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202A -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및 위상차판 - Google Patents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및 위상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202A
KR20080089202A KR1020080027734A KR20080027734A KR20080089202A KR 20080089202 A KR20080089202 A KR 20080089202A KR 1020080027734 A KR1020080027734 A KR 1020080027734A KR 20080027734 A KR20080027734 A KR 20080027734A KR 20080089202 A KR20080089202 A KR 20080089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ye image
image display
polarization
retard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688B1 (ko
Inventor
미키오 쿠로다
타츠야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8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서 크로스 토크를 저감한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상차판에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하는 단계, 위상차판의 하나의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과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위상차판에서의 차광부가 설치된 면을 화상 표시부에 대향시켜서 위상차판을 화상 표시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위상차판을 화상 표시부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화상 표시부에서의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측의 면이며 위상차판이 배치되는 영역보다도 외측의 주변부와 위상차판에서의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에 인접한 측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1020080027734
입체 화상, 위상차판, 편광 영역, 화상광, 화상 표시부, 입체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 및 위상차판{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plate, and phase shift plate}
본 발명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당해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 및 위상차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관찰자에게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투영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당해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 및 위상차판에 관한 것이다.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각각 다른 영역에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부 및 두개의 다른 영역에 대향해서 배치되며 입사한 빛의 편광축을 서로 직교시키는 두개의 다른 영역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며, 관찰자에 대하여 시차 화상을 투영시키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6-284873호 공보 참조).
상기 입체 표시 장치에서 입체 표시 장치의 연직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어떤 시야각의 위치부터 관찰하면, 액정 표시 패널에서 생성된 우안용 화상의 일부가 좌안용의 1/4 파장판을 투과해서 관찰자의 좌안에 도달하는 크로스 토크가 생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우안용 화상을 생성하는 우안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을 생성하는 좌안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우안용 화상을 포함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을 포함하는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그리고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을 가지며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에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상차판에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하는 단계, 위상차판의 하나의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과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위상차판에서의 차광부가 설치된 면을 화상 표시부에 대향시켜서 위상차판을 화상 표시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위상차판을 화상 표시부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화상 표시부에서의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측의 면이며 위상차판이 배치되는 영역보다도 외측의 주변부와 위상차판에서의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에 인접한 측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화상 표시부의 주변부와 위상차판의 측면은 서로 이간된 복수의 접착 위치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화상 표시부에서의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측의 면과 위상차판에서의 차광부가 설치된 면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접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상차판에 각각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이 입사한 때에 입사한 직선 편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하는 단계, 및 위상차판의 하나의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과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입사한 직선 편광 또는 원형 편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판에 있어서, 하나의 면에 서로 인접해서 설치되며 각각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이 입사한 때에 입사한 직선 편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 으로서 출사하는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 그리고 하나의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과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설치되며 입사한 직선 편광 또는 원형 편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이 필요로 하는 특징의 모두를 열거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들 특징군의 서브 콤비네이션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와 위상차판의 위치를 서로의 면 방향에 대해서 결정한 후 화상 표시부의 주변부와 위상차판의 측면이 서로 이간된 복수의 접착 위치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당해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와 위상차판이 근접하며 또한 위상차판에 차광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화상 표시부의 좌안 화상 생성 영역으로부터의 좌안용 화상광의 일부가 위상차판의 우안 편광 영역을 투과해서 관찰자에게 도달하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화상 표시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 치(100)는 광원(120),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을 이 순서로 포함하며, 이들이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130)는 편광판(150), 화상 생성부(160), 및 편광판(170)을 포함한다. 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입체 화상을 관찰자가 관찰할 경우, 도 1에서의 위상차판(180)보다도 우측에서 관찰한다.
광원(120)은 관찰자로부터 보아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가장 안 쪽에 배치되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하,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라고 약칭한다)에서 백색의 무편광을 편광판(150)의 일면을 향해서 출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20)에 면광원을 이용하고 있지만, 면광원을 대신해서 예를 들면 점광원과 집광 렌즈의 조합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 집광 렌즈의 일례가 프레넬 렌즈 시트이다.
편광판(150)은 화상 생성부(160)에서의 광원(120) 측에 배치된다. 편광판(150)은 투과축 및 당해 투과축에 직교하는 흡수축을 가지며, 광원(120)으로부터 출사한 무편광이 입사하면, 그 무편광 가운데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의 빛을 투과하며 흡수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의 빛을 차단한다. 여기서, 편광축의 방향이란 빛에서의 전계의 진동 방향이며, 편광판(150)에서의 투과축의 방향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자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볼 때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오른쪽 위 45도의 방향이다.
화상 생성부(160)는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을 갖는다. 이들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생성부(160)를 수평 방향으로 구분한 영역이며, 복수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이 연직 방향으로 번갈아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화상 생성부(160)의 주변에는 외측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으며, 화상 생성부(160)의 상기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은 이 외측 프레임에 지지된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서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에는 각각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이 생성된다. 이 경우, 편광판(150)을 투과한 빛이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에 입사하면,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의 투과광은 우안용 화상의 화상광(이하, “우안용 화상광”이라고 약칭한다)이 되며,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의 투과광은 좌안용 화상의 화상광(이하, “좌안용 화상광”이라고 약칭한다)이 된다.
또한,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은 각각 특정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직선 편광이다. 여기서, 각각 특정 방향의 편광축이란 서로 같은 방향이어도 되며,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함께 편광축이 후술하는 편광판(170)에서의 투과축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이러한 화상 생성부(160)에는 예를 들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복수의 작은 셀이 배치되며, 각 셀에서 배향막 간에 액정을 밀봉한 LCD(액정 디스플레이)가 이용된다. 이 LCD에서 각 셀을 전기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각 셀은 통과하는 빛을 그 편광축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투과하는 상태와 편광축의 방향을 90도 회전시켜서 투과하는 상태를 선택한다.
편광판(170)은 화상 생성부(160)에서의 관찰자 측에 배치된다. 이 편광판(170)은 상기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면, 이들 가운데 편광축이 투과축과 평행한 빛을 투과하며 편광축이 흡수축과 평행한 빛을 차단한다. 여기서, 편광판(170)에서의 투과축의 방향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자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볼 때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왼쪽 위 45도의 방향이다.
위상차판(180)은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을 갖는다. 이 위상차판(180)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의 위치 및 크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서 제1 편광 영역(181)에는 상기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며, 제2 편광 영역(182)에는 상기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한다. 또한, 위상차판(180)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하는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1)과 제2 편광 영역(182)의 경계에는 차광부(1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광부(190)는 위상차판(180)의 제1 편광 영역(181)에 인접하는 제2 편광 영역(182)에 입사해야 할 좌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제1 편광 영역(181)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광부(190)는 마찬가지로 위상차판(180)의 제2 편광 영 역(182)에 인접하는 제1 편광 영역(181)에 입사해야 할 우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제2 편광 영역(182)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위상차판(180)의 상기 경계에 차광부(190)를 설치함으로써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1 편광 영역(181)은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을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투과한다. 또한, 제2 편광 영역(182)은 입사한 좌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을 제1 편광 영역(181)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 편광 영역(181)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의 편광축과 제2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방향이 서로 직교한다. 또한, 도 1의 위상차판(180)에서의 화살표는 위상차판(180)을 통과한 편광의 편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편광 영역(181)에는 예를 들면 투명한 유리 또는 수지 등이 이용되며, 제2 편광 영역(182)에는 예를 들면 입사되는 좌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의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의 광학축을 갖는 반파장판이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2 편광 영역(182)의 광학축의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이다. 여기서, 광학축이란 빛이 제2 편광 영역(182)을 투과할 때의 진상축 또는 지상축의 한 쪽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는 위상차판(180)보다도 관찰자측(도 1에서의 위상차판(180)의 우측)에 상기 위상차판(180)의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의 적어도 한 쪽의 방향으로 확산하는 확산판을 포함하여도 된다. 이러한 확산판에는 예를 들면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반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원통형 렌즈)가 복수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 시트 또는 볼록 렌즈가 평면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렌즈 어레이 시트가 이용된다.
도 2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해 입체 화상을 관찰할 경우, 관찰자(5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투영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 안경(200)을 써서 관찰한다. 이 편광 안경(200)에는 관찰자(500)가 이 편광 안경(200)을 쓴 경우 관찰자(500)의 우안(512) 측에 닿는 위치에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가 배치되며 좌안(514) 측에 닿는 위치에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가 배치된다. 이들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 및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는 서로 다른 특정한 투과축 방향을 가지는 편광 렌즈이며 편광 안경(200)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는 투과축 방향이 제1 편광 영역(181)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과 같은 방향을 가지며, 흡수축 방향이 상기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갖는 편광판이다.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는 투과축 방향이 제2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과 같은 방향을 가지며, 흡수축 방향이 상기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갖는 편광판이다. 이들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 및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에는 예를 들면 이색성 염료를 함침시킨 필름을 1축 연신해서 얻어지는 편광막을 부착한 편광 렌즈가 이용된다.
관찰자(500)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해 입체 화상을 관찰할 때에 상기 위상차판(180)의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 안경(200)을 써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관찰함으로써 우안(512)에서는 우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으며 좌안(514)에서는 좌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500)는 이들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는 위상차판(180)에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하는 단계(이하, “제1의 단계”라고 약칭한다), 위상차판(180)의 한 쪽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1)과 제2 편광 영역(182)의 경계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차단하는 차광부(190)를 설치하는 단계(이하, “제2의 단계”라고 약칭한다), 및 위상차판(180)에서의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을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시켜서 위상차판(180)을 화상 표시부(130)에 부착하는 단계(이하, “제3의 단계”라고 약칭한다)를 이 순서로 수행한다.
도 3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1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감광성 고분자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당해 고분자가 투명한 기판 상에 코팅된 위상차판(180)에 대하여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이 교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된 위상차판(180)이 제조된다. 또한, 이들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의 형성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 적당히 선택된다.
도 4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2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180)의 한 쪽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1)과 제2 편광 영역(182)의 경계 부분에 띠 형상의 차광부(190)를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이 차광부(190)는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에 필러 성분을 분산 등을 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 성분은 금속 입자 및 그 산화물 또는 안료, 염료를 이용한다. 필러 성분의 색조는 상기 화상 표시부(130)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에 대하여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 및 염료를 분산 혹은 용해시키는 바인더 수지는 공지의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노볼락 수지, 폴리이미드, 에폭시 수지, 염화 비닐·초산 비닐 코폴리머, 니트로셀룰로오스, 또는 이들 조합 등을 이용한다.
도 5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3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우선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를 위상차판(180)에서의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이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화상 표시부(13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주변에 외측 프레임(165)이 배치된 화상 생성부(160)의 양면에 편광판(150) 및 편광판(170)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일면이 개 방된 하우징(110)에 부착되어 있으며, 편광판(170)이 부착된 면이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개방된 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스텐레스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면과 대향하는 면의 내측에 광원(12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130)의 일례는 위상차판(180)을 부착하지 않는 상태에서 2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LCD이다.
이 단계에 있어서,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를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화상 표시부(130)에서의 편광판(170)이 부착된 측의 면이 위상차판(180)에서의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과 대향한다. 다음에, 위상차판(180)의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이 화상 표시부(130)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과 각각 대향하도록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위치를 서로의 면 방향에 대해서 결정한 후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당접시킨다. 마지막으로, 화상 표시부(130)의 주변부에 닿는 외측 프레임(165)과 위상차판(180)의 측면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175)에 의해 접착한다. 이에 따라,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단계 후, 위상차판(180)에서 외부에 노출하는 쪽의 면에 확산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을 더 부착해도 된다.
도 6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3의 단계까지를 종료해서 제조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는 상기 제3의 단계에서 화상 표시부(130)의 외측 프레임(165)과 위상차판(180)의 측면이 서로 이간된 복수의 접착 위치에서 접착 제(175)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위상차판(180)의 측면 전체에 접착제(175)를 도포해서 화상 표시부(130)의 외측 프레임(165)과 접착할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표시부(1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내지 제3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다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과 같은 제1 단계 및 제2 단계, 위상차판(180)에서의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을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시켜서 위상차판(180)을 화상 표시부(130)에 부착하는 단계(이하, “제3'의 단계”라고 약칭한다), 그리고 위상차판(180)이 부착된 화상 표시부(130) 및 하우징(110) 등을 조립하는 단계(이하, “제4'의 단계”라고 약칭한다)를 이 순서로 수행한다.
도 7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3'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우선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를 위상차판(180)에서의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이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화상 표시부(13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에 외측 프레임(165)이 배치된 화상 생성부(160)의 양면에 편광판(150) 및 편광판(170)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치에서 화상 표시부(130)에서의 편광판(170)이 부착된 측의 면이 위상차판(180)에서의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과 대향한다. 다음에, 위상차판(180)의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이 화상 표시부(130)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과 각각 대향하도록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위치를 서로의 면 방향에 대해서 결정한 후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당접시킨다. 마지막으로, 화상 표시부(130)의 주변부에 닿는 외측 프레임(165)과 위상차판(180)의 측면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175)에 의해 접착한다. 이에 따라,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 8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4'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하우징(110), 광원(120),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의 단계에서 위치 결정되어 접착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이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110)에 대하여 위상차판(180)이 당해 개방된 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된다. 이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스텐레스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면의 내측에 광원(12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은 화상 표시부(130)의 외측 프레임(165)이 하우징(110)의 측면에 예를 들면 나사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1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단계의 후 위상차판(180)에서의 외부에 노출 하는 쪽의 면에 확산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을 더 부착해도 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에서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첨부해서 설 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는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위상차판(180)을 대신해서 위상차판(185)을 포함한다. 이 위상차판(185)은 제1 편광 영역(186) 및 제2 편광 영역(187)을 갖는다. 여기서, 제1 편광 영역(186) 및 제2 편광 영역(187)은 둘다 1/4 파장판이며 각각의 광학축이 서로 직교한다. 이 위상차판(185)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6) 및 제2 편광 영역(187)의 위치 및 크기는 상기 위상차판(180)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1) 및 제2 편광 영역(182)의 위치 및 크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의 사용 상태에서 제1 편광 영역(186)에는 상기 우안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며 제2 편광 영역(187)에는 상기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한다.
또한, 위상차판(185)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하는 면에서의 제1 편광 영역(186)과 제2 편광 영역(187)의 경계에는 차광부(1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광부(190)는 위상차판(185)의 제1 편광 영역(186)에 인접하는 제2 편광 영역(187)에 입사해야 할 좌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제1 편광 영역(186)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광부(190)는 마찬가지로 위상차판(185)의 제2 편광 영역(187)에 인접하는 제1 편광 영역(186)에 입사해야 할 우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제2 편광 영역(187)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위상차판(185)의 상기 경계에 차광부(190)를 설치함으로써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 용 화상광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위상차판(185)은 입사한 빛을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한다. 예를 들면, 제1 편광 영역(186)은 입사한 빛을 우회전의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며, 제2 편광 영역(187)은 입사한 빛을 좌회전의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한다. 또한, 도 8의 위상차판(185)의 화살표는 이 위상차판(185)을 통과한 편광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편광 영역(186)에는 예를 들면 광학축이 수평 방향인 1/4 파장판이 이용되며, 제2 편광 영역(187)에는 예를 들면 광학축이 연직 방향인 1/4 파장판이 이용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위상차판(185)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를 관찰할 경우, 관찰자(500)는 우안(512) 측에 닿는 위치 및 좌안(514) 측에 닿는 위치에 각각 1/4 파장판과 편광 렌즈가 배치된 편광 안경을 써서 관찰한다. 이 편광 안경에서 관찰자(500)의 우안(512) 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1/4 파장판은 광학축이 수평 방향이며, 관찰자(500)의 좌안(514) 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1/4 파장판은 광학축이 연직 방향이다. 또한, 관찰자(500)의 우안(512) 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편광 렌즈 및 관찰자(500)의 좌안(514) 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편광 렌즈는 둘다 투과축 방향이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우측 경사 45도이며 흡수축 방향이 상기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관찰자(500)가 상기 편광 안경을 써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를 관찰할 경우, 관찰자(500)의 우안(512) 측에서는 편광축이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우회전의 원형 편광이 입사한 때에 그 원형 편광은 상기 광학축이 수평 방향인 1/4 파 장판에 의해 우측 경사 45도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편광 렌즈를 투과해서 관찰자(500)의 우안(512)에서 관찰된다. 또한, 관찰자(500)의 좌안(514) 측에서는 편광축이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좌회전의 원형 편광이 입사한 때에 그 원형 편광은 상기 광학축이 연직 방향인 1/4 파장판에 의해 우측 경사 45도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편광 렌즈를 투과해서 관찰자(500)의 좌안(514)에서 관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광 안경을 써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를 관찰함으로써 우안(512)에서는 우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으며 좌안(514)에서는 좌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500)는 이들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판(180)의 외형은 화상 생성부(160) 및 편광판(170)의 외형보다도 커도 되며 작아도 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위치를 서로의 면 방향에 대해서 결정한 후 화상 표시부(130)의 주변부와 위상차판(180)의 측면이 서로 이간된 복수의 접착 위치에서 접착제(175)에 의해 접착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 및 당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이 근접하며 또한 위상차판(180)에 차광부(19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화상 표시부(130)의 좌안 화상 생성 영역(164)으로부터의 좌안용 화상광의 일부가 위상차판(180)의 우안 편광 영역을 투과해서 관찰자에게 도달하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화상 표시부로부터 발생 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이용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1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2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3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하우징(110), 광원(120),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3의 단계까지를 종료해서 제조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3'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4'의 단계를 종료한 단계에서의 하우징(110), 광원(120),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입체 화상 표시 장치, 101 입체 화상 표시 장치, 110 하우징, 120 광원, 130 화상 표시부, 150 편광판, 160 화상 생성부, 162 우안 화상 생성 영역, 164 좌안 화상 생성 영역, 165 외측 프레임, 170 편광판, 175 접착제, 180 위상차판, 181 제1 편광 영역, 182 제2 편광 영역, 185 위상차판, 186 제1 편광 영역, 187 제2 편광 영역, 190 차광부, 200 편광 안경, 232 우안용 화상 투과부, 234 좌안용 화상 투과부, 500 관찰자, 512 우안, 514 좌안

Claims (5)

  1. 우안용 화상을 생성하는 우안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을 생성하는 좌안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화상을 포함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을 포함하는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그리고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편광 영역 및 상기 제2 편광 영역에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에 상기 제1 편광 영역 및 상기 제2 편광 영역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판의 하나의 면에서의 상기 제1 편광 영역과 상기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입사한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판에서의 상기 차광부가 설치된 면을 상기 화상 표시부에 대향시켜서 상기 위상차판을 상기 화상 표시부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차판을 상기 화상 표시부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에 서의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측의 면이며 상기 위상차판이 배치되는 영역보다도 외측의 주변부와 상기 위상차판에서의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에 인접한 측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주변부와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측면은 서로 이간된 복수의 접착 위치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에서의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측의 면과 상기 위상차판에서의 상기 차광부가 설치된 면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접착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에 각각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이 입사한 때에 입사한 상기 직선 편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을 서로 인접해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판의 하나의 면에서의 상기 제1 편광 영역과 상기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입사한 상기 직선 편광 또는 상기 원형 편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
  5.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판에 있어서,
    하나의 면에 서로 인접해서 설치되며 각각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이 입사한 때에 입사한 상기 직선 편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제1 편광 영역 및 제2 편광 영역, 및
    상기 하나의 면에서의 상기 제1 편광 영역과 상기 제2 편광 영역의 경계에 설치되며 입사한 상기 직선 편광 또는 상기 원형 편광을 차단하는 차광부
    를 포함하는 위상차판.
KR1020080027734A 2007-03-30 2008-03-26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및 위상차판 KR100955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93,726 US20080239485A1 (en) 2007-03-30 2007-03-30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plate, and the phase shift plate thereby
US11/693,726 200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202A true KR20080089202A (ko) 2008-10-06
KR100955688B1 KR100955688B1 (ko) 2010-05-03

Family

ID=3957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734A KR100955688B1 (ko) 2007-03-30 2008-03-26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및 위상차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39485A1 (ko)
EP (1) EP1975678B1 (ko)
JP (1) JP2008257207A (ko)
KR (1) KR100955688B1 (ko)
CN (1) CN101290399A (ko)
TW (1) TW2008392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4B1 (ko) * 2009-10-06 2012-01-18 잘만쓰리디 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74886A (ko) 2022-06-22 2023-12-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전자기 마이크로 펌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7592A1 (en) * 2007-05-31 2008-12-04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display and phase different plate
JP4528333B2 (ja) * 2008-01-25 2010-08-18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5708B1 (ko) * 2009-07-31 2013-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1017713A2 (en) * 2009-08-07 2011-02-10 Reald Inc. Stereoscopic flat panel display with updated blanking intervals
JP5871455B2 (ja) 2010-02-23 2016-03-01 山本光学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円偏光レンズ、および円偏光眼鏡
JP5316444B2 (ja) * 2010-03-04 2013-10-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立体映像表示用光学部材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KR101224460B1 (ko) * 2010-03-08 2013-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177163B2 (ja) * 2010-04-06 2013-04-0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立体映像表示用光学部材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JP5343917B2 (ja) * 2010-04-22 2013-11-1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映像表示装置
JP5749568B2 (ja) * 2010-05-28 2015-07-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印刷用印画紙、立体画像印刷物、立体画像印刷物の製造方法、及び立体画像の提供方法
JP2012003121A (ja) * 2010-06-18 2012-01-05 Fujifilm Corp 立体画像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0907A (ja) * 2010-06-18 2012-01-05 Fujifilm Corp 立体画像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93202B (zh) * 2010-11-10 2015-01-21 Lg化学株式会社 光学元件
US9348077B2 (en) * 2010-12-23 2016-05-24 L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tarder
CN102565908B (zh) 2010-12-27 2015-06-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板、显示设备及偏光板的制备方法
US9105223B2 (en) 2011-02-15 2015-08-1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655634B2 (ja) * 2011-03-01 2015-0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λ/4板、λ/4板の製造方法、円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CN102681191A (zh) * 2011-03-16 2012-09-19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被动偏光式3d显示装置及系统
JP5547681B2 (ja) * 2011-03-25 2014-07-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板、並びにそれを有する偏光板、3d表示装置及び3d表示システム
KR101822126B1 (ko) 2011-05-04 2018-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407907B2 (en) 2011-05-13 2016-08-02 Écrans Polaires Inc./Polar Screens Inc. Method and display for concurrently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JP5827335B2 (ja) * 2011-08-31 2015-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5635571B2 (ja) * 2011-09-27 2014-1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パターン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3077295A1 (ja) * 2011-11-21 2013-05-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TWI486636B (zh) * 2013-02-05 2015-06-01 Au Optronics Corp 立體顯示裝置
CN103364942B (zh) * 2013-06-13 2015-10-28 明基材料有限公司 光学调光装置
WO2021243037A1 (en) 2020-05-27 2021-12-02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588A (en) * 1989-02-13 1992-07-21 Warman William J Viewing screen protective shield
EP0829744B1 (en) * 1996-09-12 2005-03-23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ax barrier and display
JPH10221643A (ja) * 1997-01-31 1998-08-21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3853297B2 (ja) * 2003-02-12 2006-12-06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
KR100977221B1 (ko) * 2003-10-10 2010-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액정표시장치
JP2005215325A (ja) * 2004-01-29 2005-08-11 Arisawa Mfg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6284873A (ja) 2005-03-31 2006-10-19 Arisawa Mfg Co Ltd 画像表示装置
GB2428345A (en) * 2005-07-13 2007-01-24 Sharp Kk A display having multiple view and single view mod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4B1 (ko) * 2009-10-06 2012-01-18 잘만쓰리디 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74886A (ko) 2022-06-22 2023-12-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전자기 마이크로 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9296A (en) 2008-10-01
JP2008257207A (ja) 2008-10-23
CN101290399A (zh) 2008-10-22
EP1975678A3 (en) 2009-04-29
US20080239485A1 (en) 2008-10-02
EP1975678B1 (en) 2012-05-16
EP1975678A2 (en) 2008-10-01
KR100955688B1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688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위상차판의 제조 방법,및 위상차판
KR100955614B1 (ko) 입체 표시 장치
US8922724B2 (en) Active shutter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cognition unit
JP2008304909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WO2001059508A1 (fr) Systeme d&#39;afficheur sans lunettes de vue
WO2001059509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et procede de conception d&#39;un dispositif d&#39;affichage
JP2008170557A (ja) 偏光眼鏡およ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5215326A (ja) 偏光透過スクリーン、及び当該偏光透過スクリーン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50013430A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의 호환이 가능한 다 시점 3차원 영상시스템의 영상표시부
US20080297897A1 (en) Stereoscopic display and phase different plate
US20050286126A1 (en) Autostereoscopic projection screen
US20080297592A1 (en) Stereoscopic display and phase different plate
JP2009139593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位相差板
JP4652870B2 (ja) 画像表示装置
JP4936191B2 (ja) 立体表示装置
WO2010067506A1 (ja) 画像表示装置
WO2012111496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8145866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0266686A (ja) 展示方法
JP2012098657A (ja) 位相差板
CN218181263U (zh) 三维影像装置
JPH08272009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Yoshigi et al. Full-screen high-resolution stereoscopic 3D display using LCD and EL panels
He et al. Compact auto-stereoscopic display based on directional backlight using side-glowing polymer optical fiber array
CN110895373A (zh) 裸眼三维显示像素单元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