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203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203A
KR20080084203A KR1020070025565A KR20070025565A KR20080084203A KR 20080084203 A KR20080084203 A KR 20080084203A KR 1020070025565 A KR1020070025565 A KR 1020070025565A KR 20070025565 A KR20070025565 A KR 20070025565A KR 20080084203 A KR20080084203 A KR 2008008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am
he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676B1 (ko
Inventor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철 filed Critical 최영철
Priority to KR102007002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또는 건조 처리하는 본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탈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인입 및 인출되는 인입구 및 인출구를 형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되어, 하우징을 가열하는 히팅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며, 악취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DEODORIZATION FILTER FOR GARBAGE TREATME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기계실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 : 본체
15 : 도어 21 : 건조로
23 : 바스켓 25 : 유입구
27 : 배출구 31 : 기계실
41 : 송풍기 45 : 모터
51 : 급기덕트 55 : 배기덕트
61 : 탈취필터 63 : 하우징
65 : 수용부 67 : 폼
69 : 인입구 71 : 인출구
75 : 히팅 코일 W : 음식물쓰레기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고온 산화하여 탈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히 거름망을 통하여 물기만을 걸러낸 후 매립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은 전체 쓰레기량 중 음식물쓰레기량을 증대시키고,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가 원활히 처리되지 않을 경우 침출수가 발생하여 주변의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킨다.
이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근래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처리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서 비료 또는 퇴비로 만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시키거나 건조시킬 때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정하는 방식이 채택하고 있으나, 물로 세정하는 방식은 분사되는 악취가스가 물에 녹으므로써 물이 산화되므로 폐수가 발생되어 새로운 공해요인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악취의 제거효율은 낮으면서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에 통과시켜 탈취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탈취필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며, 악취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또는 건조 처리하는 본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탈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인입 및 인출되는 인입구 및 인출구를 형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열하는 히팅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히팅 코일은 상기 하우징을 500∼10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팅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나선형상을 이루며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폼은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가 적용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음식물쓰레기(W)를 건조하는 건조로(21)를 갖는 본체(11)와, 건조로(21)로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송풍기(41)와,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건조로(21)로 안내하는 급기덕트(51)와, 건조로(2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55)를 가진다.
본체(11)는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본체(11)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11)의 조작부(13)의 하부영역에는 건조로(21) 내로 음식물쓰레기(W)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도어(1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어(15)는 판형상을 가지며, 일 영역에 본체(11)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감시창(17)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내부는 음식물쓰레기(W)를 건조하는 건조로(21)와, 송풍 기(41) 및 각 덕트(51,55)가 설치되는 기계실(31)로 구획되어 있다.
건조로(21)는 전방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본체(1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건조로(21)에는 음식물쓰레기(W)를 수용하는 바스켓(23)이 수용된다.
건조로(21)의 상부판에는 건조로(21) 내로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25) 및 배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25)는 급기덕트(51)와 연통하며, 배출구(27)는 송풍기(41)와 연통한다. 유입구(25)와 배출구(27)는, 건조로(21) 내로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며 후술할 바스켓(23) 내의 음식물쓰레기(W)를 건조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상부영역에 마련된 기계실(31)에는 건조로(21)로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송풍기(41)와,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건조로(21)로 안내하는 급기덕트(51)와, 송풍기(4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55)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기(41)는 모터(45)에 의해 작동한다. 송풍기(41)의 흡입부는 건조로(21)의 배출구(27)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송풍기(41)의 토출부는 배기덕트(55)와 연결되어 있다.
급기덕트(51)는 일단부가 본체(11)의 급기공(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건조로(21)의 유입구(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급기덕트(51)는 급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건조로(2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급기덕트(51)에 히터를 마련하여, 건조로(21)로 유입되는 공기를 소 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바스켓(23) 내의 음식물쓰레기(W)의 건조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배기덕트(55)는 일단부가 송풍기(41)의 토출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본체(11)의 배기공(57)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배기덕트(55)는 건조로(2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한다.
한편, 배기덕트(55)에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본체(1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탈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6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61)는 하우징(63)과 히팅 코일(75)을 가진다.
하우징(63)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67)을 수용하는 수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63)의 일측에는 본체(11)의 건조로(2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인입되는 인입구(69)와, 수용부(65)를 거쳐 배출되는 가스가 인출되는 인출구(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입구(69)와 인출구(71)는 기밀을 유지하며 배기덕트(55)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으로서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 폼(67)이 수용부(65)에 수용되어 있다. 폼(67)은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로 이루어지며, 악취가스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극대화하며 악취가스가 원활하게 통과 유동하도록 오픈셀이 형성된 다공체로 성형된 3차원 망상조직을 가진다. 이에, 배기덕트(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가스는 OH 라디컬을 발생하는 폼(67)의 내부 기공을 통과하며 탈취된다.
히팅 코일(75)은 하우징(63)의 외주에 나선형상을 이루며 권취되어, 하우징(63)을 가열한다. 히팅 코일(75)은 도시 않은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하우징(63)이 가열됨에 따라 하우징(63)의 수용부(65)에 수용된 폼(67) 또한 가열된다. 여기서, 히팅 코일(75)은 폼(67)을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고온에서 탈취되도록 하우징(63)을 500∼10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탈취필터(6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5)를 열고 건조로(21) 내에 수용되는 바스켓(23)에 음식물쓰레기(W)를 수용시킨 후, 도어(15)를 닫는다.
다음, 조작부(13)를 조작하여 송풍기(41)를 작동시킨다.
송풍기(41)가 작동함에 따라 건조로(21)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며, 외부의 공기는 급기덕트(51)를 거쳐 건조로(21)의 유입구(25)를 통해 건조로(21) 내로 공급된다.
건조로(21)로 공급된 공기는 건조로(21) 내에서 순환 유동하며 바스켓(23) 내의 음식물쓰레기(W)를 건조시킨 후 건조로(21)의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어, 송풍기(41)와 배기덕트(5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배기덕트(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가스는 탈취필터(61)를 거치면서 악취가 제거된다.
이 때, 탈취필터(61)의 하우징(63)은 히팅 코일(75)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 고, 이에 하우징(63)의 수용부(65)에 수용된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 폼(67) 또한 가열된다.
특히, 탈취필터(61)를 통과하는 가스 중에 함유된 악취, 즉 음식물쓰레기(W)의 발효 및 건조시 발생하는 썩은 계란 냄새의 황화수소(H2S), 오줌 냄새의 암모니아(NH3), 썩은 생선 냄새의 트리메틸아민((CH3)3N), 자극적인 비린내의 아세트알데히드(CH3CHO), 썩은 양파 냄새의 메르캅탄(CnH2(n+1)SH), 자극적인 신나 냄새의 초산(CH3COOH) 등은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 폼(67)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OH 라디컬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히팅 코일로 가열하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하우징에 통과시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고온 산화함으로써,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며, 악취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탈취필터의 하우징이 원통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탈취필터는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폼은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폼은 은, 백금, 바나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며, 악취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또는 건조 처리하는 본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탈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인입 및 인출되는 인입구 및 인출구를 형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열하는 히팅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코일은 상기 하우징을 500∼100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나선형상을 이루며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티탄이 도금되어진 니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KR1020070025565A 2007-03-15 2007-03-1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KR10090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65A KR100903676B1 (ko) 2007-03-15 2007-03-1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65A KR100903676B1 (ko) 2007-03-15 2007-03-1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203A true KR20080084203A (ko) 2008-09-19
KR100903676B1 KR100903676B1 (ko) 2009-06-18

Family

ID=4002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565A KR100903676B1 (ko) 2007-03-15 2007-03-1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88B1 (ko) * 2013-12-31 2015-04-07 주식회사 남신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냄새흡수필터 교체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60U (ko) * 1997-09-01 1999-04-06 장영환 의류세탁용 용제(溶劑)의 여과장치
JP2000035213A (ja) 1998-07-15 2000-02-02 Sintokogio Ltd 触媒脱臭装置
JP2000145088A (ja) 1998-11-13 2000-05-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手摺の取付装置
JP2000254620A (ja) 1999-03-12 2000-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ゴミ処理機
KR20010084875A (ko) * 2000-02-29 2001-09-06 김학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55009B1 (ko) * 2001-07-06 2004-11-09 주식회사 코캣 암모니아/수소 혼합가스가 함유된 배가스 정화방법 및 그장치
KR20040111238A (ko) * 2004-11-17 2004-12-31 이상규 음식물 쓰레기 소멸화 장치
KR20060082149A (ko) * 2005-01-11 2006-07-18 원석진 음식물쓰레기소멸기의 냄새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88B1 (ko) * 2013-12-31 2015-04-07 주식회사 남신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냄새흡수필터 교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676B1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2774A1 (en) Washing machine
KR10146160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KR100891968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861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의 처리방법
KR10090367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KR20200002508A (ko)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JP2012254239A (ja) 空気清浄装置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100775907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JP3569837B2 (ja) 食器乾燥機
KR1004997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81762A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9092031B (zh) 一种一体化集成式异味处理器
KR20035842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9990086346A (ko)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62234B1 (ko) 탈취장치가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2415292B1 (ko) 고농도 복합 악취 처리시스템
CN211159222U (zh) 一种污水处理环保成套设备的除异味机构
CN219701566U (zh) 垃圾废气除臭处理装置
KR20034908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장치
KR100675592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407325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0198405B1 (ko) 탈착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KR101077636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998003699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