기가 큰 구동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입구 영역에서는 250 bar 이상까지의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배출구 영역에서는 부분적으로(예를 들어 폐쇄된 밸브에서) 압력이 단지 소수 bar의 범위에만 놓이게 된다. 더욱이, 공지된 리버싱 밸브에서는 다이내믹 실(dynamic seal)로 인해 누출을 야기하는 밀봉 관련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의 구동 유닛(예컨대 전자석)을 구비한 경우에도 기능적으로 신뢰할만한 리버싱 과정을 보장해주는 리버싱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언급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단 부재가 제공되었으며, 상기 차단 부재는 스위칭 위치에 따라 공급부와 배출부 사이의 흐름 경로를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양측에는 유체로 채워질 제 1 작동 챔버 및 제 2 작동 챔버가 제공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작동 챔버들이 - 종래 기술과 달리 - 주변부에 직접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기본적으로는 누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스위칭 부재를 갖춘 예비 제어단이 제공되었다. 상기 예비 제어단은 공급부 및 배출부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작동 챔버에 연결되어 있고, (ⅰ) 스위칭 부재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피스톤의 양측 작동 챔버에 상기 공급부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그리고 (ⅱ) 스위칭 부재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피스톤의 제 2 작동 챔버에는 상기 공급부의 압력이 인가되고, 제 1 작동 챔버에는 상기 배출부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형성되었다.
차단 부재 또는 상기 차단 부재에 연결된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한편으로는 최종 위치에서 상기 차단 부재의 확실한 최종 위치들이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버싱 과정들이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순방향 흐름 경로와 역방향 흐름 경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 안정적인 최종 위치 또는 리버싱 과정들이 야기되거나 또는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차단 부재의 스위칭 과정이 유체 자체 안에 포함된 에너지에 의해서 야기된다. 단지 리버싱 밸브 내부에서 유발되는 상이한 압력 비율만이 예비 제어단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되며, 이 경우에는 양측 작동 챔버 내부의 압력 비율에 따라 피스톤 측에서 스위칭 위치들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규정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는 차단 상태로의 확실한 스위칭을 위하여 스프링에 의해 압축 응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스톤과 시트 사이에 제 2 작동 챔버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2 작동 챔버가 동시에 순방향 흐름 경로와 역방향 흐름 경로 사이에 형성된 흐름 경로의 부분으로서 이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비 제어단 자체도 두 개의 챔버, 다시 말해 제 1 예비 제어 챔버 및 제 2 예비 제어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제어 챔버들은 바람직하게 흐름을 연결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예비 제어 챔버들 사이에 접속된 흐름 연결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스위칭 부재를 이용하여 흐름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이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예비 제어 챔버는 공급부에 그리고 제 2 작동 챔버에 흐름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공급부와 제 1 예비 제어 챔버 사이에는 스로틀(throttle) 지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지점은 제 1 예비 제어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영역의 압력을 강하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며, 상기 압력 강하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에서 기술될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진다.
제 2 예비 제어 챔버는 바람직하게 바이패스-채널을 통해 배출부에 흐름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예비 제어 챔버를 배출 영역의 압력 레벨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비 제어단의 스위칭 부재는 당연히 압축 공기식으로, 전자기 방식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리버싱 밸브의 본 발명에 따른 형상으로 인해 큰 구동력이 필요치 않다.
특히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는, 피스톤이 시트 상에 올려지는 경우에 시트 쪽을 향하여 작용하는 피스톤 면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면보다 크기가 더 작은 경우에 구현된다. 이와 같은 특징도 첨부된 실시예에서 더욱 명확해진다.
본 발명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스위칭 위치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 2 스위칭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리버싱 밸브(10)는 하우징(12)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조립 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 내에는 유입 채널(14) 그리고 배출 채널16)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입 채널(14) 내부로는 고압 소스(도우징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유체(순방향 흐름 경로)가 유입된다. 이 경우에는 250 bar 이상까지의 범위에 있는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역방향 흐름 경로는 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혼합 헤드에 연결되어 있다. 역방향 흐름 경로 내부의 압력은 상기 순방향 흐름 경로의 압력 레벨보다 약간 아래에 있는 범위로부터 소수 bar(예컨대 8 bar)의 범위까지 이르는 범위 안에서 변동될 수 있다.
하우징(12) 내부에는 하나의 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 안에는 차단 부재(18)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도 1 및 도 2에서는 좌로 그리고 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고, 상기 차단 부재에는 피스톤(38)이 통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피스톤(38)은 상기 챔버의 벽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폐쇄되도록 치수 설계됨으로써, 상기 피스톤(38)의 양측에는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작동 챔버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작동 챔버는 도면 부호 (24)로 표기되어 있고, 제 2 작동 챔버는 도면 부호 (22)로 표기되어 있다. 본 경우에 차단 부재(18)는 피크(peak)를 갖는 볼트 형태로 또는 바늘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피크 는 배출 채널(16)의 흐름 방향 상부 측 단부에서 시트(2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18)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차단 부재의 피크가 시트(20) 상에 올려짐으로써, 제 2 작동 챔버(22)와 배출 채널(16) 사이에 있는 흐름 연결부는 중단된다.
하지만 차단 부재(18)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차단 부재가 시트(20)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제 2 작동 챔버(22)와 배출 채널(16) 사이에 흐름 연결부가 만들어진다. 시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차단 부재(18)의 단부에서는 상기 차단 부재가 나선형 스프링에 대하여 지지가 됨으로써, 차단 부재(18)는 일반적으로 시트(20)의 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받게 된다.
제 2 작동 챔버(22)는 채널(44)을 통해 유입 채널(14)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리버싱 밸브 내부에는 예비 제어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 제어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제어 피스톤(28)의 형태로, 제 2 예비 제어 챔버(30)의 형태로, 제 1 예비 제어 챔버(40)의 형태로 그리고 제 2 나선형 스프링(46)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예비 제어단은 두 개의 예비 제어 챔버, 다시 말해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및 제 2 예비 제어 챔버(30)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예비 제어 챔버들은 하나의 개구를 통해 흐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구는 제어 피스톤(28)의 작동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피스톤(28)은 전자기 방식으로 동작하는 구동 장치(32)에 의해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1의 스위칭 위치에서는 제어 피스톤(28)이 추가의 시트 에 설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 1 예비 제어 챔버(40)와 제 2 예비 제어 챔버(30) 사이의 흐름 경로는 중단된다.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제어 피스톤(28)이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두 개의 예비 제어 챔버(30과 40) 사이에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예비 제어 챔버(30)는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해 배출 채널(16)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예비 제어 챔버(40)는 한편으로는 연결 채널(36)을 통해 제 1 작동 챔버(2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로틀 지점(42)의 중간 접속하에서 유입 채널(14)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싱 밸브의 기능 방식이 기술된다:
구동 장치(32)를 통해 설정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어 피스톤(38)이 두 개의 예비 제어 챔버(30과 40) 사이에 있는 흐름 연결부를 폐쇄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내부에서는 유입 채널(14)의 압력(예컨대 250 bar)이 설정된다. 상기 압력은 연결 채널(36)을 거쳐 동시에 제 1 작동 챔버(24) 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 1 작동 챔버에 노출된 상기 피스톤(38)의 피스톤 측에 작용한다. 그와 동시에 유입 채널(14)의 압력은 채널(44)을 거쳐 제 2 작동 챔버(22)에도 인가된다. 하지만, 차단 부재(18)가 노즐 시트(20)에 설치됨으로 인해, 노즐 시트 쪽을 향하고 있는 면이 작동 챔버(24)의 영역에 있는 작동 면보다 크기가 더 작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트(20)의 방향으로는 나선형 스프링(24)을 통해 더욱 강화되는 파워가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시트(20) 상에서 차단 부재(18)의 안정적인 최종 위치가 야기됨으로써, 유입 채 널(14)과 배출 채널(16) 사이에 있는 흐름 연결부는 효과적으로 중단된다. 그로 인해, 도우징 설비로부터 리버싱 밸브에 연결된 혼합 헤드까지는 재료가 전혀 흐르지 않게 된다.
리버싱 밸브가 "개방된-위치"로 스위칭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피스톤(28)이 구동 장치(32)에 의해 상기 밸브의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 결과 제 1 예비 제어 챔버(40)와 제 2 예비 제어 챔버(30) 사이에는 흐름 연결부가 형성된다. 바이패스-채널(34)을 통한 배출 채널(16)과의 연결에 의해, 예비 제어 챔버(30) 내부에는 배출 채널(16)의 압력 레벨이 존재한다. 이때에는 상기 제 1 예비 제어 챔버(40)와 제 2 예비 제어 챔버(30) 사이에서 유체 교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내부에서도 상기 배출 채널(16)의 압력 레벨이 설정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다른 무엇보다도 유입 채널(14)과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사이에 스로틀 지점(40)이 중간 접속됨으로써 야기되며, 그 결과로 재료가 간헐적으로만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내부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유입 채널(14) 내부의 압력은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내부로 곧바로 확장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제 1 예비 제어 챔버 쪽으로 가면서 강하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배출 채널(16)의 압력 레벨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압력 레벨은 연결 채널(36)을 거쳐 제 1 작동 챔버(24) 내부에서도 설정된다. 이로써, 피스톤(38)의 경우에는 제 1 작동 챔버(24) 내부에서의 더 낮은 압력에 대하여 제 2 작동 챔버(22) 내부에 고압 측이 존재하게 된다. 그 결과로 차단 부재(18)는 도면의 좌측으로, 다시 말해 나선형 스프링(26)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차단 부재(18)의 피크가 시트(20)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유입 채널(14)과 배출 채널(16) 사이에는 흐름 연결부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리버싱 밸브가 개방되어 재료가 도우징 설비로부터 혼합 헤드로 흘러간다.
리버싱 밸브가 재차 폐쇄되면, 제어 피스톤(38)은 구동 장치(32)의 작동으로 인해 재차 "폐쇄된-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이로써,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내부에서는 제 1 작동 챔버(24) 내부의 연결 채널(36)을 거친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입 채널(14)의 압력이 설정된다. 이후로는 재차 두 개의 작동 챔버(22 및 24) 내부에 동일한 압력(유입 채널의 고압)이 인가되고, 상기 압력은 이후로 동일한 크기의 작동 면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차단 부재(18)에 미치는 스프링(26)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상기 차단 부재는 재차 "폐쇄된-위치"로 움직이게 되고(시트(20) 상에 설치됨), 그곳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추후에 재차 안정된 위치에 도달한다.
전술된 방식으로 차단 부재의 두 개 작동 챔버 내에서 실행되는 압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크기가 큰 스위칭 구동 장치 없이도 확실한 리버싱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최종 위치에도 확실하게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오히려 유입 채널 및 배출 채널 내부에서의 압력 차가 이용된다. 스위칭 자체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설계된 전기 방식의, 압축 공기 방식의 또는 유압 방식의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도에서 유압식으로 관찰할 때 상기 밸브는 전기에 의해서 작동되고 예비 제어되는 2/2-경로-밸브다.
자석이 전자기 방식으로 구현된 구동 유닛 내에서 트리거링 되지 않으면, 예비단은 폐쇄되고, 압력은 피스톤의 양측에서 균형을 이룬다. 스프링은 차단 피스톤을 밀봉 시트로 밀어주고, 압력의 영향을 받는 면은 상기 시트의 방향으로 추가의 파워를 발생시킨다.
자석이 차단 피스톤을 개방시킬 목적으로 트리거링 되면, 제 1 작동 챔버와 배출 채널 사이에서 압력 보상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단 부재는 이후로 스프링 파워에 대항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전술된 밸브는 예를 들어 순전히 전기식으로만 동작하고, 추가의 보조 에너지, 다시 말해 추가의 유압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주변에 대한 다이내믹 밀봉을 피할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이 나타남으로써, 누출은 전혀 야기되지 않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리버싱 밸브 12: 밸브 하우징
14: 유입 채널 16: 배출 채널
18: 차단 부재 20: 차단 부재를 위한 시트
22: 제 2 작동 챔버 24: 제 1 작동 챔버
26: 제 1 나선형 스프링 28: 제어 피스톤
30: 제 2 예비 제어 챔버
32: 제어 피스톤을 위한 구동 장치(전기식)
34: 바이패스-라인 36: 연결 채널
38: 차단 부재의 피스톤 40: 제 1 예비 제어 챔버
42: 스로틀 지점 44: 채널
46: 제 2 나선형 스프링

Claims (9)

  1. 특히 혼합 헤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리버싱 밸브로서,
    - 유체-공급부(14) 및 유체-배출부(16)를 내부에 구비한 하우징(12),
    - 그리고 차단 부재(18)를 포함하며,
    - 상기 차단 부재는
    -- 차단 부재(18)가 시트(20)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14)와 배출부(16) 사이의 흐름 경로가 폐쇄되도록 그리고
    -- 차단 부재(18)가 시트(20)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14)와 배출부(16) 사이의 흐름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유체-배출부(16)의 영역에 있는 시트(20)와 상호 작용하며,
    - 상기 차단 부재(18)는 피스톤(38)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양측에는 유체로 채워질 제 1 작동 챔버(24) 및 제 2 작동 챔버(22)가 제공된,
    리버싱 밸브에 있어서,
    - 스위칭 부재(28)를 갖춘 예비 제어단(28, 30, 40, 44)이 제공되고, 상기 예비 제어단(28, 30, 40, 44)은 공급부(14) 및 배출부(16)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작동 챔버(22, 24)에 연결되어 있으며,
    - 상기 예비 제어단(28, 30, 40, 44)은
    -- 상기 스위칭 부재(28)의 제 1 스위칭 상태에서는 피스톤(38)의 양측 작동 챔버에 상기 공급부(14)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그리고
    -- 상기 스위칭 부재(28)의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피스톤(38)의 제 2 작동 챔버(22)에는 상기 공급부(14)의 압력이 인가되고, 제 1 작동 챔버(24)에는 상기 배출부(16)의 압력이 인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8)는 스프링(26)에 의해서 폐쇄 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 챔버(22)는 상기 피스톤(18)과 시트(2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제어단(28, 30, 40, 44)은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및 제 2 예비 제어 챔버(30)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 제어 챔버들 사이에 접속된 흐름 연결부는 상기 스위칭 부재(28)에 의해서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예비 제어 챔버(40)는 상기 공급부(14) 그리고 상기 제 2 작동 챔버(22)에 흐름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4)와 제 1 예비 제어 챔버(40) 사이에 스로틀 지점(4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비 제어 챔버(30)는 바이패스-채널(34)을 통해 배출부(16)에 흐름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제어단(28, 30, 40, 44)의 스위칭 부재(28)는 압축 공기식으로, 전자기 방식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8)이 시트(20)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작용하는, 시트 쪽으로 향하고 있는 피스톤 면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KR1020087015341A 2006-01-17 2006-12-08 리버싱 밸브 KR20080089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6000624U DE202006000624U1 (de) 2006-01-17 2006-01-17 Umschaltventil
DE202006000624.9 2006-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358A true KR20080089358A (ko) 2008-10-06

Family

ID=3608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41A KR20080089358A (ko) 2006-01-17 2006-12-08 리버싱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79658B1 (ko)
KR (1) KR20080089358A (ko)
CN (1) CN101356394B (ko)
DE (2) DE202006000624U1 (ko)
PL (1) PL1979658T3 (ko)
WO (1) WO2007082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8482B (zh) * 2012-07-19 2015-01-28 西安天宇重工有限公司 一种电液比例流量锥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6130A (en) * 1918-11-21 1920-10-19 Coxon John Valve
JP3959563B2 (ja) * 1997-10-20 2007-08-15 Smc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切換弁
FR2784443B1 (fr) * 1998-10-13 2001-01-05 Aerospatiale Vanne en materiau composite carbone/carbone notamment pour le vannage de gaz chauds
US20040245381A1 (en) * 2003-05-16 2004-12-09 Gratton Jason A. Hot gas valve with fibrous monolith ceram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2607A1 (de) 2007-07-26
EP1979658A1 (de) 2008-10-15
CN101356394A (zh) 2009-01-28
DE202006000624U1 (de) 2006-03-09
PL1979658T3 (pl) 2009-12-31
CN101356394B (zh) 2010-09-08
DE502006004267D1 (de) 2009-08-27
EP1979658B1 (de)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8070B2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弁
US6866485B2 (en) Double-acting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JP4791798B2 (ja) 燃料噴射装置
US20040115070A1 (en) Pressure intensifier
JP2006207384A5 (ko)
JP2005517858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弁
KR20120107467A (ko) 밸브 장치
US20160201297A1 (en) Flow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equipment
JP2003512565A (ja) 液圧式に制御される制御スプールを備えた高圧燃料インジェクタ
CN102656365B (zh) 用于高压清洁装置的泵
KR20080089358A (ko) 리버싱 밸브
JPH1165669A (ja) 流量調整弁
US7121237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pressure pulses
US20180163717A1 (en) High-pressure plunger pump and method for the functional interruption of a fluid flow
KR19980041842A (ko) 전기 제어식 밸브
US20120112104A1 (en) Actuator for controlling a fluid flow
KR20210108588A (ko) 제어유 세정 조립체
KR20210053901A (ko) 스풀 밸브
KR970029950A (ko) 가스차단기 및 이에 사용되는 유체압 구동장치
JP2002021671A (ja) 漏れが低減された高圧インジェクタ
KR100611712B1 (ko) 누유 제거 기능을 구비한 스풀식 셀렉트 밸브
KR102489675B1 (ko) 유압 밸브 및 농업용 트랙터 프론트 로더의 유압 제어장치
US20230265940A1 (en) Drive for a Valve and Method
KR100242984B1 (ko) 자석플런저 밸브
KR101912021B1 (ko) 연료레일의 압력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