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958A -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958A
KR20080086958A KR1020070028950A KR20070028950A KR20080086958A KR 20080086958 A KR20080086958 A KR 20080086958A KR 1020070028950 A KR1020070028950 A KR 1020070028950A KR 20070028950 A KR20070028950 A KR 20070028950A KR 20080086958 A KR20080086958 A KR 2008008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urface plate
plate
prefabricate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해준
Original Assignee
유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해준 filed Critical 유해준
Priority to KR102007002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6958A/ko
Publication of KR2008008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의 주 재료인 표면판(110)으로 수직되게 형성된다. 배면상부에 형성되는 선반(111)에 의해 다른 표면판(110)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하로 복수로 적층되고 표면판(110) 각각은 안정위치에 설치하는 정착수단(120)에 연결되므로 고정된다. 본 발명판은 강도와 내구성이 보장되는 철근 콘크리트재로 다음과 같이 제작한다. 상부 배면에는 선반(111)을 만들어 그 위에 상부판을 얹고 하부에는 식재공(140)을 두어 조경수를 심을 수 있게 하며 전면에는 자연 친화적 무늬판(130)을 고정시키고 배면 선반에는 정착수단(120)과 연결하는 연결재(121)를 부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판으로 조립식 옹벽을 축조하면 조경겸용의 자연 친화적 옹벽이 되고 기존 공법들과 비교하여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안정된 시공 등의 효과가 있다.
조경, 표면판, 옹벽, 조립식

Description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Decoration Panel of Precast Retaining Wall}
도 1은 종래의 테일 알메 공법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판을 이용하여 축조한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표면판을 이용하여 축조한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의 정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경 겸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의 배면도 이고,
도 8은 도6,도7의 C-C 단면도 이고,
도 9는 도6,도7의 a-a' 단면도 이고,
도 10은 도6,도7의 b-b'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 110 : 표면판
111 : 선반 112 : 수직벽체
120 : 정착수단 121 : 연결재
113 : 표면판 보강재 114 : 선반 보강재
130 : 무늬판 140 : 식재공
131 : 무늬면
본 발명은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인데 본 발명판을 사용하여 자연 친화적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을 축조하면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확실한 안전성,자유로운 경사조정, 공사비 절감, 공기단축 등의 효과가 있게 하는 주 재료인 표면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법으로는 성토 사면에 콘크리트 판넬의 벽면에 표면처리를 한 평강 철물로 이어가면서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옹벽인 테일 알메(Terre Armee) 공법이 있다.
종래의 테일 알메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테일 알메 공법에 의한 보강토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을 가지는 콘크리트 판인 스킨(skin : 11)이 긴결재인 고장력 강판의 스트립(strip : 12)에 의해 고정되며, 스트립(12)의 사이에 성토재(13)가 채워지며 표면경사가 수직으로 일정하여 조경이 불가능하며 경사 조정이 어렵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현재까지 축조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 옹벽이나 보강토 옹벽대신 제품화된 표면판을 조립식으로 축조함으로써 공기단축과 공사비 절감을 가져오는 동시에 조경도 되게 하여 자연 친화적 옹벽을 만들 수 있는 주 재료인 표면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되게 형성되는 표면판이 배면 상부에 형성되는 선반에 의해 상부 표면판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하로 복수로 적 층되고, 표면판 각 각은 안정위치에 고정되는 정착수단에 연결됨으로써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만든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한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100)은 절토나 성토에 의해 형성되는 사면 끝에 토사 붕괴 방지를 위해 수직되게 형성되는 표면판(110)이 선반(111)에 의해 상하로 복수로 적층되고, 각각의 표면판(110)은 연결재(121)를 통하여 정착수단(120)에 정착된다.
표면판(110)은 상부에 설치되는 판을 지지하기 위해 배면 상부에는 선반(111)이 형성된다. 표면판(110)은 도 8,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는 자연석, 인조석, 판석 등 자연 친화적인 다종의 무늬면(131)이 있는 무늬판(130)을 부착시킨다. 표면판(110)은 표면에 돌출되게 조경수(3)를 식재할 수 있도록 하부에 경사지게 식재공(14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식재공(140)은 표면판(110)의 벽체(112)하단에 복수로 형성되는데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하여 조경수(3)를 최대한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정착수단(120)은 도 4에서와 같이 절토부에는 토질에 따라 락앵카(Rock Anchor)나 어스앵카(Earth Anchor) 및 소일네 일(Soil Nail)을 이용하고 성토부에서는 인위적으로 정착체(120)를 만든다. 표면판(110)의 높이와 두께 및 세우는 경사에 따라 옹벽의 표면 경사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으며, 표면판(110)의 각 층마다 뒷채움 성토와 병행하여 적치해감으로써 작업조건이 안정되어 정확하고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표면판(110)이 조립식 방법으로 정착수단(120)에 의해 정착됨으로써 진동변위 흡수능력이 우수하여 내진성이 뛰어나다.
표면판(110)에 식재공(140)을 통한 조경수(3)의 식재가 가능함과 아울러 자연석이나 판석 등의 무늬면(131)을 가짐으로써 자연친화적이며 각 표면판(110)의 연결 부위나 조경수(3)의 식재 부위를 통해 배수가 용이함으로 별도의 배수공을 만들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판을 이용하면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 축조가 가능하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첫째, 표면판을 정착시키는 정착수단이 토압을 받음으로 기초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하부판의 선반 위에 상부판이 지지 되므로 뒷채움재의 다짐정도와 관계없이 전층이 침하 될 가능성이 없어 안전한 옹벽이 된다.
둘째, 표면판의 높이와 두께와 경사에 따라 옹벽의 표면 경사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셋째, 표면판의 각 층마다 뒷채움 성토와 병행하여 진행될 수 있음으로써 작업조건이 안정되어 정확하고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넷째, 진동변위의 흡수능력이 우수하여 내진성이 뛰어나다.
다섯째, 표면에 조경수의 식재가 가능함과 아울러 자연석이나 판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늬면을 가짐으로써 자연 친화적이 된다.
여섯째, 각 표면판의 연결 부위나 조경수의 식재부위를 통해 배수가 용이하므로 별도의 배수공을 만드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표면판으로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세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표면판을 정착수단에 연결시켜 축조하는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의 주 재료인 표면판으로서 배면 상부에는 상층에 적층되는 판을 지지하는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에 정착부에 연결하는 연결재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복수로 식재공을 설치하고, 표면에는 친 자연적인 무늬재를 부착하는 등의 특성을 가진 표면판.
KR1020070028950A 2007-03-24 2007-03-24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KR20080086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50A KR20080086958A (ko) 2007-03-24 2007-03-24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50A KR20080086958A (ko) 2007-03-24 2007-03-24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958A true KR20080086958A (ko) 2008-09-29

Family

ID=4002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950A KR20080086958A (ko) 2007-03-24 2007-03-24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69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5004A (zh) * 2013-12-07 2014-03-05 兰州理工大学 一种带有半主动变阻尼控制装置的锚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5004A (zh) * 2013-12-07 2014-03-05 兰州理工大学 一种带有半主动变阻尼控制装置的锚管
CN103615004B (zh) * 2013-12-07 2015-05-20 兰州理工大学 一种带有半主动变阻尼控制装置的锚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934B1 (ko) 녹화 보강토 옹벽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CN201891130U (zh)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JP4698437B2 (ja) 擁壁ユニットを用いた石積み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80086958A (ko) 조립식 옹벽용 표면판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1259053B1 (ko)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0697637B1 (ko)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CN201473921U (zh) 一种用于河道驳岸加固的结构形式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KR100973914B1 (ko) 평석을 구비한 뒷돌 고정식 산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87012Y1 (ko)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
KR200409796Y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0680246B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